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5757B1 - 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 - Google Patents

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757B1
KR100835757B1 KR1020067016497A KR20067016497A KR100835757B1 KR 100835757 B1 KR100835757 B1 KR 100835757B1 KR 1020067016497 A KR1020067016497 A KR 1020067016497A KR 20067016497 A KR20067016497 A KR 20067016497A KR 100835757 B1 KR100835757 B1 KR 10083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flexible
wearable
inte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4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6170A (en
Inventor
데이비드 더블류. 캐롤
Original Assignee
비아,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 인크 filed Critical 비아,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9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1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75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3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fixed on clot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컴퓨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변화 가능한 크기와 모양 특징 뿐만 아니라 가요성과 강성의 구조적 특징을 모두 가진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은 큰 스케일의 가시도와 작은 형태 요소의 휴대성과 편리성을 지닌 사용의 용이함을 제공한다. 본 장치는 비착용형 및 비휴대형 컴퓨터 환경에서도 쉽게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가요성, 착용형 및/또는 휴대형 컴퓨터 환경에 적합하다.The user interface device for a computer provides an interface display screen with both flexible and rigid structural features as well as variable size and shape features. This feature provides ease of use with large scale visibility and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small form elements. Although the device can be easily used in non-wearable and non-portable computer environments,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flexible, wearable and / or portable computer environments.

가요성, 착용형 컴퓨터, 비주얼 인터페이스, 인터액티브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Flexible, Wearable Computer, Visual Interface, Interactive Display, Touch Screen

Description

가요성-고정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강성 형태의 인터액티브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active display device of semi-rigid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팔에 착용시의 반강성 형태의 도1의 장치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Figure 1 in a semi-rigid form when worn on the user's ar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로 가요성인 형태의 도1의 장치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FIG. 1 in a generally flexible for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강성 볼록 형태의 도1의 장치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Figure 1 in the form of a semi-rigid convex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로 반강성인 오목 형태의 도1의 장치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FIG. 1 in a generally semi-rigid concave for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부상으로 세워진 대체로 관 형태의 도1의 장치의 사시도.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of FIG. 1 in a generally tubular form, erected on an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체로 반강성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of generally semi-rigid for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 지지부를 포함하는 대체로 반강성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of generally semi-rigid form including addition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8의 장치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of FIG. 8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사각형 섹션들이 밀집된 형태로 있는 다수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screen display apparatuses in which square sections are in a dense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펼쳐진 형태의 도10의 장치의 평면도.FIG. 11 is a plan view of the device of FIG. 10 in an expanded for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펼쳐진 도10의 장치의 평면도.12 is a plan view of the device of FIG. 10 partially deploy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 모양 섹션들이 밀집된 형태로 있는 다수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13 is a plan view of a plurality of screen display apparatuses in which pie-shaped sections are in a dense 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펼쳐진 형태의 도13의 장치의 평면도.Figure 14 is a plan view of the device of Figure 13 in a partially unrolled for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목 주위에 착용시의 완전히 펼쳐진 형태의 도13-14의 장치의 개략도.Figure 15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device of Figures 13-14 in a fully deployed form when worn around the neck of a us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목 주위에 착용시의 다수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Figure 1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umber of screen display devices when worn around the neck of a us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을 수 있는 다수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lapsible screen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 형태의 다수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rality of screen display apparatus in the form of an umbrel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착용형 PC 지지 부품의 단면도.Figure 19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wearable PC support component for use with a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 통신 요소를 가진 도1의 장치의 사 시도.Figure 20 is an attempt at the apparatus of Figure 1 with additional communication element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지지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rnal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형 내부 지지 구조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Fig. 22 is a 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sheet-like inner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 예를 들면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도록 설계된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형태 요소와 우수한 입력/출력 능력을 가진 비주얼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device of a computer system,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system designed to be worn on a user's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sual display device having a comfortable wearable form element and excellent input / output capability. It is about.

여러가지 형태의 몸에 착용하는 컴퓨터 장치들이 많은 상업, 산업 및 소비자 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다. 좋은 착용형(wearable) 컴퓨터는 무게가 가볍고 가요성이며, 인간 공학적으로 우수하고 모든 평상시의 활동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 예에 의하면, 가요성 회로나 동등한 가요성 전송 장치는 독립된 컴퓨터 모듈들과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신체 주위에 컴퓨터를 편안하게 분포시켜서 형태학상 몸의 다양한 변화에 적응시킨다. 표준-상호연결 입력/출력 장치는 쉬운 사용자 업그레이드와 모듈의 교체를 가능케 한다. 대역-확산(spread-spectrum) 무선 구내 정보 통신망(LAN)은 다른 사용자 또는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과의 대화를 가능케 한다. 가요성 착용형 컴퓨터 장치는 편안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편리하고 현재까지 시장에서 유일한 선택이었던 사각형태의 기계의 유력한 대체물이다.Computer devices worn on various types of bodies are used in many commercial, industrial and consumer environments. A good wearable computer is one that is light in weight, flexible, ergonomically superior and can be used in all everyday activities. In one example, a flexible circuit or equivalent flexible transmission device is physically coupled with independent computer modules to comfortably distribute the computer around the body to adapt to various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body. Standard-interconnect input / output devices allow easy user upgrades and module replacement. A spread-spectrum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enables conversations with other users or host computer systems. Flexible wearable computer devices are a viable alternative to the square-shaped machine that is comfortable, easy to use, convenient and to date the only choice on the market.

재닉이 양도한 미국 특허번호 제5,285,398호, 제5,491,651호, 제5,581,492호 및 제5,798,907호와 캐롤이 양도한 미국 특허번호 제5,555,490호 및 제5,572,401호는 모두 여기서 함께 참고하는 것으로서, 이전의 사각형태의 착용형 컴퓨터 위에 우위를 점할 것으로 기대되는 다수의 매우 좋은 디자인들을 개시한다.US Patent Nos. 5,285,398, 5,491,651, 5,581,492, and 5,798,907, assigned by Janic, and US Pat. Discuss a number of very good designs that are expected to dominate over wearable computers.

전형적인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단단하고 휴대하기 귀찮거나 착용하기 불편할 수 있다. 주머니에 넣을 수 있을만큼 작은 디스플레이는 오랜 기간동안 그것에 적응하기에 약간 어색하게 만드는 두께나 강성(rigidity)의 요인이 있다. 게다가 "시트(sheet)" 컴퓨터 프로토타입들, 예를 들어 샤프 전자의 개념상의 시스템-온-패널(system-on-panel; SOP) 컴퓨터(겨우 밀리미터 두께의 형태 요소를 가짐)조차 대체로 딱딱하고 따라서 편안함 문제가 나타난다.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 역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통상적으로 부피가 크고, 무겁고, 뜨거우며, 그렇지 않으면 불편하고 미학적으로 불쾌하다.Typical portable displays can be hard and cumbersome to carry or inconvenient to wear. Displays that are small enough to fit in a pocket have factors of thickness or rigidity that make them awkward to adapt to them for long periods of time. In addition, even "sheet" computer prototypes, such as Sharp's conceptual system-on-panel (SOP) computer (with form elements only millimeters thick) are generally rigid and thus Comfort problems appear Head wear displays are also known to be used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but are typically bulky, heavy, hot, otherwise uncomfortable and aesthetically unpleasa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요성 및 강성의 구조 특성을 모두 갖고, 크기와 모양이 변화함으로서, 인체-착용형 및 이동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종래 기술을 뛰어넘는 중요한 장점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장점(예를 들면 가시도(visibility)와 사용의 편리함)과 훨씬 소형의 디스플레이의 편안함 및 휴대성을 결합하였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displays that have both flexible and rigi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vary in size and shape, thereby exhibiting significant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of human-wearable and mobile display system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combine the advantages of a large display (eg visibility and ease of use) with the comfort and portability of a much smaller display.

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가 제1의 둘러싼 대체로 반강성 또는 고정된 형태로 신체 부위 주위에 벗겨짐이 가능토록 착용된다. 디스플레이는 되도록 적어도 디스플레이 또는 인터액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부분을 갖춘 가요성 시트이다. 원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신체 부위로부터 유연하게 풀어 벗긴 후에 같은 신체 부위 또는 다른 신체 부위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의 반강성(semi-rigid)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조작한다. 물론 이러한 정합 가능한(conformable)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떨어져서 배치될 때(예를 들면 데스크탑 상에) 동일한 이중의 가요성/반강성 능력을 나타낸다. 다른 예에서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는 이동식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시트 섹션들을 포함해서 시트 섹션들의 상호 회전, 접힘 또는 미끄러짐을 허용한다. 디스플레이 또는 인터액티브 비주얼 인터페이스는 시트 섹션들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 보일 수 있고, 그러나 시트 섹션들 전체 또는 몇 개 상에서 최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시트 섹션들은 서로에 대해서 이동되어서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모양을 변화시킨다. 물론 보는 것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해서 다수의 시트 섹션들을 착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such that it can be peeled around body parts in a first, generally semi-rigid or fixed form. The display is preferably a flexible sheet with a portion that serves at least as a display or an interactive visual interface. If desired, the user manipulates the display in a second semi-rigid form that detaches the display from the body part flexibly and then detachably secures the same body part or another body part. This conformable display, of course, exhibits the same dual flexible / semi-rigid capabilities when placed away from the user's body (eg on a desktop). In another example, th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at sections that ar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allow mutual rotation, folding or slipping of the seat sections. The display or interactive visual interface may look on at least one of the sheet sections, but may look optimal on all or a few of the sheet sections. The sheet sections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to change the size and shape of the display. Of course, multiple seat sections can be worn to make viewing easier.

결합될 수도 있고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이러한 이중의 가요성/반강성 특성과 가변성 크기/모양 특징으로 인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는 쉽게 착용하고 휴대할 수 있는 고도의 휴대용의 편리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함께 채용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카멜레온식으로 선택적으로 정합하는 디스플레이를 산출한다.Due to these dual flexible / semi-stiffness characteristics and variable size / shape features that may be combined or used alone, the display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highly portable, convenient display that is easily worn and portable. The combination of these features yields a display that selectively matches the chameleon to the environme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많은 여러 가지의 컴퓨터 기술과 환경에 넓게 적용된다. 가요성 착용형 컴퓨터는 군사, 생계, 법 집행, 의학 및 그 밖의 환경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컴퓨터 환경의 시장에서 빠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게다가 높은 가시성과 휴대성을 지닌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지 착용형 컴퓨터 환경에서뿐만 아니라 그래픽이나 텍스트 입력/출력을 사용하는 모든 컴퓨터 환경에서 실질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비록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은 착용형 컴퓨터에 대해서 그리고 특정한 가요성 착용형 컴퓨터에 대해 논의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그러한 실시예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실시예들은 다른 가능성들 중 데스크탑 환경으로 이동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broadly applicable to many different computer technologies and environments. Flexible wearable computers are quickly accepted in the market for various computer environments, including military, livelihood, law enforcement, medical and other environments. In addition, display devices with high visibility and portability are of practical importance not only in wearable computer environments, but also in all computer environments using graphics or text input / output. Thus, although cert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ll be discussed with respect to a wearable computer and with respect to a particular flexible wearable comput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embodiments. Rather, embodiments may be moved or used to a desktop environment, among other possibilities.

본 발명의 가요성-고정식 인터페이스 장치(10)가 도1에 일반적으로 도시되었다. 장치(10)는 제1 및 제2 가장자리(14,16)와 제3 및 제4 가장자리(18,20)를 갖는 시트(12)를 포함한다. 장치(10)는 선택적인 브라켓(24)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또는 인터페이스 스크린(22)을 포함한다.The flexible-fixed interfac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generally in FIG. The device 10 includes a sheet 12 having first and second edges 14 and 16 and third and fourth edges 18 and 20. Device 10 includes a display or interface screen 22 as well as an optional bracket 24.

장치(10)의 시트(12)는 되도록 탄력있는 형상 유지(shape-holding) 가요성 층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2)의 탄성은 일반적으로 도시된 관 모양의 형상을 유지시키고 그러나 가장자리들(14,16)을 서로 떨어지도록 휘어 움직이고 화살표의 A방향을 따라 뒤로 당겨서 벗겨질 수 있다. 반대로 시트(12)는 화살표의 B방향을 따라서 가장자리들(14,16)을 눌러 서로 붙여서 더 닫혀진 관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관 모양과 같은 대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트(12)의 형상 유지 특성을 보조하기 위해서, 체결구(fastener)나 브라켓(24)(또 는 다른 적절한 고정 기구)이 가장자리들(14,16)을 서로 채우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된다.The sheet 12 of the device 10 is formed of a shape-holding flexible layer that is as resilient as possible. As shown, the elasticity of the sheet 12 generally maintains the tubular shape shown but can be peeled off by bending the edges 14, 16 apart from each other and pulling back along the A direction of the arrow. Conversely, the sheet 12 can be pressed together with the edges 14 and 16 along the direction B of the arrow to form a more closed tubular shape. Fasteners or brackets 24 (or other suitable fasteners) are provided at the edges to assist in the shape ret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seat 12, which remains substantially fixed, such as the tubular shape shown in FIG. (14, 16) is optionally used to fill each other.

시트(12)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모니터와 같이 비주얼 디스플레이와 터치 입력을 허용하는 "터치스크린"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스크린(22)은 비주얼 디스플레이, 입력/출력 기능 및 선택적인 키-감소(key-reduction)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형 기술을 지원하는 시트(12)상의 활동 영역을 대표한다. 물론 장치(10)는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The seat 12 generally forms an interface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at allows touch input with a visual display, such as a computer monitor. As shown in FIG. 1, interface screen 22 is a sheet 12 that supports " touchscreen " -type technology including visual display, input / output functions, and an optional key-reduction algorithm. Represents the activity area of the award. The device 10 can of course be turned on or off.

인터페이스 스크린(22)은 시트의 일부분만을 차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시트(12)의 전체면 또는 단지 일부만을 덮도록 선택적으로 크기를 만든다. 더욱이, 인터페이스 스크린(22)은 시트(12)의 어떠한 원하는 부위에 위치할 수 있고 도1에 도시된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인터페이스 스크린(22)은 가변 형상 특성을 포함해서 도1에 도시된 직사각형 모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시트(12) 상의 스크린(22)의 크기, 위치 및 모양은 유선 또는 무선, RF, 신체 LAN 및 그 밖의 널리 알려진 통신 기술을 통해 장치(10)와 통신하는 CPU기반 컴퓨터 시스템(23)과 관련된, 당업자에게 알려지거나 쉽게 인식되는 적절한 소프트웨어 드라이버에 의해 제어된다.The interface screen 22 is shown to occupy only a portion of the sheet, but is optionally siz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r only a portion of the sheet 12. Moreover, interface screen 22 may be located at any desired portion of sheet 12 and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interface screen 22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shape shown in FIG. 1 including variable shape characteristics. The size, position and shape of the screen 22 on the sheet 12 is associated with the CPU-based computer system 23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10 via wired or wireless, RF, body LAN and other well-known communication technologies, Controlled by a suitable software driver known or eas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사용자의 팔뚝(25)이나 다른 신체 부위(예를 들어 넓적다리, 허리 등)에 착용되도록 특별히 개작(改作)된다. 본 배치에서는 장치(10)는 팔뚝(25)에 형태학적으로 조화시키고 간편한 휴대성을 허용하는 "둘러싼" 구성으로 된다. 장치(10)의 마주보는 가장자리들(14,16)은 사용자가 원 하는 조임의 정도에 따라서 서로 접촉하거나 또는 서로 근접하도록 조정된다. 또한 장치(10)는 팔(25) 주위에 장치(10)의 둘러싼 정도를 튼튼히 고정하는 브라켓/체결구(24)와 같은 적절한 고정 기구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이 형태에서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둘러싸고/벗기는 방향(즉, 일반적으로 팔뚝(25)의 축방향의 교차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측방향(즉 일반적으로 팔뚝(25)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는 고정된다(또는 반강성적이다).As shown in Figure 2, the device 10 i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the user's forearm 25 or other body parts (e.g., thigh, waist, etc.). In this arrangement, the device 10 is of a "round" configuration that conforms morphologically to the forearm 25 and allows for easy portability. The opposite edges 14, 16 of the device 10 are adjusted to contact or approach each other depending on the degree of tightening desired by the user. The device 10 also optionally includes a suitable fastener, such as a bracket / fastener 24 that firmly secures the degree of enclosing the device 10 around the arm 25. In this form, the device is generally flexible in the direction of enclosing / peeling (ie, generally in the axial cross direction of the forearm 25), but is generally lateral (ie generally parallel to the axis of the forearm 25). Direction) is fixed (or semi-rigid).

본 형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인터액티브 스크린(22)은 시트(12)면의 일부분, 특히 사용자가 팔뚝(25)에 착용시 쉽게 보이는 장치(10)상의 영역만을 차지한다. 그러나, 보다 큰 디스플레이 영역, 입력 면 및/또는 추가적 기능들이 요구되거나 또는 장치(10)가 더 긴 시간동안 사용되기를 바랄때는, 사용자는 장치(10)를 벗겨내고 이러한 목적에 더 적합한 새로운 구성으로 장치를 조작한다. 장치(10)가 팔뚝(25)에서 벗겨지면, 소프트웨어 구동의 크기 조절 특징은 선택적으로 장치(10)의 착용/벗음 정도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시트(12)의 활동 스크린(22)을 자동적으로(또는 수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한다.As used in this aspect, the interactive screen 22 occupies only a portion of the sheet 12 face, particularly the area on the device 10 that is easily visible to the user when worn on the forearm 25. However, when a larger display area, input surface and / or additional functions are required or the device 10 is desired to be used for a longer time, the user may peel off the device 10 and install the device in a new configuration that is more suitable for this purpose. Manipulate When the device 10 is peeled off the forearm 25, the software driven scaling feature automatically (or manually) activates the active screen 22 of the display sheet 12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wear / unloading of the device 10. Expand or contract).

도3은 팔뚝(25)(도2)에서 벗겨진 직후 그 중간에 가요성 형태의 장치(10)를 도시한다. 장치(10)는 또한 팔뚝(25)에 착용되기 직전에도 도3의 형태를 보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밴드(26), 측면 지지체(28), 슬롯(30) 및 체결구들(32,34)을 더 포함한다. 밴드(26)는 체결구(32)로 시트(12)에 고정되고 팔(25) 또는 다른 신체 부분 주위에 장치(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다. 측면 지지체(28)는 시트(12)를 더 지지하기 위해서 밴드(26)로부터 팔뚝(25)을 따라서 연 장된다. 체결구(34)는 시트(12)와 지지구(28) 사이에서 연장되고, 슬롯(30) 내에서 미끄러짐이 가능해서 시트(12)의 가장자리(18)가 측면 지지체(28)와 팔뚝(25)에 대해서 옆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물론, 팔(25) 주위에 장치(1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다른 설계가 사용될 수도 있다.FIG. 3 shows the device 10 in flexible form in the middle immediately after peeling off the forearm 25 (FIG. 2). The device 10 also shows the form of FIG. 3 just before being worn on the forearm 25. As shown in FIG. 3, the device 10 further includes a band 26, a side support 28, a slot 30, and fasteners 32, 34. Band 26 is secured to seat 12 with fastener 32 and removably secures device 10 around arm 25 or other body part. The side support 28 extends along the forearm 25 from the band 26 to further support the seat 12. The fastener 34 extends between the seat 12 and the support 28, and is able to slide in the slot 30 so that the edge 18 of the seat 12 has a side support 28 and a forearm 25. ) To the side. Of course, other designs may be used that removably secure the device 10 around the arm 25.

도3에 도시된 형태에서, 장치(10)는 적어도 두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착용/벗음 방향인 종방향(화살표 A와 B로 표시됨)과 앞으로 더 설명할 가요성/고정 방향(화살표 C와 D로 표시됨)인 측방향이다. 따라서, 어떠한 주어진 형태에서라도 장치(10)는 한 방향으로는 구부릴 수 있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대체로 고정된다(또는 반강성이다). 예를 들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종방향인 벗음/착용 방향으로는 구부려지지만 측방향으로는 대체로 고정된다(또는 반강성이다). 대조적으로, 도3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장치(10)는 종방향과 횡방향 모두에서 대체로 유연하다. 이러한 양방향 가요성은 일정한 입력/출력 작동, 특히 터치-입력 작동을 더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장치(10)는 그럼에도 그것이 착용되거나 벗겨졌을 때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제공하고 텍스트 및/또는 그래픽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마지막으로 다음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종방향(A-B)으로 대체로 고정되고(또는 반강성이고), 반면 측방향으로는 대체로 구부려진다(적절한 고정 기구로 고정되기 전까지는).In the form shown in Fig. 3, the device 10 can be bent in at least two directio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dicated by arrows A and B) in the wearing / unfolding direction and the flexible / fixed direction (arrow C) which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And D). Thus, in any given form the device 10 can be bent in one direction but is generally fixed (or semi-rigid) in the other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 the device 10 is bent in the longitudinal peeling / wearing direction but is generally fixed (or semi-rigid) in the lateral direction. In contrast, in the form shown in FIG. 3, the device 10 is generally flexible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his bidirectional flexibility makes constant input / output operation, especially touch-input operation, more difficult. However, device 10 nevertheless provides input and output functions and displays text and / or graphics on the screen when it is worn or peeled off. Finally, as shown in the following Figure 4, the device 10 is generally fixed (or semi-rigi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 while being generally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until it is fixed with an appropriate fastening mechanism). .

최고의 입력/출력 기능성 및/또는 더 큰 디스플레이 스크린 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10)는 도3의 중간의 양방향 가요성 형태로부터, 장치(10)가 종방향으로는 대체로 고정되고(또는 반강성이고), 횡방향으로는 대체로 구부려지는 도4에 도시된 대체로 고정된 형태로 더 조작될 수 있다. 그렇게 만들기 위해서, 사용자는 장치(10)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구부려서 측면의 하향 호(33)를 형성하고 그것에 의해 장치(10)의 인터액티브 스크린(22)에 볼록한 형태를 주게 된다. 호(33)에 의해 시트(12)는 곡률 반경(36)을 갖는다. 호(33)는 장치(10)에 종방향을 따라 상당한 강성을 부여해서 입력/출력 작동을 포함한 터치스크린 기능을 위한 훨씬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도3과 4에 도시된 슬롯(30)과 체결구(34) 결합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기계적 정지구(stops), 밴드, 핀, 훅-루프(hook-and-loop) 체결구 및 다른 균등한 기구들이 호 형태의 장치(1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the best input / output functionality and / or larger display screen face, the device 10 is from the intermediate bidirectional flexible form of FIG. 3, whereby the device 10 is generally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semi-rigid). And further manipulated into the generally fixed form shown in FIG. 4 which is generally ben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do so, the user bends the device 10 laterally as shown in FIG. 4 to form a downward arc 33 on the side thereby giving a convex shape to the interactive screen 22 of the device 10. do. By the arc 33 the sheet 12 has a radius of curvature 36. The arc 33 imparts significant stiffnes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device 10 to provide a much more stable structure for touchscreen functionality, including input / output operation.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engaging the slot 30 and fastener 34 shown in FIGS. 3 and 4, mechanical stops, bands, pins, hook-and-loop fasteners, and other Equal mechanisms may be used to support the arc shaped device 10.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호(33)와 그와 관련된 장치(10)의 볼록 형태와는 다르게, 시트(12)가 상향 호(35)로 구부려져서 장치(10)의 인터액티브 스크린(22)과 시트(12)에 볼록 형태를 주게 된다. 이러한 상향 호는 팔뚝(25)에 대한 다른 배열을 가능케 하면서 역시 장치(10)에 상당한 강성 형태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 5, unlike the convex shape of the downward arc 33 and its associated device 10, the sheet 12 is bent into an upward arc 35 so as to display the interactive screen of the device 10. 22) and the seat 12 is convex. This upward arc also allows for a different arrangement for the forearm 25 while also providing a significant rigid form to the device 10.

도6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액티브 장치(40)는 단부들(42,44), 측면(46) 및 인터액티브 스크린(48)을 가진 시트(42)를 포함한다. 장치(40)는 도1-5와 관련하여 이전에 논의된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들을 갖춘다. 그러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40)는 영구적 관 모양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장치(10)의 가장자리들(14,16)에 함께 힘을 가하여 관의 모양으로 놓여진다. 그러한 관 모양의 디스플레이는 적절한 홈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데스크(41)나 다른 지지대 위에 간이 건축물 형태로(kiosk-style) 그 자체로 세울 수 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interactive device 40 includes a seat 42 having ends 42, 44, a side 46, and an interactive screen 48. The device 40 has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s the device 10 previously discussed with respect to FIGS. 1-5. However, as shown in FIG. 6, the device 40 is formed into a permanent tubular shape or is placed in the shape of a tube by forcing the edges 14, 16 of the device 10 together. Such a tubular display may be installed in a suitable groove or may be itself mounted in kiosk-style on a desk 41 or other support.

따라서, 최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동일한 인터페이스 장치에 (1) 가요성의 착용형 형태에 의한 편리한 휴대성 및 소형 요소와 (2) 더 크고 강성 형태의 옵션을 결합하였다. 대체로 말하면, 장치(10)의 가장자리들을 하나 또는 다른 곳에 위치시킴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적절한 기계적 또는 다른 장치들로 장치(10)를 형성하는 시트 형태의 부품의 가장자리를 튼튼히 고정시킴으로서, 가요성 인터페이스 장치를 고정(또는 반강성) 인터페이스 장치로 변경시킨다. 물론 이러한 형태는 고정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가요성 인터페이스 장치로의 변화를 또한 허용한다. 결국, 이러한 형태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부리는 조작에 의해서 두가지(또는 그 이상) 다른 고정 인터페이스 형상 사이의 변화를 허용한다.Thus, for the first ti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 (1) convenient portability and compact elements by flexible wearable form and (2) larger, rigid form options in the same interface device. Generally speaking, by positioning the edges of the device 10 in one or another place, more specifically by securing the edges of the sheet-shaped part forming the device 10 with suitable mechanical or other devices, the flexible interface device Is changed to a fixed (or semi-rigid) interface device. This form, of course, also allows a change from a fixed interface device to a flexible interface device. This form, in turn, allows for a change between two (or more) different fixed interface shapes by manipulating the interfac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치(10)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술한 크기 특징에 더하여, "터치매치(touchmatch)" 특징은 장치(10)가 그 다양한 형태로 구부러질 때 발생하는 터치스크린-층 정렬을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장치(50)(도1-5의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가짐)는 외부층(52) 및 내부층(54)과 같은 적어도 두 개의 접촉-감지 층들을 포함한다. 외부층(52)은 손가락이나 다른 접촉 도구와의 접촉을 위해 제공되고 보통 손가락/포인터 접촉의 대상인 키나 아이콘의 형태인 가시적 표시부(visible indicia)를 포함한다. 내부층(54)은 외부층(52)을 받쳐주고, 가시적 표시부(56)와 연관된 접촉 요소 세트(58)를 제공하며, 적절한 전자 처리 요소들과 더 직접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된다. 그러한 터치스크린 장치들이 평면 형태로 있을 때는(모든 전형적 터치스크린이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경우가 그렇듯이), 외부층(52)의 가시적 표시부(56)는 일반적으로 밑에 있는 층(54)의 적절한 접촉 요소들(58)과 직접적으로 정열(alignment)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various software elements to effectively utilize various types of interface device 10. In addition to the size features described above, the "touchmatch" feature automatically adjusts the touchscreen-layer alignment that occurs when the device 10 is bent in its various forms.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touch screen interface device 50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device 10 of Figs.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layer 52 and an inner layer ( At least two contact-sensitive layers such as 54). The outer layer 52 includes a visible indicia that is provided for contact with a finger or other contact tool and is usually in the form of a key or icon that is the subject of a finger / pointer contact. The inner layer 54 supports the outer layer 52, provides a set of contact elements 58 associated with the visible indicator 56, and is arranged in more direct connection with appropriate electronic processing elements. When such touchscreen devices are in a planar form (as in most cases, if not all typical touchscreens), the visible display 56 of the outer layer 52 generally has the appropriate contact elements of the underlying layer 54 ( 58) directly aligned.

그러나 장치(10)는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내부층(54)과 외부층(52)은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고 그들간의 직접적 정열은 떨어지는 것은 아니더라도 바뀌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50)가 측방향으로든 종방향으로든 구부러짐에 따라 가상의 곡률 중심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4는 장치(10)가 강성을 주도록 측방향으로 구부러졌을 때 가상의 곡률 중심(37)을 나타낸다. 도2의 종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에서는 곡률 중심(도시되진 않음)은 팔뚝(23) 안에 있다. 어느 경우든, 적절한 터치스크린의 외부층(52)은 내부층(54)보다 곡률 중심으로부터 더 큰 반지름 거리에 있어서 외부층(52)의 가시적 표시부(56)와 밑에 있는 층(54)의 접촉 요소(58) 사이에 오정렬(misalignment)을 일으킨다. 당업자에게 쉽게 인식되는 소프트웨어 요소가 이러한 오정렬에 대해 자동적으로 보상하도록 할 수 있다.However, because the device 10 is bent, the inner layer 54 and the outer layer 52 slide against each other and the direct alignment between them is changed, if not inferior. As described above, as the device 50 is bent in the lateral or longitudinal direction, a virtual center of curvature is formed. For example, FIG. 4 shows a virtual center of curvature 37 when the device 10 is bent laterally to give rigidity. In the longitudinally curved form of FIG. 2, the center of curvature (not shown) is in the forearm 23. In either case, the outer layer 52 of a suitable touchscreen is the contact element of the underlying display 54 with the visible display 56 of the outer layer 52 at a greater radial distance from the center of curvature than the inner layer 54. There is a misalignment between (58). Software elements that are read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utomatically compensated for such misalignment.

본 발명에 따른 오정렬 보상 또는 증강 특징은 터치스크린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동일한 원칙들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요소와 같은 인터렉티브 장치(10)의 다른 층형 요소들의 사용에 대해서 적용되고 계획된다.While misalignment compensation or augmentation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ouchscreen embodiments, the same principles apply and are planned for the use of other layered elements of the interactive device 10, for example display elements.

더 심하게 사용되는 장치(10)(도1-4)의 인터액티브 스크린(22) 영역에서의 오정렬을 최소화하고 더 낳은 조절을 위해서, 도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 형태가 제공된다.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가진 장치(60)는 리 브(66)와 가장자리 체결구(68)와 함께 스크린 또는 다른 층들(62,64)을 포함한다. 도8의 단면도에서 가장 잘 보이듯이, 리브(66)는 층들(62,64) 사이에 끼워져있고 비교적 중앙 위치에서 층들(62,64)을 함께 고정한다. 도9의 사시도에서 더 보이는 바와 같이, 리브(66)는 장치(60)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리브(66)는 층들(62,64)간의 미끄러짐을 허용하지만 리브(66)가 없는 다수 층 터치스크린 장치에서보다 더 제어되고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미끄러진다. 층(62,64)의 바깥쪽 가장자리들(67)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구(68)와 함께 선택적으로 연결되서 서로에 대한 층들(62,64)의 나란한 미끄러짐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층들(62,64)의 서로에 대한 "펄럭임(flapping)"을 방지한다. 체결구(68)는 그러한 능력을 지닌 형태의 체결구 중에서 레일, 상호 연결된 미끄럼 포인트 또는 미끄럼 가장자리들을 포함한다.For minimizing misalignment in the area of the interactive screen 22 of the more heavily used device 10 (FIGS. 1-4) and for better adjustment, a “butterfly” form is provided, as shown in FIGS. 8-9. do. Device 60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eatures as device 10 includes a screen or other layers 62, 64 with rib 66 and edge fasteners 68. As best see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the rib 66 is sandwiched between the layers 62 and 64 and holds the layers 62 and 64 together in a relatively central position. As further see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9, rib 66 extends longitudinally along device 60. Ribs 66 allow slippage between layers 62 and 64 but slide in a more controlled and predictable manner than in multi-layer touchscreen devices without ribs 66. The outer edges 67 of the layers 62, 64 are selectively connected with one or more fasteners 68 to control the side-by-side sliding of the layers 62, 64 relative to each other. 64 prevents " flapping " of each other. Fastener 68 includes rails, interconnected sliding points, or sliding edges, among the fasteners of that type.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70)는 다수의 정사각형 모양의 스크린 층 섹션들(72)(다른 스크린-지지 층들과 함께)로 구성된다. 섹션들(72)은 되도록 섹션들(72)의 코너에 위치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피봇 포인트(74)에 연결되고 함께 인터액티브(또는 패시브) 디스플레이(76)를 형성한다. 장치(70)의 섹션들(72)은 서로에 대해 미끄럼 회전이 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76)의 크기를 증감시키거나 그 형태를 변화시킨다. 도10에 보여지듯이, 다수의 스크린이나 다른 층들(72)은 장치(70)의 윤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밀집되거나 쌓여져있다. 그와 달리, 도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다수의 스크린 섹션들(72)은 서로에 대해서 펼쳐져서 디스플레이(76)를 확장시킨다. 마지막으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들(72)은 서로에 대해 피봇 회전하여 부분적으로 겹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76)를 형성한다. 도10과 같이 밀집될 때는, 장치(70)는 착용성, 휴대성 및 간헐적 사용에 매우 적합하고 반면 도11과 같이 확장됐을 때는 장치(70)는 예를 들어 정지 상태의 사용이나 더 큰 선명도를 요하는 응용에 도움이 된다. 각각의 스크린 또는 그 밖의 층(72), 또는 선택된 수의 스크린/층(72)의 그룹에는 자체의 장치 드라이버가 공급된다. 장치 드라이버에는 특별한 사용이나 장치(70)의 모양에 따라서 디스플레이(76)로 사용되는 스크린의 크기, 형상 및/또는 개수를 변화시키도록 기록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the interface device 7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quare shaped screen layer sections 72 (along with other screen-supporting layers). The sections 72 are preferably connected to one or more pivot points 74 located at the corners of the sections 72 and together form an interactive (or passive) display 76. The sections 72 of the device 70 may be slid relative to each oth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ize of the display 76. As shown in FIG. 10, multiple screens or other layers 72 are dense or stacked to minimize the contour of the device 70. In contrast, as shown in FIG. 11, multiple screen sections 72 extend relative to each other to expand display 76. Finally, as shown in FIG. 12, the screens 72 pivotally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o form the display 76 in a partially overlapping form. When concentrated as shown in FIG. 10, the device 70 is well suited for wearability, portability and intermittent use, while when expanded as shown in FIG. 11, the device 70 can be used, for example, at rest or with greater clarity. It is helpful for applications that require it. Each screen or other layer 72, or group of selected numbers of screens / layers 72, is supplied with its own device driver. The device driver may be written to vary the size, shape, and / or number of screens used as the display 76 depending on the particular use or shape of the device 70.

마찬가지로, 도13-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80)는 정사각형/직사각형 모양의 스크린 섹션(72) 대신 파이 모양의 스크린 섹션을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도10-12의 장치(7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파이 모양의 스크린 섹션(82)은 피봇 기구(84)로 함께 고정되고 단독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디스플레이(86)를 형성한다. 장치(70)에서처럼, 파이 모양의 스크린 섹션들(82)은 도14에서 부분적으로 보여지듯이 전체로서 그대로(나란히) 보여지거나 또는 도13에 보여지듯이 나머지 스크린 섹션들(82)은 아래에 있고 가장 위의 파이 모양 스크린 섹션(82)만이 보여지는 적층형 형태로 보여질 수도 있다.Likewise, the device 8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3-14 is similar to the device 70 of FIGS. 10-12 except that it includes a pie-shaped screen section instead of a square / rectangular screen section 72. It includes substantially the same features. The pie shaped screen sections 82 are secured together by the pivoting mechanism 84 and form the display 86 alone or collectively. As in device 70, pie-shaped screen sections 82 are shown as a whole (side by side) as partially shown in FIG. 14 or the remaining screen sections 82 are below and topmost as shown in FIG. It may also be shown in a stacked form in which only the pie-shaped screen section 82 is shown.

이러한 실시예들(도10-14)은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서 어떤 갯수의 스크린들 또는 다른 층들(72,82) 및 다양한 모양들(예: 파이와 정사각형 또는 다른 모양의 혼합)로 사용될 수 있다. 장치 드라이버는 사용자에게 노출된 각 스크린 부분(즉, 다른 겹치는 스크린에 가려지지 않는 스크린 부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입력 또는 다른 기능에 사용되는 스크린(72,82)을 선택한다. 스크린 또는 스크린 부분(72,82)은 되도록 장치(10)의 형태 및/또는 사용자의 활동에 근거하여 선택된다.These embodiments (Figs. 10-14) may be used in any number of screens or other layers 72, 82 and various shapes (e.g., pie and square or other shapes mixed) depending on the user's decision. The device driver selects screens 72 and 82 for display, input, or other functions based on each screen portion that is exposed to the user (ie, the screen portion that is not covered by other overlapping screens). The screen or screen portions 72, 82 are preferably selected based on the type of device 10 and / or the user's activity.

장치(70,80) 뿐만 아니라 장치(10)도 사용자의 손목, 허리띠 또는 엉덩이, 목, 넓적다리 등, 또는 그 밖의 적절한 곳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예에서는, 더 큰 통합된 파이 모양의 디스플레이(86)를 제공하는 나란히 배열된 파이 모양의 스크린 섹션들(또는 다른 층들)(82)과 함께 장치(80)는 밴드(88)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90) 주위에 놓여진다. 이러한 큰 파이 모양의 형태는 목 근처의 보기에 어려운 디스플레이(86) 영역을 최소화하고, 목에서 멀고 보기에 쉬운 디스플레이(86) 영역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목 주위에 거는데 특히 적합하다. 물론 파이 모양의 섹션들(82)은 기억장치나 다른 공간 최소화 목적을 위해서 (도12와 같이 가장 위 섹션만 볼 수 있는) 적층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Device 10, as well as device 70 and 80, may be configured to be placed on a user's wrist, waistband or hips, neck, thighs, or the like as appropriate. In one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device 80 is banded together with side by side arranged pie shaped screen sections (or other layers) 82 providing a larger integrated pie shaped display 86. 88 is placed around the user's neck 90. This large pie shape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hanging around the neck because it minimizes the difficult-to-view display 86 area near the neck and maximizes the display 86 area far from the neck. Of course, the pie-shaped sections 82 may be arranged in a stack (only the top section as shown in FIG. 12) for storage or other space minimization purposes.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인터액티브 장치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액티브 장치(100)가 집합적으로 디스플레이(104)를 형성하는 대체로 평행한 인접 가장자리들로 나란한 형태로 배열된 스크린 섹션들(102)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로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밴드(106)는 사용자의 목(108)이나 다른 신체 부위에 장치(100)를 고정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섹션(102)은 목(108) 주위에 말굽형 배열을 이룬다. 종전대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스크린 드라이버는 스크린 섹션(102) 상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입력/출력 기능을 조정한다.Similarly, the interact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creen sections 102 arranged side by side with generally parallel adjacent edges where the interactive device 100 collectively forms the display 104 as shown in FIG. Can be worn on the body in other forms, including). Band 106 secures device 100 to neck 108 or other body part of the user. As shown in FIG. 16, the screen section 102 is in a horseshoe-shaped arrangement around the neck 108. As before, the required software screen driver adjusts the touchscreen, display and input / output functions on the screen section 10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터액티브 장치(120)는 팬폴드(fanfold) 또는 폴드아웃(foldout) 형태로 배열된다. 장치(120)는 다수의 스크린 섹션(122)을 포함하고, 섹션들은 나란히 배열되고 가장자리(124)에서 서로 연결된다. 장치는(120)는 또한 제1면(126)과 제2면(128)을 포함한다. 스크린 섹션들(122)은 집합적으로 제1면(126) 및/또는 반대면(128)상에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130)를 형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device 120 is arranged in a fanfold or foldout form. The devic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creen sections 122, the sections being arranged side by sid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edge 124. The device 120 also includes a first side 126 and a second side 128. Screen sections 122 collectively form a display 130 that can be seen on first side 126 and / or opposite side 128.

도18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인터액티브 장치(140)는 우산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인터액티브 장치를 구체화한다. 장치(140)는 중심 또는 피봇(144)에 대해 고정되어 집합적으로 덮개 모양의 디스플레이(148)를 형성하는 다수의 파이 모양의 스크린 섹션들(142)을 포함한다. 스템(stem)(146)은 디스플레이(148)의 아래쪽으로부터 연장되고 장치(140)의 남은 필요한 하드웨어를 기능적으로 하우스한다. 스템(146)은 장치(140)를 테이블, 책상 위 또는 다른 적절한 구조물 내에 똑바로 세워놓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 또는 다른 층들(1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의 일단에서 평평하게 펼쳐질 수도 있고, 또는 그와 달리 조망(viewing)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부러질 수도 있다. 장치(140)는 예를 들어 다수의 장치들이 함께 사용될 때, 서라운드 음향 효과를 내기 위해서 방사 또는 반사 음향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광고 스크린을 포함하는 큰 스케일의 응용뿐만 아니라 여기 기술된 것과 유사한 작은 스케일에의 응용이 예측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18, the interactive device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es an interactive device of an umbrella or similar form. Devic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pie-shaped screen sections 142 that are fixed relative to center or pivot 144 to collectively form a lid-shaped display 148. Stem 146 extends from the bottom of display 148 and functionally houses the remaining required hardware of device 140. The stem 146 serves to place the device 140 upright in a table, desk, or other suitable structure. The screen or other layers 142 may be flattened at one end of the stem (as shown) or alternatively bent to enhance viewing. The device 140 may use radiated or reflected sound means to produce surround sound effects, for example when multiple devices are used together. The invention contemplates application of large scales including, for example, advertising screens, as well as small scales similar to those described herein.

가요성 디스플레이 장치와 특히 가요성 터치스크린은 상업적 사용을 위해 개발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최초로 가요성의 장점(예:휴대성과 편안함)과 강성의 장점(예:터치 입력에 대한 안정성과 쉽고 큰 스케일 조망)을 결합함으로써 그러한 실시예들이 착용형 컴퓨터 환경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도록 만든다.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인터액티브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쉽게 보여질 수 있고, 연장되고 고정된 형태에서는 다른 사람들에게 더 쉽게 보여질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는 쉽게 조화되고, 전체 이미지는 큰 디스플레이 크기 덕분에 쉽게 보여진다.Since flexible display devices and especially flexible touchscreens are developed for commercial us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first to provide the advantages of flexibility (eg portability and comfort) and the advantages of rigidity (eg stability and ease of touch input). Large scale views) make such embodiment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a wearable computer environment. The interactive device 10 in various embodiments may be easily visible to the user and may be more readily visible to others in the extended and fixed form. The touch interface is easily coordinated and the entire image is easily seen thanks to the large display size.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 등)와 통신하는 자료처리 부품 및 그 외 주변장치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10,70,80 등)의 지원 부품들(150)은 벨트(153)를 이용해서 옷 안, 옷 위 또는 옷 아래의 신체(152)에 착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밝힌 캐롤과 재닉의 특허들은 이러한 목적에 특히 장점을 갖는 가요성 착용형 컴퓨터의 예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특별히 참조문헌으로 통합되었다. RF 또는 다른 무선 통신이 착용형 컴퓨터 또는 벨트(153)상의 다른 부품들과 인터페이스 장치(10 또는 70,80 등) 사이의 데이타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유선 통신 역시 고려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9, support components 150 of interface devices 10, 70, 80, etc., such as data processing components and other peripheral devices, which communicate with the apparatus 10, etc., utilize a belt 153. Can be worn on the body 152 in, on, or under the garment. Carol and Janic's patents disclosed above include examples of flexible wearable computers that have particular advantages for this purpose, and are hereby specifically incorporated by reference. RF or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used to transfer data between the wearable computer or other components on the belt 153 and the interface device (such as 10 or 70, 80, etc.). Of course, wired communication may also be considered.

인터페이스 장치(10)는 가요성이기 때문에 메모리가 내장된 가요성 전지와 공동으로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7-8에 도시된 장치들(50,60)은 각각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층들(각각 52,54 및 62,64)을 포함한다. 층(54 또는 64) 또는 추가적 층과 같은 이러한 층 중의 하나는 메모리가 있는 가요성 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interface device 10 is flexible, it can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battery in which the memory is built. For example, the devices 50, 60 shown in Figs. 7-8 include two or more layers (52, 54 and 62, 64, respectively). One of these layers, such as layer 54 or 64 or an additional layer, may consist of a flexible battery with memory.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액티브 장치(10)의 또 다른 실시예는 마이크로폰(164)과 신축성(retractable) 이어 버드(ear bud)나 플러그(166)를 가진 양방 향 음성 통신 시스템을 포함함으로써 착용 사용을 더 쉽게 한다. 장치(10)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뚝(23)과 같은 신체 부위에 착용되면, 장치(10)의 마이크로폰(164)은 사용자의 손목 근처에 위치할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의 입 근처로 필요한만큼(즉, 마이크로폰의 성능에 따라서) 마이크로폰(164)을 들어올려서 마이크로폰에 대고 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버드(166)를 장치(10)로부터 사용자의 귀 부근까지 끌어내면, 결합된 마이크로폰/이어 버드 부품들은 양방향 음성 통신을 쉽게 하도록 적당하게 위치된다.As shown in FIG. 20, another embodiment of the interactive device 10 includes a two-way voic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microphone 164 and a retractable ear bud or plug 166. Makes wear use easier. If the device 10 is worn on a body part, such as the forearm 23, as shown in Figure 2, the microphone 164 of the device 10 will be located near the user's wrist, so that the user is near the user's mouth. Raise the microphone 164 as many times as necessary (ie depending on the microphone's capabilities) so that it can speak to the microphone. Pulling ear bud 166 away from device 10 near the user's ear, the combined microphone / ear bud components are properly positioned to facilitate two-way voice communication.

도20에 도시된 장치(10)와 같은 발명의 실시예는 양방향 화상 회의와 통신을 돕기 위해서 되도록 마이크로폰(164)과 신축성 이어 버드(166)와 함께 CMOS 카메라(162)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such as device 10 shown in FIG. 20, optionally include a CMOS camera 162 with a microphone 164 and flexible earbuds 166 to facilitate two-way video conferencing and communication.

마지막으로, 장치(10)에 선택적으로 통합된 가요성 모기판(motherboard)과 그 밖의 가요성 장치들은 무제한의 가요성 수명을 가지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치(10)가 부분적으로 받는 굽힘 첨예도(bending sharpness)의 정도가 그것의 가요성 수명을 결정한다. 따라서 도21과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드러난 층들 또는 모기판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 또는 비교적 딱딱한 시트와 같은 패키징 제한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21은 스크린 층들(또는 그 밖의 층들)(172,174)과 그 사이에 연장된 케이블(176)을 갖는 인터액티브 장치(170)를 도시한다. 그와 유사하게, 도22는 일반적으로 장치(10)의 스크린 층들(또는 그 밖의 PC 지지 층들)과 다른 경도계(durometer) 값을 가지는 비교적 딱딱한 재료의 시트(178)를 갖는 인터액티브 장치(170)를 도시한다. 케이블(176)이 나 딱딱한 시트(178)와 같은 이러한 패키징 제한 요소는 허용할 수 없는 높은 굽힘 응력을 일으킬 수 있고 또는 장치(10)의 작동 스크린 층이나 다른 층에 주름을 지게 할 수도 있는 첨예한 굽힘 운동을 방지한다.Finally, it is known that flexible motherboards and other flexible devices that are optionally integrated into the device 10 do not have an unlimited flexibility life. The degree of bending sharpness that the device 10 receives in part determines its flexible life. Thus, as shown in FIGS. 21 and 22,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ptionally include a packaging limiting element, such as a cable or a relatively rigid sheet, disposed between the exposed layers or mother substrate. For example, FIG. 21 shows interactive device 170 with screen layers (or other layers) 172,174 and a cable 176 extending therebetween. Similarly, FIG. 22 illustrates an interactive device 170 having a sheet 178 of relatively hard material, which generally has a durometer value different from the screen layers (or other PC support layers) of the device 10. Shows. Such packaging limiting elements, such as cables 176 or rigid seats 178, can cause unacceptably high bending stresses or sharpening of the operating screen layer or other layers of the device 10. Prevent bending movements.

발명이 구체적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그 기술은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은 착용형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컴퓨터 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또는 유선, 적외선, 광학 및 그 밖의 통신 스킴(scheme)들이 계획된다. 가요성 회로, 리본 또는 그렇지 않으면 추가적 신호-중계 부품이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신호"라 함은 전력 신호, 데이타 신호 및 그 밖의 전송 및/또는 통신을 제공하는 전기, 광학, 적외선, RF, 그 밖의 신호를 의미한다. 여러가지 다른 개량과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떠오를 수 있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evi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with other types of computer devices as well as wearable. Wireless or wired, infrared, optical and other communication schemes are envisioned. Flexible circuits, ribbons or otherwise additional signal- relay components can be used in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al" means electrical, optical, infrared, RF, or other signals providing power signals, data signals, and other transmissions and / or communications. Various other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 구성에 따르면, 가요성 및 강성의 구조 특성을 모두 갖고, 크기와 모양이 변화함으로서, 인체-착용형 및 이동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종래 기술을 뛰어넘는 중요한 장점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having both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lexibility and rigidity, and changing in size and shape, which exhibits important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of the human-wearable and mobile display system. .

Claims (7)

함께 연결된 복수의 시트와,Multiple sheets linked together, 관련된 컴퓨터 요소와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비주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A visual interfac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heets for communication with associated computer elements, 각각의 시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된 스크린의 크기, 형상, 개수 또는 그들의 조합에서의 변화를 허용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컴퓨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Wherein each sheet has a driver that allows a change in the size, shape, number, or combination of screens used in the user interfa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는 상호 부분적으로 겹치고, 비주얼 인터페이스는 각 시트의 볼 수 있는 부분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interfac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heets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and a visual interface is disposed in the viewable portion of each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는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배치되고 비주얼 인터페이스는 각 시트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인터페이스 장치.The interfac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heets are disposed edge to edge and the visual interface is disposed at at least a portion of each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는 다양한 구조에서 착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The interfac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heets are wearable in various structures.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된 스크린의 크기, 형상, 개수 또는 그들의 조합에서의 변화를 허용하는 피봇 포인트에서 함께 연결된 복수의 시트와,A plurality of sheets connected together at pivot points to allow for changes in the size, shape, number or combination of screens used in the user interface device, 관련된 컴퓨터 요소와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복수의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비주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터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And a visual interfac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heets for communication with associated computer elemen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는 다양한 구조에서 착용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The interface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sheets are wearable in various structures.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시트는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장치.7. The interface device of claim 6 wherein each seat has a driver.
KR1020067016497A 1998-10-28 1999-10-28 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 Expired - Fee Related KR1008357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593198P 1998-10-28 1998-10-28
US60/105,931 1998-10-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68A Division KR100697729B1 (en) 1998-10-28 1999-10-28 Flexible-fixed user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170A KR20060096170A (en) 2006-09-07
KR100835757B1 true KR100835757B1 (en) 2008-06-05

Family

ID=223085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7729B1 (en) 1998-10-28 1999-10-28 Flexible-fixed user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KR10200670164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5757B1 (en) 1998-10-28 1999-10-28 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97729B1 (en) 1998-10-28 1999-10-28 Flexible-fixed user interface devices and method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27303A2 (en)
JP (1) JP2002528811A (en)
KR (2) KR100697729B1 (en)
AU (1) AU1240600A (en)
CA (1) CA2347642A1 (en)
WO (1) WO2000025193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5973A (en) * 2001-12-21 2003-07-11 Sharp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980405B2 (en) * 2002-05-17 2007-09-26 株式会社東芝 Image display device
US6655788B1 (en) * 2002-05-17 2003-12-02 Viztec Inc. Composite structure for enhanced flexibility of electro-optic displays with sliding layers
WO2005032447A2 (en) 2003-08-22 2005-04-14 Foster-Miller,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
JP2005182687A (en) * 2003-12-24 2005-07-07 Canon Inc Device for executing at least either of display and input
JP2005250442A (en) * 2004-01-30 2005-09-15 Seiko Epson Corp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05091110A1 (en) * 2004-03-16 2005-09-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ollable electronic panel device
KR20050112878A (en) 2004-05-28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 phoretic indication display
TWI443615B (en) * 2005-05-17 2014-07-01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over the sleeve
CN100437319C (en) * 2005-08-12 2008-11-2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Display device
JP2007072434A (en) * 2005-08-12 2007-03-22 Seiko Epson Corp Display device
EP2458460B1 (en) * 2006-05-22 2013-12-11 Nike International Ltd. Watch display
KR20130066579A (en) * 2010-03-25 2013-06-20 레자 타가비 Tactile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neck
US9211085B2 (en) 2010-05-03 2015-12-15 Foster-Miller, Inc. Respiration sensing system
US9028404B2 (en) 2010-07-28 2015-05-12 Foster-Miller, Inc.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ystem
US9176530B2 (en) 2011-08-17 2015-11-03 Apple Inc. Bi-stable spring with flexible display
US8541745B2 (en) 2011-11-16 2013-09-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clothing detection about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120106A1 (en) 2011-11-16 2013-05-16 Motorola Mobility, Inc.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US9098069B2 (en) 2011-11-16 2015-08-0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orienting output on a display
EP2613223A1 (en) * 2012-01-09 2013-07-10 Softkinetic Software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gesture-based interaction
US8988349B2 (en) 2012-02-28 2015-03-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8947382B2 (en) 2012-02-28 2015-02-03 Motorola Mobility Llc Wearable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 for presenting output on the same
KR101940104B1 (en) 2012-08-24 2019-0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slap portion
US11237719B2 (en) 2012-11-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ontrolling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185416B2 (en)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10423214B2 (en) 2012-11-20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elegating processing from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51928B2 (en)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030446B2 (en) * 2012-11-20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cement of optical sensor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157436B2 (en) 2012-11-20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ervices associat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8994827B2 (en)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909492B1 (en) 2012-12-27 2018-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interacting with flexible device and user terminal thereof
US9622365B2 (en) 2013-02-25 2017-04-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ommodating 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US9674922B2 (en) 2013-03-14 2017-06-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lay side edge assembly and mobile device including same
JP2014186490A (en) * 2013-03-22 2014-10-02 Ntt Docomo Inc Portable terminal and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KR102109140B1 (en) 2013-04-12 2020-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395750B2 (en) 2013-05-22 2016-07-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earable apparatus
KR102167384B1 (en) * 2013-06-24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536229B1 (en) * 2013-07-11 2015-07-14 (주)필스 Smart watch having band touch sensor
CN111142363B (en) * 2013-07-16 2022-01-25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Electronic device
TWI688850B (en) 2013-08-13 2020-03-21 飛利斯有限公司 Article with electronic display
WO2015031426A1 (en)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and detection of flex state
CN105793781B (en) 2013-08-27 2019-11-05 飞利斯有限公司 Attachable device with deflection electronic component
WO2015038684A1 (en) 2013-09-10 2015-03-19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article with signaling, split display and messaging features
KR101461612B1 (en) 2013-10-16 2014-11-20 이영이 Watch type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50138699A1 (en) * 2013-11-15 2015-05-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US9484001B2 (en) 2013-12-23 2016-11-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diffuse light source to emit light approximating color of object of user interest
WO2015100333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n attachable, two-dimensional flexible electronic device
TWI676880B (en) * 2013-12-24 2019-11-11 美商飛利斯有限公司 Dynamically flexible article
WO2015100224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with user interface based on sensed movements
US20150227245A1 (en) 2014-02-10 2015-08-13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US10691332B2 (en) 2014-02-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ext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KR101480675B1 (en) * 2014-03-24 2015-01-14 김중영 Wristwatch type smart mobile terminal
WO2015184045A2 (en) 2014-05-28 2015-12-03 Polyera Corporation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s on multiple surfaces
CN104050598A (en) * 2014-06-28 2014-09-17 谭希妤 Wearable banking service electronic log device with host and screen separated
KR20170044112A (en) * 2014-07-21 2017-04-24 빔 어센틱, 엘엘씨 Wearable display devices
CN106794795A (en) 2014-07-28 2017-05-31 碧姆奥森蒂克公司 Can installing type display device
JP2016057617A (en) * 2014-09-05 2016-04-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Electronic device
KR101659030B1 (en) * 2014-09-16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of watch type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US9612623B2 (en) 2014-09-16 2017-04-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185363B2 (en) * 2014-11-28 2019-01-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278508B1 (en) * 2015-01-15 2021-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tretchable display device
JP6428312B2 (en) 2015-01-28 2018-11-28 富士通株式会社 Structures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60239091A1 (en) * 2015-02-12 2016-08-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ed display of content on wearable displays
WO2016138356A1 (en) 2015-02-26 2016-09-01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KR101778963B1 (en) * 2016-02-25 2017-09-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LEEVE SHAPED SMART APPARATUS DISPLAYING seamless IMAG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HK1250308A2 (en) * 2018-08-13 2018-12-07 进佳科技(国际)有限公司 Termial display device and wearable device using the same
JP7070352B2 (en) * 2018-11-09 2022-05-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Wearable electronic devic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US11574081B2 (en) 2020-03-18 2023-02-07 Jvckenwood Corporation User interface manipulation in a foldable scree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458A (en) * 1993-03-19 1994-09-30 Hitachi Ltd Notebook typ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4104A (en) * 1976-08-25 1979-01-09 Ernest Karras Device for displaying data in three dimensions
US5128662A (en) * 1989-10-20 1992-07-07 Failla Stephen J Collapsibly segmented display screens for computers or the like
US5418760A (en) * 1992-08-18 1995-05-23 Casio Computer Co., Ltd. Electronic devices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US5533702A (en) * 1994-05-12 1996-07-09 Alpha Enterprises, Inc. Combination computer and removable paper holder
JPH09134132A (en) * 1995-11-10 1997-05-20 Fuji Electric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GB2314179B (en) * 1996-06-12 1998-05-20 John Quentin Phillipps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H10171620A (en) * 1996-12-06 1998-06-26 Hitachi Ltd Electronic pa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458A (en) * 1993-03-19 1994-09-30 Hitachi Ltd Notebook typ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278A (en) 2002-01-26
AU1240600A (en) 2000-05-15
KR20060096170A (en) 2006-09-07
JP2002528811A (en) 2002-09-03
EP1127303A2 (en) 2001-08-29
WO2000025193A2 (en) 2000-05-04
KR100697729B1 (en) 2007-04-13
WO2000025193A3 (en) 2001-07-05
CA2347642A1 (en) 200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757B1 (en) Flex-to-fixed user interface devices
WO2000025193A9 (en) Flexible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US6344967B2 (en) Laptop computer with ergonomically enhanced interface features
EP2745183B1 (en) Apparatus cover with keyboard
US5581492A (en) Flexible wearable computer
US8774878B2 (en) Ultra mobile communicating computer with finger holes to ease grip
AU710582B2 (en) Body-worn computer
US6937464B2 (en) Ergonomic hand held display
US6967836B2 (en) Device for accommodating a tablet PC
US20160224125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20140111912A1 (en) Portabl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326400B (en) Compressed workspace notebook computer
US2022035777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1892918U (en) Sheath type keyboard
US20160219725A1 (en)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20173653A (en) Cover member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with cover
WO2006096031A2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N110417962B (en) Collapsible flexible screen intelligent terminal
CN107066047A (en)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US11880234B2 (en) Electronic device
AU720452B2 (en) Mobile computer
HK40009780A (en) A foldable flexible screen smart terminal device
JP38139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nection mechanism between housings
CN118366369A (en) Screen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509473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4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405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53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