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5136B1 -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136B1
KR100835136B1 KR1020080021906A KR20080021906A KR100835136B1 KR 100835136 B1 KR100835136 B1 KR 100835136B1 KR 1020080021906 A KR1020080021906 A KR 1020080021906A KR 20080021906 A KR20080021906 A KR 20080021906A KR 100835136 B1 KR100835136 B1 KR 100835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ing ring
fastened
rear sides
support rod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창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창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2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1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1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으로 양분되어 전주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원뿔통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이 형성되는 상단고정링과; 전후방측으로 양분되어 상기 상단고정링 하측의 전주에 고정되는 링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이 형성되는 하단고정링과; 판체로 양단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링의 좌우측날개판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며, 상기 하단고정링의 좌우측날개판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상하측지지대와; 십자형상의 판체로 상하단부에는 상기 상하측지지대 타단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되되 체결볼트에는 상하측지지대 사이에 원통형상의 보빙이 개재되고, 좌우측단부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애자공에 각각 삽입고정되어 전후방측에서 완금을 고정지지하는 돌출바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전후방측십자고정판을 구비하는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공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져 경완금의 설치를 보다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고, 경완금의 안정된 설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 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완금의 설치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설되는 고압케이블이 복잡한 지역에서도 적당한 위치로 변경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단고정링, 하단고정링, 상하측지지대, 전후방측십자고정판

Description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Connection apparatus of light weight buffer metal for high-tension wire}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져 경완금의 설치를 보다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고, 경완금의 안정된 설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완금의 설치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설되는 고압케이블이 복잡한 지역에서도 적당한 위치로 변경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 선로를 통해 고압 전력으로 각 변전소에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송전된 전력을 변압하여 각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선 케이블에 의해 각 지역으로 공급된다.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신주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각 전신주에서의 전선케이블은 배전선로에 따라서 단상식과 2선식, 3선식이 있으며, 이들 전선 케이블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는 것은 이미 주지된바와 같다.
여기서, 고압 전기는 3상 3선 또는 3상 4선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3개 또는 4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며, 이들은 합선사고의 방지를 위해 항상 팽팽한 장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신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 전신주의 상부에 지지대(이하, "경완금"이라 칭함.)를 설치하여 각 고압케이블들이 합선되지 않는 간격으로 평행하면서 팽팽한 긴장력을 갖도록 배선하는데 이러한 고압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대는 사각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또 밴드형 클램프로 전신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 케이블의 연결시공은, 전선케이블의 선로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전신주 상단 양측면으로 횡설되는 경완금의 양측에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 케이블을 연결결합하고, 양측 현수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경완금의 양측 상면에 고정설치된 지지용 애자(Line post:핀애자)를 통해 점퍼선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지지하는 시공이 이루어져 왔다.
여기서, 이와 같이 수 개의 현수애자와 지지용 애자 등을 전신주에 체결하여 전선 케이블의 가설을 가능하게 하는 경완금은, 전신주에 연결 고정을 취해줄 수 있는 별개의 "U"자형 결속구를 이용하여 체결 설치하는 단순 시공 방식으로 취해져 왔다.
그러므로, 경완금의 설치를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없었고, 시공상에 많은 불편 및 애로 사항이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충 설명하면, 경완금을 설치하기 위해선 "U"자형 결속구를 전신주에 위치시킨 후 이 상태에서 "U"자형 결 속구에 경완금을 이동 연결 시켜 너트로 상호간을 체결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여야만 하였으므로 작업자 단독으로 시공하기가 사실상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경완금과 "U"자형 결속구 상호간의 연결 구조가 비견고하여 전신주 상에 경완금의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하기에는 미흡한 구조적 결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선로 방향을 전신주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경완금을 전신주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횡설할 경우에는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지지구를 증설해야만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져 경완금의 설치를 보다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고, 경완금의 안정된 설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완금의 설치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설되는 고압케이블이 복잡한 지역에서도 적당한 위치로 변경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후방으로 양분되어 전주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원뿔통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이 형성되는 상단고정링과;
전후방측으로 양분되어 상기 상단고정링 하측의 전주에 고정되는 링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이 형성되는 하단고정링과;
판체로 양단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링의 좌우측날개판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 며, 상기 하단고정링의 좌우측날개판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상하측지지대와;
십자형상의 판체로 상하단부에는 상기 상하측지지대 타단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되되 체결볼트에는 상하측지지대 사이에 원통형상의 보빙이 개재되고, 좌우측단부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애자공에 각각 삽입고정되어 전후방측에서 완금을 고정지지하는 돌출바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전후방측십자고정판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공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져 경완금의 설치를 보다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있고, 경완금의 안정된 설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경완금의 설치높이를 상하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설되는 고압케이블이 복잡한 지역에서도 적당한 위치로 변경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 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연속적인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는, 전주(60) 상단에 고정되어 상측지지대(30) 일단을 고정지지하는 상단고정링(10,10a)과, 상단고정링(10,10a) 하부에 위치되어 하측지지대(30a) 일단을 고정지지하는 하단고정링(20,20a)과, 전후방측십자고정판(40,40a)을 상하단고정링(10,10a)(20,20a)에 각각 고정지지하는 상하측지지대(30,30a)과, 상하측지지대(30,30a)에 완금(50)을 고정지지시키는 전후방측십자고정판(40,40a)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단고정링(10,10a)은 전후방으로 양분되어 전주(60)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원뿔통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12)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11,11a)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12a)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 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60)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13,13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단고정링(20,20a)은 전후방측으로 양분되어 상기 상단고정링(10,10a) 하측의 전주(60)에 고정되는 링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12)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21,21a)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12a)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60)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23,23a)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지지대(30,30a)는 전후방측십자고정판(40,40a)을 상하단고정링(10,10a)(20,20a)에 각각 고정지지하는 판체로, 양단에는 상기 체결볼트(12)가 관통되는 관통공(31,32)(31a,32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링(10,10a)의 좌우측날개판(11,11a)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12)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며, 상기 하단고정링(20,20a)의 좌우측날개판(21,21a)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12)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된다.
상기 전후방측십자고정판(40,40a)은 상하측지지대(30,30a)에 완금(50)을 고정지지시키는 십자형상의 판체로, 상하단부에는 상기 상하측지지대(30,30a) 타단 관통공(32)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2)가 관통되어 너트(12a)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볼트공(41,41a)이 각각 형성되되 체결볼트(12)에는 상하측지지대 사이에 원통형상의 보빙(43,43a)이 각각 개재되고, 좌우측단부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애자공(52)에 각각 삽입고정되어 전후방측에서 완금(50)을 고정지지하는 돌출바(42,42a)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좌우측십자고정판(40,40a)의 상하측 볼트공(41,41a)에 체결고정된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약간 풀고서 완금(5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상하측지지대(30,30a)의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보다 길게 또는 보다 짧게 형성시킴으로써 애자(51)가 고정된 완금(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완금(50)을 전주(60) 상하측으로 연속적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의 연속적인 시공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상단고정링 11,11a : 좌우측날개판
12 : 체결볼트 12a : 너트
13,13a : 미끄럼방지판
20,20a : 상단고정링 21,21a : 좌우측날개판
23,23a : 미끄럼방지판
30,30a : 상하측지지대 31,32,31a,32a : 관통공
40,40a : 전후방측십자고정판 41,41a : 볼트공
42,42a : 돌출바
50 : 완금 51 : 애자
52 : 애자공
60 : 전주

Claims (1)

  1. 전후방으로 양분되어 전주의 상단에 끼움고정되는 원뿔통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이 형성되는 상단고정링과;
    전후방측으로 양분되어 상기 상단고정링 하측의 전주에 고정되는 링체로 좌우측단에는 중심측에 체결볼트가 전후방측으로 관통되는 좌우측날개판이 각각 형성되어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내주연 전후방측에 고정되어 전주와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이 형성되는 하단고정링과;
    판체로 양단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단고정링의 좌우측날개판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며, 상기 하단고정링의 좌우측날개판 전후방측에 일단이 체결볼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상하측지지대와;
    십자형상의 판체로 상하단부에는 상기 상하측지지대 타단 관통공을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어 너트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는 볼트공이 각각 형성되되 체결볼트에는 상하측지지대 사이에 원통형상의 보빙이 개재되고, 좌우측단부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애자공에 각각 삽입고정되어 전후방측에서 완금을 고정지지하는 돌출바가 각각 돌출형성되는 전후방측십자고정판을 구비하는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0080021906A 2008-03-10 2008-03-10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Active KR100835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906A KR100835136B1 (ko) 2008-03-10 2008-03-10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906A KR100835136B1 (ko) 2008-03-10 2008-03-10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136B1 true KR100835136B1 (ko) 2008-06-04

Family

ID=3977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906A Active KR100835136B1 (ko) 2008-03-10 2008-03-10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1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56B1 (ko) 2009-06-26 2009-09-14 성무전력(주) 송·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32244B1 (ko) 2009-06-26 2009-12-16 성무전력(주) 송·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0962343B1 (ko) 2009-12-02 2010-06-10 주식회사 대아전기소방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KR100965777B1 (ko) 2010-04-22 2010-06-24 (주) 나우엔지니어링 전선 케이블 연결용 경완금
KR100979767B1 (ko) 2009-12-01 2010-09-02 (주)진원엔지니어링 배전선의 위치조정용 전선대
EP3482022B1 (en) * 2016-07-07 2024-08-07 Comrod AS System for attaching a crossbar to at least two pylons in a pylon structure for the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of power and method of attachment of such a crossb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018A (ja) * 1996-06-14 1998-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018A (ja) * 1996-06-14 1998-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素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10-075018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56B1 (ko) 2009-06-26 2009-09-14 성무전력(주) 송·배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32244B1 (ko) 2009-06-26 2009-12-16 성무전력(주) 송·배전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0979767B1 (ko) 2009-12-01 2010-09-02 (주)진원엔지니어링 배전선의 위치조정용 전선대
KR100962343B1 (ko) 2009-12-02 2010-06-10 주식회사 대아전기소방 배전선로 완금의 높이조절 및 작업용 전원장치
KR100965777B1 (ko) 2010-04-22 2010-06-24 (주) 나우엔지니어링 전선 케이블 연결용 경완금
EP3482022B1 (en) * 2016-07-07 2024-08-07 Comrod AS System for attaching a crossbar to at least two pylons in a pylon structure for the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of power and method of attachment of such a crossb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136B1 (ko)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0172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US79775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temporary conductor tension support i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circuits
KR100586484B1 (ko) 아킹혼 설치용 간격조절 장치
KR100750182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62078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815167B1 (ko)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860978B1 (ko) 송전가공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079656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87633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31978B1 (ko) 송·배전용 전선케이블 연결장치
CN222029555U (zh) 一种用于变电站架空线路的台架变结构
KR100677657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681733B1 (ko) 연합케이블을 이용한 가공 송배전 선로장치
KR100907433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013238B1 (ko) 전선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레일식 경완금 연결구
KR10084316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51993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0840945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20030055253A (ko) 공중 전력선용 전주 상단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03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04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