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809B1 - Electric pop-up monitor - Google Patents
Electric pop-up moni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5809B1 KR100835809B1 KR1020070078471A KR20070078471A KR100835809B1 KR 100835809 B1 KR100835809 B1 KR 100835809B1 KR 1020070078471 A KR1020070078471 A KR 1020070078471A KR 20070078471 A KR20070078471 A KR 20070078471A KR 100835809 B1 KR100835809 B1 KR 1008358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gear
- driving
- coupled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AV 또는 NAVIGATION 시스템에 장착되는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크래쉬 패드에 수납되는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의 상측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크래쉬 패드 상부로 출몰되는 모니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부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모니터부가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크래쉬 패드 상에서 출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용시에만 모니터를 크래쉬 패드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어 크래쉬 패드를 단순하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구동부의 회전력이 내접기어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모니터의 진동이나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구동부에 클러치기어를 설치하여 과부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 방지는 물론 사용자가 수동으로도 모니터를 수납시킬 수 있는 전동식 팝업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mounted on a vehicle AV or NAVIGATION system. The monitor includes a body housing accommodated in a crash pad of a vehicle interior, and a monitor unit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opening of the body housing to be projected onto an upper portion of the crash pad. The monitor unit can be rotated so that the monitor unit can be projected on the crash pa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This makes it possible to expose the monitor to the outside of the crash pad only when the driver uses the monitor unit, thereby keeping the crash pad simple and neat.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or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al gear, vibration and noise of the monitor can be minimized, and a clutch gear can be installed in the driving portion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component due to overload, Also to store the monitor Which relates to a motorized pop-up moni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AV 또는 NAVIGATION 시스템에 장착되는 전동식 팝업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실내의 크래쉬 패드에 수납되는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니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부를 회전시켜 모니터가 크래쉬 패드 상에서 출몰 가능하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용시에만 모니터를 크래쉬 패드의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어 크래쉬 패드의 외관을 단순하고 깔끔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모니터의 진동이나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니터에 가해지는 과부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팝업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op-up monitor mounted on a vehicle AV or NAVIG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pop-up monitor mounted on a crash pad of a vehicle interior and a monitor unit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housing, Thereby enabling the monitor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rash pad only when the driver uses the monitor. Thus, the appearance of the crash pad can be kept simple and neat, and the vibration and the operating noise of the monitor can be minimize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pop-up monitor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or breakage of parts due to an overload applied to the monitor.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 전방의 센터 페이시아(center facia)에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 상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AV 또는 NAVIGATION 시스템이 장착될 뿐 아니라, 운전자가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AV 또는 NAVIGATION 시스템 관련 정보를 표시해 주는 모니터가 장착되게 된다.Generally, on the crash pad installed at the center facia of the vehicle in front of the vehicle, not only an AV or NAVIGATION system is installed in order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but also the driver can visually recognize necessary information It will be equipped with a monitor that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AV or NAVIGATION system.
또한 최근에 장착되는 모니터는 이동 중에도 공중파 또는 위성 등을 통해 TV 방송을 시청하거나 또는 현재 증가 추세에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도입으로 지도정보 등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많은 편의를 제공하고 있고, 또한 오디오는 물론 TV, 영화, 지도정보 등 정보제공의 범위가 확대되면서 보다 더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a monitor mounted recently can display a TV broadcast through an airwave or a satellite or the like or display a map information by the introduction of a navigation system currently in an increasing trend, thereby providing more convenience to the driver. TV, movies, map information, and so on.
따라서 차량에 장착되는 이러한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차량 실내의 전면에 장착되는 크래쉬 패드 상에 설치되게 되며, 이때, 공간의 제약이나 조작성 등의 이유로 대형화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장착위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크래쉬 패드 중앙부에 붙박이 형태로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크래쉬 패드 상에서 출몰될 수 있게 설치되기도 한다.Therefore, such a monitor mounted on a vehicle is generally installed on a crash pad mount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or the passenger. In this case, there is a limitation in increasing the size of the vehicle due to limitation of space or operability However, since the mounting position is limited, it is generally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rash pad in a form of a built-in structure, or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projected on the crash pad if necessary.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크래쉬 패드에 붙박이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종래의 모니터는 항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크래쉬 패드의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또한 크래쉬 패드의 외관을 단순하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없게 할 뿐 아니라, 모니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높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onitor fixedly installed on the crash pad in a form of built-in is always kep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occupying a large area of the crash pad and failing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crash pad simply and neatly In addi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onitor may be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또한, 크래쉬 패드 상에서 출몰될 수 있게 설치된 종래의 모니터의 경우에는 모니터의 출몰 동작이 모니터의 일측에만 구비되는 기어 결합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주행 중의 진동에 의해 모니터가 흔들리거나 또는 모니터 자체의 출몰작동에 의해 진동이나 작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onitor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protrude / retract on the crash pad, the monitor operation of the monitor is performed by gear engagement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monitor, Vibration or operating noise may be caused by operation.
또한 외부로부터 과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과부하를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관련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모니터를 수납시킬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운전자에 의해 모니터의 출몰 작동이 강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관련 부품이 파손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n overload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 is no structure to absorb the overload, so that damage or breakage of the related parts may occur. Also, since the driver can not manually store the monitor as needed, When the operation of protruding and retracting the monitor is forcib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ated parts are broken and the breakdown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첫째, 모니터를 크래쉬 패드에 수납시킬 수 있게 설치함으로써 운전자가 사용시에만 모니터를 노출시킬 수 있어 크래쉬 패드의 외관을 단순하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둘째, 모니터의 회전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내접된 랙기어에 의해 작동되게 함으로써 모니터의 진동이나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며, 셋째, 구동부에 클러치기어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과부하에 의해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뿐 아니라, 운전자가 수동적으로도 모니터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 전동식 팝업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capable of storing a monitor on a crash pad, And secondly, the rotation of the monitor is operated by the inscribed rack gears provided on both sides, thereby minimizing the vibration and the operating noise of the monitor. Third, the clutch gear is provided in the driving por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pop-up monitor that not only prevents damage or breakage of parts due to an overload applied thereto, but also allows the driver to manually operate the moni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전면에 장착되는 크래쉬 패드에 수납되며 일측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크래쉬 패드 상부로 출몰될 수 있게 양측 중앙부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개구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모니터부 및 상기 모니터부의 회전 반경을 따라 모니터부의 하측부 양측에 각각 회전모멘트를 부가하여 상기 모니터부를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housing accommodated in a crash pad mounted on a front surface of a vehicle cabi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in one side thereof;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to rotate the monitor unit by applying a rotation moment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nitor unit alo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monitor unit.
본 발명의 상기 모니터부는 모니터와 모니터 후측에 결합되는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저면은 상기 모니터부가 회전시 모니터의 단부가 간섭되 지 않도록 모니터의 회전 반경을 따라 만곡면을 형성하되, 상기 본체하우징의 좌,우 양측부에는 상기 모니터부의 케이스의 양측부에 각각 관통 결합되는 지지축이 구비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main body housing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alo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monitor so that the end of the monitor is not interfered with when the monitor is rotate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main body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support shafts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 portions of the case of the monitor uni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니터부의 케이스 내측면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체 및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하부 양측면에 양측부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는 종동기어가 각각 고정 결합되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될 때 상기 모니터부가 회전 반경을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종동기어와 각각 내접되어 기어결합될 수 있게 일정길이의 랙기어가 형성된 랙기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riving bod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of the monitor unit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and a rotary shaft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so as to be rotatable, And a driven gear is fixed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a plurality of driven gears are fixedly coupled to the driven gear so that the monitor unit is rotatable along a turning radius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A rack gear portion having a rack gear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구동체는 상기 모니터부의 케이스 내측에 결합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iving body may include a motor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of the monitor unit, a driving motor provided inside the motor housing, and a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to the rotational shaft.
또한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워엄에 결합되는 클러치기어 및 상기 클러치기어에 기어 결합되는 아이들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축기어를 고정 결합하여 상기 아이들기어와 축기어가 기어 결합되게 할 수 있다.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mber is composed of a clutch gear coupled to a worm installed on a driv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an idle gear meshed with the clutch gear. The idle gear and the shaft gear are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To be gear-coupled.
본 발명의 상기 종동기어는 일측부에 일체로 회전되는 마찰차를 더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부에는 상기 마찰차와 내접될 수 있게 모니터부의 회전 반경을 따라 상기 랙기어에 인접되는 마찰면이 더 구비되어 모니터의 진동을 방지시킬 수 있 다.The above-mentioned driven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riction wheel integrally rotated on one side, and the rack gear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surface adjacent to the rack gear along the rotation radius of the monitor portion so as to be inscribed with the friction wheel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vibration of the monitor.
또, 본 발명의 상기 클러치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워엄에 맞물릴 수 있도록 모터하우징에 설치되는 기어축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게 상기 기어축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워엄기어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구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워엄기어 상부면에 결합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urther, the clutch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orm gea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a gear shaft installed on the motor housing so as to be engaged with a worm coupled to the driving motor, A driving gear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worm gear and a driving gea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ing gear by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o rotate the driving gear by frictional force, And a friction member coupled to the friction member.
이때, 상기 구동기어의 하측면에는 마찰부재와의 마찰력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concavo-convex portions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gear so as to improve frictional force with the friction memb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모니터부의 케이스 내측에는 상기 구동체의 작동 소음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체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소음차단커버가 더 구비되어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monit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ise shielding cover which is coupled to the driving body so as to block the operation noise of the driving body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case, thereby reducing operating noise.
또 상기 본체하우징에는 상기 크래쉬 패드 상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하우징을 지지하는 보조하우징을 더 구비하되, 상기 보조하우징은 중앙부에 상기 모니터부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 전면측에는 모니터부가 회전 후 적정위치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게 모니터부의 하측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housing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uxiliary housing coupled to the crash pad to support the main housing. The auxiliary housing has a centr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monitor unit is rotatable, A latching jaw which is caugh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nitor unit can be formed so as to be seated and suppor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fter rotation.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와 보조하우징의 상부면은 상기 모니터부가 회전되어 상기 크래쉬 패드에 수납될 때 크래쉬 패드의 외주면과 동일한 면이 형성될 수 있는 만곡면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nd the auxiliary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curved surfaces that can form the same surfac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ash pad when the monitor is rotated and housed in the crash pa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크래쉬 패드에 모니터가 수납될 수 있어 크래쉬 패드의 외관을 단순하고 깔금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모니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둘째, 내접되는 랙기어와 마찰차에 의해 모니터가 회전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모니터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니터 자체의 회전작동시 진동이나 소음이 방지되어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고, 셋째, 외부로부터 예기치 않은 과부하가 가해지거나, 운전자가 강제로 모니터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모니터의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기어나 구동모터 등의 관련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 향상에 의한 제품의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 can be housed in the crash pad,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crash pad can be kept simple and clean, and damage to the monitor due to external impact can be prevented. Second, The monitor is rotated by the rack gear and the friction wheel, thereby preventing the monitor from being shaken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also preventing vibration or nois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monitor itself, so that the driv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Third, Even if an unexpected overload is a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driver forcibly rotates the monitor,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monitor,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or breakage of the related parts such as gears and drive motors,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creased.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pop-up monitor of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전면에 장착되는 크래쉬 패드(100)(도6에 도시함)에 수납되는 본체하우징(10)과, 본체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니터부(1) 및 모니터부(1)를 회전시킬 수 있게 설치되는 구동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또한 본체하우징(10)에는 별도의 보조하우징(9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보조하우징(90)은 중앙부에 모니터부(1)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구(92)가 형성되고, 관통구(92)의 전면측에는 걸림턱(95)이 형성된 것으로서, 크래쉬 패드(100)에 결합된다.The
따라서 차량의 특성에 따라 본체하우징(10)을 크래쉬 패드(100)에 직접 결합시키거나, 또는 보조하우징(90)을 먼저 크래쉬 패드(100)에 결합시킨 후, 보조하우징(90) 내측에 본체하우징(1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The
본체하우징(10)은 차량의 실내 전방의 센터 페이시아(center facia)에 설치되는 크래쉬 패드(100)에 수납되는 것으로서, 모니터부(1)가 크래쉬 패드(100) 상에서 회전되면서 출몰 가능할 수 있도록 모니터부(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본체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 있고 일측부에는 개구부(19)가 형성되며, 저면은 모니터(2)의 회전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만곡면이 형성된 것으로서, 측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본체하우징(10)은 양측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 결합부(12)를 이용하여 크래쉬 패드(100)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보조하우징(90)을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보조하우징(90)을 크래쉬 패드(100)에 설치한 후, 본체하우징(10)의 결합부(12)를 이용하여 보조하우징(90)의 내측부에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When the
한편 본체하우징(10)의 양측면 모시리부에는 축지지공(13a)이 형성되고, 축 지지공(13a)에는 모니터부(1)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축(13)이 각각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또한 본체하우징(10)의 좌,우 양측 벽면에는 지지축(13)을 기준으로 회전 반경을 따라 만곡지게 홈이 형성될 수 있게 일정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11)가 각각 형성되고, 가이드부(11) 내측면에는 랙기어부(15)가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랙기어부(15)의 일측면은 마찰면(17)을 형성하고, 타측면은 마찰면(17)에 인접되게 기어치가 형성된 랙기어(18)가 구비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한편 모니터부(1)는 본체하우징(10)의 개구부(1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니터(2)와 모니터(2) 후측에 결합되는 케이스(5)로 구성된다.The monitor unit 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opening 19 of the
케이스(5)는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형상으로 상측보다 하측부가 더 깊게 형성되고, 외주면은 크래쉬 패드(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외주면이 형성될 수 있게 만곡면이 형성된다.The
이때 케이스(5)의 양측벽에는 본체하우징(10)에 결합되는 지지축(13)이 삽입되는 관통공(6)이 각각 형성되고, 관통공(6)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회전축지지공(7)이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through
또한 후측 벽면에는 나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는 결합부(5a,5b)가 각각 구비된다.And the rear side walls are provided with
한편 구동부(80)는 구동체(60)와 회전축(7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클러치기어의 단면도를 나 타낸 것이다. Fig. 3 show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side view, and Fig.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utch gear.
구동체(6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하우징(30)과 구동모터(40) 및 회전력전달부재(50)로 구성된다.The
모터하우징(30)은 구동모터(40)와 회전력전달부재(50)가 내측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결합돌부(30a)(도2에 도시함)를 이용하여 모니터부(1)의 케이스(5)의 결합부(5a)에 나사 결합하여 케이스(5)에 고정 설치된다.The
한편 구동모터(40)는 모터하우징(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동축(45)의 단부에는 워엄(46)이 결합되고, 회전력전달부재(50)는 클러치기어(20)와 아이들기어(29)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모터하우징(30)에 설치되는 복수의 기어축(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클러치기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엄(46)에 기어 결합되는 워엄기어(21), 구동기어(25), 스프링(23) 및 마찰부재(27)로 구성된다. The
워엄기어(21)는 구동모터(40)에 결합되는 워엄(45)에 맞물릴 수 있도록 모터하우징(30)에 구비된 기어축(34)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프링(23)은 워엄기어(21)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게 기어축(34)에 축설된 상태로 설치된다.The
이때 스프링(23)은 모터하우징(30)에 별도의 지지브래킷(32)를 설치하여 일단부가 지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워엄기어(21)를 일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구동기어(25)는 워엄기어(21)의 상측부의 기어축(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하우징(30)에 지지브래킷(33)을 설치하여 이동이 방지되게 할 수 있다.The
한편 마찰부재(27)는 워엄기어(21)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게 워엄기어(21)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마찰력에 의해 구동기어(25)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마찰부재(27)는 마찰력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가죽이나 마찰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따라서 축설된 스프링(23)은 워엄기어(21)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일측 방향으로 밀게 되고, 구동기어(25)는 일측면이 마찰부재(27)에 밀착되게 됨으로써 워엄기어(21)가 회전되면 워엄기어(21)와 일체로 회전되는 마찰부재(27)와의 마찰력에 의해 워엄기어(21)와 일체로 회전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때 클러치기어(20)는 외부로부터 마찰부재(27)와 구동기어(25)와의 마찰력보다 큰 과부하가 발생되면, 구동기어(25)의 회전이 방해받게 되어 구동기어(25)가 마찰부재(27)와 슬립이 발생됨으로써, 워엄(46)과 워엄기어(21) 및 구동모터(40) 등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구동기어(25)의 하측면에는 마찰부재(27)와의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해 요철부(28)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한편 아이들기어(29)는 구동기어(25)의 회전력을 회전축(70)에 전달하는 것으로서 구동기어(25)에 기어결합될 수 있게 기어축(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이때 모터하우징(30)의 하측에는 회전축(70)에 구비되는 축기어(76)가 진입 되어 아이들기어(29)와 기어결합될 수 있게 관통공(31)이 형성된다.The
회전력전달부재(50)는 구동기어(25)가 워엄기어(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구동기어(25)에 연결되는 아이들기어(29)의 일측이 회전축(70)의 축기어(76)에 연결되는 타측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전달시키게 된다.The rotational
회전력전달부재(50)는 기어결합 외에 벨트 등을 이용하여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회전축(70)에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rotational
한편 회전축(70)은 양측부가 케이스(5)(도2에 도시함)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이때 양단부는 케이스(5)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both sides of the
회전축(70)의 중앙부에는 회전력전달부재(50)의 아이들기어(29)와 연결될 수 있게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축(70)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축기어(76)가 고정 결합되고, 양단부에는 본체하우징(10)의 랙기어부(15)의 랙기어(18)가 내접되어 기어결합될 수 있게 종동기어(78)가 각각 고정 결합된다.A
또한 종동기어(78)의 일측에는 랙기어부(15)에 형성된 마찰면(17)과 내접될 수 있게 마찰차(77)가 형성된다.A
따라서 회전축(70)은 구동체(6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랙기어부(15) 상에서 모니터부(1)의 회전반경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니터부(1)에 회전모멘트를 부가하게 되어 모니터부(1)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rotating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에는 구동체(60)의 작동소음이 차단될 수 있게 모터하우징(30)을 감싸는 소음차단커버(35)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a
소음차단커버(35)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부(35b)를 케이스(5)의 결합부(5b) 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키며, 양측 하부에는 회전축(70)과 간섭이 되지 않도록 일정길이의 도피홈(36)이 각각 형성된다.The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보조하우징(90)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모니터부(1)가 크래쉬 패드(100)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40)(도3,4에 도시함)가 작동되면 구동축(45)에 구비된 워엄(46)이 회전되게 되어 클러치기어(20)의 워엄기어(21)가 회전되게 된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이때 워엄기어(21)가 회전되면 마찰부재(27)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기어(25)가 회전되고,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은 아이들기어(29)와 축기어(76)를 통해 회전축(70)에 전달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따라서 회전축(70) 양단에 각각 구비된 종동기어(78)가 회전축(70)과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종동기어(78)는 랙기어부(15)의 랙기어(18)를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하게 된다.The driven
이때 종동기어(78)에 구비된 마찰차(77)는 랙기어부(15)의 마찰면(17)에 내접되어 회전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회전축(70)은 회전되면서 모니터부(1)의 회전반경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모니터부(1)에 회전모멘트를 부가하게 됨으로써, 모니터부(1)는 축지지공(13a)(도2에 도시함)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모니터(2)가 크래쉬 패드(100)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The
이때 모니터(2)는 구동모터(40)를 제어하여 일정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으며, 완전히 노출될 수 있게 회전된 경우에는 하측부가 보조하우징(90)의 걸림턱(95)에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보조하우징(90)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걸림턱(95)을 크래쉬 패드(100)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한편 모니터(2)를 크래쉬 패드(100) 내측으로 수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40)를 역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는 모니터(2)를 크래쉬 패드(100)에 출몰 가능하게 수납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종동기어(78)에 내접되는 랙기어(18)와 마찰차(77)에 내접되는 마찰면(17)에 의해 모니터(2)의 흔들림이나 작동과정에서의 진동 또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으며, 클러치기어(20)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과부하나, 운전자에 의한 수동 작동시 기어나 구동모터(40) 등의 관련 부품의 손상이나 파손 없이 모니터(2)가 크래쉬 패드(100)에 수납되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ouse the
이상, 상기의 실시 예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서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front elevation view of a motorized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클러치 기어의 단면도,5 is a sectional view of the clutch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전동식 팝업 모니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6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pop-up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모니터부 2 : 모니터1: Monitor part 2: Monitor
5 : 케이스 6,31 : 관통공5:
7 : 회전축지지공 10 : 본체하우징7: Support shaft of the rotary shaft 10: Body housing
11 : 가이드부 12,5a,5b : 결합부11: guide
13 : 지지축 13a : 축지지공13:
15 : 랙기어부 17 : 마찰면15: rack gear portion 17: friction surface
18 : 랙기어 19 : 개구부18: Rack gear 19:
20 : 클러치기어 21 : 워엄기어20: clutch gear 21: worm gear
23 : 스프링 25 : 구동기어23: spring 25: drive gear
27 : 마찰부재 28 : 요철부27: friction member 28: concave / convex portion
29 : 아이들기어 30 : 모터하우징29: idle gear 30: motor housing
30a,35b : 결합돌부 32,33 : 지지브래킷30a, 35b:
34 : 기어축 35 : 소음차단커버34: gear shaft 35: noise blocking cover
36 : 도피홈 40 : 구동모터36: escape groove 40: drive motor
45 : 구동축 46 : 워엄45: drive shaft 46:
50 : 회전력전달부재 60 : 구동체50: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member 60:
70 : 회전축 76 : 축기어70: rotational shaft 76: axial gear
77 : 마찰차 78 : 종동기어77: friction wheel 78: driven gear
80 : 구동부 90 : 보조하우징80: driving part 90: auxiliary housing
92 : 관통구 95 : 걸림턱92: through hole 95:
100 : 크래쉬 패드100: crash pa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471A KR100835809B1 (en) | 2007-08-06 | 2007-08-06 | Electric pop-up moni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471A KR100835809B1 (en) | 2007-08-06 | 2007-08-06 | Electric pop-up moni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5809B1 true KR100835809B1 (en) | 2008-06-05 |
Family
ID=3977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8471A KR100835809B1 (en) | 2007-08-06 | 2007-08-06 | Electric pop-up moni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580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6880A (en) * | 1999-09-09 | 2001-04-06 | 이계안 | Mounting structure of audio/vedio monitor for automobile |
-
2007
- 2007-08-06 KR KR1020070078471A patent/KR10083580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26880A (en) * | 1999-09-09 | 2001-04-06 | 이계안 | Mounting structure of audio/vedio monitor for automobil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10-2001-0026880호 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69044B2 (en) | Rotating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rotating device | |
EP1473192B1 (en) | Mirror device for vehicle | |
JP2007500096A (en) | Automotive rear view device | |
CN111824026A (en) | Door mirror for vehicle | |
KR100835809B1 (en) | Electric pop-up monitor | |
JP5891869B2 (en) | Outside mirror device for vehicle | |
EP1348827A1 (en) | Rotary damper | |
US12227132B2 (en) | Door mirror structure | |
US9039214B2 (en) | Vehicle outside rearview mirror device | |
JPH0753286Y2 (en) | Electric antenna for vehicle | |
JP2006007925A (en) | Outside mirror for vehicle | |
KR20090011221A (en) | An angle control device for monitor | |
EP3984803B1 (en) | Dashboard with vehicle cockpit module assembly | |
JP2023058338A (en) | door mirror structure | |
KR100428384B1 (en) | Overhead console for automobile | |
CN109109750B (en) | Automobile rearview mirror | |
KR200370299Y1 (en) | Device for fixing moniter in vehicles | |
KR100283966B1 (en) | Automotive Audio / Video System Driver | |
JP3271135B2 (en) | Accessory for small items | |
JP2005178656A (en) | Motor-driven mirror | |
KR100756952B1 (en) | Car Cup Holder | |
JP2598501Y2 (en) | Electric retractable mirror | |
KR100851469B1 (en) | Vehicle monitor left and right tilting device | |
JP3627398B2 (en) | Outer mirror device for vehicle | |
KR200342502Y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eving monitor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