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852B1 - Output Media Fixtures for Flatbed Printers - Google Patents
Output Media Fixtures for Flatbed Print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7852B1 KR100837852B1 KR1020070127818A KR20070127818A KR100837852B1 KR 100837852 B1 KR100837852 B1 KR 100837852B1 KR 1020070127818 A KR1020070127818 A KR 1020070127818A KR 20070127818 A KR20070127818 A KR 20070127818A KR 100837852 B1 KR100837852 B1 KR 1008378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output medium
- housing
- fixing device
- b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41J13/03—Rollers driven, e.g. feed rollers separate from plat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베드 위로 이송되는 출력매체의 폭방향 전체를 동시에 눌러 고정할 수 있는 플랫베드 프린터용 출력매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통하여 플랫베드 위로 이송되는 출력매체의 폭방향 전체를 동시에 눌러 고정할 수 있어서, 출력매체 전체에 대해 동일한 높이에서 균일한 힘의 분포로 누를 수 있으므로, 상기 출력매체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출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medium fixing device for a flatbed print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ressing and fixing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output medium conveyed onto the flatb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output medium conveyed onto the flatbed is simultaneously Since it can be pressed and fixed, it can be pressed with a uniform force distribution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whole output medium, and since a damage does not arise in the said output medium, an output qual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랫베드 프린터용 출력매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베드 위로 이송되는 출력매체의 폭방향 전체를 동시에 눌러 고정할 수 있는 플랫베드 프린터용 출력매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medium fixing device for a flat bed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put medium fixing device for a flat bed printer capable of pressing and fixing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output medium transported on the flat bed at the same time.
프린터 또는 프린터의 발달로 종래의 일반적인 출력매체인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 페이퍼 뿐만 아니라, 나무판, 유리판, 석판 등등 다양한 출력매체에 대해서도 출력이 가능하게 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printers or printers, it is possible to output not only paper or thin plastic paper, which is a conventional general output medium, but also various output media such as wooden boards, glass plates, and slabs.
상기와 같은 기술적 진보는 프린터 또는 프린터에 UV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졌다. UV잉크는 출력매체에 뿌려진 후 자외선광을 조사해 주기만 하면 고착이 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대상이 되는 출력매체를 가리지 않는다.Such technological advances have been made by using UV ink in printers or printers. UV ink does not cover the target output medium because it is fixed on the output medium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특히, 종래의 플렉시블한 종이가 아닌 딱딱한 판상의 출력매체에 대한 출력에 더욱 관심이 높아졌다. In particular,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output of a rigid plate-like output medium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flexible paper.
왜냐하면, 기존에 옥외간판, 인테리어 내외장재 등은 실크스크린 등의 방법으로 실사출력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용될 뿐 아니라 출력된 상태에 대해서도 만족도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outdoor signboard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the like, have depended on the actual output by means of silk screens, which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and costly.
따라서, 출력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 출력매체의 두께 또한 다양해졌다.Therefore, as the output medium is diversified, the thickness of the output medium is also varied.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판상의 출력매체에 인쇄를 하기 위해 플랫타입의 플로터를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다.(한국등록특허 제10-0566108호)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d applied for a flat type plotter for printing on such a plate-shaped output medium. (Korean Patent No. 10-0566108)
한국등록특허 제10-0566108에 개시된 상기 플랫타입의 플로터에서는, 출력매체를 고정하기 위하여 푸싱롤러를 사용하였다.In the flat type plott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566108, a pushing roller was used to fix the output medium.
상기 푸싱롤러는 출력매체의 폭방향으로 2개씩 쌍을 이루어 헤드부를 중심으로 하여 2개의 쌍이 설치되었다.The pushing rollers were pair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utput medium, and two pairs were installed around the head.
상기 푸싱롤러는 상기 출력매체를 2개의 지점에서 누르게 되므로, 상기 출력매체의 전폭에 대하여 일정하게 누르는 것이 아니어서, 상기 출력매체의 표면에 상처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pushing roller presses the output medium at two points, the pushing roller is not pressed against the full width of the output medium, which causes a problem of damaging the surface of the output medium.
또, 폭방향으로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푸싱롤러간 높이가 다르게 되어서, 상기 출력매체를 균일한 분포의 힘으로 누르지 않게 되므로 출력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is not constant in the width direction, the height between the pushing rollers is different, so that the output medium is not pressed by the force of the uniform distribution, which may affect the output quality.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랫베드 위로 이송되는 출력매체의 폭방향 전체를 동시에 눌러 고정할 수 있는 플랫베드 프린터용 출력매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output medium fixing device for a flatbed print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ressing and fixing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output medium conveyed onto the flatb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랫베드 프린터의 프레임 또는 베드에 설치되는 출력매체 고정장치에 있어서, 출력매체와 맞닿고, 양단 내부에 형성된 누름롤러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샤프트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샤프트의 단부에 안내롤러와 피니언기어가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관형상의 누름롤러; 및 상기 누름롤러의 안내롤러를 안내하는 안내롤러레일과,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수용된 하우징을 가지는 이동제한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매체 고정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output medium fixing device installed on the frame or bed of a flatbed printer, the connection shaft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put medium, rotatable by the push roller bearings formed inside both ends A tubular push roller having a guide roller and a pinion gea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n end of the connecting shaft; And a movement limiting mechanism having a guide roller rail for guiding the guide roller of the push roller and a housing in which the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is accommodated.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연결샤프트와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shaft and the sliding movement is possible.
또, 상기 하우징은 측부에 상기 누름롤러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개방된 측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opening portion is opened to enable the displacement of the push roller on the side.
삭제delete
또, 상기 하우징은 상기 누름롤러의 피니언기어 및 안내롤러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개방부가 상기 측개방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opening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opening to insert the pinion gear and the guide roller of the push roller.
또,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샤프트와 수직한 방향으로 피스톤축을 접촉하여 가세하는 액츄에이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uator is further provided to contact the piston shaf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shaft.
또,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누름롤러의 양단 중 어느 일방측에 위치하는 하우징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tu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ly in the housing located on either side of both ends of the pressing roller.
본 발명을 통하여 플랫베드 위로 이송되는 출력매체의 폭방향 전체를 동시에 눌러 고정할 수 있어서, 출력매체 전체에 대해 동일한 높이에서 균일한 힘의 분포로 누를 수 있으므로, 상기 출력매체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출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width direction of the output medium conveyed onto the flatbed can be simultaneously fixed and pressed, so that a uniform force distribution can be pressed at the same height with respect to the entire output medium, so that a wound does not occur in the output medium. Therefore, the output quality can be improved.
출력매체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이 가능하며, 이미 사용중인 플랫베드 프린터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It can cope with various thicknesses of output media and can be installed in the flatbed printer already in use.
또, 간단한 구조를 가지므로, 고장확률이 적고 수리 보수가 용이하다.Moreover,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the probability of failure is low and repair and repair are eas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amples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매체 고정장치가 설치된 플레베드 프린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lan view of a flatbed printer provided with an output medium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플랫베드프린터는 크게, 베드(40), 프레임(1,2), 구동롤러(10) 및 종동롤러(20), 구동수단, 이송벨트(50), 공기흡입기(도시생략), 헤드바(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력매체 고정장치는 상기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벨트(50) 위에 배치된다.The flat bed printer is large, the
상기 플랫베드 프린터는 프린터 헤드를 출력매체(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고, 출력매체(100)를 이송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The flatbed printer uses a method of reciprocating the print hea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상기 베드(40)는 그 좌우에 형성된 상기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며, 그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 상기 베드(40)의 상면에는 공기흡입구(47)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공기를 빨아들여 출력매체(100)를 흡착시키게 된다.The
따라서, 출력매체(100)에 손상없이 출력매체(100)를 상기 베드(40)에 달라붙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상기 공기흡입구(47)의 위치, 공기흡입구(47) 간의 간격피치, 공기흡입구(47)의 면적은 사용되는 출력매체의 중량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출력매체에 전달되는 흡입력이 균일하기 위해서는 공기흡입구(47)의 면적이 작고 간격피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the su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output medium to be uniform,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공기흡입구(47)를 위에서 봤을 때의 단면 형상은 여러가지를 상정할 수 있으나, 제작용이성을 위해 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공기흡입구(47)를 옆에서 봤을 때의 단면 형상은 단순히 직사각형을 상정할 수 있으나, 공기의 유속을 압력으로 전환되도록 오리피스의 형태, 즉 Y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sectional shape when the
상기 베드(40)의 폭은 헤드부의 폭과 같거나 비슷하면 족하다.The width of the
또, 상기 베드(40)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출력매체(100)가 이송 전이거나 이송 후에 전체의 길이가 머무를 수 있으면 바람직하나, 설치장소에 따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상기 출력매체(100)가 상기 베드(40)의 폭에 비해 작을 경우, 베드(40) 상면의 전체에 대해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은, 에너지 낭비이며, 상기 공기흡입구(47)를 통해 주위의 먼지만 빨아들이는 악영향을 줄 수 있다.When the
따라서, 상기 플랫베드 프린터에서는 흡착력이 부여되는 공기흡입구(48)의 영역을 베드의 폭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Therefore, the flatbed printer includes means for controlling the area of the air suction opening 48 to which the suction force is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이를 위해, 상기 베드(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41)과 하우징(4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o this end, the
상기 상판(41)은 공기흡입구(48)를 가지는 플레이트이다.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42)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로써, 다수의 격벽(43)이 상기 베드(40)의 길이방향으로 하여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43)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42)의 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은 하우징(42)의 벽과 소정의 간격을 둔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격벽(43)의 높이는 상기 하우징(42)의 높이와 일치하며,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격벽(43)이 형성하는 공간의 자유단부에는 개폐밸브(44)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상기 개폐밸브(44)는 제어가 용이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폐밸브(44)의 제어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도시생략)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on / off
그리고, 상기 격벽(43)의 자유단부 아래쪽과 상기 하우징(42)의 벽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를 연통로(46)라 하고, 상기 연통로(46)는 하우징(42)의 벽면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45)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구(45)는 공지의 상기 공기흡입기(도시생략)와 연결된다.In addi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of the free end of the
상기 공기흡입기(도시생략)의 흡입력은 출력매체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세기이어야 하고, 또한, 공기흡입기의 흡입력은 외부에서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부(도시생략)를 통해 출력매체의 종류에 맞출 수 있도록 한다.The suction force of the air inhaler (not shown) should be strong enough to firmly fix the output medium,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air inhaler may be adjusted to the type of output medium through the control unit (not shown) so as to be adjustable from the outside. Make sure it's align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42)과 상기 상판(41)을 결합하여 베드(40)를 완성하고, 공기흡입기(도시생략)를 통하여 공기를 빨아들일 경우, 상기 개폐밸브(44)의 임의조작을 통해 공기흡입구(47)의 일정영역에 대해서만 흡입력이 부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Combining the
또한, 상기 격벽(43)은 상기 상판(41)을 지지하는 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상판(41)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상판(41)과 하우징(42)의 결합은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베드의 상부와 하부를 별도로 제작한 후 결합부분에 공기의 밀폐를 위한 개스킷을 삽입한 후 볼트와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3은 구동롤러(10), 종동롤러(20), 텐션롤러(30) 및 이송벨트(50)가 상기 베드(40) 주위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의 위치는 출력매체(100)가 이송되기 시작하는 시작부 또는 출력매체(100)가 출력되어 나오는 종착부 어느 곳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플랫베드 프린터에서는 시작부에 구동롤러(10)를 설치하고, 종착부에 종동롤러(20)를 설치하였다.The position of the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의 직경은 상기 베드(40)의 상면을 제외한 부분에 이송벨트(50)가 닿지 않도록 상기 베드(40)의 높이보다 커야 한다. The diameter of the
물론 상기 구동롤러(10)의 직경과 종동롤러(20)의 직경은 일치할 필요는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롤러(10)의 직경과 종동롤러(20)의 직경을 일치시켰다.Of course, the diameter of the
상기 구동롤러(10) 및 상기 종돌롤러(20)는 상기 프레임(1,2)와 일체로 형성된 롤러브라켓(4,5,6,7)에 설치된다.The
상기 구동롤러(1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브라켓(4) 일측에 형성되는 모터브라켓(12)과, 상기 모터브라켓(12)에 설치되는 모터(13)와, 상기 모터(13)와 상기 구동롤러(10)를 연결하는 커플러(14)와, 상기 모터(13)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상기 모터(13)는 제어가 용이하도록 서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는 각각 베어링에 의해 롤러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조절이 가능한 조정수단에 의해 높이조정 또는 수평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도 6에서는 구동롤러(10)의 베어링(15)의 수직방향 조절을 위한 수단을 도시 하였으며, 상기 롤러브라켓(5)의 상기 베어링(15)의 아래로 펜스(16)를 설치하고, 상기 펜스(16)에 볼트를 설치하여, 상기 볼트의 단부가 베어링(15)을 받치도록 하였다. In FIG. 6, a means for vertical adjustment of the bearing 15 of the driving
상기 수직방향 조절을 위한 수단은 구동롤러(10)의 양측 또는 일측에 설치할 수 있다.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installed on either side or one side of the drive roller (10).
따라서, 상기 볼트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베어링(15)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도 7에서는 종동롤러(20)의 베어링(21)의 수평방향 조절을 위한 수단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롤러브라켓(6)의 단부에 수평방향의 홈을 마련하고, 상기 홈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볼트(22)에 상기 베어링(21)이 설치된다.In FIG. 7, a means for horizontal direction adjustment of the bearing 21 of the driven
상기 수평방향 조절을 위한 수단은 종동롤러(20)의 양측에 설치한다.Means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iven roller (20).
따라서, 상기 볼트(22)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21)이 수평방향으로 움질일 수 있어서, 상기 종동롤러(20)의 수평방향 변위가 가능하다.Therefore, as the
상기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조절을 위한 수단은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Means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may be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5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베드(40)의 아래쪽으로 텐션롤러(30)를 설치하여, 상기 이송벨트(50) 외측에서 윗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tension to the
상기 텐션롤러(30)는 상기 이송벨트(50) 안측에서 아래방향으로 밀어붙이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에 걸쳐지는 상기 이송벨트(50)는 다공성인 것으로, 상기 베드(40)의 흡착력을 출력매체(100)에 그대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The
그리고, 상기 이송벨트(50)의 폭은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의 폭보다 작게 하며, 상기 이송벨트(50)의 좌우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가이드(47)를 상기 베드(40)의 상면에 설치할 수 있다.And, the width of the conveying
또, 상기 벨트가이드(47)는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에 환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이송벨트(50)의 이송은 상기 이송벨트(50)와 상기 구동롤러(10) 및 종동롤러(20) 사이의 마찰력에 의존하나, 확실 구동을 위해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에 치형풀리를 형성하고, 상기 이송벨트(50)의 내면에 치형돌기를 설치할 수 있다.The conveyance of the
상기 이송벨트(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로 조적된 것으로, 상기 구동롤러(10) 및 종동롤러(20)의 회전축과 수평방향으로 고리형태의 섬유(51)가 일렬로 배열시켜 서로 중첩된 부분에 고정심(52)을 끼워서 형성된다.The conveying
따라서, 이송벨트(50)를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에 설치하거나, 상기 이송벨트(50)가 노후돼서 상기 구동롤러(10)와 종동롤러(20)에서 제거하여야 할 경우, 상기 고정심(52)을 끼우거나 제거하는 것으로 간단히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nveying
상기 섬유(51)는 PE 또는 PP인 플라스틱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장력에 대한 내구성 및 UV광원에 의한 가열에 대한 내열성을 가져서 바람직하다.The
프린터 헤드(도시생략)의 이송태양은 출력매체에 가로방향이송과, 출력매체의 두께에 따른 높이이송이 요구된다.The transfer mode of the printer head (not shown) requires the horizontal transfer to the output medium and the height transfer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output medium.
가로방향이송은 일반적인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헤드(도시생략)가 헤드바(3) 안측으로 마련된 가이드(도시생략)를 타고 제어된다.As in the general printer, the horizontal conveyance is controlled by a guide (not shown) in which a head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높이이송은 헤드바의 가이드(도시생략)가 수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승강장치(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실현시킨다.Height transfer is realized using a lifting device (not shown) so that the guide (not shown) of the head bar can be vertically adjusted in height.
승강장치(도시생략)는 정밀도를 위하여 타이밍벨트와 타이밍풀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lifting device (not shown) can use a timing belt and a timing pulley for precision.
상기 타이밍풀리에는 서보모터를 설치하여 제어회로에 의해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timing pulley is provided with a servo motor to enable precise control by a control circuit.
상기의 이송의 폭은 센서를 이용하여 대상이 되는 출력매체(100)의 길이, 폭, 두께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컨트롤 가능하도록 한다.The width of the conveyanc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measuring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e
상기의 센서는 헤드 또는 헤드 주위에 두는 것이 정밀한 제어를 위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for the sensor to be placed around the head or around the head for precise control.
또, 상기 이송벨트(50) 위에 설치되는 출력매체(100)를 눌러주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매체 고정장치가 상기 베드(40) 또는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ss the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매체 고정장치는 크게, 관형상의 누름롤러(70)와, 상기 누름롤러(70)의 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기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output medium fixing device includes a
상기 이동제한기구(80)는 상기 누름롤러(7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서, 상기 누름롤러(70)가 상기 이송벨트(50)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면서 높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누름롤러(70)의 운동을 제한한다.The
상기 누름롤러(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의 내부에 누름롤러베어링(72)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9, the
그리고, 상기 누름롤러베어링(72)의 중심에는 연결샤프트(74)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샤프트(74)는 상기 누름롤러(7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연결샤프트(74)는 상기 누름롤러(70)의 양단부측에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a
상기 연결샤프트(74)의 돌출된 부분에 안내롤러(76)와, 피니언기어(78)가 설치된다.A
상기 안내롤러(76)와 상기 피니언기어(78)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 상기 안내롤러(76)는 상기 연결샤프트(74)와 상호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안내롤러(76)의 회전이 상기 연결샤프트(74)에 토크를 부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안내롤러(76)는 볼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연결샤프트(74)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피니언기어(78) 역시 상기 누름롤러(70)에 수직방향 변위만 부여하면 족하므로, 상기 연결샤프트(74)에 상호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피니언기어(78)의 경우에는 상기 연결샤프트(74)와 일체로 고정되어도 무방하다.The
또, 상기 안내롤러(76)를 상기 피니언기어(78)보다 상기 누름롤러(70)에 대해 더 외측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상기 누름롤러(70)가 설치되는 이동제한기구(8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2)과, 상기 하우징(82) 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78)와 맞물리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기어(88)와, 상기 안내롤러(76)를 가이드하는 안내롤러레일(9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상기 하우징(82)은 측부에 상기 누름롤러(70)의 수직방향 변위가 가능하도록 개방된 측개방부(92)가 형성되고, 상부는 외부로부터 상기 이동제한기구(8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94)가 형성된다.The
또, 상기 하우징(82)에 상기 누름롤러(70)의 피니언기어(78) 및 안내롤러(76)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개방부(84)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개방부(84)의 하측으로 상기 하우징(82)에 연결되어 상기 누름롤러(70)의 삽입을 보조하는 안내판(86)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상기 삽입개방부(84)와 상기 측개방부(92)는 대략 상호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상기 안내판(86)은 대략 L자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누름롤러(70) 측은 개방되고 반대편은 폐쇄되도록 형성된 절곡된 플레이트로써, 상기 누름롤러(70)를 상기 이동제한기구(80)에 삽입할 때, 상기 안내판(86)에 상기 누름롤러(70) 양단의 피니언기어(78) 및 안내롤러(76)를 동시에 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기 누름롤러(70)를 상사점까지 올린 상태에서 출력매체(100)의 표면을 향해 내려오도록 상기 연결샤프트(74)의 아래로 액츄에이터(77)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액츄에이터(78)의 피스톤축(79)이 상기 연결샤프트(74)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77)를 작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누름롤러(70)가 상하로 변위될 수 있다.The
상기 피스톤축(79)과 상기 연결샤프트(74)는 상호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진다. The
상기 액츄에이터(77)는 상기 누름롤러(70)의 양단 중 일측에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누름롤러(70)의 양단에 설치된 피니언기어(78)에 의해 상기 누름롤러(70)는 언제나 상기 이송벨트(50)의 표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매체 고정장치가 설치된 플레베드 프린터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flatbed printer having an output medium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플레베드 프린터의 베드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d of the flatbed printer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플레베드 프린터의 베드의 구동롤러, 종동롤러, 텐션롤러 및 베드의 부분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roller, driven roller, tension roller and the bed of the bed of the flatbed printer of FIG.
도 4는 도 1의 플레베드 프린터의 베드의 이송벨트의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belt of the bed of the flatbed printer of Figure 1;
도 5는 도 1의 플레베드 프린터의 베드의 구동롤러의 구동수단의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means of the drive roller of the bed of the flatbed printer of Figure 1
도 6은 도 1의 플레베드 프린터의 베드의 구동롤러의 수직 조정수단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rtical adjustment means of the drive roller of the bed of the flatbed printer of Figure 1
도 7은 도 1의 플레베드 프린터의 베드의 종동롤러의 수평 조정수단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adjusting means of the driven roller of the bed of the flatbed printer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매체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utput medium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출력매체 고정장치의 수평방향의 단면도이다.9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put medium fixing device of FIG.
도 10은 도 8의 출력매체 고정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FIG. 10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output medium fixing device of FIG. 8.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프레임 3: 헤드부1,2: frame 3: head
4,5,6,7: 롤러브라켓 10: 구동롤러4,5,6,7: Roller Bracket 10: Driving Roller
11: 베어링 12: 모터브라켓11: bearing 12: motor bracket
13: 모터 14: 커플러13: motor 14: coupler
15: 베어링 16: 펜스15: bearing 16: fence
20: 종동롤러 21: 베어링 20: driven roller 21: bearing
22: 볼트 30: 텐션롤러22: bolt 30: tension roller
40: 베드 41: 상판40: Bed 41: Tops
42: 하우징 43: 격벽42: housing 43: partition wall
44: 개폐밸브 45: 연결구44: on-off valve 45: connector
46: 연통로 47: 벨트가이드46: communication path 47: belt guide
48: 공기흡입구 50: 이송벨트48: air intake 50: transfer belt
51: 섬유 52: 고정심51: fiber 52: fixed core
70: 누름롤러 72: 누름롤러베어링70: push roller 72: push roller bearing
74: 연결샤프트 76: 안내롤러74: connecting shaft 76: guide roller
77: 액츄에이터 78: 피니언기어77: Actuator 78: Pinion Gear
79: 피스톤축 80: 이동제한기구79: piston shaft 80: movement limiting mechanism
82: 하우징 84: 삽입개방부82: housing 84: insertion opening
86: 안내판 88: 피니언기어86: Signboard 88: Pinion Gear
90: 안내롤러레일 92: 측개방부90: guide roller rail 92: side opening
94: 보호커버94: protective cov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818A KR100837852B1 (en) | 2007-12-10 | 2007-12-10 | Output Media Fixtures for Flatbed Print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7818A KR100837852B1 (en) | 2007-12-10 | 2007-12-10 | Output Media Fixtures for Flatbed Print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7852B1 true KR100837852B1 (en) | 2008-06-13 |
Family
ID=3977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7818A Active KR100837852B1 (en) | 2007-12-10 | 2007-12-10 | Output Media Fixtures for Flatbed Print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785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9686B1 (en) * | 2019-07-02 | 2019-11-01 | 주식회사 딜리 | A Device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Rewinder in Digital Inkjet Printer |
CN111452344A (en) * | 2020-05-12 | 2020-07-28 | 南通康达复合材料有限公司 | A permeable film ironing device |
CN115812038A (en) * | 2021-07-13 | 2023-03-17 | 滴利数码科技有限公司 | Hybrid inkjet printer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92346A (en) * | 1986-11-07 | 1988-08-09 |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コンパニー | Confectionery product and its production |
-
2007
- 2007-12-10 KR KR1020070127818A patent/KR1008378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92346A (en) * | 1986-11-07 | 1988-08-09 | ワーナー−ランバート・コンパニー | Confectionery product and its productio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9686B1 (en) * | 2019-07-02 | 2019-11-01 | 주식회사 딜리 | A Device for Preventing Deflection of Rewinder in Digital Inkjet Printer |
CN111452344A (en) * | 2020-05-12 | 2020-07-28 | 南通康达复合材料有限公司 | A permeable film ironing device |
CN115812038A (en) * | 2021-07-13 | 2023-03-17 | 滴利数码科技有限公司 | Hybrid inkjet printer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77027B (en) | Bed for printer and inkjet printer using the same | |
KR100837852B1 (en) | Output Media Fixtures for Flatbed Printers | |
US20110050824A1 (en) | Recording apparatus | |
JP2009073638A (en) | Printing device | |
CN211994745U (en) | Conveyor and inkjet printing equipment | |
JP2010533076A (en) | System and method for drying print media immediately after printing | |
KR100566108B1 (en) | Flatbed printer with transfer belt | |
KR20100009583U (en) |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Corrugated Plate | |
CN211591889U (en) | An intelligent suction conveying platform | |
CN209466842U (en) | Gearing for cylindrical UV printers | |
CN215792659U (en) | Card type certificate printer | |
JP7483278B2 (en) | Hybrid inkjet printer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 |
CN214295076U (en) | Printing apparatus | |
KR100936049B1 (en) | Heating dryer for color forming of ink printed sheet with side cover | |
KR20080064403A (en) | Flatbed Interlocking Printer | |
CN214609715U (en) | Material device and printing apparatus are passed to bridge of passing | |
JP2008006775A (en) | Printing device | |
JP3780558B2 (en) | Driven pulley support mechanism of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563284B1 (en) | Gearbox Fixture of Liquid Material Applicator | |
KR20080075248A (en) | Digital printer | |
KR102325579B1 (en) | Output media stabilization device for hybrid inkjet printers | |
US11724530B2 (en) | Printing apparatus | |
CN211918098U (en) | Ink supply mechanism and inkjet printing equipment | |
CN220447469U (en) | Drying mechanism of braided bag printing machine | |
CN218928949U (en) | Full-rotating wheel label pri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