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7431B1 -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431B1
KR100837431B1 KR1020070005394A KR20070005394A KR100837431B1 KR 100837431 B1 KR100837431 B1 KR 100837431B1 KR 1020070005394 A KR1020070005394 A KR 1020070005394A KR 20070005394 A KR20070005394 A KR 20070005394A KR 100837431 B1 KR100837431 B1 KR 10083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signals
frequency
analo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진
이재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4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05Multiplexed conversion systems
    • H03M1/122Shared using a single converter or a part thereof for multiple channels, e.g. a residue amplifier for multiple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본 수신장치는, 멀티 밴드 신호에 포함된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여 합성한 후에 디지털 변환하고,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함에 있어 크기가 크고 전력 소모가 많은 ADC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Figure R1020070005394
멀티 밴드 신호, LNA, ADC, 디지털 필터, 디지털 믹서

Description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multi band sig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 band signal}
도 1은 종래의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0 : 아날로그 필터링부 140 : 아날로그 믹싱부
150 : 합성부 170 : ADC
180 : 디지털 신호처리부 190 : 디지털 필터링부
200 : 디지털 믹싱부 210 : 주파수 생성부
220 : 주파수 변환부
본 발명은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밴드로 동시에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기저대역 신호로 동시에 변환하여 이용하는 수신장치 및 그의 멀티 밴드 신호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3개의 밴드를 통해 동시에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기저대역 신호로 동시에 변환가능하다.
도시된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안테나(10), 아날로그 필터들(21, 22, 23), LNA(Low Noise Amplifier)들(31, 32, 33), 아날로그 믹서들(41, 42, 43), AGC(Auto Gain Controller)들(51, 52, 53) 및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들(61, 62, 63)을 구비한다.
제1 아날로그 필터(21)는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들 중 제1 밴드(Band 1)의 RF 신호를 필터링하며, 제1 LNA(31)는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한다. 그러면, 제1 아날로그 믹서(41)는 증폭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제1 AGC(51)는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제1 ADC(61)는 이득조정된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동시에, 제2 아날로그 필터(22)는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들 중 제2 밴드(Band 2)의 RF 신호를 필터링하며, 제2 LNA(32)는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한다. 그러면, 제2 아날로그 믹서(42)는 증폭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제2 AGC(52)는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제2 ADC(62)는 이득조정된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이들과 동시에, 제3 아날로그 필터(23)는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들 중 제3 밴드(Band 3)의 RF 신호를 필터링하며, 제3 LNA(33)는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한다. 그러면, 제3 아날로그 믹서(43)는 증폭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제3 AGC(53)는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고, 제3 ADC(63)는 이득조정된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위 과정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동시에 3개의 밴드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로 변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동시에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수신되는 RF 신호의 개수 만큼의 ADC를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ADC는 크기와 전력소모가 모두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는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크기와 전력소모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멀티 밴드 수신장치를 통해 동시에 수신하고자하는 RF 신호의 개수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함에 있어 수신장치의 크기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ADC를 공유하여 수신된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는,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믹싱부;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및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각기 다른 주파수의 디지털 중간신호들로 분리하는 디지털 필터링부; 및 상기 디지털 중간신호들을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는 디지털 믹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수신장치는,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이 포함된 멀티 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광대역 증폭부; 및 증폭된 상기 멀티 밴드 신호를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로 분리하여 상기 아날로그 믹싱부로 출력하는 아날로그 필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수신장치는, 소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 및 상기 주파수 신호,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배한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감한 주파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아날로그 믹싱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믹싱부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에서 인가받은 주파수 신호들을 이용하여, 수신된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상기 중간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신호는, 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 및 기저 대역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방법은,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생성단계는,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각기 다른 주파수의 디지털 중간신호들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중간신호들을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신호 처리방법은,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이 포함된 멀티 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및 증폭된 상기 멀티 밴드 신호를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분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신호 처리방법은, 소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주파수 신호,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배한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감한 주파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상기 중간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신호는, 중간 주파수를 갖는 신호 및 기저 대역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각기 다른 밴드를 통해 동시에 수신되는 RF 신호들을 동시에 신호처리하여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안테나(110), 증폭부(120), 아날로그 필터링부(130), 아날로그 믹싱부(140), 합성부(150), 안티-에일리어싱 필터(16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70) 및 디지털 신호처리부(180)를 구비한다.
증폭부(120)는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멀티 밴드 신호를 증폭시킨다. 멀티 밴드 신호는 각기 다른 밴드(Band 1, Band 2, Band 3)의 RF 신호들의 집합으로 대역이 넓기 때문에, 이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120)로 광대역 저잡음 증폭기(Wide Band Low Noise Amplifi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날로그 필터링부(130)는 증폭부(120)에서 증폭된 멀티 밴드 신호를 밴드별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아날로그 필터링부(130)에서는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이 출력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아날로그 필터링부(130)는 3개의 아날로그 필터(131, 132, 13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아날로그 필터(131)는 멀티 밴드 신호에서 제1 밴드(예를 들면, 900㎒ 대역)의 RF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제2 아 날로그 필터(132)는 멀티 밴드 신호에서 제2 밴드(예를 들면, 2.4㎓ 대역)의 RF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제3 아날로그 필터(133)는 멀티 밴드 신호에서 제3 밴드(예를 들면, 5㎓ 대역)의 RF 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아날로그 믹싱부(140)는 아날로그 필터링부(130)에서 출력되는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각기 다른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갖는 중간주파신호들로 변환(Down-Conversion)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아날로그 믹싱부(140)는 3개의 아날로그 믹서(141, 142, 1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아날로그 믹서(141)는 제1 아날로그 필터(131)에서 필터링된 제1 밴드의 RF 신호를 제1 중간주파수(예를 들면, 100㎒)를 갖는 제1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고, 제2 아날로그 믹서(142)는 제2 아날로그 필터(132)에서 필터링된 제2 밴드의 RF 신호를 제2 중간주파수(예를 들면, 200㎒)를 갖는 제2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며, 제3 아날로그 믹서(143)는 제3 아날로그 필터(133)에서 필터링된 제3 밴드의 RF 신호를 제3 중간주파수(예를 들면, 300㎒)를 갖는 제3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합성부(150)는 아날로그 믹싱부(14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한다.
안티-에일리어싱 필터(160)는 A/D 변환시 에일리어싱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신호에서 샘플링 주파수의 1/2 이상이 되는 주파수의 신호를 차단한다.
ADC(170)는 안티-에일리어싱 필터(160)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80)는 ADC(17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180)는 디지털 필터링부(190)와 디지털 믹싱부(200)를 구비한다.
디지털 필터링부(190)는 ADC(17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합성신호를 각기 다른 중간 주파수를 갖는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들로 분리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필터링부(190)는 3개의 디지털 필터(191, 192, 19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디지털 필터(191)는 디지털 합성신호에서 제1 중심주파수(예를 들면, 100㎒)를 갖는 제1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고, 제2 디지털 필터(192)는 디지털 합성신호에서 제2 중심주파수(예를 들면, 200㎒)를 갖는 제2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며, 제3 디지털 필터(193)는 디지털 합성신호에서 제3 중심주파수(예를 들면, 300㎒)를 갖는 제3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믹싱부(200)는 디지털 필터링부(19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들을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로 각각 변환(Down-Conversion)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믹싱부(200)는 제1 디지털 믹서(201), 제2 디지털 믹서(202) 및 제3 디지털 믹서(203)를 구비한다.
제1 디지털 믹서(201)는 제1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를 제1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제2 디지털 믹서(202)는 제2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를 제2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며, 제3 디지털 믹서(203)는 제3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를 제3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멀티 밴드 신호는 3개의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구성에서 주파수 생성부(210)와 주파수 변환부(220)를 더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파수 생성부(210)는 하나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주파수 변환부(220)는 주파수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3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3개의 주파수 신호를 제1 아날로그 믹서(141), 제2 아날로그 믹서(142) 및 제3 아날로그 믹서(143)로 각각 인가한다.
이에 의해, 제1 아날로그 믹서(141), 제2 아날로그 믹서(142) 및 제3 아날로그 믹서(143)는 주파수 변환부(220)에서 인가되는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중간 주파수가 각기 다른 중간주파신호들을 생성하게 된다.
3개의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주파수 변환부(220)는, 1) 주파수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주파수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고, 2) 주파수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주파수 신호를 M으로 체감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3) 주파수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주파수 신호를 N으로 체감한 주파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변환부(220)는, 주파수 체감이 아닌 주파수 체배를 통해 각기 다른 3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주파수 체감과 체배를 혼합하여 각기 다른 3개의 주파수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 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증폭부(120)는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멀티 밴드 신호를 증폭시킨다(S310).
그리고, 아날로그 필터링부(130)는 증폭부(120)에서 증폭된 멀티 밴드 신호를 밴드별로 분리하여,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출력한다(S320).
이후, 아날로그 믹싱부(140)는 아날로그 필터링부(130)에서 출력되는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각기 다른 중간 주파수의 중간주파신호들로 변환한다(S330).
그러면, 합성부(150)는 아날로그 믹싱부(140)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한다(S340).
ADC(170)는 안티-에일리어싱 필터(160)에서 안티-에일리어싱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한다(S350).
그러면, 디지털 필터링부(190)는 ADC(17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합성신호를 각기 다른 중간 주파수의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들로 분리한다(S360). 그리고, 디지털 믹싱부(200)는 디지털 필터링부(19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중간주파신호들을 기저대역 디지털 신호들로 각각 변환한다(S370).
지금까지, LNA와 ADC를 공유하여 수신된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그의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믹싱부(140)는 아날로그 필터링부(130)에서 출력되는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각기 다른 중간 주파수를 갖는 중간주파신호들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아날로그 믹싱부(140)는 RF 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아날로그 믹서(141)는 제1 밴드의 RF 신호를 제1 중간주파수를 갖는 제1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고, 제2 아날로그 믹서(142)는 제2 밴드의 RF 신호를 제2 중간주파수를 갖는 제2 중간주파신호로 변환하지만, 제3 아날로그 믹서(143)는 제3 밴드의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현가능하다. 이 경우, 제3 디지털 필터(19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3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일 것이므로, 제3 디지털 믹서(203)는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멀티 밴드 신호는 각기 다른 3개의 밴드(Band 1, Band 2, Band 3)의 RF 신호들의 집합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멀티 밴드 신호가 각기 다른 2개의 밴드의 RF 신호들의 집합이거나, 각기 다른 4개 이상의 밴드의 RF 신호들의 집합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함에 있어 크기가 크고 전력 소모가 많은 ADC의 개수를 줄이고,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가 작은 디지털 필터와 디지털 믹서를 이용하여 수신된 멀티 밴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되어,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크기와 전력소모 모두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밴드 수신장치는 주파수 선택도가 우수한 디지털 필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신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LNA 역시 공유할 수 있게 되어, 멀티 밴드 수신장치의 제조 단가를 낮추는데에도 기여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믹싱부;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및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각기 다른 주파수의 디지털 중간신호들로 분리하는 디지털 필터링부; 및
    상기 디지털 중간신호들을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는 디지털 믹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 삭제
  3.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이 포함된 멀티 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광대역 증폭부;
    증폭된 상기 멀티 밴드 신호를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로 분리하는 아날로그 필터링부;
    상기 아날로그 필터링부에서 분리된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믹싱부;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및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4.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믹싱부;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부;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소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부; 및
    상기 주파수 신호,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배한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감한 주파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아날로그 믹싱부로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믹싱부는,
    상기 주파수 변환부에서 인가받은 주파수 신호들을 이용하여, 수신된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상기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5. 삭제
  6.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각기 다른 주파수의 디지털 중간신호들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중간신호들을 상기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로 각각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방법.
  7. 삭제
  8.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이 포함된 멀티 밴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증폭된 상기 멀티 밴드 신호를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상기 각기 다른 밴드의 RF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방법.
  9. 소정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신호,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배한 주파수 신호, 및 상기 주파수 신호를 체감한 주파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각기 다른 밴드의 RF(Radio Frequency) 신호들을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중간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중간신호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합성신호를 디지털 합성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합성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방법.
  10. 삭제
KR1020070005394A 2007-01-17 2007-01-17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94A KR100837431B1 (ko) 2007-01-17 2007-01-17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94A KR100837431B1 (ko) 2007-01-17 2007-01-17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431B1 true KR100837431B1 (ko) 2008-06-12

Family

ID=3977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7431B1 (ko) 2007-01-17 2007-01-17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4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99B1 (ko) * 2009-08-05 2011-12-13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이중 대역 수신 장치
KR101230472B1 (ko) * 2011-02-25 2013-02-15 주식회사 캠프넷 멀티밴드 디지털 중계기
KR20170124872A (ko) * 2016-05-03 2017-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rf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7872269A (zh) * 2016-09-27 2018-04-03 罗森伯格(上海)通信技术有限公司 多频数字微型直放站
KR20200089931A (ko) * 2019-01-18 2020-07-28 (주) 기산텔레콤 사이드밴드 잡음을 제거하는 멀티밴드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846A (en) * 1995-08-07 1998-04-28 Lucent Technologies, Inc. Channelized apparatus for equalizing carrier powers of multicarrier signal
KR20040044878A (ko) * 2001-09-19 2004-05-3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다중대역 수신기 및 이와 연관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5846A (en) * 1995-08-07 1998-04-28 Lucent Technologies, Inc. Channelized apparatus for equalizing carrier powers of multicarrier signal
KR20040044878A (ko) * 2001-09-19 2004-05-3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다중대역 수신기 및 이와 연관된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299B1 (ko) * 2009-08-05 2011-12-13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이중 대역 수신 장치
KR101230472B1 (ko) * 2011-02-25 2013-02-15 주식회사 캠프넷 멀티밴드 디지털 중계기
KR20170124872A (ko) * 2016-05-03 2017-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rf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032365B1 (ko) * 2016-05-03 2019-10-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rf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7872269A (zh) * 2016-09-27 2018-04-03 罗森伯格(上海)通信技术有限公司 多频数字微型直放站
KR20200089931A (ko) * 2019-01-18 2020-07-28 (주) 기산텔레콤 사이드밴드 잡음을 제거하는 멀티밴드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
WO2020149509A3 (ko) * 2019-01-18 2020-09-17 (주) 기산텔레콤 멀티밴드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
KR102159535B1 (ko) 2019-01-18 2020-09-24 (주) 기산텔레콤 사이드밴드 잡음을 제거하는 멀티밴드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9359B2 (en) Adaptive wireless receiver
KR100837431B1 (ko) 멀티 밴드 수신장치 및 멀티 밴드 신호 처리방법
US81396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channel signals and multi-channel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45954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표준 규격들을 지원하는 직접변환 수신기
JP2008535358A (ja) 広帯域無線通信用の信号受信機
TW201345171A (zh) 無線信號傳收裝置
JP2005504476A (ja) マルチバンド受信器および関連方法
US20150256207A1 (en) Multi-band receiver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1416387A (zh) 接收器
JP2011501522A (ja) 粗いfftおよびサブバンド単位の合成を用いた複雑性の低いダイバーシティ
US20090025043A1 (en) Multiband receiving apparatus and multiband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tunable filter
CN101931424A (zh) 短波射频数字化处理模块
US20130058439A1 (en) Receiver
WO2017049902A1 (zh) 一种双频段射频信号的接收方法及其装置、基站
US78304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multiplexing in double-conversion receivers
JP2007110696A (ja) アナログ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6004968B2 (ja) 受信機
US201702645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nalog Crossbar Architecture
JP2004147082A (ja) 通信装置
JP2010109918A (ja) 周波数変換回路及び受信機
JP2009171349A (ja) 受信機
US20110150142A1 (en) Discrete time receiver
US20150087253A1 (en) Radio communication receiver apparatus and method
CN104065393B (zh) 信号传送或接收电路以及信号传送或接收方法
JP4610003B2 (ja) 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