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659B1 -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4659B1 KR100834659B1 KR1020020019887A KR20020019887A KR100834659B1 KR 100834659 B1 KR100834659 B1 KR 100834659B1 KR 1020020019887 A KR1020020019887 A KR 1020020019887A KR 20020019887 A KR20020019887 A KR 20020019887A KR 100834659 B1 KR100834659 B1 KR 1008346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function
- teleph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y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a phone number storage method.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복수의 전화번호의 입력함으로써, 복수의 전화번호로 전화통신 및 단문 메시지 전송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By provid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elephone communication and a short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nd a method of stor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s provided.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기능 메뉴에 구분 기능을 구비하고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 및 전화번호부 기능이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상모드에서 상기 기능 메뉴의 구분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일시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vision function in the function menu and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and the phone book function are set, a method of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us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and storing a phone number, in a norm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t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using a division function of the function menu; temporarily storing the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n a memor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process of transmitting a telephone message, a short message, and storing the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통신,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 시, 이용될 수 있다.
It can be used for telephony,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phone number stor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통신, 단문 메시지 기능, 전화번호부 Mobile terminal, telephony, short message function, phone book
Description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2 is a control flowchart for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 input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 입력 기능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 3 is a screen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 input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연속으로 전화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a function that allows for continuous telephone communication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연속으로 전화통신을 할 수 있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FIG. 5 is a screen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continuously telephony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6 is a control flow diagram for a function that can simultaneously send a short message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 7 is a screen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8 is a control flowchart for a function of register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 a phone b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
9 is a screen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 a phone b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통신,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elephony,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phone number stor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증가는 이동통신 분야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욕구는 증대되고 있다. 상기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들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Currently, the number of mobile terminal users is increasing rapidl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has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field, and thus the users' desire for the qual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increasing.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the users, service providers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2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연속으로 통화를 원할 시, 첫 번째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및 종료를 한 다음 두 번째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2명 이상의 수신자에게 같은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기 할 수 없다. 따라서 일일이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메시지를 전송해야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번지에 또는 각각의 번지에 저장할 수 없다.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ants to talk to two or more recipients continuously, the first telephone number is entered, the call is terminated, and the second telephone number is entered to make a call. And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transmit the same message to two or more recipients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ter a phone number manually to send a message. And multiple phone numbers cannot be stored in one address or in each address.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또한 대기화면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단문 메시지 관리키를 입력하면 메시지 작성화면으로 이동하지 않고, 단문 메시지 관리의 초기화면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대기화면에서 입력한 전화번호는 무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because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cannot be input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if a short message management key is input after entering a phone number on the idle screen, the phone number input from the idle screen is ignored because the message is not moved to the message creation screen but moved to the initial screen of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put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전화번호로 연속으로 발신하여 전화통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elephony communication by continuously call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nput by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전화번호로 동일한 단문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the same short message to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put by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번지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tor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nput by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one addr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의 번지에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in which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tore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t each addr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능 메뉴에 구분 기능을 구비하고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 및 전화번호부 기능이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상모드에서 상기 기능 메뉴의 구분 기능을 이용하여 복 수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일시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lephony and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telephone number storage method us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ivision function in a function menu and a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and a phone book function. Inputt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using a division function of the function menu in a normal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emporarily storing the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n a memor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telephony,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storing the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us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stored in the memory un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통상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00)는 키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저장할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감지한다. 키 입력부(110)에 의해 입력되는 다른 기능키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the
키 입력부(11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 # 등)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복수의 수신자에게 전화통화 및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시, 그리고 복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 시에 이용된다. The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 시,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현재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변화를 표시한다.The
메모리부(130)는 동작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화통화 및 단문 메시지 전송을 위해 전화번호 입력 시, 상기 메모리부(130)는 일시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에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 시, 상기 메모리부(130)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한다. The
음성처리부(140)는 마이크(MIC)에 의해 입력된 전기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처리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140)는 상기 무선 처리부(150)로부터 입력받은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K)로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SPK)는 이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voice processor 140 modulates the electric signal input by the microphone MIC,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into voice data,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o the
무선 처리부(150)는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한 고주파 무선 신호를 받아 고주파 무선 신호를 베이스 밴드 복조를 통해 하 강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설정한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한 후 이를 안테나(ANT)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The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복수의 입력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 is a control flowchart for inputt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20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2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215단계로 진행하고,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다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2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메뉴 키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22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메뉴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255단계로 진행한다. 2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뉴 키에 해당하는 메뉴를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2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 항목 중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기능이 선택되었으면 230단계로 진행하고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215단계로 진행한다. 2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구분 기능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구분 기능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 되면 24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구분 기능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2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220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 기능 항목 중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230단계에서 구분 기능이 선택된 후, 상기 제어부(100)는 다른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25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245단계로 진행한다. 24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2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O0)는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240단계로 진행하여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구분 기능이 종료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이 표시된다. 2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30단계와 같이 구분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구분 기능이 선택에 대한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뉴에 해당하는 키를 입력한 후, 구분 기능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하는 방법과 구분 기능을 나타내는 단축키를 구비한 후, 상기 구분 기능을 나타내는 단축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250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구분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240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전화번호가 입력되는지의 판단을 하고 상기 구분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255단계로 진행한다. 25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에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한다. 그 후, 26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통화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통화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도 4의 40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통화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26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0단계는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26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단문 메시지 관리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단문 메시지 관리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도 6의 60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관리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27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0단계는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27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도 8의 80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전화번호부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종료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800단계는 도 8에 대해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I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호번호 복수의 입력 기능의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 input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is as follows.
3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0단계의 대기화면에서 상기 205단계와 같이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전화번호가 입력됨을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120)에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3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5단계와 같이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메뉴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120)에 기능 키 선택에 해당하는 내용을 상기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3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30단계의 구분 기능 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구분 기능키가 선택 시, 상기 표시부(120)에 상기 구분 기능키 선택에 해당하는 내용을 표시한다. 3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40단계와 같이 상기 300단계와 다른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20)에 그에 해당하는 내용을 표시한다. I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연속으로 전화할 수 있는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4 is a control flowchart for a function for continuously calling a plurality of recipi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s as follows.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도 2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한 후, 상기 260단계에서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통화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됨을 판단하면, 40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분리한다. 그 후, 4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55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 첫 번째 전화번호로 발신한다. 4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415단계로 진행한다. 4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첫 번째 전화번호로의 발신부터 종료까지 통화시간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4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임의의 기능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임의의 기능키가 입력되면 42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임의의 기능키의 입력이 없을 시, 435단계로 진행한다. 4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 장된 두 번째 전화번호를 삭제한다. 그리고 430단계로 진행하여 420단계에서 입력된 임의의 기능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420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임의의 기능키의 입력이 없을 시, 43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두 번째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한다. 44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445단계로 진행한다. 44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두 번째 전화번호로의 발신으로부터 종료까지의 통화시간을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 후, 4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도 4의 설명에서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전화번호를 2개로 한정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250단계와 같이 구분 기능을 추가함으로서 더 많은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 더 많은 전화번호로 연속적인 발신이 가능할 수 있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연속으로 전화할 수 있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5 is a screen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inuously calling a plurality of recipi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s as follows.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60단계에서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통화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고 상기 40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분리한다. 그 후, 5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405단계와 같이 상기 메모리부(130)부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 첫 번째 전화번호로 발신하는 과정을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5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410단계에서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어 통화 가 종료됨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두 번째 전화번호로의 발신부터 종료까지의 통화시간을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5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120)에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두 번째 전화번호를 표시하며, 상기 520단계와 같이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임의의 기능키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520단계에서 임의의 기능키의 입력이 없을 시, 5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두 번째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한다. 54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440단계와 같이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120)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두 번째 전화번호로의 발신부터 종료까지의 통화시간을 표시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100)는 모든 전화통화의 종료를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만약 상기 전화번호 입력에 있어서, 3개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면, 상기 540단계 이후 임의의 기능키에 대한 입력이 없을 시, 세 번째 전화번호로 발신할 것이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2,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6 is a control flowchart for a function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6 is as follows.
상기 26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단문 메시지 관리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됨을 판단하면 600단계로 진행한다. 6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분리한다. 6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65단계의 단문 메시지 관리에 해당하는 키 입력에 의해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으로 전환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100)는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에 해당하는 "받는 이" 항목에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6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62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6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모든 메시지 관리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6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수신자들에게 전송할 메시지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됨을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메시지가 입력되면 630단계로 진행하고, 메시지가 입력되지 않으면 625단계로 진행한다. 6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6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6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620단계로 진행하여 메시지가 입력됨을 판단한다. 그 후, 6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63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6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관리 기 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6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된 후, 상기 620단계에서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610단계에서 수신자에게 각각 등록된 전화번호들로 동시에 전송한다. 그 후, 64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수신자에게 동시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2, 6,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7 is a screen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to a plurality of recipi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2, 6, and 7.
상기 26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60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0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분리한다. 그 후, 상기 제어부(100)는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으로 전환한다. 7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610단계와 같이 수신자에 해당하는 "받는 이" 항목에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 등록하여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 후, 7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620단계와 같이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72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700단계와 같이 "받는 이" 항목에 각 전화번호들로 상기 710단계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When the key corresponding to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is input from th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2, 3, 8을 참조하여 설 명한다. 8 is a control flowchart for a function of stor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 a phone b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and 8.
상기 27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전화번호부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됨을 판단한 후, 800단계로 진행한다. 8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분리한다. 8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전화번호부 기능으로 전환하여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그 후, 8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0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번지로 저장할 것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번지로 저장할 경우, 83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즉 각각의 번지로 저장할 경우에는 820단계로 진행한다. 8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 다른 번지로 구분하여 입력한다. 그 후, 8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85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830단계로 진행한다. 83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85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830단계에서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810단계로 진행한다. In
상기 81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 나의 번지로 저장됨을 판단한 후, 83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번지에 등록하고 각 전화번호의 등록위치를 지정하여 등록한다. 84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85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845단계로 진행한다. 84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85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8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40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한 번지 및 등록 위치 지정 등록이 완료된 후, 8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 85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3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After determining i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등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순서도이다. 이하 도 1, 2, 3, 8,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9 is a screen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gister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in a phone boo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8, and 9.
상기 27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전화번호부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됨을 판단한 후, 상기 80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분리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900단계에서 상기 805단계와 같이 전화번호부 기능으로 전환하여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상기 90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신규 등록" 항목이 입력됨을 판단하면 상기 표시부(120)에 910단계가 표시된다. 9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810단계와 같이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번지로 등록할 것인지 또는 각각의 번지로 등록할 것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In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먼저 하나의 번지로 등록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9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전화번호의 등록 위치를 지정한다. 상기 920단계에서 등록 위치 지정 시, 예를 들어 첫 번째 전화번호에 대한 등록 위치를 "휴대전화"로 지정하면 다음 전화번호는 "집"으로 자동으로 지정된다. 또한 상기 등록 위치 지정의 변경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920단계에서 등록 위치를 지정한 후,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의 이름 및 번지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930단계와 같이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됨을 판단하여 상기 910단계에서 상기 930단계에 표시된 항목을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91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first, a case of registering as one address will be described. In
다음으로 상기 메모리부(130)에 일시 저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의 번지로 등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9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각각의 번지로 등록함을 판단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 중 첫 번째 전화번호에 대한 등록 위치를 지정한다. 그 후, 이름 및 번지를 입력하고 등록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음 전화번호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을 취한다. 940단계와 950단계는 상기 메모리부(130)에 입력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의 번지로 등록한 경우를 나타낸 화면도이다. 상기 940단계와 상기 95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940단계와 상기 950단계에 표시된 항목을 상기 메모리부(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확인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키 입력부(110)로부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부 기능이 종료됨을 인지하고 상기 표시부(120)에 대기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종료에 해당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910단계로 진행한다. Next, a case of register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temporarily stored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 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할 시, 복수의 전화번호를 구분하여 연속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when inputting a phone number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ntered continuously by separat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둘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전화통화를 할 시, 복수의 전화번호로 발신하여 연속으로 복수의 수신자와 전화통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ly, when making a phone cal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recipients in a row by calli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셋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시, 복수의 전화번호로 동일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ir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the short messag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ame short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넷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단문 메시지 관리 기능에 해당하는 키 입력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상모드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 관리 모드로 전환되는 이점이 있다.Fourth, after inputting a phone number on the standby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key corresponding to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function is inp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from the normal mode to the short message management mode.
다섯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시,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번지에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fth, when stor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can be stored in one address.
여섯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시,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의 번지에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xth, when stor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can be stored in each address.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9887A KR100834659B1 (en) | 2002-04-12 | 2002-04-12 |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19887A KR100834659B1 (en) | 2002-04-12 | 2002-04-12 |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1584A KR20030081584A (en) | 2003-10-22 |
KR100834659B1 true KR100834659B1 (en) | 2008-06-02 |
Family
ID=3237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198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4659B1 (en) | 2002-04-12 | 2002-04-12 |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46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9214B1 (en) * | 2003-03-19 | 2011-0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ow to send mail from a mobile terminal |
JP4277028B2 (en) * | 2006-05-12 | 2009-06-10 |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710A (en) * | 2000-09-16 | 2002-03-22 | 구자홍 |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in mobile station |
-
2002
- 2002-04-12 KR KR1020020019887A patent/KR1008346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710A (en) * | 2000-09-16 | 2002-03-22 | 구자홍 | Method for sending short message in mobile s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1584A (en) | 2003-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98942B1 (en) | Telephone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 |
JP2003319062A (en) | Handfree portable telephone and handfree switching program | |
US7096008B2 (en) | Service method in a mobile terminal | |
KR100426364B1 (en) | Method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character image in mobile phone | |
KR100834659B1 (en) |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06246B1 (en) | How to display caller information, including caller name of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050159146A1 (en) |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 |
KR20020038331A (en) |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20069987A (en) |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personal assista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implementing method | |
KR100736562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notification function during call and its method | |
KR20040040058A (en) |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eal caller in handheld terminal serving mutipoint communication | |
JP3698922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utomatic response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utomatic response control method | |
WO2007055990A2 (en) |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 |
KR20090017010A (en) | Method of providing two-phone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wo-phone function | |
KR20030056068A (en) | Method for informing of the counterpart of a call using voice | |
KR100976465B1 (en) | How to automatically select keytone sound when selecting langu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10100633A (en) | Method for receiving with two number in a mobile station | |
KR20020057682A (en) | Method of build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838960B1 (en) | Automatic incoming method and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394278B1 (en) | Method for executing communication mode in mobile terminal | |
KR20050015638A (en) | Method of automatic responsing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in wireless terminal | |
JPH11298966A (en) | Portable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 |
KR100621997B1 (en) | How to send phone number using text message | |
KR100662298B1 (en) | Do Not Disturb Alarm | |
JP2002325129A (en) | Telephone s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