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7949B1 -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949B1
KR100837949B1 KR1020070067029A KR20070067029A KR100837949B1 KR 100837949 B1 KR100837949 B1 KR 100837949B1 KR 1020070067029 A KR1020070067029 A KR 1020070067029A KR 20070067029 A KR20070067029 A KR 20070067029A KR 100837949 B1 KR100837949 B1 KR 100837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tor
hybrid vehicle
primary pulley
hybr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김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9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94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510/083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엔진 및 모터와, 전후진 장치의 구성 요소인 1차 풀리 및 상기 1차 풀리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측정하는 1차 풀리 스피드 센서와, 발진 클러치가 설치된 무단 변속기와, 각종 부품의 제어를 위한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은 상기 발진 클러치가 상기 무단 변속기의 입력축에 소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모터의 토크가 최소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발진 클러치의 소착시 이를 감지하여 엔진 또는 모터의 토크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급출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 급출발 방지, 무단 변속기, 1차 풀리 스피드 센서, 엔진, 모터, 토크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sudden launching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단 변속기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발진 클러치의 소착시 이를 감지하여 급출발을 방지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단 변속기는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를 의미하는데 연속적으로 변속비를 가변해주는 변속기라는 뜻으로, 무단으로 변속을 행할 수 있어 변속시 변속 쇼크의 발생이 없으며, 연비와 가속 성능 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무단 변속기의 변속은 가변풀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변속 장치가 필요없으나, 후진을 위한 별도의 전후진 장치는 구비되어 있다.
전후진 장치의 작동은 유성기어로 이루어지며, 유성기어는 링기어, 캐리어, 선기어, 더블피니언 기어로 구성된다. 전후진 장치의 작동장치로는 전진 클러치(발진 클러치)와 후진 브레이크가 있다.
엔진의 동력은 입력축에 전달된 후 전진 클러치로 전달되고, 캐리어를 거쳐 1차 풀리로 출력된다.
그런데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시 무단 변속기의 전진 클러치가 입력축에 소착(stick)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전진 클러치가 소착되면 엔진의 동력이 전진 클러치를 통해 휠(wheel)까지 바로 전달되므로 차량의 정지 후 시동시 급출발의 우려가 있다.
즉, 무단 변속기는 기계적으로 엔진까지 모두 연결되어 있어 기계적으로 연결된 부분이 점프 아웃(jump out)되면 자동 변속기와는 달리 P단 또는 N단에서 급출발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급출발의 방지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단 변속기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발진 클러치의 소착시 이를 감지하여 엔진 또는 모터의 토크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급출발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 및 모터와, 전후진 장치의 구성 요소인 1차 풀리 및 상기 1차 풀리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측정하는 1차 풀리 스피드 센서와, 발진 클러치가 설치된 무단 변속기와, 각종 부품의 제어를 위한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은 상기 발진 클러치가 상기 무단 변속기의 입력축에 소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 또는 상기 모터의 토크가 최소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은 엔진 또는 모터의 시동 단계;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시동 후 상기 1차 풀리의 회전수와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1차 풀리와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일치하면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토크를 최 소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은 상기 1차 풀리와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급출발 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각종 부품을 정상 제어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 전달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단 변속기(300)는 스틸 벨트에 의해 결속된 1차 풀리(310) 및 2차 풀리(320)에 의해 변속이 되며, 전후진 장치가 구비되어 전진 및 후진 시 사용된다. 전후진 장치의 작동은 유성기어로 이루어지며, 유성기어는 링기어, 캐리어, 선기어, 더블피니언 기어로 구성된다. 전후진 장치의 작동장치로는 발진 클러치(전진 클러치)(330)와 후진 브레이크가 있다.
엔진(100)의 동력은 입력축에 전달된 후 발진 클러치(330)로 전달되고, 캐리어를 거쳐 1차 풀리(310)로 출력된다. 1차 풀리(310)에는 1차 풀리 스피드 센서(312)가 설치되어 1차 풀리(310)의 회전수(RPM)을 측정한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초기 출발시 엔진(100)만 가동하여 차량이 구동될 수도 있고, 모터(200)만 가동하여 차량이 구동될 수도 있으며, 엔진 클러치에 의해 엔진(100)과 모터(200)가 연결되어 둘 다 가동될 수도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는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이 담당하며, 무단 변속기(300)는 별도의 변속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나 변속기 컨트롤러도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에 의해 제어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에 의한 제어 측면에서만 기술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주행시 무단 변속기(300)의 발진 클러치(330)가 입력축(340)에 소착(stick)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발진 클러치(330)가 소착되면 엔진(100)이나 모터(200)의 동력이 발진 클러치(330)를 통해 휠(wheel)까지 바로 전달되므로 차량의 재시동시 급출발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의 제어 방법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은 엔진(100) 또는 모터(200)가 시동되면(S100), 1차 풀리(310)의 회전수와 엔진(100) 또는 모터(200)의 회전수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200).
발진 클러치(330)가 입력축(340)에 소착되면 엔진(100)이나 모터(200)의 회전수가 1차 풀리(310)와 일치하게 되므로, 1차 풀리(310)와 엔진(100) 또는 모터(200)의 회전수가 일치하면 엔진(100) 또는 모터(200)의 토크를 최소가 되도록 제어한다(S300).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은 만약 1차 풀리(310)와 엔진(100) 또는 모터(200)의 회전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급출발 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각종 부 품을 정상 제어한다(S400).
이러한 제어 방법에 의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발진 클러치가 입력축에 소착되더라도 급출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은 발진 클러치의 소착시 이를 감지하여 엔진 또는 모터의 토크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급출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 전달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엔진 200 : 모터
300 : 무단 변속기 310 : 1차 풀리
312 : 1차 풀리 스피드 센서 320 : 2차 풀리
330 : 발진 클러치 340 : 입력축
400 :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

Claims (3)

  1. 엔진(100) 및 모터(200)와, 전후진 장치의 구성 요소인 1차 풀리(310) 및 상기 1차 풀리(310)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측정하는 1차 풀리 스피드 센서(312)와, 발진 클러치(330)가 설치된 무단 변속기(300)와, 각종 부품의 제어를 위한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은 상기 발진 클러치(330)가 상기 무단 변속기(300)의 입력축(340)에 소착되는 경우 상기 엔진(100) 또는 상기 모터(200)의 토크가 최소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은 엔진 또는 모터의 시동 단계(S100);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시동 후 상기 1차 풀리의 회전수와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1차 풀리와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일치하면 상기 엔진 또는 모터의 토크를 최소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에 의해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컨트롤 유닛(400)은 상기 1차 풀리와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수가 일치하지 않으면 급출발 우려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각종 부품을 정상 제어하는 단계(S400)에 의해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방법.
KR1020070067029A 2007-07-04 2007-07-04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029A KR100837949B1 (ko) 2007-07-04 2007-07-04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029A KR100837949B1 (ko) 2007-07-04 2007-07-04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949B1 true KR100837949B1 (ko) 2008-06-13

Family

ID=3977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0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949B1 (ko) 2007-07-04 2007-07-04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893A (ja) * 1999-08-06 2001-02-20 Honda Motor Co Ltd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20070094534A (ko) * 2006-03-17 2007-09-20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제어 장치
KR20080015574A (ko) * 2006-08-16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출발지연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7893A (ja) * 1999-08-06 2001-02-20 Honda Motor Co Ltd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KR20070094534A (ko) * 2006-03-17 2007-09-20 미츠비시 후소 트럭 앤드 버스 코포레이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제어 장치
KR20080015574A (ko) * 2006-08-16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출발지연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1590B2 (ja) 車両制御装置
US7273119B2 (en) Method for starting engine of vehicle with hybrid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EP1979653B1 (en) Vehicular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120073281A1 (en) Drive apparatus for a vehicle
CN105026786B (zh) 车辆的液压控制装置
US10793156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13119775A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制御装置
JP5712096B2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
JP5531756B2 (ja) 車両の駆動装置
WO2018016391A1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100837949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급출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6219211B2 (ja) 変速装置の制御装置
JP6291170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6200208B2 (ja) 変速機の制御装置
JP6191095B2 (ja) 変速機制御装置
JP7169457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WO2016017201A1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6560758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6806910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6913258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3163994A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制御装置
JP2001329880A (ja) 車両駆動装置
JP5040823B2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制御装置
JP5949507B2 (ja) 車載制御装置
JP6459910B2 (ja) 車両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