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5936B1 -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936B1
KR100835936B1 KR1020070047778A KR20070047778A KR100835936B1 KR 100835936 B1 KR100835936 B1 KR 100835936B1 KR 1020070047778 A KR1020070047778 A KR 1020070047778A KR 20070047778 A KR20070047778 A KR 20070047778A KR 100835936 B1 KR100835936 B1 KR 10083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 arm
spring
fixed
leaf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수
이정민
이병진
이동섭
배상홍
배기영
김종각
김도식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936B1/ko
Priority to CN2007101391036A priority patent/CN101306677B/zh
Priority to BRPI0703318-4A priority patent/BRPI0703318A2/pt
Priority to JP2007192764A priority patent/JP4189018B2/ja
Priority to US12/152,664 priority patent/US8608101B2/en
Priority to EP08156307.4A priority patent/EP19925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9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5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to belt movement and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까다로운 해제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고 판 스프링의 탄력으로 로크 아암이 리턴되게 하는 것으로,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록킹 클러치 및 로크 아암을 감싸는 메커니즘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클러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보스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로크 아암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판 스프링에 고정되게 돌출 형성된 고정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록킹 클러치에 설치되는 로크 아암을 리턴시키는 판 스프링이 간편하게 조립되고, 판 스프링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 효율을 높이게 되며, 판 스프링을 만곡부 또는 다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판 스프링의 탄성 및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록킹 클러치, 로크 아암, 판 스프링, 고정편

Description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Lock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of Seat Belt Retractor}
도1은 종래의 안전벨트 리트랙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토션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50: 록킹 클러치 751: 보스
752: 래치 753: 관통 구멍
754: 스토퍼
755,755a,755b,755c,755d,755e: 스프링
756: 만곡부 757: 스프링
758: 고정돌기 760: 로크 아암
761: 고정편
본 발명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커 암이 돌기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판 스프링에 의해 리턴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들을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안전벨트 또는 에어백 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차량의 정면 충돌, 측면 충돌, 전복 등의 사고 발생 시에 작동하여 운전자뿐만 아니라 탑승자를 최대한 보호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안전장치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는 탑승자(이하 '운전자'를 포함한다)의 허리를 감싸 보호하는 허리벨트와 어깨 및 가슴 부위를 감싸는 어깨벨트로 된 3점식 안전벨트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어깨벨트에는 가이드 풀리가 결합되고, 차량의 센터 필러부에는 벨트를 풀거나 감아주는 리트랙터가 설치되며, 상기 허리벨트는 로커 패널에 장착된다.
또한 벨트의 중간부분에는 텅(Tung)이 결합되고, 상기 텅은 차량의 플로어부에 고정되어 있는 버클과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벨트를 감거나 풀어주는 리트랙터는 비로크식 리트랙터(NLR: Non Locking Retractor),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ELR: Emergency Locking Retractor), 웨브 로크식 리트랙터(WLR: Web Locking Retractor)의 세 가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로크식 리트랙터는 어깨, 허리 벨트의 길이를 조정한 상태로 잠금되는데 비하여 긴급 로크식 리트랙터는 차량의 정차 중이나 주행 상태에서 벨트가 자유롭게 신축되므로 신체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며, 차량 충돌 시 차량에 큰 감속도가 가해진 경우뿐만 아니라 벨트의 인출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벨트의 풀림이 저지되어 벨트를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웨브 로크식 리트랙터는 차량 충돌시 클램프가 직접 벨트를 잡아주게 되어 벨트의 인출량을 없애주므로 승객의 자세가 전방으로 급격하게 쏠려 큰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일본 특개평05-193441에 "안전벨트 리트랙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로크 기어가 릴 샤프트에 대하여 한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면 제1캠에 의해 돌출된 축이 이동하고, 메인 폴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및 제2계지폴과 계합하는 기어가 결정되고, 돌출된 축이 구멍을 따라 이동 하므로 백업 폴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로크 기어가 한 방향에 상대 회전하면 제1 및 제2계지폴과 기어가 맞물리기 시작하고, 돌출된 축이 지름 방향의 구멍을 따라 이동된다. 백업 폴이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백업 폴과 계합하는 기어가 결정되어 로크 기어의 한 방향의 상대 회전으로 제1 및 제2계지폴이 기어, 백업 폴이 기어와 동시에 계합된다.
또한 일본 특개2000-302010에 "웨빙 감김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웨빙 감김장치에는 장착 상태에서 차량 탑승자를 구속하는 띠 모양의 웨빙 벨트 일단이 계지되고, 스스로 축 주위 방향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웨빙 벨트를 권취하는 권취축, 상기 권취 방향과 반대의 인출 방향으로 권취축 회전에 대하여 같은 축에 추종 회전이 가능한 회전체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권취축에 대하여 회전체의 권취 방향에 상대 회전으로 연동하는 인출방향으로 권취축의 회전을 로크하는 로크 기구를 갖는 로크 수단이 설치된다.
아울러 일방이 상기 회전체에 설치됨과 동시에 타방이 권취 방향 측에 일방에 대향하는 회전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벽부, 한 쌍의 벽부 사이에 배치되어 권취축의 회전에 의해 타방의 벽부로부터 압압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해당 압축상태로부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일방의 벽부를 압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다.
또한 회전체 및 권취축 각각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의 외측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축 직교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압축 코일 스프링의 변위를 규제하는 제한부가 구비된다.
아울러 한 쌍의 벽부 사이인 동시에 일방 벽부 보다도 타방의 벽부측으로 회전체를 관통함과 동시에 일방의 벽부로부터 타방의 벽부 방향을 따른 개구 치수가 압축된 상태의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 이상인 동시에 자연 길이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 미만으로 되고, 상기 회전체를 개재하여 벽부와 반대측에서 한 쌍의 종벽 사이인 동시에 상기 제한부의 내측에 압축 코일 스프링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 구멍을 구비한다.
한편 일본 특개2003-212085에 "안전벨트용 리트랙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안전벨트용 리트랙터는 웨빙 인출 방향에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긴급 로크 기구,긴급 로크(lock) 기구를 작동시키는 제1 및 제2 록 시동 기구를 구비한다.
제2 록 시동 기구는 제1 및 제2 록 시동 기구를 덮고 측판에 결합됨과 동시에 래칫 휠부 내측에 배치되고,그 중 주면에 내치를 갖는 계합 내주벽이 일체에 돌출 형성된 커버체,록 클러치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록 클러치 몸체의 급격한 회전에 수반한 회전 지연에 의하고 내치와 계합한다.
아울러 록 클러치의 몸체 회전을 저지한 록 암을 구비하고,커버체는 계합 내주벽의 지름 방향 외주부가 측판 방향으로 향하고 융기 형성된 내주벽 지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안전벨트용 리트랙터에 결합된 로크 클러치 본체(12)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스프링 받침부(12c)가 돌출 형성되고, 이 스프링 받침부(12c)는 로크 클러치 본체(12)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스프링 수용부 내에 상대적인 이동이 자유롭게 헐거운 끼움 되어 있으며, 로크 클러치 본체(12)의 다른 위치에는 해제 스프링(22)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로크 아암을 리턴시키기 위해 해제 스프링을 설치함과 함께 로크 아암이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시키는 요동 스토퍼가 형성되므로 로크 클러치의 형상 및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폐단이 있으며, 해제 스프링은 로크 아암에 결합되므로 이를 조립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 시간이 오래 걸려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까다로운 해제 스프링을 설치하지 않고 판 스프링의 탄력으로 로크 아암이 리턴되게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는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로크 아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편, 상기 로크 아암을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록킹 클러치의 중앙부 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로크 아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편, 상기 로크 아암을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록킹 클러치에 형성된 스토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보스에 끼워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로크 아암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록킹 클러치에 형성된 스토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슬릿, 상기 슬릿에 끼워져 상기 로크 아암 일면에 일직선상으로 고정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크 아암에 고정된 스프링의 단부는 로크 아암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은 중도에 원호상의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다단이 연속되게 이루어진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결합 구조는 록킹 클러치(750)의 보스(751)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755), 상기 판 스프링(755)에 고정되도록 로크 아암(760)에 돌출 고정되는 고정편(761)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록킹 부재(700)라 함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웨빙이 풀리거나 되감기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회전되게 하고, 웨빙이 급속한 속도로 풀리거나 되감기는 경우에 웨빙이 풀리거나 되감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록킹 부재(700)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도면상 미도시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드럼(도면상 미도시됨), 상기 가이드 드럼 일측에 고정되는 록킹 베이스(710), 상기 록킹 베이스(710)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750), 상기 록킹 클러치(750)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한된 각도만큼 회전되는 로크 아암(760)을 지칭한다.
상기 록킹 클러치(75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래치(752)가 형성되며, 록킹 클러치(750) 중 앙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710)에 끼워지는 관통 구멍(75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753) 바깥쪽에는 일측면으로 돌출되는 보스(75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751)에는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된 판 스프링(755)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판 스프링(755)의 타단은 이격되어 있는 스토퍼(754)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755)의 타단은 로크 아암(760)의 고정편(761)에 고정되고, 보스(751)가 돌출된 일측면에는 상기 로크 아암(76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754)가 소정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함께 록킹 클러치(750)의 타측면에는 록킹 베이스(710)에 형성되어 있는 홈부(711)에 삽입되는 돌기편(도면상 미도시됨)이 형성되고, 이 돌기편(756)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757)이 결합된다.
또한 판 스프링(755)은 그 일단이 보스(751)에 고정되는데, 판 스프링(755)은 보스(751)에 형성된 홈이나 구멍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스(751)의 외주면을 따라 감긴 형태로 이루어져 그 끝단이 보스(751)에 형성된 홈이나 구멍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크 아암(760)의 소정 위치 즉, 판 스프링(755)과 접하는 면에는 판 스프링(755) 쪽으로 돌출되는 고정편(761)이 고정되고, 이 고정편(761)에는 판 스프링(755)이 고정되도록 관통된 구멍이나 홈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는 가이드 드럼의 일측면에 록킹 베이스(710)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록킹 베이스(710) 일측면에는 상기 록킹 클러치(75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록킹 클러치(750) 일측면에는 로크 아암(760)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 클러치(750) 외측에는 메커니즘 커버(도면상 미도시됨)가 고정된다.
이러한 록킹 클러치(750)에 결합되는 판 스프링(755)은 그 일단을 중앙의 보스(751)에 형성되어 있는 홈이나 구멍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판 스프링(750)의 타단은 고정편(761)에 형성되어 있는 홈이나 구멍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웨빙을 잡아당기거나 인출된 상태에서 웨빙이 되감기게 되는데, 이러한 웨빙의 풀림 및 되감기는 동작은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기본 작동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즉, 탑승자가 웨빙을 착용하기 위해 적당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 드럼(200)이 회전되어 웨빙이 풀리게 되고, 당겨져 있는 웨빙을 놓게 되면 안전벨트 리트랙터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 케이스(도면상 미도시됨)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되감기게 된다.
이러한 웨빙이 풀리거나 및 되감기는 작동 발생 시에 가이드 드럼이 급격한 속도로 회전되면, 안전벨트 리트랙터는 웨빙이 풀리거나 되감기는 작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웨빙의 풀림이나 되감기 작동 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가이드 드럼과 함께 록킹 베이스(710) 및 록킹 클러치(750)가 회전되고, 더불어 록킹 클러치(750)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 아암(760)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회전된다.
즉, 탑승자가 웨빙을 너무 빠른 속도가 아닌 보통의 속도로 당겨 웨빙이 풀리는 경우 가이드 드럼의 회전과 함께 록킹 부재(700)인 록킹 베이스(710), 록킹 클러치(750) 및 로크 아암(760)이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록킹 부재(700)가 회전될 때 웨빙의 당겨지는 속도가 빨라지면, 록킹 부재(700)에는 상기 로크 아암(760)이 회전되는 회전 관성력(원심력)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회전 관성력은 록킹 클러치(750)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 아암(76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회전된 로크 아암(760)은 메커니즘 커버의 래치에 걸리게 되어 웨빙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록킹 부재(700)가 회전될 때 웨빙의 당겨지는 속도가 빨라져면, 록킹 부재(700)에는 상기 록킹 베이스(710)에 결합되어 있는 폴(도면상 미도시됨)이 작동되는 회전 관성력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로크 아암(760)과 록킹 베이스(710)의 폴에 생기는 회전 관성력은 웨빙이 당겨지는 속도 및 회전력에 의해 회전 관성력(모멘트)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며, 상기 로크 아암(760) 및 폴이 모멘트에 따라 별도로 작동되어 웨빙의 감김 및 풀림을 저지시키게 된다.
<제2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명칭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판 스프링(755a)의 일단이 보스(751)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스토퍼(754)에 고정된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는 판 스프링(755a)의 일단이 보스(751)에 고정되나, 제2실시예는 판 스프링(755a)의 일단이 스토퍼(754)에 고정되고, 상기 판 스프링(755b)의 타단은 로크 아암(760)의 고정편(761)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판 스프링(755a)의 형상만 다르며, 록킹 클러치(750) 및 로크 아암(760)의 작동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션 스프링(755b)은 그 일단이 로크 아암(760)의 일측에 접촉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755b)은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토션 스프링(755b)의 중간 부분이 상기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을 감싸는 원형 또는 원호 형상으로 감기게 되며, 토션 스프링(755b)의 타단은 스토퍼(754) 일측에 고정된다.
즉, 상기 토션 스프링(755b)은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대칭되는 각도를 갖는 양쪽으로 연장되어 그 일단이 상기 로크 아암(760)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754)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토션 스프링(755b) 일단은 상기 로크 아암(760)이 회전 관성력에 의해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토션 스프링(755b)의 타단은 스토퍼(754)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고정단이다.
이러한 토션 스프링(755b)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토션 스프링(755b)이 탄성력에 의해 로크 아암(760)의 회전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이고, 타단은 스토퍼(754)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760)이 회전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어 웨빙이 급속하게 풀리거나 되감기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로크 아암(760)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755c)은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져 그 일단은 상기 로크 아암(760)에 고정되고, 타단은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759)에 형성된 슬릿(759a)을 지나 록킹 클러치(750)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758)에 고정된다.
즉, 상기 판 스프링(755c)의 일단은 로크 아암(760)에 고정되고, 판 스프링(755c)의 타단은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을 지나 록킹 클러치(750)에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기(758) 일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755c)의 일단은 탄성력에 의해 로크 아암(760)의 회전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이고, 타단은 고정돌기(758)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로크 아암(760)이 회전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어 웨빙이 급속하게 풀리거나 되감기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제5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제5실시예에서 상기 판 스프링(755d)은 판 스프링(755d)의 중간 위치에 원호상으로 된 만곡부(756)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제5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판 스프링(755,755a,755c) 중간 위치에 원호상으로 된 만곡부(75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3실시예와 같은 판 스프링(755b)은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을 감싸는 원호 외에 로크 아암(760)의 회전 중심과 판 스프링(755b)의 선단 중간 위치에 만곡부(756)가 형성된다.
이러한 만곡부(756)는 판 스프링(755,755a,755c)의 탄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판 스프링(755,755a,755c)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판 스프링(755,755a,755c)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탄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5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록킹 클러치(750) 및 로크 아암(760)의 작동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6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제6실시예에 의한 판 스프링(755e)은 다단이 연속되게 이루어진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6실시예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록킹 클러치(750) 및 로크 아암(760)의 작동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록킹 클러치에 설치되는 로크 아암을 리턴시키는 스프링이 간편하게 조립되고, 스프링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 효율을 높이게 되며, 스프링을 만곡부 또는 다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 및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록킹 클러치 및 로크 아암의 형태가 변형되어도 적용시킬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로크 아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편, 상기 로크 아암을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록킹 클러치의 중앙부 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2.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로크 아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편, 상기 로크 아암을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록킹 클러치에 형성된 스토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3.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 및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보스에 끼워지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로크 아암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록킹 클러치에 형성된 스토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4. 가이드 드럼의 일측에 결합되는 록킹 베이스, 상기 록킹 베이스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록킹 클러치, 상기 록킹 클러치 일측면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크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슬릿,
    상기 슬릿에 끼워져 상기 로크 아암 일면에 일직선상으로 고정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에 고정된 스프링의 단부는 로크 아암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중도에 원호상의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다단이 연속되게 이루어진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8. 삭제
  9. 제1, 2,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KR1020070047778A 2007-05-16 2007-05-16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Active KR10083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78A KR100835936B1 (ko) 2007-05-16 2007-05-16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CN2007101391036A CN101306677B (zh) 2007-05-16 2007-07-25 座椅安全带卷收器的锁止构件安装结构
BRPI0703318-4A BRPI0703318A2 (pt) 2007-05-16 2007-07-25 estrutura de montagem de elemento de travamento de retrator de cinto de seguranÇa
JP2007192764A JP4189018B2 (ja) 2007-05-16 2007-07-25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のロッキング部材結合構造
US12/152,664 US8608101B2 (en) 2007-05-16 2008-05-14 Lock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of seat belt retractor
EP08156307.4A EP1992531B1 (en) 2007-05-16 2008-05-15 Locking member mounting structure of seat belt re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78A KR100835936B1 (ko) 2007-05-16 2007-05-16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936B1 true KR100835936B1 (ko) 2008-06-09

Family

ID=39671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78A Active KR100835936B1 (ko) 2007-05-16 2007-05-16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08101B2 (ko)
EP (1) EP1992531B1 (ko)
JP (1) JP4189018B2 (ko)
KR (1) KR100835936B1 (ko)
CN (1) CN101306677B (ko)
BR (1) BRPI07033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6011A (ja) * 2010-05-27 2011-12-08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1116944A1 (de) * 2011-10-26 2013-05-02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Vorrichtung zum Auf- und Abrollen eines Sicherheitsgurtes
CN104024062B (zh) * 2011-12-27 2017-04-19 奥托立夫开发公司 在带轴卷绕方向对其带感应控制系统起关闭作用的自锁式带卷收器
TWM436669U (en) 2012-02-23 2012-09-01 Woo Sing Ind Co Ltd Ratchet brake structure
DE102012016118A1 (de) * 2012-08-15 2014-02-20 Trw Automotive Gmbh Sperrmechanismus
JP6250427B2 (ja) * 2013-02-12 2017-12-20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N103832388B (zh) * 2014-02-27 2016-04-27 上海和励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预紧式安全装置的驱动单元卡固件及预紧式安全装置
JP6306537B2 (ja) * 2015-05-29 2018-04-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4896037A (zh) * 2015-06-04 2015-09-09 湖南猎豹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传递扭矩的锁止环、离合器及应用的两档自动变速器
DE102016006750A1 (de) 2016-06-06 2017-12-07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CN109591757B (zh) * 2018-11-26 2021-02-19 浙江顶昌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设有防锁装置的汽车安全带卷收器
US10946831B2 (en) * 2019-02-25 2021-03-16 Autoliv Asp, Inc.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CN111216676B (zh) * 2020-03-06 2025-03-04 沈阳金杯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摩擦片式离合组件及安全带卷收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52A (ja) 1984-07-03 1986-01-24 N S K Warner Kk 緊急ロツクリトラクタ
JPH05193440A (ja) * 1991-07-17 1993-08-03 Trw Vehicle Safety Syst Inc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20070010031A (ko) * 2004-04-01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3008A1 (de) * 1977-07-21 1979-02-01 Kolb Gmbh & Co Hans Sicherheitsgurtaufrollvorrichtung
JPS54138232A (en) 1978-04-18 1979-10-26 Takada Kogyo Kk Emergency lock system belt takinggup motion
US4278216A (en) 1979-04-19 1981-07-14 Juichiro Takada Double-safety emergency locking belt retractor
SE449722B (sv) 1980-06-02 1987-05-18 Takata Kojyo Co Nodfallslasande upprullningsdon for fordonssekerhetsbelte
JPS5740456U (ko) 1980-08-19 1982-03-04
US4726540A (en) 1986-11-17 1988-02-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riable sensitivity seat belt retractor
US4801105A (en) * 1987-10-01 1989-01-31 Pzf, Inc. Shoulder harness reel assembly with automatic reel lock
ES2017588T3 (es) * 1989-02-17 1993-05-01 Trw Repa Gmbh Dispositivo de enrollamiento de cinturon de seguridad.
JP3192198B2 (ja) 1991-04-11 2001-07-23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3093852B2 (ja) 1992-01-30 2000-10-03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GB9215855D0 (en) 1992-07-25 1992-09-09 Bsrd Ltd Improvements to emergency locking passenger safety belt mechanisms
JP3322773B2 (ja) 1994-07-06 2002-09-09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ー付き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WO1996003295A1 (en) 1994-07-21 1996-02-08 Alliedsignal Inc. Seat belt retractor and improved sensing mechanism
US5495994A (en) 1994-09-07 1996-03-0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ertia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JP3787001B2 (ja) 1996-05-24 2006-06-21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DE19758495C2 (de) * 1997-08-12 2003-12-04 Hs Tech & Design Sicherheitsgurtaufroller
US5984223A (en) 1998-06-05 1999-11-16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and its spool
JP3980777B2 (ja) 1998-11-02 2007-09-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ES2263300T3 (es) 1999-02-16 2006-12-0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Reactor de cincha.
JP3645445B2 (ja) 1999-04-09 2005-05-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709300B2 (ja) 1999-04-16 2005-10-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GB2349119B (en) 1999-04-21 2001-05-30 Breed Automotive Tech A sensor for a seat belt retractor
DE29917679U1 (de) * 1999-10-07 2000-02-24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Sperrmechanismus für einen Gurtaufroller
JP4785246B2 (ja) * 1999-12-15 2011-10-05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3996779B2 (ja) * 2002-01-25 2007-10-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3984061B2 (ja) 2002-01-25 2007-09-26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US6698677B1 (en) 2002-11-12 2004-03-02 H. Koch & Sons Co., Inc. Restraint pretensioner
JP4295552B2 (ja) 2003-05-16 2009-07-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324195B4 (de) * 2003-05-28 2008-12-11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r drehwinkeldefinierten Abschaltung des gurtbandsensitiven Steuersystems
JP2005271623A (ja) 2004-03-23 2005-10-06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7401815B2 (en) 2005-03-17 2008-07-22 Antoliv Asp, Inc. Dual spool retractor seat bel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152A (ja) 1984-07-03 1986-01-24 N S K Warner Kk 緊急ロツクリトラクタ
JPH05193440A (ja) * 1991-07-17 1993-08-03 Trw Vehicle Safety Syst Inc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20070010031A (ko) * 2004-04-01 2007-01-19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웨빙 권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89018B2 (ja) 2008-12-03
CN101306677A (zh) 2008-11-19
JP2008285137A (ja) 2008-11-27
EP1992531A3 (en) 2012-11-14
BRPI0703318A2 (pt) 2009-01-06
US20090057469A1 (en) 2009-03-05
EP1992531A2 (en) 2008-11-19
EP1992531B1 (en) 2014-02-26
CN101306677B (zh) 2011-05-11
US8608101B2 (en) 201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936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EP1860002B1 (en) Seatbelt webbing lock preventing apparatus
US7942361B2 (en) Webbing retracting device
JP5706757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110027502B (zh) 用于机动车的安全带卷收器和安全带装置
JP468567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312639B2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4976241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850922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토션 바 지지 구조
WO2020078171A1 (zh) 用于安全带卷收器的锁止装置以及安全带卷收器
JP5714617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WO2020052400A1 (zh) 安全带卷收器和安全带组件
CN110139783B (zh) 儿童座椅检测装置
JPH037234Y2 (ko)
KR100801603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회전 구조체
US7377463B2 (en) Noise reducing seat belt retractor
JPS5854276Y2 (ja)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US20060278748A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835938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커버 구조체
JP2024127327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US6889930B2 (en) Seatbelt retractor of an automobile
JPH0427717Y2 (ko)
KR102551632B1 (ko) 차량 센서 장치
JPH0415558Y2 (ko)
KR102702472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