[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8045B1 -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 Google Patents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045B1
KR100838045B1 KR1020070121969A KR20070121969A KR100838045B1 KR 100838045 B1 KR100838045 B1 KR 100838045B1 KR 1020070121969 A KR1020070121969 A KR 1020070121969A KR 20070121969 A KR20070121969 A KR 20070121969A KR 100838045 B1 KR100838045 B1 KR 10083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ion
gun
anode
oxide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문식
안중환
Original Assignee
심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문식 filed Critical 심문식
Priority to KR102007012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045B1/ko
Priority to US12/744,640 priority patent/US20100264022A1/en
Priority to PCT/KR2008/006139 priority patent/WO20090698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21Reactive sputtering or evaporation
    • C23C14/0036Reactive sputtering
    • C23C14/0047Activation or excitation of reactive gases outside the coating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21Reactive sputtering or evaporation
    • C23C14/0036Reactive sputtering
    • C23C14/0073Reactive sputtering by exposing the substrates to reactive gases intermittently
    • C23C14/0078Reactive sputtering by exposing the substrates to reactive gases intermittently by moving the substrates between spatially separate sputtering and reaction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21Ion beam de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0Substrate hol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광학박막에 있어 챔버벽(Chamber wall)에 금속 타켓(Nb, Si)설치하고 광학박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온소스건을 포함하고, 챔버 중앙의 원통형 지그에 기판을 설치하여 챔버 내부 온도가 60℃ ±5℃에서 고품질 광학박막을 증착시킬 수 있는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산화박막 증착장치는 내부에 기판 홀더 드럼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기판 홀더 드럼에 장착되는 기판과; 상기 챔버의 양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금속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금속타켓; 및 상기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박막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소이온을 발생하는 이온소스건;을 포함하는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이온건 외음극 및 이온건 내음극을 형성하되, 상기 이온건 외음극과 이온건 내음극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양극(anode)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 측에 자석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121969
스퍼터링, 이온빔, 증착, 산화박막, 챔버, 이온소스건

Description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Sputtering and Ion beam Deposition}
본 발명은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광학박막에 있어 챔버벽(Chamber wall)에 금속 타켓(Nb, Si)설치하고 광학박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온소스건을 포함하고, 챔버 중앙의 원통형 지그에 기판을 설치하여 챔버 내부 온도가 60℃ ±5℃에서 고품질 광학박막을 증착시킬 수 있는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박막 증착은 진공 중에서 열 저항 방법이나 전자총에 의한 방법으로 증착하고자 하는 물질을 녹여서 기판 위에 증착시킨다. 낮은 기판 온도의 비평형 상태에서 증착하는 박막의 구조는 빈 공간 (Void)을 포함하는 기둥구조(Columnar structure)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박막의 빈 공간을 제외한 기둥부분의 체적과 박막의 빈 공간과 기둥부분을 합한 제적의 비로 정의되는 조밀도(Packing Density)는 벌크(Bulk) 상태인 1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박막이 진공 중에서 코팅된 후 대기 중 노출되면 박막의 빈 공간이 대기의 수분을 흡수하여 박막의 굴절률이 변하고 경도와 접착력이 감소 하며, 특정파장 영역에서 흡수밴드가 생기기도 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광학적 두께가 변하여 파장영역이 이동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박막의 굴절률 분포가 불균일하고 결정구조가 비등방성인 경우가 많아 다층박막 설계 시 가정하는 균일하고 등방인 박막과는 많은 차이가 보이게 된다.
한편, 종래 스퍼터링(sputtering)에서 이온 소스 없이 산화 박막 증착할 경우, 일반적으로 금속타켓 근방에 산소반응가스를 주입하여 증착하는데 이는 금속타켓의 산화로 인한 증착속도(rate)감소, 타켓의 아크(arc)발생, 두께 정밀제어 어려움, 제품의 온도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퍼터링(sputtering)에서는 조밀도 높은 금속(Metal) 박막을 증착하고, 이온 빔으로 산소반응가스를 공급하여 산화박막을 제작하는 방법이 고품질의 광학박막을 제조하는데 필요하다.
Society of vacuum coaters vol 43(2000), vol 42(1999) 저널에서는 크로스 드립트 이온 소스(closed drift ion sources)로 DLC 코팅(diamond like carbon), 플라스틱 코팅, 광학(optical) 코팅에 적용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동 저널 vol 23(2001)에서는 실제 광학박막 제작시 기판에 양 이온(positive ion)과잉으로 기판에서 아크 발생으로 제품 품질에 큰 영향을 주어 산화박막 증착이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993년 7월 6일자로 미국특허에 등록된 '평면과 비평면에 광학박막증착(process for deposition optical films on both plannar and non-planar substrates)에서 광학박막을 Ta205/Si02으로 다층박막 제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스퍼터링 챔버에 별도로 양극(anode)이 없고, 챔버가 양극 역할을 하므로 다층산화박막 증착시 양극(anode)이 없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플라즈마가 불안정하다. 또한, 이온소스건(ion source gun) 플라즈마 밀도를 증가시키는 자석과 이온소스건의 양극(anode)이 분리되어 전기장(E-field)이 아래 위로 분산되어 효율이 감소되며, 이는 보다 많은 산소 반응가스가 필요한 단점이 있고, 양극(anode)이 노출되어 있어 다층박막증착시 오염이 쉽게 되어 플라즈마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퍼터링에서 산화박막증착을 함에 있어서, 산화타켓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타켓가격 및 타켓에서의 온도 상승으로 대형화가 불가능하여 증착 장비 비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층 광학박막 증착시 상온의 증착온도를 유지하며, 높은 증착속도를 가지며, 또한 타켓의 아크 발생이 없고, 두께 정밀제어를 위하여 추가된 장치 없이 고효율 이온소스건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산화박막 증착장치는 내부에 기판 홀더 드럼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기판 홀더 드럼에 장착되는 기판과; 상기 챔버의 양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금속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금속타켓; 및 상기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박막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소이온을 발생하는 이온소스건;을 포함하는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이온건 외음극 및 이온건 내음극을 형성하되, 상기 이온건 외음극과 이온건 내음극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양극(anode)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 측에 자석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양극 내부에 상기 자석이 위치하여 양극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자석 위에 이격되게 절연체를 설치하고, 상기 절연체 위에 양극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자석 위에 이격되게 절연체를 설치하고, 상기 절연체 위에 양극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자석의 상부면과 이온건 외음극의 끝 단면 및 상기 자석의 상부면과 이온건 내음극의 끝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45°±1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이온건 내/외음극의 끝 단면 중심부와 상기 양극의 상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각각 10±8mm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좀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이온건 내/외음극의 끝 단면 중심부와 상기 자석의 상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각각 15±8mm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는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의하면, 높은 증착속도 증가를 가져오며, 금속타켓 의 산화로 인한 아크(arc)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금속타켓의 음극전위(cathode votage)안정으로 두께 정밀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박막 증착장치의 개략도로서,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박막 증착장치는 내부에 기판 홀더 드럼(7)이 구비된 챔버(1)와, 상기 기판 홀더 드럼(7)에 장착되는 기판(미도시)과, 상기 챔버(1)의 양 외벽에 설치되어 기판에 금속박막(Nb 또는 Si)을 증착하기 위한 금속타켓(2, 6), 및 상기 챔버(1)에 설치되어 상기 금속타켓(2,6)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소이온을 발생하는 이온소스건(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에서 펌프(3)는 챔버(1)에서 금속타켓(2, 6)과 이온소스건(4) 사이에서 진공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도면 부호 8은 챔버 도어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부호 9는 크리스탈 두께 모니터로서, 이는 박막증착 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크리스탈 두께 모니터(9)를 통해 증착되는 박막의 두께를 모니터링하게 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증착 두께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박막 증착장치는 금속타켓(2, 6)에서 금속박막(Nb or Si)을 기판에 증착하는 장치이며, 이는 기판 홀더 드럼(7)에 장착된 기판이 회전하여 금속박막(Nb 또는 Si)이 이온소스로 오면 이온소스건(4)은 산소이온을 발생시켜 금속박막(Nb 또는 Si)을 산화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온소스건(4)의 효율을 높여 산소양을 적게 공급하는 것이 금속타켓(Metal target, 2, 6)의 산화를 방지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타켓의 상세도로서, 이는 스퍼터링 음극(cathode)으로 양극(10, 15)과, 금속타켓 외벽커버(11)와, 금속타켓 고정커버(12)와, 금속타켓(13), 및 타켓전력(14)인 A.C POWER 40KHZ로 구성된다. 도 2에서의 상기 금속타켓(13)은 도 1의 금속타켓(2, 6)을 나타낸다.
여기서, 타켓전력(14)인 A.C POWER 40KHZ는 싸인파(sine wave)을 발생시켜 금속타켓(13)의 양측에 있는 타켓양극(10, 15)과 금속타켓(13)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처음에는 타켓양극(10)과 금속타켓(13)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게 하고, 다음에는 타켓양극(15)과 금속타켓(13)에서 플라즈마를 일으키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이는 금속타켓(13)이 산소반응가스와 결합하여 산화막을 형성하였을 경우, 산화막에 이온 축척에 의한 플라즈마가 불안정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첨부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이온소스건(4, 도 1참조)은 외벽(17)과, 이 외벽(17)의 아랫부분을 지지하는 지지판(20)과, 외벽(17) 내측의 이온건 외음극(24)과, 대칭되는 이온건 외음극(24)과 이온건 외음극(24) 사이에 형성되는 이온건 내음극(23)과, 이온건 외음극(24)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벽(22)과, 이온건 외음극(24)과 이온건 내음극(23)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절연체(19)와, 이 절연체(19) 위의 내부에 자석(16)을 포함하는 양극(18,anode)으로 구성된다. 그 리고, 산소반응가스의 주입을 위한 가스주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산소반응가스를 양극(anode)(18)과 두 음극(cathode)(23, 24)사이에 주입하여 양극(anode)(18) 측에서 플라즈마를 일으키며, 양극(18) 속에 있는 자석(16)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플라즈마의 밀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자석(16)은 양극(18)의 전위(anode voltage)상승을 억제하여 기판(substrate)의 양이온 축척으로 인한 아크(arc)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자석(magnetic)(16) 두 개를 사용하여 회로를 만들어 자기장을 증가시켜 이온건 효율을 증가시키고, 양극(anode)의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다층박막증착시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온건 외음극(24)과 이온건 내음극(inner cathode)(23)은 자석(16)과 이루는 각도가 각각 45℃±1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의 표 1과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도 3의 이온소스건에서 양극전류(anode current)변화에 따른 에너지(eV)를 나타낸다. 측정은 페러데이컵(faraday cup)(5, 도 1참고)으로 하였으며, 이온소스건(4, 도 1참고)과 페러데이컵(5, 도 1참고)까지 거리는 100mm이다. 그리고, 공정압력은 2*10-3torr Ar=220sccm을 이온소스건에 주입하였다.
이온건 양극전류(Ion Gun anode current, A) 에너지(eV)
3 30
4 30
5 35
9 42
7 47
8 49
9 48
10 56
11 58
도 6을 참조하면, 이온건 양극전류(anode current)가 3A일 경우 30eV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온건 양극전류(anode current)가 7A이상일 경우 47eV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이온건 양극전류(anode current)가 크게 상승하여도 에너지(eV)는 60eV 이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의 표 2와 도 7는 이온소스건 양극전류(anode current)변화에 따른 이온소스건 양극전위(anode voltage)변화 및 이온밀도를 나타낸다.
이온건양극전류(Ion Gun anode current, A) 이온건양극전압(Ion Gun anode Voltage(V) 이온밀도(Density)
3 82 1.59
4 85 1.8
5 85 2.1
6 89 2.38
7 91 2.61
8 91 3.1
9 90 3.17
10 90 3.4
11 94 3.69
도 6에서와 같이, 이온소스건과 페러데이컵까지 거리는 100mm이고 공정압력은 2*10-3torr , 이온소스건에 Ar=220sccm을 주입하였다. 이온건 양극전류가 3A일 경우, 이온소스건의 양극전위 82V, 이온 밀도1.5mA이고, 이온건 양극전류가 7A일 경우, 이온소스건 양극전위 91V, 이온밀도 2.61mA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이온건 양극전류(anode current)가 증가할수록 이온밀도(density)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온소스건의 양극전류(anode current)변화에 따른 이온건 양극전위(anode voltage)가 상승폭이 크지 않고, 양극전위(anode voltage)가 100V미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기판에 이온 과잉으로 인한 아크(arc)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상세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이온소스건의 자석(16) 위에 도체를 접촉시켜 양극(18)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실험조건은 표 2에서와 같은 동일한 조건 (공정압력 2*10-3torr,Ar=220sccm)실험결과, 이온소스건의 양극(anode)전위와, 이온밀도는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이는 자기장 세기가 변화가 없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상세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이온소스건 자석(16) 위에 이격되게 절연체(25)를 설치하고, 상기 절연체(25) 위에 양극(18)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면 부호 19는 양극(18)과 음극(23, 24)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체이다.
다음의 표 3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양극전류(anode current)변화에 따른 이온밀도(density)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이는 이온건 자석(16) 위에 이온건 양극(18)을 1mm 절연체(25)를 넣어 분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온건양극전류(Ion Gen anode current, A) 이온건전압(Ion Gun Voltage(V) 이온밀도(Density)
3 86 1.5
4 88 1.78
5 90 2.3
6 91 2.65
7 93 2.9
8 93 3.2
9 96 3.3
실험조건은 공정압력2*10-3torr,Ar=220sccm이며, 이온건 양극전류(anode current) 3A에서 양극전위(anode voltage) 86V, 이온밀도 1.5mA, 이온건 양극전류 6A에서 양극전위 91V, 이온밀도 2.3mA을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양극전위(anode voltage)와 이온밀도(ion density)의 큰 변화는 없음을 보여준다.
첨부 도면 중, 도 9는 산소반응가스 변화 따른 Nb2O5과 특성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이는 Nb2O5 산화박막 증착하였을 경우, 전력(POWER)4.5KW에서 10분간 증착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분광분석 스펙트럼이다. 도 9에서 보면, 산소반응가스가 각각 0sccm, 30sccm, 50sccm, 60sccm, 70sccm, 120sccm에서 실험하였으며, 0sccm, 30sccm에서는 산소반응가스 부족으로 금속타켓(Nb)이 증착되어 흡수가 발생하여 투과특성이 5%이만이다.
그리고, 120sccm에서는 챔버의 높은 압력과 금속타켓(Nb)산화로 증착 두께가 적어 포락선 최저값 한 개만 보인다. 투과특성은 70sccm에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10은 산소반응가스 변화 따른 Nb2O5과 굴절률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이는 산소반응가스 65sccm,70sccm,75sccm에서 각각의 굴절율 2.43,2.39,2.387(λ=450nm)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고하면, 산소양이 증가할수록 굴절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는 금속타켓(Nb) 산화로 증착속도 감소와 공정압력(Vacuum) 증가로 산화박막의 조밀도의 감소를 예측할 수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11은 산소반응가스 변화 따른 Nb2O5과 흡수계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이는 Nb2O5 산화박막을 증착하였을 경우, 산소반응가스 증가에 따른 Nb2O5 소멸계수 변화량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참고하면, 산소반응가스 65sccm, 70sccm, 75sccm에서 0.0115,0.0060,0.0041(λ=450nm)을 나타내고 있다.
소멸 계수가 산소(O2)반응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산소반응가스 65sccm과 70sccm사이에서 소멸계수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첨부 도면 중, 도 12는 Nb2O5 박막의 XPS에 의한 조성분석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이는 Nb2O5박막의 화학 결합상태 및 조성분석한 것으로, XPS분석방법을 이용하여 Nb2O5박막의 내부에 존재하는 원소들로부터 방출되는 제도전자가 갖는 에너지를 측정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X축은 에너지(eV), Y축은 세기(Intensity)이고, 산소반응가스는 70sccm에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를 살펴보면, 실험결과와 벌크(Bulk)상태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기(Intensity)의 최고가 207eV에서 일치하고 210eV에서도 같게 나타나고 있어 Nb2O5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의 표 4와 첨부 도면 13은 Nb2O5/SiO2 32층 증착한 분광 분석 스펙트럼이다. 이때, Nb2O5(n=2.38 , λ=460nm),SiO2(n=1.46 , λ=460nm)기판(substrate,glass n=1.520)을 이용하였으며, 보다 구체적인 증착조건은 아래와 같다.
- Nb2O5/SiO2 32층 설계 Data
Layer Materials Refractive Index Extinction Coefficien t Physical Thickness (nm)
Substrate Glass 1.52031 0
1 Nb2O5 2.38922 0 54.41
2 SiO2 1.46132 0 88.96
3 Nb2O5 2.38922 0 54.41
4 SiO2 1.46132 0 88.96
5 Nb2O5 2.38922 0 108.82
6 SiO2 1.46132 0 88.96
7 Nb2O5 2.38922 0 54.41
8 SiO2 1.46132 0 88.96
9 Nb2O5 2.38922 0 54.41
10 SiO2 1.46132 0 88.96
11 Nb2O5 2.38922 0 54.41
12 SiO2 1.46132 0 88.96
13 Nb2O5 2.38922 0 54.41
14 SiO2 1.46132 0 88.96
15 Nb2O5 2.38922 0 108.82
16 SiO2 1.46132 0 177.92
17 Nb2O5 2.38922 0 108.82
18 SiO2 1.46132 0 88.96
19 Nb2O5 2.38922 0 54.41
20 SiO2 1.46132 0 88.96
21 Nb2O5 2.38922 0 54.41
22 SiO2 1.46132 0 88.96
23 Nb2O5 2.38922 0 54.41
24 SiO2 1.46132 0 88.96
25 Nb2O5 2.38922 0 54.41
26 SiO2 1.46132 0 88.96
27 Nb2O5 2.38922 0 108.82
28 SiO2 1.46132 0 88.96
29 Nb2O5 2.38922 0 54.41
30 SiO2 1.46132 0 88.96
31 Nb2O5 2.38922 0 54.41
32 SiO2 1.46132 0 88.96
Medium Air 1 0
Total Thickness 2600.55
<증착조건>
구 분 Nb2O5 SiO2
기판온도 60℃ 60℃
작업진공도(Vacuum) 0.8m Torr 0.7m Torr
회전속도(rpm) 60 60
기판크기(mm) 104.5*51 104.5*51
증착속도(Å/ S) 3.2(Nb) 4(Si)
산소반응가스(O₂) 70sccm 60sccm
전력(Sputter Power) 4㎾ 3.8㎾
기본진공도(Vacuum) 3.0*10-6 Torr 3.0*10-6 Torr
이온소스건(anode current,A) 4.0A 3A
증착조건을 보면 증착중 기판온도가 60℃ 이상 상승하지 않으며, 증착속도는 Nb 3.2Å/sec, Si 4Å/sec 높은 증착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Nb2O5/SiO2 32층 증착한 분광 분석 스펙트럼이고, 이는 이론설계값과 실제측정값(BF₁-증착후 1시간 경과측정), (BF₂-증착후 24시간 경과 측정)을 나타내고 있다. 측정은 분광분석기(PerkinElmer lambda900)으로 하였다.
이론설계값과 실제측정값이 투과율 80%이상에서 차이가 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증착중 공정조건변화로 인한 두께 에러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빔(E-beam)으로 다층박막 증착시 측정값이 1시간 경과 후 측정값과 24시간 경과 후 측정값이 장파장 영역으로 그래프가 이동한다. 이것은 증착된 박막이 조밀하지 않아 박막사이의 빈 공간으로 습기 침투로 인한 그래프 이동이다.
그러나, 도 13에서 보면 1시간 경과 후 측정값과 24시간 경과 후 값이 일치하는 것은 증착된 박막이 조밀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산화박막 증착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타켓의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양극전류(anode current)변화에 따른 에너지(eV)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온소스건의 양극전류(anode current)변화에 따른 이온밀도(density)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산소반응가스 변화 따른 Nb2O5과 특성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산소반응가스 변화 따른 Nb2O5과 굴절률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산소반응가스 변화 따른 Nb2O5과 흡수계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Nb2O5 박막의 XPS에 의한 조성분석을 나타낸 그래프; 및
도 13은 Nb2O5/SiO2 32층 증착한 분광 분석 스펙트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챔버 2: 금속(Nb)타켓
3: 펌프 4: 이온소스건
5: 페러데이컵(Faraday cup) 6: 금속(Si)타켓
7: 원통형지그(Drum jig) 8: 챔버문(Chamber door)
9: 크리스탈 두께 모니터 10: 타켓양극(anode)
11: 금속타켓 외벽커버 12.금속타켓 고정커버
13: 금속타켓 14: 타켓전력
15: 타켓양극 16: 자석
17.이온건 외벽 18: 이온건 양극(anode)
19: 절연체(insulator) 20: 이온건 지지판
21: 이온건 가스주입구 22: 이온건 내벽
23: 이온건 내음극 24: 이온건 외음극
25: 절연체(insulator)

Claims (8)

  1. 내부에 기판 홀더 드럼이 구비된 챔버와; 상기 기판 홀더 드럼에 장착되는 기판과; 상기 챔버의 양 외벽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금속박막을 증착하기 위한 금속타켓; 및 상기 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금속박막을 산화시키기 위한 산소이온을 발생하는 이온소스건;을 포함하는 산화박막 증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이온건 외음극 및 이온건 내음극을 형성하되,
    상기 이온건 외음극과 이온건 내음극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양극(anode)을 형성하고, 상기 양극 측에 자석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양극 내부에 상기 자석이 위치하여 양극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자석 위에 도체를 접촉시켜 양극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자석 위에 이격되게 절연체를 설치하고, 상기 절연체 위에 양극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자석의 상부면과 이온건 외음극의 끝 단면 및 상기 자석의 상부면과 이온건 내음극의 끝 단면이 이루는 각도가 각각 45°±1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이온건 내/외음극의 끝 단면 중심부와 상기 양극의 상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각각 10±8mm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소스건은 상기 이온건 내/외음극의 끝 단면 중심부와 상기 자석의 상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는 각각 15±8mm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8. 삭제
KR1020070121969A 2007-11-28 2007-11-28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KR100838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969A KR100838045B1 (ko) 2007-11-28 2007-11-28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US12/744,640 US20100264022A1 (en) 2007-11-28 2008-10-17 Sputtering And Ion Beam Deposition
PCT/KR2008/006139 WO2009069891A1 (en) 2007-11-28 2008-10-17 Sputtering and ion beam de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969A KR100838045B1 (ko) 2007-11-28 2007-11-28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045B1 true KR100838045B1 (ko) 2008-06-12

Family

ID=3977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969A KR100838045B1 (ko) 2007-11-28 2007-11-28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64022A1 (ko)
KR (1) KR100838045B1 (ko)
WO (1) WO20090698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176A (ko) * 2016-11-15 2018-05-24 마이크로코팅 주식회사 다층박막 코팅 장치
US11535929B2 (en) 2019-10-02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positing a substrate and deposi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531159B1 (ko) 2021-11-22 2023-05-10 주식회사 인포비온 저진공압 하에서 플라즈마를 유지하기 위한 전자빔 어시스트 스퍼터링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6377A1 (de) * 2014-05-07 2015-11-12 Von Ardenne Gmbh Magnetron-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0640A (ja) 1997-09-08 1999-05-25 Ulvac Corp 選択スパッタリング装置、及び薄膜形成方法
JP2004151493A (ja) 2002-10-31 2004-05-27 Ulvac Japan Ltd 誘電体多層膜の製造装置
WO2005087973A1 (ja) * 2004-03-15 2005-09-22 Ulvac, Inc. 成膜装置及びその成膜方法
KR20060135932A (ko) * 2004-04-09 2006-12-29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057A (en) * 1988-02-08 1993-07-06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Process for depositing optical films on both planar and non-planar substrates
US5618388A (en) * 1988-02-08 1997-04-08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Geometries and configurations for magnetron sputtering apparatus
US6359388B1 (en) * 2000-08-28 2002-03-19 Guardian Industries Corp. Cold cathode ion beam deposition apparatus with segregated gas flow
US20040222082A1 (en) * 2003-05-05 2004-11-11 Applied Materials, Inc. Oblique ion milling of via metallization
US7183559B2 (en) * 2004-11-12 2007-02-27 Guardian Industries Corp. Ion source with substantially planar design
US20080073557A1 (en) * 2006-07-26 2008-03-27 John Germa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recting an ion beam sour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0640A (ja) 1997-09-08 1999-05-25 Ulvac Corp 選択スパッタリング装置、及び薄膜形成方法
JP2004151493A (ja) 2002-10-31 2004-05-27 Ulvac Japan Ltd 誘電体多層膜の製造装置
WO2005087973A1 (ja) * 2004-03-15 2005-09-22 Ulvac, Inc. 成膜装置及びその成膜方法
KR20060135932A (ko) * 2004-04-09 2006-12-29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성막 장치 및 성막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176A (ko) * 2016-11-15 2018-05-24 마이크로코팅 주식회사 다층박막 코팅 장치
KR101883369B1 (ko) 2016-11-15 2018-07-30 마이크로코팅 주식회사 다층박막 코팅 장치
US11535929B2 (en) 2019-10-02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depositing a substrate and deposi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102531159B1 (ko) 2021-11-22 2023-05-10 주식회사 인포비온 저진공압 하에서 플라즈마를 유지하기 위한 전자빔 어시스트 스퍼터링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69891A1 (en) 2009-06-04
US20100264022A1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914B2 (en) Method for depositing layers on a glass substrate by means of low-pressure PECVD
JP2015519477A (ja) 事前に安定させたプラズマによるプロセスのためのスパッタリング方法
US20100200393A1 (en) Sputter deposition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thin film capacitors with optically transparent smooth surface metal oxide standoff layer
DK2735018T3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PREPARING LOW PARTICLES
KR100838045B1 (ko) 스퍼터링과 이온 빔 증착을 이용한 산화박막 증착장치
US202101640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ayers with improved uniformity in coating systems with horizontally rotating substrate guiding
JP6311963B2 (ja) 成膜方法及び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US122586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ayers with improved uniformity in coating systems with horizontally rotating substrate and additional plasma sources
JPH0699536A (ja) ガスバリヤー性透明導電性積層体とその製造法
WO2010073517A1 (ja) スパッタリング装置
KR100773486B1 (ko) 표면이 코팅된 폴리쉬 캐리어 및 이의 코팅 방법
Kulikovsky et al. Study of formation and some properties of Ti-C: H films prepar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US20040099525A1 (en) Method of forming oxide thin films using negative sputter ion beam source
JP2001265250A (ja) ディスプレイ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6119A5 (ko)
CN115142033B (zh) 非化学计量比氧化铝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49212B1 (ko) 조성 조절이 가능한 코팅층 형성방법
JP4678996B2 (ja) 誘電体膜の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KR100613657B1 (ko) 다이아몬드상 카본 막을 버퍼 층으로 사용하는 복합 투명도전 박막
JP5008211B2 (ja) 成膜方法
KR100739484B1 (ko) 징크옥사이드 투명전도막의 제조방법
KR1006810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TWI355683B (en) A dielectric barrier film
JPH093628A (ja) 透明性導電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220953A1 (ja) 透明導電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3012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