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6919B1 -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919B1
KR100836919B1 KR1020060117190A KR20060117190A KR100836919B1 KR 100836919 B1 KR100836919 B1 KR 100836919B1 KR 1020060117190 A KR1020060117190 A KR 1020060117190A KR 20060117190 A KR20060117190 A KR 20060117190A KR 100836919 B1 KR100836919 B1 KR 100836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diameter
lever
cushion
shaft
sl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170A (ko
Inventor
나명열
김덕기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9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4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9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를 제1쿠션부와 제2쿠션부로 이원화하여 변속레버의 셀렉팅 조작시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와 샤프트 간의 마찰소음을 줄여 전체적인 변속레버의 작동소음을 저감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를 제공한다.
변속레버, 수동변속기, 셀렉트 레버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SELECT LEVER FOR TRANSMISSION GEAR SHIFTING LEVER OF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일반적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셀렉트 레버 장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셀렉트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렉트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를 제1쿠션부와 제2쿠션부로 이원화하여 변속레버의 셀렉팅 조작시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와 샤프트 간의 마찰소음을 줄여 전체적인 변속레버의 작동소음을 저감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의 변속을 제어하는 변속레버유닛은 변속기의 종류와 차체에 장착되는 변속기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되며, 크게 직접 조작 식과 원격 조작식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상기 원격 조작식의 변속레버유닛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레버(101)의 중앙 일측이 볼 스터드(103)를 통하여 레버 브라켓(105)에 사방으로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하단은 미도시된 시프트 케이블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브라켓(105)의 일측부에는 하단부에 셀렉트 케이블을 연결하는 셀렉트 레버(107)가 샤프트(10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셀렉트 레버(107)의 샤프트 결합부(P) 일측으로는 상기 볼 스터드(103)에 일체로 형성된 볼 조인트(111)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속레버(101)를 각 변속단으로 조작하게 되면, 변속기측의 기어 시프트 레버와 기어 셀렉트 레버는 각각 상기 시프트 케이블과 셀렉트 케이블에 의해 조작력을 전달받아 각 변속단으로 일단 셀렉트시킨 후, 각 변속단으로 시프트 되어 변속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속레버유닛(100)에서, 종래 셀렉트 레버(107)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샤프트 결합부(P)가 내주면을 따라서 일정구간 공간부를 형성하면서 분리된 3개의 쿠션단(113)으로 형성되는 쿠션부를 형성하여 상기 샤프트(109)와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셀렉트 레버(107)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P)에 쿠션부(115)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샤프트 결합부(P) 강성이 강하여 변속레버(101)의 셀렉팅 조작시 셀렉트 레버(107)의 샤프트 결합부(P)와 샤프트(109) 간의 마찰음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를 제1쿠션부와 제2쿠션부로 이원화하여 변속레버의 셀렉팅 조작시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와 샤프트 간의 마찰소음을 줄여 전체적인 변속레버의 작동소음을 저감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는 셀렉트 케이블을 하단부에 연결핀을 통하여 연결하고, 상부 일측에는 변속레버 상의 볼 스터드에 일체로 형성된 볼 조인트가 연결되는 조인트 연결부를 형성하며, 조인트 연결부의 일측방에는 레버 브라켓 상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샤프트 결합부를 형성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내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그 내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짝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는 슬롯부; 상기 슬롯부의 한 쌍의 슬롯 중 하나의 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내경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조작에 따른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내경부와 연결되는 제1공간부를 지닌 제1쿠션부; 상기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슬롯부의 한 쌍의 슬롯 중 다른 하나의 슬롯에 상기 내경부와 별개로 연결 형성되는 제2공간부를 지닌 제2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렉트 레버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1)는, 상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셀렉트 케이블(미도시)을 하단부에 연결핀(3)을 통하여 연결하고, 상부 일측에는 변속레버(101, 도 2참조) 상의 볼 스터드(103, 도 2참조)에 일체로 형성된 볼 조인트(111, 도 1참조)가 연결되는 조인트 연결부(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셀렉트 레버(1)는 상기 조인트 연결부(5)의 일측방으로 레버 브라켓(105, 도 2참조) 상의 샤프트(109, 도 2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샤프트 결합부(P)를 형성한다.
상기 샤프트 결합부(P)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109, 도 1참조)를 장착하기 위하여 내경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부(11)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그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6개의 슬롯(S)을 형성하는 슬롯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6개의 슬롯(S)은 상기 내경부(11)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그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샤프트 결합부(P)는 상기 슬롯부의 한 쌍의 슬롯(S) 중, 하나의 슬롯(S)에 대응하여 상기 내경부(11)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109)의 조작에 따른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내경부(11)와 연결되는 제1공간부(12)를 지닌 제1쿠션부(C1)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슬롯부의 한 쌍의 슬롯(S) 중, 다른 하나의 슬롯(S)에 상기 내경부(11)와 별개로 연결 형성되는 제2공간부(14)를 지닌 제2쿠션부(C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쿠션부(C1)는 상기 6개의 슬롯(S)에서 한 쌍의 슬롯(S) 중, 하나의 슬롯(S)에 대응하여 상기 내경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내경부(11)와 연결되는 제1공간부(12)를 형성하면서 상기 내경부(11)와 제1공간부(12) 사이에 형성되는 제1쿠션단(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쿠션부(C2)는 상기 각 제1쿠션부(C1)의 사이에서 상기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롯(S) 중, 다른 하나의 슬롯(S)에 상기 내경부(11)와 별개로 연결 형성되는 제2공간부(14)를 구비하면서, 상기 다른 하나의 슬롯(S)과 제2공간부(14) 사이에 형성되는 제2쿠션단(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쿠션단(13)과 제2쿠션단(15)은 서로 대응하지 않으며, 상기 6개의 슬롯(S)에 하나씩 대응하여 상기 내경부(11)의 둘레를 따라 내외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1)는 상기 샤프트 결합부(P)에 제1쿠션부(C1)와 제2쿠션부(C2)로 이원화하여 종래 쿠션부보다 강성을 더욱 부드럽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변속레버의 셀렉팅 조작시 셀렉트 레버(1)의 샤프트 결합부(P)와 샤프트(109, 도 1참조) 간의 마찰소음을 줄여 전체적인 변속레버의 작동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에 의하면,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를 제1쿠션부와 제2쿠션부로 이원화하여 샤프트 결합부의 강성을 더욱 부드럽게 함으로써, 변속레버의 셀렉팅 조작시 셀렉트 레버의 샤프트 결합부와 샤프트 간의 마찰음이 크게 줄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인 변속레버의 작동소음을 저감하여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셀렉트 케이블을 하단부에 연결핀을 통하여 연결하고, 상부 일측에는 변속레버 상의 볼 스터드에 일체로 형성된 볼 조인트가 연결되는 조인트 연결부를 형성하며, 조인트 연결부의 일측방에는 레버 브라켓 상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샤프트 결합부를 형성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내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그 내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짝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는 슬롯부;
    상기 슬롯부의 한 쌍의 슬롯 중 하나의 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내경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의 조작에 따른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내경부와 연결되는 제1공간부를 지닌 제1쿠션부;
    상기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슬롯부의 한 쌍의 슬롯 중 다른 하나의 슬롯에 상기 내경부와 별개로 연결 형성되는 제2공간부를 지닌 제2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쿠션부는 상기 내경부와 제1공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쿠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쿠션부는 상기 다른 하나의 슬롯과 제2공간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쿠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4. 셀렉트 케이블을 하단부에 연결핀을 통하여 연결하고, 상부 일측에는 변속레버 상의 볼 스터드에 일체로 형성된 볼 조인트가 연결되는 조인트 연결부를 형성하며, 조인트 연결부의 일측방에는 레버 브라켓 상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샤프트 결합부를 형성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결합부는
    상기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하여 내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경부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서 그 내경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6개의 슬롯이 형성되는 슬롯부;
    상기 6개의 슬롯에서 한 쌍의 슬롯 중, 하나의 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샤프트의 조작에 따른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내경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로 상기 내경부와 연결되는 제1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부와 제1공간부 사이에는 제1쿠션단을 지닌 3개의 제1쿠션부;
    상기 각 제1쿠션부의 사이에서 상기 마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한 쌍의 슬롯 중, 다른 하나의 슬롯에 상기 내경부와 별개로 연결 형성되는 제2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슬롯과 제2공간부 사이에는 제2쿠션단을 지닌 3개의 제2쿠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KR1020060117190A 2006-11-24 2006-11-24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Active KR100836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190A KR100836919B1 (ko) 2006-11-24 2006-11-24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190A KR100836919B1 (ko) 2006-11-24 2006-11-24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170A KR20080047170A (ko) 2008-05-28
KR100836919B1 true KR100836919B1 (ko) 2008-06-11

Family

ID=3966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190A Active KR100836919B1 (ko) 2006-11-24 2006-11-24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155B1 (ko) 2013-02-01 2013-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레버의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982A (ja) * 1994-10-20 1996-05-14 Tsuda Kogyo Kk 手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998005442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19980083426A (ko) * 1997-05-15 1998-12-05 김영귀 차량 배기계의 완충용 행거 레버 구조
KR20010111893A (ko) * 2000-06-14 2001-12-20 이충곤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KR20020055503A (ko) * 2000-12-28 2002-07-09 이계안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셀렉트 레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982A (ja) * 1994-10-20 1996-05-14 Tsuda Kogyo Kk 手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998005442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변속케이블 엔드부의 진동저감구조
KR19980083426A (ko) * 1997-05-15 1998-12-05 김영귀 차량 배기계의 완충용 행거 레버 구조
KR20010111893A (ko) * 2000-06-14 2001-12-20 이충곤 자동차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지지장치
KR20020055503A (ko) * 2000-12-28 2002-07-09 이계안 변속레버 어셈블리의 셀렉트 레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170A (ko) 200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415B1 (ko) 수동 변속기의 역회전 울림 방지를 위한 동기 장치 및 방법
KR100836919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용 셀렉트 레버
JP6655480B2 (ja) 手動変速機の変速レバーアセンブリー
JP5517861B2 (ja) 変速機のシフトアンドセレクトシャフトアッセンブリ
JP2009222119A (ja) 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JP2018009646A (ja) シフト装置
US9347556B2 (en) Dual shift fork
KR102542949B1 (ko) 수동 변속기의 레버 조립체
KR100461823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 어셈블리
KR20050032219A (ko) 변속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연결구조
KR100534801B1 (ko) 수동변속기의 변속 케이블용 디텐트 장치
JP6417216B2 (ja) 変速機、鞍乗型車両および乗り物
KR100655413B1 (ko) 직접 조작식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구조
KR101157452B1 (ko) 차량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
JP6439992B2 (ja) 手動変速機および手動変速機の製造方法
JP6259692B2 (ja) 変速操作装置
KR20190129533A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3752682B2 (ja) 車両の変速装置
CN112752916B (zh) 切换元件与挡位选择杆之间的连接
KR1024981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20020053311A (ko)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JP6337755B2 (ja) 手動変速機
KR100608566B1 (ko) 변속케이블 어셈블리의 결합장치
JP2016205559A (ja) 車両用手動変速機のシフトセレクトシャフト支持装置
KR200213482Y1 (ko) 변속기 기어 쉬프터의 변속 케이블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