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5110B1 -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110B1
KR100835110B1 KR1020030045666A KR20030045666A KR100835110B1 KR 100835110 B1 KR100835110 B1 KR 100835110B1 KR 1020030045666 A KR1020030045666 A KR 1020030045666A KR 20030045666 A KR20030045666 A KR 20030045666A KR 100835110 B1 KR100835110 B1 KR 100835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mounting portion
main body
handle
spinning r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267A (ko
Inventor
타케시 이쿠타
히로카즈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0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1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에 설치되는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간소한 구성으로 종래의 릴에 장착되도록 한다.
[해결 수단] 릴 본체(2)는 낚싯대(R)에 장착되는 부착부(2c)와 릴 몸통(2a)를 가지고 있다. 릴 몸통(2a)의 양측부에는 핸들(1)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장착부(2d)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1)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쪽의 핸들 장착부(2d)에는 스탠드 부재(70)이 장착되어 있다. 스탠드 부재(70)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 부재(71)과, 본체 부재(71)의 한쪽 단에 설치된 장착부(72)와, 본체 부재(71)의 다른쪽 단에 설치된 접지부(73)을 가지고 있다. 접지부(73)은 릴이 낚싯대(R)에 장착된 상태에서 로터(3)의 회전 궤적이 지면(G)로부터 이반하도록 낚싯대(R)과 함께 접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30045666
핸들, 릴, 스풀, 뒤꽂이, 로터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Stand Device for Spinning R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스탠드 부재를 장착한 상기 스피닝 릴의 배면도.
도 4는 상기 스탠드 부재의 단면도.
도 5는 캡 부재를 장착한 상기 스피닝 릴의 배면도.
도 6은 상기 캡 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핸들 2: 릴 본체
2d: 핸들 장착부 3: 로터
4: 스풀 70: 스탠드 부재
71: 본체 부재 72: 장착부
73: 접지부 80: 캡 부재
G: 지면 R: 낚싯대
본 발명은 스탠드 부재, 특히, 스피닝 릴에 설치되는 스탠드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비로서 생미끼를 바늘에 걸어 낚시를 행하는 이른바 끌낚시를 스피닝 릴로 행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끌낚시에서는 채비를 투척한 채로 핸들이나 로터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낚싯대를 뒤꽂이 등에 두고서 생미끼를 잠시 헤엄치게 해놓고 낚시꾼은 입질을 기다리게 된다. 이 경우, 특히, 부두나 제방으로부터 끌낚시를 행할 때에는 뒤꽂이를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뒤꽂이를 부착했다고 하여도 포인트를 변경하기 위해 빈번하게 이동할 때 뒤꽂이를 가지고 이동하는 것은 수고가 든다. 또한, 입질이 있을 때는 즉시 감아 올리는 조작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뒤꽂이에 부착하면 민첩하게 감아 올리는 조작을 하기 어렵다.
그래서, 실개평4-916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금속봉을 굴곡시켜 사다리꼴 형상의 스탠드 부재를 릴 본체에 형성된 계합부에 부착한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릴에서는 릴 본체에 스탠드 부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뒤꽂이에 부착이 불필요하게 되어 간단하게 운반할 수가 있는 것과 함께, 입질이 있을 때 즉시 감아 올리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릴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의 스탠드 부재가 릴 본체에 형성된 계합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입질이 있었을 때에 즉시 감아 올리는 조작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탠드 부재는 금속봉을 굴곡시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탠드 부재의 가공에 수고가 들고, 구성이 복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릴 본체에는 스탠드 부재 부착 전용의 계합부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릴에 스탠드 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에 설치되는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간소한 구성으로 종래의 릴에 부착되도록 하는데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는, 좌우 양측부에 핸들 장착부를 가지고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핸들 장착부에 캡 부재가 부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 부재와, 본체 부재의 한쪽 단에 설치되어 핸들 장착부에 캡 부재를 대신하여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와, 본체 부재의 다른쪽 단에 설치되어 스피닝 릴이 낚싯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로터의 회전 궤적이 지면으로부터 이반하도록 낚싯대와 함께 접지할 수 있는 접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탠드 부재에서는 끌낚시를 하는 경우, 핸들 장착부에 캡 부재를 대신하여 장착부를 장착하고, 로터의 회전 궤적이 지면으로부터 이반하도록 낚싯대와 함께 접지부를 접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릴을 세울 수 있다. 여기서는, 본체 부재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탠드 부재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스탠드 부재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또한, 핸들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써, 종래의 릴에 스탠드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스탠드 부재는 발명 1에 기재된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캡 부재 및 장착부는 핸들 장착부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캡 부재 및 장착부 또는 핸들 장착부에 수나사 또는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탠드 부재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스탠드 부재는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본체 부재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이 경우, 본체 부재를 알루미늄 합금으로써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 부재의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스탠드 부재는 발명 1 또는 발명 2에 기재된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접지부는 본체 부재와 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접지부와 본체 부재를 다른 재질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스탠드 부재는 발명 4의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접지부는 스텐레스 합금제이다. 이 경우, 접지부를 스텐레스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지면에 접하는 접지부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R)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축 둘레에 낚싯줄을 권취하는 릴에 있어서, 핸들(1)을 구비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로터(3)과, 로터(3)의 앞부분에 배치된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4)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이고, 낚싯대(R)에 장착되는 전후로 긴 부착부(2c)와, 부착부(2c)와 간격을 두고 배 치되어 내부에 기구 수납 공간을 가지는 릴 몸통(2a)와, 부착부(2c)와 릴 몸통(2a)를 연결하는 다리부(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통(2a)의 양측부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장착부(2d)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핸들(1)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측의 핸들 장착부(2d)에는, 도 3에 도시한 스탠드 부재(70) 또는 도 5에 도시한 캡 부재(80)이 장착 가능하다.
스탠드 부재(7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 부재(71)과, 본체 부재(71)의 한쪽 단에 설치된 장착부(72)와, 본체 부재(71)의 다른쪽 단에 설치된 접지부(73)을 가지고 있다.
본체 부재(7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합금제의 통 형상 부재이다. 장착부(72)는 캡 부재(80)이 장착 가능한 핸들 장착부(2d)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부(72)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장착부(2d)의 도시하지 않은 암나사에 나사 감합(嵌合)하는 수나사(72a)가 형성되어 있다.
접지부(7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이 낚싯대(R)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로터(3)의 회전 궤적이 지면(G)로부터 이반하도록 낚싯대(R)과 함께 접지할 수 있다. 접지부(73)은 본체 부재(71)과 별체로 설치된 스텐레스 합금제의 부재이다.
캡 부재(8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이 장착되지 않은 쪽의 핸들 장착부(2d)에 장착된다. 캡 부재(8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장착부(2d)의 도시하지 않는 암나사에 나사 감합하는 수나사(80a)가 형성되어 있다.
릴 몸통(2a)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을 회전시키기 위한 로터 구동 기구(5)와, 로터(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레버 브레이크 기구(6)과, 스풀 축(8)을 통하여 스풀(4)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오실레이팅 기구(20)이 설치되어 있다.
로터(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 또는 금속제이고,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은 원통부(3a)와, 원통부(3a)의 옆쪽으로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암부(3b) 및 제2 암부(3c)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b)의 앞단과 제2 암부(3c)의 앞단부에는 요동 가능하게 베일 암(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베일 암(9)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4)로 안내된다.
스풀(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암부(3b)와 제2 암부(3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 스풀 축(8)의 앞단에 탈착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4)는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권사 몸통부(4a)와, 권사 몸통부(4a)의 후단부에 금속 박판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된 통 형상의 스커트부(4b)와, 권사 몸통부(4a)의 내주 측에 부착된 합성수지제의 내통 부재(4c)를 가지고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이 고정된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는 마스터 기어(11)과, 이 마스터 기어(11)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핸들 축(10)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피니언 기어(12)의 앞부분은 로터(3)을 관통하여 스풀(4)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 브레이크 기구(6)은 제동부(16)과 제동부(16)의 제동력을 조정하고 조작하기 위한 제동 레버(17)과, 제동부(16)을 소정 제동 상태로 조작하기 위한 보조 레버(18)과, 제동 레버(17)을 부착부(2c)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19)를 가지고 있다.
이 스탠드 부재(70)에서는, 끌낚시를 행하는 경우, 핸들 장착부(2d)에 캡 부재(80) 대신에 장착부(72)를 장착하여, 로터(3)의 회전 궤적이 지면(G)로부터 이반하도록 낚싯대(R)와 함께 접지부(73)을 접지시킴으로써, 릴을 세울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체 부재(71)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탠드 부재(70)의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스탠드 부재(70)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또한, 핸들 장착부(2d)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착부(72)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릴에 스탠드 부재(70)을 부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버 브레이크 형의 스피닝 릴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모든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탠드 부재(70)은 캡 부재(80)이 부착되는 핸들 장착부(2d)에 장착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덮개 부재 등의 핸들 장착부에 장착해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본체 부재(71)과 스텐레스 합금제의 접지부(73)을 별체로 설치하고 있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부재(71)과 접지부(73)을 일체로 성형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체 부재(71) 및 접지부(73)의 재질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에 설치되는 스탠드 부재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 부재와, 핸들 장착부를 폐색하는 캡 부재에 대신하여 장착 가능한 장착부와, 스피닝 릴이 낚싯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로터의 회전 궤적이 지면으로부터 이반하도록 낚싯대와 함께 접지 가능한 접지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종래 릴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좌우 양측부에 핸들 장착부를 가지고 로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장착되지 않은 쪽의 상기 핸들 장착부에 캡 부재가 부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에 있어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본체 부재;
    상기 본체 부재의 한쪽 단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 장착부에 상기 캡 부재를 대신하여 장착 가능한 장착부; 및
    상기 본체 부재의 다른쪽 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피닝 릴이 낚싯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회전 궤적이 지면으로부터 이반하도록 상기 낚싯대와 함께 접지 가능한 접지부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 및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핸들 장착부에 나사로 고정되는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는 알루미늄 합금제인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본체 부재와 별체로 설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스텐레스 합금제인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KR1020030045666A 2002-07-15 2003-07-07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Expired - Fee Related KR100835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5692A JP3684359B2 (ja) 2002-07-15 2002-07-15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タンド部材
JPJP-P-2002-00205692 2002-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267A KR20040007267A (ko) 2004-01-24
KR100835110B1 true KR100835110B1 (ko) 2008-06-04

Family

ID=2999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6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5110B1 (ko) 2002-07-15 2003-07-07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684359B2 (ko)
KR (1) KR100835110B1 (ko)
CN (1) CN100407912C (ko)
TW (1) TWI2720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4819B2 (ja) * 2008-05-12 2013-10-2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5180111B2 (ja) * 2009-01-30 2013-04-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0193782A (ja) * 2009-02-25 2010-09-0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タンド部材
JP6080591B2 (ja) * 2013-02-15 2017-02-15 有限会社ライラクス 魚釣り用リールのスタンド
JP7190835B2 (ja) * 2018-07-20 2022-12-16 株式会社シマノ フックキーパーおよび魚釣り用リール
JP7086827B2 (ja) 2018-12-14 2022-06-20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用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261Y2 (ja) * 1990-12-26 1995-05-10 恒人 吉岡 スタンド付リール
JP2001136873A (ja) * 1999-11-11 2001-05-2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CN2471113Y (zh) * 2001-03-23 2002-01-16 宝熊渔具股份有限公司 卷线器的摇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41138A (ja) 2004-02-12
JP3684359B2 (ja) 2005-08-17
CN100407912C (zh) 2008-08-06
CN1468512A (zh) 2004-01-21
TW200400792A (en) 2004-01-16
KR20040007267A (ko) 2004-01-24
TWI272060B (en)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9135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기구
KR100835110B1 (ko) 스피닝 릴의 스탠드 부재
US6375107B1 (en) Spincast fishing reel
US9510576B2 (en) Spinning reel
EP0768030A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877307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JP389269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EP1393625B1 (en)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TWI272062B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0200013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200408114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375955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3274816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US7077349B2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
JP200126909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CN1239076C (zh) 旋转卷线器的卷线器本体
JP2925923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123857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432446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4015902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動作装置
JP200125843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0408115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59658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3274824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35189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7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