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352B1 - Cooker - Google Patents
Coo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6352B1 KR100836352B1 KR1020060088293A KR20060088293A KR100836352B1 KR 100836352 B1 KR100836352 B1 KR 100836352B1 KR 1020060088293 A KR1020060088293 A KR 1020060088293A KR 20060088293 A KR20060088293 A KR 20060088293A KR 100836352 B1 KR100836352 B1 KR 1008363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pace
- cooking
- panel
- cooking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대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 조리 공간 및 상부 공간을 덮으며, 상부 공간 측으로부터 조리 공간을 개방하고, 도어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도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 패널, 그리고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조작 패널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에 위치하고, 조작 패널과 연동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의 전면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기 자체의 높이 및 폭이 넓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조리기기, 전자레인지, 마이크로웨이브, 도어, 냉각 유로, 제어 패널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that expands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and enlarges the user's view of the cooking spac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the cooking space, the upper space located above the cooking space, the cooking space and the upper space, to open the cooking space from the upper space side, the door having a door panel, to be located on the upper space side I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door, the operation panel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panel, and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door to be located in the upper space side, and located on the door panel from the rear of the operation panel, and includes a control panel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panel It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main parts such as the magnetron, the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the high voltage capacitor in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s a single part, so tha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appliance itself can be seen wide. Will be.
Cooker, Microwave, Microwave, Door, Cooling Channel, Control Pane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loded main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 공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pace behind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공간의 다른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3 and 4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other examples of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유로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5 and 6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oling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83504호에는 전형적인 조리기기의 예로서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7003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상면에 위치하고,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가 조리 공간의 후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0444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 및 조작 패널이 조리 공간의 하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83504 discloses a cooking device in which main components including a magnetron, a high pressure transformer, a high pressure capacitor, and a cooling fan are located at one side of the cooking space as an example of a typical cooking devic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0037003 discloses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main components including a magnetron, a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a high voltage capacitor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space, and a convection heater assembly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cooking space. No. 1999-0010444 discloses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main components, including magnetrons, high pressure transformers, cooling fans, and operating panels are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cooking space.
또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16489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조리 공간의 상면으로부터 측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Laid-Ope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16489 discloses a cooking apparatus in which main components including a magnetron, a high pressure transformer, and a cooling fan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cooking space, and a cooling flow path is formed from the top of the cooking space to the side space. It is.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53939호에는 전형적인 조리기기 도어의 예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를 둘러싸는 쵸크 커버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8-0053939 discloses an example of a typical cooking appliance door, and a door of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oor frame blocking a microwave and a choke cover surrounding the microwave.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03729호에는 조리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조리 공간의 하면을 거쳐 도어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가 구비된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99595-0003729 discloses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passage extending from a side of a cooking space to a door through a lower surface of the cooking space.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108050호에는 조리 기기 조작 패널의 예로서 정전기를 이용하는 글래스 터치(glass touch) 방식의 조작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0108050 discloses a glass touch type operation panel using static electricity as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operation panel.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 공간의 일 측에 주요 부품, 조작 패널 및 제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데 한계가 있었다.The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 has a limitation in expand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by providing main parts, an operation panel, and a control panel on one side of the cooking spa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대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that enlarges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and enlarges the user's view of the cooking space.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에 제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힌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by arranging main components such as magnetron, high voltage transformer, high voltage capacitor in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having a control panel in the door. do.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의 전면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기 자체의 높이 및 폭이 넓게 보이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main parts such as magnetron, high voltage transformer, high voltage capacitor in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by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s a single component, the cooking appliance that looks wide and the h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itself It aim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높이와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을 분산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distribut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and distributing and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상부 공간을 지나는 유동에 의해, 조리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위치된 제어 패널을 구비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control panel positioned so as to be protected from heat generated from the cooking space by the flow passing through the uppe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 조리 공간 및 상부 공간을 덮으며, 상부 공간 측으로부터 조리 공간을 개방하고, 도어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도 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작 패널, 그리고 상부 공간 측에 위치하도록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며, 조작 패널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에 위치하고, 조작 패널과 연동하는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도어에 조작 패널 및 제어 패널을 일체로 구비할 수 있고, 나아가 도어의 전면 전체를 하나의 부재로 커버하여 조리기기의 외관을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작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터치 유닛과 같은 입력 감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지만, 다른 형태의 조작 패널,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형태의 조작 패널이 사용되어도 좋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the cooking space, the upper space located above the cooking space, the cooking space and the upper space, to open the cooking space from the upper space side, the door having a door panel, to be located on the upper space side I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door, the operation panel located in front of the door panel, and the upper part of the door so as to be located in the upper space side, located on the door panel from the rear of the operation panel, and the control panel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panel It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can be increased, and the operation panel and the control panel can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door, and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door can be covered with one member to further upgrade the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It becomes possible. Here, the operation panel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sensing unit such as a glass touch unit, but other types of operation panels, for example, an operation panel in which a user input is received in a mechanical manner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are used. good.
또한 본 발명은 조작 패널이 설치되며, 도어 패널의 전방에서 도어 패널과 결합되는 전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조리기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panel is installed, and includes a front plate coupled to the door panel in front of the door panel.
또한 본 발명은 조작 패널이 글래스 터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panel includes a glass touch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공간에 위치하며, 제어 패널과 연동하는 릴레이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 공간의 높이와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을 분산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lay substrate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space, and interlocks with the control panel.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pread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while distributing and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par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이 조리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provided so that the door panel can see the cooking space.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도록 개구부에 위치하는 중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어를 통해 조리 공간을 볼 수 있는 한편, 조리 공간으로부터 도어 외부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n intermediate plate positioned in the opening to block heat generated in the cooking space.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cooking space to be viewed through the door, while effectively blocking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cook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door.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을 볼 수 있도록 도어 스크린을 구비하며, 도어 스크린이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device having a door screen so that the cooking space can be seen, the door screen is coupled to the door panel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그리고 도어 프레임을 덮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며,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유동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쵸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door frame coupled to the door panel to block microwaves generated in the cooking space, and a choke cover coupled to the door panel to cover the door frame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flow from the upper space flows. It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을 덮도록 도어 패널에 결합되며,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유동이 유입되는 제1 개구부 및 도어 스크린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가 구비된 쵸크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choke cover coupled to the door panel to cover the door frame, the choke cover having a first opening through which the flow from the upper space flows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door screen.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쵸크 커버가 제1 개구부 측과 제2 개구부 측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리를 위해 도어를 조립 해제하는 경우에, 필요한 부분(예: 제어 패널) 측만을 조립 해제하여 수리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oke cover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opening side and the second opening side.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disassembling the door for repair, it is possible to disassemble and repair only the necessary part (eg, the control panel) side.
또한 본 발명은 제어 패널이 조작 패널에 빛을 비추는 발광원을 구비하며, 도어 패널이 발광원의 빛이 투과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light emitting source for shining light on the operation panel, the door panel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is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이 그 하부에 제어 패널에 연결된 전선이 인출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 공간 측과 힌지 연결되며, 제어 패널을 구비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panel has an opening in which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panel is drawn out.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implement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hinge connected to the cooking space side, the door having a control panel.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패널이 하부에 제1 개구부로 유입된 유동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panel has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flow introduced into the first opening is discharged.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조리 공간(100), 도어(200), 조리 공간(10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300), 조리 공간(100)의 뒤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400), 조리 공간(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공간(600)이 도시되어 있다.1 and 2 are exploded and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조리 공간(100)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내부 케이스(110)에 의해 정의되고, 조리 공간(100)의 내부에서 상부에 히터(120)를 구비하며, 조리 공간(100) 내에 선반(130)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케이스(110)에는 조리 공간(100) 내의 열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유로 형성을 위해 측면에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111)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120)의 예로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들 수 있으며, 원형인 턴 테이블을 대신하여 선반(130)을 이용함으로써, 턴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한되던 조리 공간(100)의 폭 및 길이(깊이)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조리 공간(100)의 측면에는 선반(130)을 안내하는 가이드(140)가 구비 되어 있다. 또한 조리 공간(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 프레임(150)은 후술될 상부 공간(300)과 도어(200) 사이의 유로 형성을 위하여 개구부(151)를 구비한다. 후방 플레이트(160)또한 후방 공간(400)과 연통을 위하여 적어도 그 상측에 개구부(161)를 구비한다.The
도어(200)는 그 하부에서 조리 공간(100) 측과 힌지 연결되어 조리 공간(100)을 개폐하며, 조리 공간(100)과 상부 공간(300)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어(200)는 손잡이(210), 전방 플레이트(220), 입력 감지부(230), 도어 패널(240), 제어 패널(250), 중간 플레이트(260), 브래킷(270), 도어 프레임(280), 그리고 쵸크 커버(290)를 포함한다.The
손잡이(210)는 도어(200)를 개폐할 때 사용자가 이용하는 부분이며, 볼트(미도시)로 전방 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 홈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 조리 공간(100)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전방 플레이트(220)는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조리할 코스를 선택하거나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 등을 포함하는 표시부(미도시)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The
입력 감지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인식하는 부품으로서, 유리로 된 전방 플레이트(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글래스 터치 유닛(glass touch unit)으로 이루어져 정전기 센서로서 기능하며,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방 플레이 트(220)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조리 공간(100)의 상부 공간(300)이 위치하는 도어(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폭넓은 조리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장해없이 볼 수 있다. The
도어 패널(240)은 도어(200)의 다른 구성요소(220, 250 등)를 고정하는 부재이며,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개구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될 냉각 팬(42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 내로 이어진 냉각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동이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를 그 하면에 구비한다.The
제어 패널(2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재이며, 이를 위해 입력 감지부(230) 및 후술될 릴레이 기판(350)과 연동하고, 입력 감지부(23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발광원을 구비하여, 발광된 빛을 표시부(미도시) 측으로 조사하는 기능도 한다.The
중간 플레이트(260)는 전방 플레이트(220) 및 도어 프레임(270) 각각과 거리를 두고,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조리시 조리 공간(100)에서 발생한 열이 전방 프레임(220) 및 손잡이(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냉각 팬(420)으로부터 생성된 유동이 후방 공간(400)과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로 진입한 다음, 후술될 브래킷(270)에 의해 안내되어 중간 플레이트(260)와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유동되도록 도어 패널(240)에 위치한다. 이러한 유동은 도어 패널(240)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브래킷(270)은 제어 패널(25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며, 전 자 부품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230) 및 제어 패널(250)을 조리 공간(100)으로부터의 열 및 냉각 팬(420)에 의한 유동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유동을 도어 패널(240)과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안내한다. The
도어 프레임(280)은 도어 패널(240)에 수용되며,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The
쵸크 커버(290)는 조리 공간(100) 측에 위치하는 도어(200)의 커버이며, 그 상부에 전방 프레임(150)의 개구부(151)와 대응하는 개구부(29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91)는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또는 이물질이 도어(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조그만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부 공간(300)은 외부 케이스(3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위의 공간이며, 히터(320), 도파관(330),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 릴레이 기판(35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공간(100)을 비추는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도 좋다.The
외부 케이스(310)는 조리 공간(100)과 거리를 두고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150) 및 후방 프레임(160)과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조리 공간(100) 및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발열 부재를 거친 유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구(311)를 구비하여도 좋다.The
히터(320)의 예로 할로겐 히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320)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영향을 받으므로, 시스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히터(120)와 달리 내부 케이스(110)의 상면에서 조리 공간(100)에 열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An example of the
도파관(330)은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으로 이어져 있으며,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는 내부 케이스(110) 내에 위치하는 히터(120)의 열이 상부 공간(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히터(320)와 도파관(330)을 제외한 조리 공간(100)의 상부를 덮는 형상을 가진다.The heat insulating
릴레이 기판(350)은 상부 공간(300)의 일측에서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 장착되며, 제어 패널(250)과 연동하여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 등의 부품을 작동시키는데 이용된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 공간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후방 공간(400)은 커버(4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뒤의 공간이며, 냉각 팬(420),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구비하여, 조리기기의 부품실을 형성한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cooking appliance rear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커버(410)는 상부 공간(300)과 후방 공간(400)을 뒤에서 덮도록 후방 프레임(160) 또는 외부 케이스(311)와 결합되며, 그 하부는 베이스(610)와 결합된다. 커버(410)의 하부 또는 베이스(610)에는 냉각 팬(420)으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흡기구(411)가 구비된다.The
냉각 팬(420)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놓여 있고, 양측에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비하여, 그 상측에 위치하 는 부품을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는 연통하도록 구성되므로,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 팬(420)에는 발생된 유동이 냉각 팬(420)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423)이 구비되어 있으며, 격벽(423)에는 유동이 후방 공간(400)의 상부를 향하도록 양측에 개구부(424,425)가 구비되어 있다. 유동 발생부(421)와 유동 발생부(422) 사이의 공간(426)에는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The cooling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후방공간의 다른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더하여, 마그네트론(440)으로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441)와 마그네트론(440)을 빠져나온 유동을 조리 공간(100)의 측면에 형성된 흡기구(112)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442)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 특히 유동 가이드(442)를 통해, 냉각 팬(420)에서 생성된 유동을 조리 공간(100) 내로 안정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되며, 핵심 부품인 마그네트론(440)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3 and 4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other examples of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the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팬(431), 히터(432), 내부 히터 커버(433), 외부 히터 커버(434), 모터(4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히터 커버(433)와 외부 히터 커버(434) 사이에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모터(435)를 구비하여야 하며, 모터(435)는 후방 공간(4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므로, 필연적으로 후방 공간(400)은 적어도 모터(435)의 깊이 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공간에 착안하여, 조기기기의 작동에 사용 되는 주요 부품 중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440, 450, 460)을 후방 공간(400)에 위치시킴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깊이 또는 길이의 일부를 희생하는 한편, 조리 공간(100)의 높이와 폭을 보다 넓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턴 테이블 구조 대신에 선반을 이용함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높이, 폭 및 깊이의 변형을 가능케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함으로써, 후방 공간(400)을 활용하는 한편, 발열 부재(440, 450, 46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 조리 공간(100) 그리고 측부 공간(500)을 연통시킴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팬(420)을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크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상부 공간(300),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으로 효과적으로 유동을 공급할 수 있고, 조리 공간(100) 하부의 베이스(610)에 형성된 배기구(611)를 통해 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423) 및 개구부(424,425)를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유로 및 유동을 형성하고 발열부재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후방 프레임(160)에는 측부 공간(500)가 연통하는 개구부(16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부(162)는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직접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의 양 측방으로 유동을 만들어 줌으로써 후방 공간(400) 양 측방의 냉각 및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The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으로 발열량이 많은 부재이며, 마그네트론(440)이 개구부(424) 위에 위치되고, 고압 트랜스(450) 및 고압 커패시터(460)가 개구부(425) 위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발열 부재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The
측부 공간(500)은 외부 케이스(10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양측 공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공간(300), 후방 공간(400) 및 하부 공간(600)과 연통하고, 흡기구(112) 및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과 연통하며, 냉각 팬(420)으로부터 발생된 유동은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및 조리 공간(100)을 거쳐 측부 공간(500)을 통해 하부 공간(600)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부 공간(3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향하는 유동은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을 빠져 나온 유동을 하부 공간(600)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하부 공간(600)은 베이스(6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하부 공간이며,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에 결합되어 조리기기를 지지하고, 냉각 팬(420)에서 발생된 유동 및 조리 공간(100) 내에서 발생한 냄새 및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611)를 구비한다. 한편 하부 공간(600)은 그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60)에 의해 제한되지만, 베이스(610)는 후방 프레임(160)을 넘어 커버(410)와도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610)는 후방 공간(400)의 하부를 제한하는 부재로도 기능한다. 베이스(610)에서 배기구(611)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배기구(111) 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유동이 충분한 경로를 거치도록 베이 스(610)의 중앙에 위치하여도 좋다. 한편 배기구(611)를 통해 온도가 높은 유동이 배출되므로, 열에 약한 주방기구 위에 조리기기가 놓이면, 주방 기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610)의 아래에 거리를 두고 베이스(610)와 결합하는 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열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유로의 일 예를 설명하는 개략도로서,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생성된 유동은 상부 공간(300)을 거쳐 조리 공간(100)의 양측에 형성된 측부 공간(500)으로 향하는 한편, 유동의 일부는 개구부(151)를 빠져나와 도어(200)로 유입된다. 또한 유동의 일부는 후방 프레임(160)의 개구부(162)를 통해 측부 공간(5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부 공간(400)으로 유입된 유동은 히터(320)와 릴레이 기판(350)을 냉각하며, 릴레이 기판(350)은 유동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유동 방향을 따라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 구비된다. 측부 공간(500)을 거친 유동은 하부 공간(600)으로 유입되며, 베이스(61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배기구(611; 도 1 참조)를 통해 배출된다. 배기구(611)의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리기기 내에서 유동이 충분한 경로를 거쳐야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배기구(611)가 베이스(61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조리기기가 놓이는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610)의 아래에 거리를 두고 베이스(610)와 결합하는 보호용 플레이트(612)를 구비하여 유동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측부 공간(500)을 지나는 유동은 조리 공간(100)의 배기구(111)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을 하부 공간(60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쵸크 커 버(290)의 개구부(291)를 통해 유입된 유동은 브래킷(270)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 플레이트(220)와 중간 플레이트(260) 사이를 거쳐서, 도어 패널(240)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242)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유동을 통해, 브래킷(270)에 의해 둘러쌓이는 입력 감지부(230; 도 1 참조) 및 제어 패널(250; 도 1 참조)을 열 및 유동으로부터 보호하며, 중간 플레이트(260)의 일측은 유동을 통해 열을 차단하고(유동은 브래킷(270)에 의해 차단되지만, 이 유동이 입력 감지부(230) 및 제어 패널(240)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중간 플레이트(260)의 다른 측은 정체된 공기를 통해 열을 차단함으로써, 도어(200)의 외부 또는 손잡이(210; 도 1 참조)로 조리 공간(100)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5 and 6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oling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low generated from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방 플레이트(220), 입력 감지부(230), 도어 패널(240), 제어 패널(250), 중간 플레이트(260), 브래킷(270), 도어 프레임(280), 쵸크 커버(290)가 도시되어 있다. 전방 플레이트(220)는 버튼 형태의 표시부(221)를 구비하며, 표시부(221)와 입력 감지부(230)가 조작 패널을 구성한다. 도어 프레임(280)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도록 도어 스크린(281) 및 쵸크부(282)를 구비하며, 도어 스크린(281) 아래에 힌지(H)가 구비되어 조리 공간 측과 힌지 연결된다. 또한 전방 플레이트(220), 중간 플레이트(260), 도어 스크린(281)을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 재질로 구성하고, 도어 패널(240) 및 쵸크 커버(290)에 개구부(241,292)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 공간을 볼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패널(250)의 전면에 LED 와 같은 발광원(251,252)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표시부(221)를 비추게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입력 감지부(230) 및 도어 패널(240)의 대응 부분에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231,232,242)가 구비된다. 또한 쵸크 커버(290)는 도어의 냉각을 위한 유동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91)가 구비되어 있다. 개구부(291) 측의 쵸크 커버(290)와 개구부(292) 측의 쵸크 커버(291)를 별도로 형성함으로써, 도어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can be increased, and the user's view of the cooking space can be expan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에 제어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조리 공간의 높이 및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arts such as magnetron, high voltage transformer, high voltage capacitor are arranged in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control panel is provided in the door, thereby increas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와 같은 주요 부품을 조리기기의 후방 공간에 배치하는 한편, 도어의 전면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함으로써, 조리기기 자체의 높이 및 폭이 넓게 보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main parts such as magnetron, high-voltage transformer, high-voltage capacitor is arranged in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by forming the front of the door as one componen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appliance itself This can be seen wid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 공간의 높이와 폭을 넓히는 한편, 조리기기의 작동과 관련된 부품을 분산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creasing the height and width of the cooking space, it is possible to disperse and effectively arrange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상부 공간을 지나는 유 동에 의해, 조리 공간으로부터 발생되는 열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위치된 제어 패널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low through the uppe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it is possible to include a control panel positioned to be protected from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oking spac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8293A KR100836352B1 (en) | 2006-09-12 | 2006-09-12 | Cooker |
EP06823992.0A EP2066975B1 (en) | 2006-09-12 | 2006-12-07 | Cooking apparatus |
PCT/KR2006/005285 WO2008032897A1 (en) | 2006-09-12 | 2006-12-07 | Cooking apparatus |
MX2009002675A MX2009002675A (en) | 2006-09-12 | 2006-12-07 | Cooking apparatus. |
RU2009113630/03A RU2423649C2 (en) | 2006-09-12 | 2006-12-07 | Device for food cooking |
CN2006800558153A CN101512232B (en) | 2006-09-12 | 2006-12-07 | Cooking apparatus |
US11/848,608 US8586900B2 (en) | 2006-09-01 | 2007-08-31 | Cooking apparatus having cooling flow path |
US11/848,620 US7825358B2 (en) | 2006-09-01 | 2007-08-31 | Cooking apparatus having rear component space |
US11/848,533 US7910866B2 (en) | 2006-09-01 | 2007-08-31 | Cook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ooling flow paths |
US11/848,566 US8058594B2 (en) | 2006-09-01 | 2007-08-31 | Door for a cooking apparatus |
US11/848,541 US8164036B2 (en) | 2006-09-01 | 2007-08-31 | Cooking apparatus |
US11/848,551 US8035065B2 (en) | 2006-09-01 | 2007-08-31 | Cooking apparatus having a door with a built in control panel |
US11/848,583 US8941041B2 (en) | 2006-09-01 | 2007-08-31 | Cook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system |
US12/869,285 US8680449B2 (en) | 2006-09-01 | 2010-08-26 | Cooking apparatus |
US12/869,255 US8304702B2 (en) | 2006-09-01 | 2010-08-26 | Coo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8293A KR100836352B1 (en) | 2006-09-12 | 2006-09-12 | Cook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8001A Division KR100901914B1 (en) | 2008-02-27 | 2008-02-27 | Cook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4026A KR20080024026A (en) | 2008-03-17 |
KR100836352B1 true KR100836352B1 (en) | 2008-06-09 |
Family
ID=3918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8293A Active KR100836352B1 (en) | 2006-09-01 | 2006-09-12 | Cooker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2066975B1 (en) |
KR (1) | KR100836352B1 (en) |
CN (1) | CN101512232B (en) |
MX (1) | MX2009002675A (en) |
RU (1) | RU2423649C2 (en) |
WO (1) | WO2008032897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45766A1 (en) * | 2019-01-11 | 2020-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lian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6697B1 (en) * | 2009-04-06 | 2012-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er |
CN102012051A (en) * | 2010-12-24 | 2011-04-13 | 美的集团有限公司 | Microwave oven with touch screen |
US20230048380A1 (en) * | 2020-01-09 | 2023-02-16 | Sharp Kabushiki Kaisha | Heating cooking apparatu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30805A (en) * | 1996-02-22 | 1997-09-05 | Toshiba Corp | Display device of electric apparatus |
KR19980053939A (en) * | 1996-12-27 | 1998-09-25 | 구자홍 | Microwave Door Assembly |
JP2000257876A (en) * | 1999-03-05 | 2000-09-22 | Toshiba Corp | Microwave oven |
KR20010064859A (en) * | 1999-12-20 | 2001-07-11 | 구자홍 | Built-in type microwave oven |
KR20060075154A (en) * | 2004-12-28 | 2006-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structure of electric oven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55640A (en) | 1979-10-19 | 1981-03-10 | Litton Systems, Inc. | Door mounted oven controls |
JPS5960128A (en) * | 1982-09-28 | 1984-04-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Heating device |
IT1237294B (en) * | 1989-11-27 | 1993-05-27 |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 OVEN DOOR COOLING SYSTEM |
DE29722024U1 (en) * | 1997-12-13 | 1998-04-02 | Platt, Nils, Dipl.-Ing. (FH), 74374 Zaberfeld | Switchable glass doors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ovens, microwaves, refrigerators and washing machines |
EP1081436B1 (en) * | 1999-08-21 | 2013-05-29 | LG Electronics Inc. | Door to microwave oven |
DE60118266T2 (en) | 2000-01-24 | 2007-04-05 | Sharp K.K. | cooker |
US6984811B2 (en) * | 2002-03-11 | 2006-01-10 | Lg Electronics, Inc. | Door for microwave oven having integrally formed control unit |
RU2203454C1 (en) * | 2002-05-20 | 2003-04-27 | Соколов Анатолий Иванович | Electric kitchen-range and its oven cabinet |
KR20040019624A (en) * | 2002-08-28 | 2004-03-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oor Cooing Device For Microwave Oven |
KR20040108050A (en) * | 2003-06-16 | 2004-1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Key Input Unit Using Glass Touch Method |
-
2006
- 2006-09-12 KR KR1020060088293A patent/KR100836352B1/en active Active
- 2006-12-07 CN CN2006800558153A patent/CN101512232B/en active Active
- 2006-12-07 WO PCT/KR2006/005285 patent/WO200803289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2-07 MX MX2009002675A patent/MX2009002675A/en active IP Right Grant
- 2006-12-07 RU RU2009113630/03A patent/RU2423649C2/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07 EP EP06823992.0A patent/EP206697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30805A (en) * | 1996-02-22 | 1997-09-05 | Toshiba Corp | Display device of electric apparatus |
KR19980053939A (en) * | 1996-12-27 | 1998-09-25 | 구자홍 | Microwave Door Assembly |
JP2000257876A (en) * | 1999-03-05 | 2000-09-22 | Toshiba Corp | Microwave oven |
KR20010064859A (en) * | 1999-12-20 | 2001-07-11 | 구자홍 | Built-in type microwave oven |
KR20060075154A (en) * | 2004-12-28 | 2006-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ntrol structure of electric ov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45766A1 (en) * | 2019-01-11 | 2020-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liance |
US12318036B2 (en) | 2019-01-11 | 2025-06-03 | Lg Electronics Inc. | Cooking appli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X2009002675A (en) | 2009-03-24 |
EP2066975A4 (en) | 2010-03-10 |
RU2009113630A (en) | 2010-10-20 |
KR20080024026A (en) | 2008-03-17 |
EP2066975B1 (en) | 2017-02-08 |
WO2008032897A1 (en) | 2008-03-20 |
EP2066975A1 (en) | 2009-06-10 |
CN101512232A (en) | 2009-08-19 |
CN101512232B (en) | 2010-12-01 |
RU2423649C2 (en) | 2011-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2222B1 (en) | Cooker | |
US7910866B2 (en) | Cook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cooling flow paths | |
KR100901890B1 (en) | Cooker | |
KR20080024025A (en) | Cooker | |
KR100862112B1 (en) | Cooker | |
KR100836352B1 (en) | Cooker | |
KR20080024029A (en) | Cooker | |
KR100872221B1 (en) | Cooker | |
KR100901914B1 (en) | Cooker | |
KR20080024028A (en) | Cooker | |
KR100872238B1 (en) | Cooker | |
KR20080024022A (en) | Cooker | |
KR20080043291A (en) | Cooker | |
KR20080024175A (en) | Cooker | |
KR20080043292A (en) | Cooker | |
KR100735973B1 (en) | Cooker | |
KR100819593B1 (en) | Cooker | |
KR20080043293A (en) | Cooker | |
KR20080044227A (en) | Cooker | |
KR20080043297A (en) | Cooker | |
KR20080024177A (en) | Cooker | |
KR20080024176A (en) | Cooker | |
KR20080043758A (en) | Cooker | |
KR20080043759A (en) | Cooker | |
KR20080039104A (en) | Coo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801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328 Appeal identifier: 2008101000674 Request date: 20080128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MND | Amendm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22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8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8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3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