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5743B1 -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 Google Patents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743B1
KR100835743B1 KR1020070042386A KR20070042386A KR100835743B1 KR 100835743 B1 KR100835743 B1 KR 100835743B1 KR 1020070042386 A KR1020070042386 A KR 1020070042386A KR 20070042386 A KR20070042386 A KR 20070042386A KR 100835743 B1 KR100835743 B1 KR 10083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ell
battery
case
side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치왕
Original Assignee
(주)이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이젠솔루션
Priority to KR102007004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7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74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원단자를 갖는 상하 분리형 배터리셀; 배터리셀의 상면과 하면 및 일측면을 덮고, 상면을 덮는 부분과 하면을 덮는 부분에는 각각 전원단자와 통전할 수 있도록 일측단자공이 형성된 사이드 케이스; 사이드 케이스에서 배터리셀의 일측면을 덮는 부분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충전기의 단자와 통전할 수 있도록 타측단자공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사이드 케이스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상면의 전원단자와 하면의 전원단자와 각각 통전하는 통전단자를 가지며, 커버 케이스를 향하는 타측면에는 전원공급단자를 갖는 회로기판; 및 사이드 케이스 및 배터리셀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는 라벨시트를 포함한다.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and lower removable battery cells each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on the top and bottom; A side case cover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and a side terminal hole formed at on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o as to be energized with the power terminal; A cover case coupled to a portion covering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in a side case to form an inner space, and having a terminal hole on the other side formed to allow the terminal to be energized; A circuit board fixed to the inner space and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on each side facing the side cas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on each side facing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a power supply terminal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cover case; And a label sheet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case and the battery cell.

Description

2차 전지용 배터리팩{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분리 사시도 및 조립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view of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의 사이도이다. 2 is a view of the sid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띠모양의 단자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3 illustrates a circuit board and a strip-shaped terminal t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플랜지가 형성된 띠모양의 단자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ip-shaped terminal tab in which a circuit board and a flange are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전체 사시도이다. 5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배터리셀100: battery cell

110: 사이드 케이스110: side case

120: 커버 케이스120: cover case

130: 회로기판130: circuit board

140: 라벨시트140: label sheet

150: 띠모양의 단자탭150: strip-shaped terminal tab

160: 양면 테이프160: double-sided tape

본 발명은 2차 전지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단자가 상하 분리된 타입의 2차 전지용 배터리팩에 있어서 전원단자가 형성된 면의 측면에 충전기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hrough a charger to a side of a surface on which a power terminal is formed in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of which a power terminal is separated up and down. It relates to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formed.

일반적으로 휴대용 디지털 기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을 사용한다. 이러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그 대표적인 예로는 리튬이온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니켈메탈하이드리드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 배터리팩 등이 있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In general, a battery used in a portable digital device uses a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battery packs for secondary batteries include lithium ion batteries,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metal hydride batteries, nickel hydrogen batteries, lithium battery packs,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이와 같은 배터리팩은 최근 경박단소 추세에 맞춰 내부 팩 타입(inner pack type)으로 제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내부 팩 타입은 현재 수지성형방식과 라벨(label) 조립방식, 두 가지가 대표적이다. Such battery packs are manufactured in an inner pack type in accordance with a recent trend of light and thin. In general, there are two types of inner pack types, namely resin molding and label assembly.

본 발명은 배터리셀(battery cell)의 (+), (-) 전원단자가 각각 배터리셀의 상면과 하면에 분리된 타입에 있어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조립방식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원단자가 형성된 면의 측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조립방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ssembling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in a type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power terminals of a battery cell are separated from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battery cell,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ssembling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from a side of a surface on which a power terminal is formed.

이러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조립에 있어서, 조립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배터리팩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In the assembly of such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ies,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assembly and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of the battery pack.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셀의 전원단자가 형성된 면의 측면에서 사이드 케이스를 이용하여 배터리셀과 조립하도록 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킨 2차 전지용 배터리팩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improve the coupling force by assembling with the battery cell by using a side case on the side of the surface of the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is form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은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원단자를 갖는 상하 분리형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상면과 하면 및 일측면을 덮고, 상기 상면을 덮는 부분과 상기 하면을 덮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전원단자와 통전할 수 있도록 일측단자공이 형성된 사이드 케이스; 상기 사이드 케이스에서 상기 배터리셀의 일측면을 덮는 부분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충전기의 단자와 통전할 수 있도록 타측단자공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상면의 전원단자와 상기 하면의 전원단자와 각각 통전하는 통전단자를 가지며, 상기 커버 케이스를 향하는 타측면에는 전원공급단자를 갖는 회로기판; 및 상기 사이드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셀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는 라벨시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removable battery cells each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on the bottom; A side case cover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nd a side terminal hole formed at a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and a portion covering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energized with the power terminal, respectively; A cover case coupled to a portion covering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n the side case to form an inner space and having a terminal hole on the other side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a terminal of the charger; A circuit board fixed to the inner space and having an electricity supply terminal for energizing the power terminal on the upper surface and a power terminal on the lower surface on one side facing the side cas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cover case; ; And a label sheet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case and the battery cell.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 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describing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분리 사시도 및 조립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케이스의 사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띠모양의 단자탭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기판과 플랜지가 형성된 띠모양의 단자탭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전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assembled view of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id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board and a strip-shaped terminal tab according to an example.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ip-shaped terminal tab on which a circuit board and a flange are formed,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ll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은 배터리셀(100), 사이드 케이스(110), 커버 케이스(120), 회로기판(130), 및 라벨시트(140)를 포함한다. The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100, a side case 110, a cover case 120, a circuit board 130, and a label sheet 140.

배터리셀(100)은 양극의 전원단자(104)와 음극의 전원단자(103)를 각각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전원단자는 각각 배터리셀(100)의 상면(101)과 하 면(102)에 위치하는 상하 분리형 배터리셀(100)이다. 배터리셀(100)은 이러한 전원단자(103, 104)를 통해 전원이 충전되거나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며 방전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배터리셀(100)의 상면(101)에 형성된 전원단자(음극)(103)는 배터리셀(100)로부터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이고, 하면(102)에 형성된 전원단자(양극)(104)는 배터리셀(100)로부터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후술할 내용이지만, 배터리셀(100)의 상면(101) 및 하면(102)에 형성된 전원단자(103, 104)는 사이드 케이스(110)의 일측단자공(111)을 통해서 회로기판(130)의 통전단자(132)와 통전된다. The battery cell 100 has a positive power terminal 104 and a negative power terminal 103,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terminals are vertically divided battery cells 100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101 and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respectively. The battery cell 100 discharges using the power charged or charged through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As shown in FIG. 1, the power terminal (cathode) 103 formed on the top surface 101 of the battery cell 100 is protruded convexly from the battery cell 100, and the power terminal (anod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02. 104 may be flat from the battery cell 100. 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1 and the lower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30 through one side terminal hole 111 of the side case 110. Th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terminal 132.

사이드 케이스(110)는 도 1과 같이 배터리셀(100)의 상면(101) 및 하면(102) 및 상면(101)과 하면(102) 사이의 일측면(105)을 덮는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셀(100)의 상면(101) 및 하면(102)에 형성된 전원단자(103, 104)와 통전할 수 있도록, 사이드 케이스(110)에서 배터리셀(100)의 상면(101)을 덮는 부분과 하면(102)을 덮는 부분에는 전원단자(103, 104)와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으로 일측단자공(111)이 형성된다. 사이드 케이스(110)에서 전원단자(103, 104)가 형성되지 않은 배터리셀(100)의 일측면(105)을 덮는 부분의 외측면에서는 커버 케이스(120)와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게 되는데,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13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특히, 전원단자(103, 104)를 덮는면의 외측면)에는 회로기판(130)과 전원단자(103, 104) 사이에 통전을 시키기 위한 후술할 띠모양의 단자탭(15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112)는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에 음각으로 단차가 지워져 안으로 띠모양의 단자탭(150)을 안내한다. 가이드부(112)로 안내된 띠모양의 단자탭(150) 끝 단은 일측단차공(111)을 통한 전원단자(103, 104)와 연결되어 통전을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side case 110 may have a 'c' shape covering an upper surface 101 and a lower surface 102 and one side 105 between the upper surface 101 and the lower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Can be. A portion of the side case 110 covering the top surface 101 of the battery cell 100 so as to be energized with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formed on the top surface 101 and the bottom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One side terminal hole 111 is formed in a portion covering the lower surface 102 in a position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In the outer side of the portion of the side case 110 that covers the one side 105 of the battery cell 100, the power terminal 103, 104 is not formed in combination with the cover case 120 has an internal space, the inside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pace.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particularly, the outer surface of the surface covering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is a band to be described later for energizing the circuit board 130 and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Guide portion 112 for guiding the terminal tab 150 of the shape is formed. The guide part 112 guides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into the outer side of the side case 110 in an intaglio erased step. The end of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guided to the guide portion 112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s 103 and 104 through one side step 111 to conduct electricity.

본 발명에 있어서 사이드 케이스(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ㄷ'자형 뿐만 아니라 도 2와 같이 중앙에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즉, 배터리셀(100)의 상면(101)과 배터리셀(100) 일측면(105)의 일단부를 덮는 제 1 사이드 케이스(110a)와 배터리셀(100)의 하면(102)과 배터리셀(100)의 일측면(105)의 타단부를 덮는 제 2 사이드 케이스(110b)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ase 110 may have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center as shown in FIG. 2 as well as the 'c' shap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rst side case 110a covering the upper surface 101 of the battery cell 100 and one end portion of the one side 105 of the battery cell 100, the lower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and the battery cell 100 It may be separated into a second side case (110b) covering the other end of the one side 105 of.

사이드 케이스(110)와 배터리셀(100)을 결합할 때, 사이드 케이스(110)와 배터리셀(100) 사이에 양면 테이프(160)를 삽입하여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배터리셀(100)의 단부면에 양면 테이프(160)를 붙이고, 사이드 케이스(110)를 조립하면서 사이드 케이스(110)의 내측면이 양면 테이프(160)에 붙여지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양면 테이프(160) 대신에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he side case 110 and the battery cell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a double-sided tape 16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ide case 110 and the battery cell 100 to enhance the bonding force. The double-sided tape 160 is attached to the end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0, and the inner side of the side case 110 is fixed to the double-sided tape 160 while assembling the side case 110. At this time, the adhesive may be used instead of the double-sided tape 160, of course.

커버 케이스(120)는 사이드 케이스(110)와 결합하여 커버 케이스(120)와 사이드 케이스(110)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120)에서는 타측단자공(121)이 형성되어 외부의 충전기(미도시)의 단자와 배터리셀(100)이 통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외부 충전기(미도시)의 단자는 커버 케이스(120)에 형성된 타측단자공(121)을 통해 회로기판(130)과 연결되고, 회로기판(130)은 띠모양의 단자탭(150)에 의해 각각 배터리셀(100) 상면(101)과 하면(102)에 형성된 전원단자(103, 104)와 통전되는 것이다. The cover case 120 may be combined with the side case 110 to form an internal space between the cover case 120 and the side case 110. In addition, in the cover case 120, the other terminal hole 121 may be formed to allow the terminal of the external charger (not shown) and the battery cell 100 to conduct electricity. That is, the terminal of the external charge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30 through the other terminal hole 121 formed in the cover case 120, the circuit board 130 is connected to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As a result,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1 and the lower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respectively.

커버 케이스(120)는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도 1과 같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 중간에는 단차 가 지워질 수 있고, 단차가 지워진 부분에는 홈(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케이스(120)의 양 끝단에는 사이드 케이스(110)의 홈(1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 케이스(120)가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을 덮으면서 단차가 지워진 부분을 채우게 되고, 커버 케이스(120)의 돌기(123)가 사이드 케이스(110)의 홈(115)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사이드 케이스(110)의 단차가 지워진 부분에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 케이스(120)의 끝단에 홈이 형성되는 구조일 수도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사이드 케이스(110)에서 전원단자(103, 104)가 형성되지 않은 배터리셀(100)의 일측면(105)을 덮는 부분의 외측면에 돌기(114)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122)이 커버 케이스(120)에 형성될 수 있는데, 사이드 케이스(110)에 커버 케이스(120)가 결합할 때 홈(122)에 돌기(114)가 삽입되면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ver case 120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and may have a 'c'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 A step may be eras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and a groove 115 is formed in the part where the step is erased. In addition, protrusions 12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ver case 120 to be fitted into the grooves 115 of the side case 110. Accordingly, the cover case 120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to fill the portion where the step is erased, and the protrusion 123 of the cover case 1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5 of the side case 110. It is fixed. Of cour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side case 110 in which the step is erased, and a groov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cover case 120, but the structure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In the drawing, the protrusion 11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that covers the one side surface 105 of the battery cell 100 in which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are not formed. The groove 122 may be formed in the cover case 120 at the position. When the cover case 120 is coupled to the side case 110, the protrusion 114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22 to improve the coupling force. have.

회로기판(130)은 사이드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의 결합에 의한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커버 케이스(120)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외부의 충전기(미도시)로부터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단자(131)가 형성되고, 사이드 케이스(110)를 향하는 타측면에는 각각 배터리셀(100)의 (+), (-) 전원단자(103, 104)로 전원을 인가하는 통전단자(132)가 형성되어 있다. 통전단자(132)는 배터리셀(100)의 상면(101)과 하면(102)에 각각 형성된 전원단자(103, 104)와 통전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 각각 회로기판(130)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띠모양의 단자탭(150)과 이어져 전원단자(103, 104)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ircuit board 130 is fixed to the internal space by the combination of the side case 110 and the cover case 120, and supplies external power from an external charger (not shown) to one side facing the cover case 120. Receiving power supply terminal 131 is formed, the other side facing the side case 110, the conduction terminal for applying power to the (+), (-) power terminal (103, 104) of the battery cell 100, respectively ( 132 is formed. The conduction terminal 13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ircuit board 130 to shorten the conduction distance with the power supply terminals 103 and 10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1 and the lower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o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s (103, 104).

회로기판(130)은 외부의 충전기(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전원으로부터 배터리셀(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배터리셀(100)을 맥동전류로부터 보호하는 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이다. The circuit board 130 protects the battery cell 100 from input power applied from an external charger (not shown). That is, it is a 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that protects the battery cell 100 from pulsating current.

회로기판(130)에는 도면과 같이 회로기판(130)의 중간에 홀(1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도면과 같이 회로기판(130)의 홀(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130)에 형성된 홀(133)에 사이드 케이스(110)의 상기 돌기(113)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회로기판(130)은 사이드 케이스(110)에 고정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억지낌움 맞춤을 할 수 있다. 사이드 케이스(110)에 회로기판(130)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회로기판(130)은 커버 케이스(120)에 고정되어 사이드 케이스(110)와 커버 케이스(120)에 의한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도 있다. In the circuit board 130, a hole 133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circuit board 13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at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133 of the circuit board 130 as shown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circuit board 130 may be fixed to the side case 110 by inserting the protrusion 113 of the side case 110 into the hole 133 formed in the circuit board 130. Preferably, the press fit can be made. The method of fixing the circuit board 130 to the side case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130 may be fixed to the cover case 120 to be located in an internal space by the side case 110 and the cover case 120.

이어서, 회로기판(130)과 띠모양의 단자탭(150)에 의해 배터리셀(100)의 전원단자(103, 104)와 연결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in which the circuit board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of the battery cell 100 by the band-shaped terminal tab 150 will be described.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30)이 사이드 케이스(110)를 향하는 일측면의 양 끝단에는 배터리셀(100)의 (+), (-) 전원단자(104, 103)와 각각 통전되도록 하는 통전단자(132)가 형성될 수 있다. 통전 단자(132)에 띠모양의 단자탭(150)이 각각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지그를 이용해서 점 용접을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띠모양의 단자탭(150)은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2)를 통해 안내되고, 끝단은 사이드 케이스(110)의 일측단자공(111)을 통한 전원단 자(103, 104)에 연결된다. As described above, both ends of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130 facing the side case 110 are energized terminals for energizing the (+) and (-) power terminals 104 and 103 of the battery cell 100, respectively. 132 may be formed. A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nergizing terminals 132, and may be preferably joined by spot welding using a jig.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is guided through the guide part 1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and the end thereof is the power terminal 103 through one side terminal hole 111 of the side case 110. , 104).

이때, 띠모양의 단자탭(150)에서 일측단자공(111)을 통해 전원단자(103, 104)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4와 같이 단차가 지워지며 돌출한 플랜지(151)가 형성되어 일측단자공(111)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띠모양의 단자탭(150)의 플랜지(151)가 일측단자공(111)에 삽입되므로 띠모양의 단자탭(150)이 더욱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케이스(110)의 일측단자공(111)에 플랜지(151)가 삽입된 후 점 용접 등의 방법을 추가함으로써 단자탭(150)과 사이드 케이스(11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물론, 플랜지(151)가 없는 구조에서도 점 용접을 추가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through the one-side terminal hole 111 is formed, as shown in FIG. It may be a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to the ball (111). Since the flange 151 of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is inserted into one terminal hole 111,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can be more firmly coupled. Preferably, after the flange 151 is inserted into one side terminal hole 111 of the side case 110, a method such as spot welding may be added to enha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erminal tab 150 and the side case 110. Can be. Of course, the spot welding can be added even in the structure without the flange 151.

라벨시트(140)는 사이드 케이스(110), 커버 케이스(120)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셀(100)의 외주면을 테이핑하여 최종적으로 배터리셀(100)과 상기 케이스(110, 120)들을 일체적으로 고정시킨다. The label sheet 140 may tap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0 coupled by the side case 110 and the cover case 120 to finally integrate the battery cell 100 and the cases 110 and 120 integrally. Fix it.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사이드 케이스(110)로 덮여지는 배터리셀(100)의 단부면을 따라 양면 테이프(160)의 일측면을 덮는다. 이때, 지그를 이용해서 배터리셀(100) 단부면의 정중앙에 양면 테이프(16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First, one side of the double-sided tape 160 is covered along an end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0 covered by the side case 1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uble-sided tape 160 can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end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0 using the jig.

다음, 사이드 케이스(110)를 배터리셀(100)과 결합시킨다. 사이드 케이스(110)는 'ㄷ'자형일 수 있고, 또는 도 2와 같이 가운데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앞서 붙여진 양면 테이프(160)에 의해 사이드 케이스(110)와 배터리셀(10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배터리셀(100)의 상면(101)과 하면(102)에 각각 형성된 전원단자(103, 104)는 사이드 케이스(110)에 형성된 일측단자공(111)을 통해 삽입되거나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Next, the side case 110 is coupled to the battery cell 100. The side case 110 may be a 'c' shape, or may have a structure separated in the middle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ide case 110 and the battery cell 100 may be strengthened by the double-coated tape 160 pasted. At this time,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01 and the lower surface 102 of the battery cell 100 may be inserted or positioned through one side terminal hole 111 formed in the side case 110. .

다음, 회로기판(13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통전단자(132)에 띠모양의 단자탭(150)을 각각 고정시킨다. 띠모양의 단자탭(150)의 일단을 회로기판(130)의 통전단자(132)와 점용접 등의 방법으로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Next, the strip-shaped terminal tabs 150 are fixed to the conductive terminals 132 formed at both ends of the circuit board 130, respectively. One end of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is firmly fixed to the energizing terminal 132 of the circuit board 130 by a method such as spot welding.

다음, 띠모양의 단자탭(150)이 결합된 회로기판(130)을 사이드 케이스(110)에 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30)에 형성된 홀(133)에 사이드 케이스(110)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113)에 억지끼움을 하며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띠모양의 단자탭(150)은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12)를 따라 안내되며 일측단자공(111)을 통한 전원단자(103, 104)와 연결된다. 이때, 띠모양의 단자탭(150)에 플랜지(151)가 형성된다면 일측단자공(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전원단자(103, 104)와 띠모양의 단자탭(150) 사이에는 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151)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라면 일측단자공(111)을 통해 돌출한 배터리셀(100)의 전원단자(103, 104) 위에 놓여지는 방법으로 통전시킬 수 있다. 물론 이때도 띠모양의 단자탭(150)과 전원단자(103, 104)는 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Next, the circuit board 130 to which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is coupled is coupled to the side case 110. As described above, the hole 133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30 may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while being interfitted. At this time,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is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11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s 103 and 104 through the one-side terminal hole 111. At this time, if the flange 151 is formed in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terminal hole 111 to be fixed.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terminals 103 and 104 and the band-shaped terminal tab 150 may be firmly fixed by a method such as spot welding. If the flange 151 is not formed, it can be energized in a manner that is placed on the power supply terminals 103, 104 of the battery cell 100 protruding through the one terminal hole 111. Of course, at this time,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150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s 103 and 104 can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by a method such as spot welding.

다음, 사이드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단차가 지워진 부분에 형성된 홈(115)과 커버 케이스(120)의 일단에 형성된 돌기(123)를 이용해서 사이드 케이스(110)에 커버 케이스(120)를 결합시킨다. 또한, 사이드 케이스(110)에서 회로기판(130)이 놓여지는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113)는 이에 대응하도록 커버 케이스(120)에 형성된 홈(133)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130)의 정렬상태를 확인하고, 흔들어 보아서 내부에서 유동이 없음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cover case 120 is attached to the side case 110 by using the groove 115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110 and the protrusion 123 formed at one end of the cover case 120. Combine. In addition, the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n which the circuit board 130 is placed in the side case 110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133 formed in the cover case 120 to correspond theret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heck the alignment state of the circuit board 130, shake and check that there is no flow inside.

배터리셀(100)에 사이드 케이스(110), 커버 케이스(120)가 조립된 다음에, 최종적으로 라벨 부착기 또는 수작업으로 라벨시트(140)를 배터리셀(1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시킨다. 이때, 라벨시트(140) 내측면에 접착제를 붙여서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After the side case 110 and the cover case 120 are assembled to the battery cell 100, the label sheet 140 is finally fixed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0 by a label applying machine or by hand. At this time, by attaching an adhesiv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abel sheet 140,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2차 전지용 배터리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According to the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초간편 조립식 방법으로 2차 전지용 배터리팩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can be manufactured by an ultra-easy assembly method.

둘째, 배터리셀의 측면에서 배터리셀의 상면과 하면을 향하여 사이드 케이스 를 끼워 결합하므로 다수의 라벨시트를 이용하지 않아도 배터리셀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Second, since the side case is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from the side of the battery cell, the battery cell can be firmly fixed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label sheets.

Claims (7)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전원단자를 갖는 상하 분리형 배터리셀;Vertically divided battery cells having a power supply terminal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상기 배터리셀의 상면과 하면 및 일측면을 덮고, 상기 상면을 덮는 부분과 상기 하면을 덮는 부분에는 각각 상기 전원단자와 통전할 수 있도록 일측단자공이 형성된 사이드 케이스;A side case covering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and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nd a side terminal hole formed at a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and a portion covering the lower surface so as to be energized with the power terminal, respectively; 상기 사이드 케이스에서 상기 배터리셀의 일측면을 덮는 부분과 결합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충전기의 단자와 통전할 수 있도록 타측단자공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A cover case coupled to a portion covering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n the side case to form an inner space and having a terminal hole on the other side so as to conduct electricity with a terminal of the charger; 상기 내부 공간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상면의 전원단자와 상기 하면의 전원단자와 각각 통전하는 통전단자를 가지며, 상기 커버 케이스를 향하는 타측면에는 전원공급단자를 갖는 회로기판; 및A circuit board fixed to the inner space and having an electricity supply terminal for energizing the power terminal on the upper surface and a power terminal on the lower surface on one side facing the side cas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on the other side facing the cover case; ; And 상기 사이드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셀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는 라벨시트를 포함하는, 2차 전지용 배터리팩.A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label sheet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case and the battery ce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이드 케이스는 상기 배터리셀의 상면과 상기 배터리셀 일측면의 일단부를 덮는 제 1 사이드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셀의 하면과 상기 배터리셀 일측면의 타단부를 덮는 제 2 사이드 케이스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2차 전지용 배터리팩.The side case is divided into a first side case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nd one end of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and a second side case covering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cell and the other end of the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사이드 케이스에서 상기 배터리셀의 일측면을 덮는 부분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홈이 끼워짐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이 고정되는, 2차 전지용 배터리팩.The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the circuit board is fixed by the groove formed in the circuit board is fitted to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portion covering one side of the battery cel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사이드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배터리셀의 단부면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2차 전지용 배터리팩.And a double-sided tape attached to an end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side cas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일단은 상기 통전단자와 접촉하고, 상기 사이드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이어지며, 타단은 상기 일측단자공을 통한 상기 전원단자와 접촉하는 띠모양의 단자탭에 의해, 상기 배터리셀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전원단자가 상기 통전단자와 각각 통전되는, 2차 전지용 배터리팩.One end of the battery cell is contacted with the conducting terminal and continues along a guide por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ase, and the other end is formed by a strip-shaped terminal tab contacting the power terminal through the one terminal hole. Power supply terminal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electricity supply terminal, respectively, the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ie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단차를 가지고 상기 일측단자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랜지가 상기 띠모양의 단자탭에 형성되는, 2차 전지용 배터리팩.The battery pack for a secondary battery, the flange is inserted into the one side terminal hole having a step is formed in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통전단자와 상기 띠모양의 단자탭 간, 및 상기 띠모양의 단자탭과 상기 전원단자 간은 각각 점용접에 의하여 결합되는, 2차 전지용 배터리팩.Between the energizing terminal and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and between the strip-shaped terminal tab and the power terminal are each bonded by spot welding.
KR1020070042386A 2007-05-01 2007-05-01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Active KR1008357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386A KR100835743B1 (en) 2007-05-01 2007-05-01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386A KR100835743B1 (en) 2007-05-01 2007-05-01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743B1 true KR100835743B1 (en) 2008-06-05

Family

ID=3977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386A Active KR100835743B1 (en) 2007-05-01 2007-05-01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743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922B1 (en) 2007-10-09 2008-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0922468B1 (en) 2007-09-21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US8399111B2 (en) 2009-11-30 2013-03-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673486B2 (en) 2010-08-23 2014-03-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including cover case covering, holder case and protection circuit module
US8895178B2 (en) 2007-05-25 2014-11-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999570B2 (en) 2009-11-30 2015-04-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exhibiting enhances structural strength
US9112190B2 (en) 2010-06-08 2015-08-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including frame
KR20210079773A (en)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Composite panel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4096A (en) 2001-12-04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JP2004362874A (en) 2003-06-03 2004-12-24 Hitachi Maxell Ltd Battery pack
KR20050081175A (en) * 2004-02-13 200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of improved structure
KR20070026224A (en) * 2005-09-02 2007-03-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4096A (en) 2001-12-04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JP2004362874A (en) 2003-06-03 2004-12-24 Hitachi Maxell Ltd Battery pack
KR20050081175A (en) * 2004-02-13 2005-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pack of improved structure
KR20070026224A (en) * 2005-09-02 2007-03-0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Secondary battery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5178B2 (en) 2007-05-25 2014-11-2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0922468B1 (en) 2007-09-21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100867922B1 (en) 2007-10-09 2008-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US8785021B2 (en) 2007-10-09 2014-07-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399111B2 (en) 2009-11-30 2013-03-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999570B2 (en) 2009-11-30 2015-04-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exhibiting enhances structural strength
US9112190B2 (en) 2010-06-08 2015-08-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including frame
US8673486B2 (en) 2010-08-23 2014-03-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including cover case covering, holder case and protection circuit module
KR20210079773A (en)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Composite panel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2272807B2 (en) 2019-12-20 2025-04-08 Amogreentech Co., Ltd. Composite panel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743B1 (en) A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KR100928120B1 (en) Secondary battery
KR101311252B1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1293591B1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0922468B1 (en) Battery pack
KR101305248B1 (en) Secondary Battery Pack
JP2008305774A (en) Battery pack
JP2006140149A (en) Mobile terminal battery
KR20070089420A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KR20110040670A (en) Battery pack
KR101222397B1 (en) Battery pack
KR100685115B1 (en) Battery pack
US20110250474A1 (en) Secondary battery
KR20140098440A (en) Battery pack
KR101726777B1 (en) Jig for Assembling of Battery To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And Battery Prepared Using the Same
KR101024387B1 (en)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KR20160132142A (en) Battery pack
KR101770330B1 (en) A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electrical connected groove
KR20150000825A (en) Battery pack
KR20080095430A (en)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KR20080065132A (en) Battery pack for secondary battery
KR20210043900A (en) Easy assembling battery power pack
KR200473443Y1 (en) Battery pack of simplified combination structure in which holder and covercase are integral
KR102244949B1 (en) Lithium ion power pack
KR101313323B1 (en) Battery Pack Improved in Mounting Structure of Battery Cap onto Battery Cell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