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3693B1 - 전기 스위치기어 - Google Patents

전기 스위치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693B1
KR100833693B1 KR1020077007334A KR20077007334A KR100833693B1 KR 100833693 B1 KR100833693 B1 KR 100833693B1 KR 1020077007334 A KR1020077007334 A KR 1020077007334A KR 20077007334 A KR20077007334 A KR 20077007334A KR 100833693 B1 KR100833693 B1 KR 10083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gear
switches
contact
shield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552A (ko
Inventor
죠르지스 가우드아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08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6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4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6Impedances connected wit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4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 H01H2033/146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using capacitors, e.g. for the voltage division over the different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61Specific screen details, e.g. mounting, materials, multiple screens or specific electrical field considerations
    • H01H2033/66284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ical field properties of screens in 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61Specific screen details, e.g. mounting, materials, multiple screens or specific electrical field considerations
    • H01H2033/66292Details relating to the use of multiple screens in vacuum switche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Circuit Breaker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전기 스위치기어, 예컨대 회로 차단기는 방전을 막기 위해 오픈 위치에서 양호한 유전 강도를 일반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유전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커패시터들이 종종 스위치기어의 접촉부들 사이에 병렬로 배치된다. 매우 높은 전압 응용의 경우에, 예컨대 500 kV보다 큰 응용의 경우에는, 두 개의 회로 차단기가 스위칭을 위해 직렬로 접속됨으로써 고전압, 즉, 스위칭될 총 전압이 두 스위치들에 의해서 동일하게 공유될 필요가 있다. 필요한 커패시턴스로 인해, 커패시터 및 그로인한 스위치기어는 특별히 큰 직경으로 인해 커지며 또한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폐부들(10, 11)이 추가 커패시터들(C1", C1"' 및 C2)을 차폐부들(10, 11) 사이 및 두 스위치들(2, 3)을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4)과 인클로져(5)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 배치된다. 최종적인 스위치기어(1)는 증가된 유전 강도를 갖게 되며, 총 전압이 본질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두 스위치들(2, 3)에 의해서 동일하게 공유된다.

Description

전기 스위치기어{ELECTRICAL SWITCHGEAR}
본 발명은 스위치기어 인클로져(switchgear enclosure) 내에 배치되면서 서로 직렬로 전기 접속되는 두 개의 스위치들을 구비한 전기 스위치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치들 각각은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위치의 제 1 및 제 2 접촉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접촉부이고, 두 스위치들 중 제 1 접촉부들은 접속 수단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스위치의 제 1 접촉부는 제 1 전기 전도성 차폐부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스위치의 제 2 접촉부는 제 2 전기 전도성 차폐부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전기 스위치기어, 예컨대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는 일반적으로 이격된 접촉부들 사이에서 아킹 또는 접촉부 및 접지된 스위치기어 인클로져와 같은 스위치기어의 접지 부분 사이에서의 아킹(arcing)에 의한 브레이크쓰로우(breakthrough)를 방지하기 위해 오픈 위치에서 양호한 유전 강도를 제공해야 한다. 유전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종종 스위치기어의 접촉부들 사이에 커패시터들이 병렬로 배치된다. 커패시터를 크면서 무겁게 만드는 필요한 커패시턴스로 인해서, 그러한 스위치기어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예컨대 500kV보다 큰 것과 같은 매우 높은 전압 응용에 있어서는, 두 개의 회로 차단기가 그러한 높은 전압들을 스위칭하기 위해 직렬로 접속되는데, 즉, 스위칭될 전압이 두 개의 스위치들에 의해서 공유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이중 챔버 회로 차단기의 경우에, 각각의 회로 차단기에는 유전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스위치의 접촉부들 사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커패시터가 제공된다. 그러한 이중 챔버 회로 차단기는 US 3 786 216A에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일부 장치들은 단일-챔버 회로 차단기에 통합된 고체 아이솔레이터(순간 전압이 쇼트 라인 오류가 발생할 때 특히 감소되게 함) 또는 이중-챔버 회로 차단기에 통합된 고체 아이솔레이터(상기 챔버들에 의해서 전압이 동일하게 공유되게 함)에 의해서 형성되는 커패시터들이나 또는 예컨대 유전성을 위해 챔버들 주위에 금속 시트들로 형성되는 차폐부들을 나타낸다. 그러한 스위치기어들의 예들이 US 5 728 989 A 또는 EP 335 338 A2에 제공되어 있다. US 3 953 693 A는 통합된 커패시터 차폐부들을 구비한 진공 스위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진공 스위치들은 스위치들 사이에 적절한 전압 분배를 보장하기 위해서 통합된 커패시터들을 사용하여 직렬로 사용될 수 있다. 통합된 커패시터들은 또한 차폐부들로서 유용하며, 아크 생성물의 확산들을 차폐시키기 위해 미로(labyrinth)로서 기능한다. 이를 위해서, 다수의 차폐부들이 접촉부들의 이격을 통해 생성되는 아크 입자들을 효과적으로 가로지르는 미로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미로-형태로 배치된다. 미로를 형성하기 위해, 매우 많은 수의 그러한 차폐부들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는 큰 치수들, 특히 큰 직경들을 가짐으로써 비용이 많이 드는 설계를 초래한다. 각각의 스위치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고유의 인클로져 내에 배치된다.
단일-챔버 스위치의 고유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고 그럼으로써 그것의 유전 강도를 또한 증가시키기 위해서 전기 단일-챔버 스위치에 대해 병렬 형태로 두 개의 관으로 이루어진 동심의 부분적으로 오버래핑하는 차폐부들로 형성된 커패시터를 이용하는 것이 또한 예컨대 US 3 541 284 A와 같은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기어의 두 직렬 접속된 스위치들 사이에 향상된 유전 강도 및 양호한 전압 분배를 갖는 고 전압 응용들을 위한 콤팩트 이중-챔버 스위치기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차폐 커패시터가 제 1 및 제 2 차폐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차폐부를 배치하고, 추가 커패시터가 제 2 차폐부와 접속 수단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 수단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제 2 차폐부를 배치하고, 상기 제 2 커패시터가 스위치기어의 바람직하게 접지된 인클로져와 접속 수단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한 배치는 스위치의 오픈 접촉부들 사이에 내츄럴 커패시터를 증가시켜서 스위치기어가 오픈 위치에 있을 때 브레이크쓰로우 및 방전의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전기 스위치기어의 유전 강도를 상당히 증가시킨다. 유전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어떠한 부피가 큰 커패시터들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스위치기어는 콤팩트한 설계 및 감소된 전체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특히 감소된 인클로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스위치기어가 특별히 유리한 보다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차폐부들의 비용은 전통적인 커패시터들에 비해 작기 때문에, 그러한 스위치기어는 또한 통상의 스위치기어들에 비해서 더 저렴하다. 차폐부들의 큰 표면은 스위치기어의 열적 성능을 증가시키면서 온도 상승 테스트들에 또한 유리한 방사성 표면으로도 기능한다.
스위치기어의 유전 강도는, 만약 제 2 차폐부가 접속 수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추가 커패시터가 상기 제 2 차폐부와 상기 접속 수단 사이에 형성된다면, 더욱 증가된다. 추가 커패시터는 차폐 커패시터 및 스위치의 내츄럴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스위치의 커패시턴스를 직접적으로 더욱 증가시킨다. 실제로, 아래에 설명된 예에 따르면, 제 2 차폐부(11)가 접속 수단(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추가 커패시터(C1"')가 제 2 차폐부(11)와 접속 수단(4) 사이에 형성된다는 사실은 본 발명과 매우 관련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커패시터(C1)를 증가시키고(C1'+C1"+C1"') 커패시터(C2)를 감소시킴으로써 두 스위칭 유닛들 사이의 전압 분배를 향상시키는 반면에, 전압 비율은 C1/(C2+2C1)이고 따라서 그것의 값은 1/2로 되기 때문이다.
접속 수단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접촉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일 경우에 특별히 콤팩트한 설계가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작은 직경을 갖는 매우 콤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접속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스위치의 제 1 접촉부로부터 제 2 스위치의 제 1 접촉부로 확장하는 제 1 차폐부일 수 있다.
만약 제 2 및 제 1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들 사이의 비율이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미만, 그리고 특별히는 0.05 미만이라면, 스위칭될 총 전압은 두 스위치들에 의해서 거의 동일하게 공유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일 뿐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스위치기어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커패시터들의 개략도.
도 3은 전기 스위치기어의 전기 회로도.
본 발명의 전기 스위치기어(1), 예컨대 회로 차단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두 개의 스위치들(2, 3)이 배치되는 인클로져(enclosure)(5)를 포함한다. 두 개의 스위치들(2, 3)은 접속 수단(4)에 의해서 두 단자들(T1(예컨대 고 전위) 및 T2(예컨대 접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스위칭 동작(오픈 또는 클로즈)을 수행하기 위해서, 두 스위치들(2, 3) 모두의 이동 접촉부(6)(도 1에서 이중 화살표로 표기되어 있음)가 상기 두 스위치들(2, 3)을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수단(4)으로서도 기능하는 구동 유닛에 의해서 동시에 이동된다. 구동 유닛(4)은 스위치들(2, 3) 사이에 배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에서 인클로져(5)의 밖에 위치하는 구동 메커니즘(9)에 구동 유닛(4)을 기계적으로 접속시키는 구동 로드(8) 및 다수의 레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4)은 예컨대 널리 공지되어 있는 스프링 메커니즘, 수력 메커니즘 또는 모터 구동과 같은 적절 한 구동 메커니즘(9)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구동 로드(8) 자체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유닛(4)은 각각의 스위치(2, 3)의 이동 접촉부(6)에 기계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이동 접촉부(6)를 구동시킨다. 각각의 스위치(2, 3)의 제 2 접촉부(7)는 고정되거나 또는 이중 기능 회로 차단기를 형성하기 위해 이동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동 유닛이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동 유닛들의 임의의 다른 배치도 잘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양 접촉부 모두가 이동가능한 접촉부들이고 및/또는 각각의 스위치가 고유의 구동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스위치기어(1)의 단자들(T1 및 T2)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스위치(2)의 제 2 접촉부(7)는 단자(T1), 예컨대 고전압 단자에 접속된다. 클로즈된 위치에서, 스위치들(2, 3)의 제 1 접촉부(6) 및 제 2 접촉부(7)는 접촉 상태에 있고, 제 1 스위치(2)의 제 1 접촉부(6)는 본 예에서 구동 유닛인 접속 수단(4)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상기 접속 수단(4)은 제 2 스위치(3)의 제 1 접촉부(6)에도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 2 스위치(3)의 제 2 접촉부(7)를 통해서 예컨대 접지된 단자와 같은 단자(T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치들(2, 3)의 오픈된 위치에서는, 접촉부들(6, 7)이 분리되고, 전기 접속이 차단된다.
스위치들(2, 3)은 오픈 위치에서 두 접촉부들(6, 7) 사이에서의 아킹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유전 강도(즉, 전기적인 브레이크쓰로우없이 스위치기어(1)의 최대 정규 전압을 견디는 능력)를 가져야 한다. 스위치들(2, 3)의 유전 강도를 증가 시키거나 또는 스위치기어(1)의 더욱 콤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인클로져(5)는 예컨대 SF6과 같은 절연 가스로 채워질 수도 있다. 종래의 회로 차단기 커패시터들은 종종 스위치의 접촉부들에 병렬로 접속되고, 이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스위치의 유전 강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아래에서는 스위치들(2 및 3)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기어(1)의 스위치들(2, 3) 중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제 1 접촉부(6)는 제 1 차폐부(10)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제 1 차폐부(10)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며, 제 1 접촉부(6)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접속 수단(4)(본 예에서 구동 유닛)에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제 1 차폐부(10)는 제 1 접촉부(6)와 동일한 전기 전위를 갖는다. 전기 전도성의 제 2 차폐부(11)가 인클로져(5) 내에 배치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차폐부(11)는 제 2 접촉부(7)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그로 인해 제 2 접촉부(7)와 동일한 전기 전위를 가지며, 제 1 접촉부(6) 및 제 1 차폐부(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제 2 차폐부(11)는 또한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접속 수단(4)(여기서는 구동 유닛)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제 1 스위치(2)의 제 1 접촉부(6)로부터 제 2 스위치(3)의 제 1 접촉부(6)로 확장하는 단지 하나의 차폐부(10)를 제공함으로써, 제 1 차폐부(10) 자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접속 수단(4)이 되는 것이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두 스위치들(2, 3) 간의 전기 접속이 차폐부(1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차폐부들(10, 11)의 배치로 인해서, 추가적인 커패시터들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제 1(본 예에서는 이동) 접촉부(6)와 제 2(본 예에서는 고정) 접촉부(7) 사이에서는, 두 오픈 접촉부들(6, 7) 사이에 내츄럴 커패시터(C1')가 형성된다. 제 1 차폐부(10)와 제 2 차폐부(11) 사이에서는, 제 2 차폐부(11)와 예컨대 구동 유닛인 접속 수단(4) 사이에 차폐 커패시터(C1")가 형성되고, 커패시터(C1"')가 형성된다. 이러한 세 개의 커패시터들은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그 커패시터들은 C1=C1'+C1"+C1"'와 같이 제 1 커패시터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치(2)의 내츄럴 커패시턴스는 증가되고, 그로 인해서 오픈 스위치(2)의 유전 강도도 또한 증가된다. 차폐부들(10, 11)이 길수록,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도 커질 것이다. 제 2 차폐부(11)가 접속 수단(4)을 넘어 확장할수록,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커질 것이다. 스위치기어(1)의 콤팩트한 설계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차폐부(10, 11)을 가능한 서로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유리한데, 여기서 최소 거리는 기본적으로 스위치기어(1)의 최대 전압과 커패시터들(C1 및 C2)을 위한 절연체로서 기능하는 인클로져(5) 내의 매체(예컨대 SF6)에 의해서 정해진다. 또한, 접지된 인클로져(5)와 예컨대 구동 유닛인 접속 수단(4) 사이에는 제 2 커패시터(C2)가 형성되는데, 그것은 스위치들(2, 3)의 제 1 접촉부들(6)과 동일한 전기 전위를 갖는다.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가 작아질수록, 제 2 차폐부(11)는 접속 수단(4)을 넘어 확장하고, 접속 수단(4)은 더 짧아진다.
두 스위치들(2, 3) 사이의 최종적인 전위가 도 3에 도시된 전기 스위치기어(1)의 등가 회로도로부터 쉽게 도출될 수 있다. 클로즈된 스위치들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물리적인 상호관계들을 이용함으로써, 중간 전압(UM)(즉, 제 1 접촉부들(6)과 단자(T2) 사이의 전압)이 UM=C1/(C2+2C1)·U로서 구해질 수 있는데, U는 단자들(T1 및 T2) 사이의 전압이다. 이러한 수식으로부터, C1 》C2 인 경우에는 중간 전압(UM)이 대략 U/2라는 것이 추측될 수 있다. 그러므로,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를 가능한 크게 하고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를 가능한 작게 함으로써 스위칭될 총 전압이 직렬로 접속된 두 스위치들(2, 3)에 의해서 거의 동일하게 공유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차폐부들(10, 11) 및 스위치들(2, 3)의 결합구조(예컨대, 길이, 거리)는 제 1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가 250pF이고 또한 접지된 인클로져(5)에 대한 제 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가 20pF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중간 전압 UM=0.48·U을 유도할 것인데, 이는 양 스위치들(2, 3) 모두가 대략 동일한 스위칭 전압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양호한 전압 분배를 달성하기 위해서 C2는 0.5·C1 미만, 바람직하게는 0.1·C1 미만, 특별히 0.05·C1 미만이어야 한다.
제 2 차폐부(11)를 가능한 길게 하고 특히 차폐부(11)를 접속 수단(4)을 넘어서도 확장시키는 것이 C1" 및 C1"'을 증가시킬 것이고(그리고 그로 인해서 C1도 증가함) C2를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것을 위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스위치기어 인클로져(5) 내에 배치되며 서로 직렬로 전기 접속되는 두 개의 스위치들(2, 3)을 구비하는 전기 스위치기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2, 3) 각각은 제 1 및 제 2 접촉부(6, 7)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위치(2, 3)의 제 1 및 제 2 접촉부(6, 7)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접촉부(6)이고, 상기 두 스위치들(2, 3)의 제 1 접촉부(6)는 접속 수단(4)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2, 3)의 제 1 접촉부(6)는 제 1 전기 전도성 차폐부(1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며, 상기 스위치의 제 2 접촉부(7)는 제 2 전기 전도성 차폐부(11)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전기 스위치기어로서,
    상기 제 2 차폐부(11)가 제 2 접촉부(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제 1 접촉부(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차폐부(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차폐 커패시터(C1")가 제 1 및 제 2 차폐부(10, 11)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폐부(11)가 접속 수단(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추가 커패시터(C1"')가 제 2 차폐부(11)와 접속 수단(4) 사이에 형성되며,
    제 2 커패시터(C2)가 스위치기어(1)의 바람직하게 접지된 인클로져(5)와 접속 수단(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기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4)은 이동 접촉부(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닛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기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4)은 제 1 차폐부(1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전기 스위치기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부는 제 1 스위치(2)의 제 1 접촉부(6)로부터 제 2 스위치(3)의 제 1 접촉부(6)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기어.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제 2 커패시터(C2)의 커패시턴스와 제 1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 간의 비율이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미만, 및 특히 0.0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치기어.
KR1020077007334A 2005-07-29 2006-07-20 전기 스위치기어 Expired - Fee Related KR100833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7046A EP1748455A1 (en) 2005-07-29 2005-07-29 Electrical switchgear
EP05107046.4 2005-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552A KR20070088552A (ko) 2007-08-29
KR100833693B1 true KR100833693B1 (ko) 2008-05-29

Family

ID=35448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3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3693B1 (ko) 2005-07-29 2006-07-20 전기 스위치기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89295B2 (ko)
EP (2) EP1748455A1 (ko)
JP (1) JP4864084B2 (ko)
KR (1) KR100833693B1 (ko)
CN (1) CN100576401C (ko)
DE (1) DE602006007009D1 (ko)
WO (1) WO20070148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3969B (zh) * 2009-07-03 2012-06-20 江苏金智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断路器端口残压实现站间防误的方法
FR2966972B1 (fr) * 2010-10-27 2013-07-19 Areva T & D Sas Appareillage electrique sous enveloppe metallique comportant au moins un capot pare-effluve assurant des echanges convectifs
CA2868111C (en) * 2012-04-27 2020-08-25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Method for design of subsea electrical substation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284A (en) 1967-12-14 1970-11-17 Allis Chalmers Mfg Co Combined vacuum circuit interrupter and impedance means
US3786216A (en) 1971-02-17 1974-01-15 H Beier High-voltag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means for precluding the transfer of mechanical switching forc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7481A (en) * 1963-10-16 1967-05-03 Ass Elect Ind Improvements relating to vacuum switches
GB1162372A (en) * 1965-09-30 1969-08-27 English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switches
JPS4891456A (ko) * 1972-03-06 1973-11-28
JPS50158882A (ko) * 1974-06-13 1975-12-23
US3953693A (en) 1974-09-09 1976-04-27 Allis-Chalmers Corporation Vacuum switch with integrated capacitor shield
JPS5688214A (en) * 1979-12-20 1981-07-17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Twoopoint breaker
JPS5761222A (en) * 1980-09-30 1982-04-13 Tokyo Shibaura Electric Co Disconnecting switch
JPS5862529A (ja) * 1981-10-12 1983-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光検出装置
JPS5878332A (ja) * 1981-11-04 1983-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しや断器
CA1325234C (en) * 1988-03-28 1993-12-14 Minori Sato Circuit breaker
JPH028839A (ja) * 1988-06-27 1990-01-12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DE4129008A1 (de) * 1991-08-28 1992-01-16 Slamecka Ernst Vakuumschalter
JP2679499B2 (ja) * 1991-12-27 1997-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及び開閉部の操作機構
JP3031174B2 (ja) 1994-09-19 2000-04-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遮断器
IT1313321B1 (it) * 1999-10-01 2002-07-17 Abb Ricerca Spa Apparecchiatura di interruzione e sezionamento isolata in ga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284A (en) 1967-12-14 1970-11-17 Allis Chalmers Mfg Co Combined vacuum circuit interrupter and impedance means
US3786216A (en) 1971-02-17 1974-01-15 H Beier High-voltage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means for precluding the transfer of mechanical switching fo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89295B2 (en) 2009-09-15
JP2009503775A (ja) 2009-01-29
JP4864084B2 (ja) 2012-01-25
DE602006007009D1 (de) 2009-07-09
EP1748455A1 (en) 2007-01-31
EP1911057B1 (en) 2009-05-27
WO2007014865A1 (en) 2007-02-08
CN101053051A (zh) 2007-10-10
CN100576401C (zh) 2009-12-30
EP1911057A1 (en) 2008-04-16
US20080093344A1 (en) 2008-04-24
KR20070088552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942B1 (en) Three-position vacuum interrupter disconnect switch providing current interruption, disconnection and grounding
EP1858044B1 (en) Switchgear
KR102389097B1 (ko) 각각의 폴의 부싱 상단들에 걸쳐 접속된 서지 어레스터를 갖는 데드 탱크형 회로 차단기
AU633450B2 (en) Gas circuit breaker
CN101233593A (zh) 电开关装置以及运行电开关装置的方法
JP2024527806A (ja) 真空遮断器、及び、複数の真空遮断器を備えたアセンブリ、並びに、複数の真空遮断器の電圧配分方法
CN1204581C (zh) 真空开关管
TW200519999A (en) Vacuum switchgear
EP1121739B1 (en) Gas-insulated switching device
KR100833693B1 (ko) 전기 스위치기어
EP0065264B1 (en) Gas-insulated switching apparatus
SE440573B (sv) Kapslat stellverk
JP7608296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24527807A (ja) 真空遮断器、及び、複数の真空遮断器を備えたアセンブリ、並びに、複数の真空遮断器の電圧配分方法
US4239948A (en) Grounded support tank type gas circuit breaker
JP4811331B2 (ja) 開閉装置
US3671907A (en) Vacuum switch with power fuse
EP3906574B1 (en) Circuit breaker having internal transient recovery voltage capacitor assembly
CN114223045B (zh) 具有两个串联连接的中断单元的开关设备
CN119816911A (zh) 用于利用高压真空开关通断感应电流的rc装置
CN114999854A (zh) 用于电力系统的开关装置
JPH0224927A (ja) 断路器
JPH11126544A (ja) 電力用ガス遮断器
JPH03501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5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