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383B1 - Vehicle steering lock - Google Patents
Vehicle steering 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3383B1 KR100833383B1 KR1020070023538A KR20070023538A KR100833383B1 KR 100833383 B1 KR100833383 B1 KR 100833383B1 KR 1020070023538 A KR1020070023538 A KR 1020070023538A KR 20070023538 A KR20070023538 A KR 20070023538A KR 100833383 B1 KR100833383 B1 KR 1008333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 spur gear
- disposed
- steering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lock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 측의 사시도이고,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inside of the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Figure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ring lock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하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steering lo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Simple description of the code for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0 : 케이스 20 : 인쇄회로기판10
30 : 하우징 40 : 모터30
43 : 모터축 50 : 웜기어43: motor shaft 50: worm gear
52 : 웜휠기어 53 : 웜휠축52: worm wheel gear 53: worm wheel shaft
54 : 제 1 스퍼기어 70 : 락바54: first spur gear 70: rock bar
73 : 락이동축 74 : 제 2 스퍼기어73: rocking shaft 74: second spur gear
75 : 락스토퍼 76 : 이동치형75: lock stopper 76: moving tooth type
80 : 탄성부재 90 : 스티어링 샤프트80: elastic member 90: steering shaft
100 : 스티어링 락장치 100: steering lock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도록 락바를 모터에 의해 이동시키는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for moving the lock bar by a motor so as to generate an interlock with the steering shaft.
차량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을 중단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차량의 스티어링을 잠금하는 스티어링 락장치가 설치된다.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steering lock device that detects when the driver stops driving the vehicle and locks the steering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정차 시 모터의 전동력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는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generates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steering shaft by the electric power of the motor when the vehicle is stopped.
본 발명은 락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락홀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락바와, 상기 케이스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락바의 전진 이동 시 상기 락모듈과 상호 간섭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와, 상기 락바에 고정되는 이동치형과, 외주측에 피니언 기어의 치형이 형성되고, 내주측에 상기 이동치형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치형과 상대 이동되는 제 2 스퍼기어와, 상기 제 2 스퍼기어의 외주 측에서 치합되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스퍼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se in which a lock hole is formed, a lock bar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penetrating the lock hole, spaced apart from the case, and a steering shaft interfering with the lock module when the lock bar moves forward, A second spur gear that is fixed to the lock bar, a tooth tooth of a pinion gear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ide, and a tooth tooth that is engaged with the movable tooth tooth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ide and relatively moved with the movable tooth mold, and the second spur Provided is a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is enga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gear and includes a first spur gear operated by a rotational force of a motor.
여기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 2 스퍼기어 사이에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Herein, an elastic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se and the second spur gear.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락바에는 마그네트가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마그네트를 감지하는 자기감지센서가 배치되며, 상기 자기감지센서는 제 1, 2 자기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는 상기 락바의 최대 전진거리를 감지하며, 상기 제 2 자기감지센서는 상기 락바의 최대 후진거리를 감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motor. The magnet may be disposed on the lock bar, and the magnetic sensing sensor may sense the magnet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magnetic sensor includes a first magnetic sensor and a second magnetic sensor, wherein the first magnetic sensor senses a maximum forward distance of the lock bar, and the second magnetic sensor senses a maximum backward movement of the lock bar. It may be arranged to sense the distance.
그리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는 웜휠기어와, 상기 웜휠기어가 배치된 웜휠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퍼기어는 상기 웜휠축에 배치될 수 있다. And a worm gear rotated by the motor, a worm wheel gear meshed with the worm gear, and a worm wheel shaft on which the worm wheel gear is disposed. The first spur gear may be disposed on the worm wheel shaf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내부가 도시된 배면 측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티어링 락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락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lock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steering shown in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FIG. 2,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ring lock device shown in FIG. 2, and FIG. An illust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100)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락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6, the
상기 케이스(10)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도 6의 90) 측에 배치되는 로우 케이스(12)와, 상기 로우 케이스(12)와 결합되는 어퍼 케이스(14)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케이스(14)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16)가 배치된다. The
여기서 상기 로우 케이스(12)에는 락홀(13)이 형성된다. Here, the
상기 락모듈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16)와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도락 제어부(미도시)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2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이 안착되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40)와, 상기 모터(40)의 모터축(43)에 배치된 웜기어(50)와, 상기 웜기어(5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웜휠기어(52)와, 상기 웜휠기어(52)의 웜휠축(53)에 배치된 제 1 스퍼기어(54)와, 상기 로어 케이스(12)의 락홀(13)을 관통하게 배치된 락바(70)와, 상기 락바(70)가 고정되고 상기 로어 케이스(12)에 배치되어 이동되는 락스토퍼(75)와, 상기 락스토퍼(75)에 형성된 락이동축(73)과, 상기 락이동축(73)에 배치된 이동치형(76)과, 상기 이동치형(76)과 치합되어 상호 작용되고 상기 제 1 스퍼기어(54)와 치합된 제 2 스퍼기어(74)와,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제 2 스퍼기어(74) 사이에 상기 제 2 스퍼기어(74)를 지지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한다. The lock module is disposed in the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는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1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30)에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16)를 통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ECU, 미도시)과 통신한다.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40)가 고정되어 지지된다. The
상기 모터(40)의 모터축(43)에는 상기 웜기어(50)가 배치되어 회전되고, 상기 웜기어(50)는 상기 웜휠축(53)에 배치된 웜휠기어(52)와 치합되어 상기 웜휠기어(52)를 회전시킨다. The
여기서 상기 모터축(43)과 상기 웜휠축(53)은 상기 웜기어/웜휠기어(50)(52)의 작동원리에 따라 직교하게 배치된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웜휠축(53)에는 상기 제 1 스퍼기어(54)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퍼기어(54)는 상기 웜휠축(53)에 고정되며, 상기 웜휠축(53)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상기 제 2 스퍼기어(74)는 외주면에 상기 제 1 스퍼기어(54)와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이동치형(76)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된다. The
그래서 상기 제 1 스퍼기어(54)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 2 스퍼기어(74)는 내주 측에 위치된 상기 이동치형(76)에 상기 제 1 스퍼기어(54)의 작동력을 전달한다. Thus, the
여기서 상기 이동치형(76) 및 상기 제 2 스퍼기어(74)의 치합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의 치형으로 형성된다. Here, the engagement of the
그리고 상기 락이동축(73)은 상기 이동치형(76)의 이동거리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고, 상기 락이동축(73)과 결속된 락스토퍼(75) 및 락바(70)도 이동된다. 한편, 상기 락바(70), 락스토퍼(75) 및 상기 락이동축(73)은 각각의 부재로 형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락스토퍼(75)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감지수단이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스토퍼(75)에 배치된 마그네트(77)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트(77)를 감지하는 자기감지센서(27)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sensing means is disposed inside the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는 상기 락바(70)의 최대 전진 거리 및 최대 후진거리를 감지하기 위해 각각의 제 1, 2 자기감지센서(27a)(27b)가 배치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한편,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의 외주면에는 상기 락바(70)와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홈(92)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92)에 삽입된 상기 락바(70)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shaft 90 a plurality of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 림홈(92)을 형성시키는 걸림산(94)이 다수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걸림산(94)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락바(70)가 상기 걸림산(70)의 위치로 이동될 경우, 상기 락바(70)의 끝단을 상기 걸림홈(92)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And although not shown, a plurality of
한편, 본 실시예의 모터축(43)과 웜휠축(53)을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고, 상기 웜휠축(53)과 상기 락이동축(7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2 스퍼기어(54)(74)를 통해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락이동축(73) 상에 탄성부재(80)를 배치시켜 상기 락이동축(73)의 전진 시 상기 락이동축(73)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또한 식별번호 95는 탄성부재로서, 상기 락이동축(73)을 지지하여 상기 락이동축(73)을 스티어링 샤프트(90) 측으로 가압한다. 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의 작동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teering lock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먼저,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100)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를 "잠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First, a process in which the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키박스(미도시)에서 시동키를 빼거나 리모콘(미도시)을 통해 시동을 끄면,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의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상기 스티어링 락장치(100)를 작동시킨다. When the driver of the vehicle removes the ignition key from the vehicle's key box (not shown) or turns off the vehicl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vehicle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ler of the printed
여기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40)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터(40)의 작동에 의해 모터축(43)을 회전시키고, 상기 모터축(43)에 배치된 웜기어(50)가 회전된다. Here, the controller, which receives a signal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perates the
그리고 상기 웜기어(50)와 치합된 웜휠기어(52)가 회전되면서 상기 웜휠축(53)에 고정된 제 1 스퍼기어(54)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스퍼기어(54)와 치합된 제 2 스퍼기어(74)가 회전된다. In addition, while the
이후, 상기 제 2 스퍼기어(74)가 회전되면, 상기 제 2 스퍼기어(74)의 내주면 측에 치합된 이동치형(76)이 회전되고, 상기 이동치형(76) 및 상기 제 2 스퍼기어(74)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치형(76)에 고정된 락이동축(73)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 측으로 이동된다. Thereafter, when the
그리고 상기 락스토퍼(75)에 배치된 마그네트(77)가 제 1 자기감지센서(27a)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자기감지센서(27a)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When the
여기서 상기 락바(70)는 상기 락이동축(73)의 전진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92)에 삽입된다. Here, the
한편, 상기 제 2 스퍼기어(74)와 상기 케이스(10)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80)는 상기 제 2 스퍼기어(74)를 상기 락바(70)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치형(76)과 상기 제 2 스퍼기어(74)의 상대 운동 시 상기 제 2 스퍼기어(74)가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이동치형(76)과 상기 제 2 스퍼기어(74)가 상대 이동될 때, 상기 이동치형(76)과 상기 제 2 스퍼기어(74)의 치형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상호 간섭에 의해 상기 제 2 스퍼기어(74)가 락바(70)의 이동방향과 반대로 이동되려는 분력을 받게되며, 상기 탄성부재(80)는 상기 제 2 스퍼기어(74)를 지지하여 상기 락이동축(73)이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한편, 상기 락바(70)에 상기 락이동축(73)의 축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락이동축(73)은 상기 탄성부재(80)(95)를 압축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다음으로, 상기 락모듈의 락바(70)가 이동되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의 걸림산(94)에 위치된 경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의 "잠금"과정을 설명한다. Next, when the
상기한 과정에 의해 상기 락바(70)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락바(70)는 상기 걸림홈(92) 또는 상기 걸림산(94)에 위치된다. When the
여기서 상기 락바(70)가 상기 걸림산(94)에 위치된 경우,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와 상기 락바(70) 사이에는 상호걸림이 발생되지 않지만, 상기 탄성부재(80)(95)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In this case, when the
이때, 운전자가 상기 핸들을 회전시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가 회전되면, 상기 락바(70)의 위치에 상기 걸림홈(92)이 위치되고, 상기 락이동축(53)/제 2 스퍼기어(52)를 지지하는 탄성부재(80)(95)에 의해 상기 락바/락이동축/락스토퍼/제 2 스퍼기어가 상기 걸림홈(92)으로 이동된다. At this time, when the driver rotates the handle to rotate the steering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락모듈은 상기 락바(70)가 잘못된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탄성부재(80)(95)에 의해 상기 락바(70)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90) 간의 잠금을 발생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lock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generate a lock between the
다음으로, 상기 락모듈의 후진과정은 상기 전진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Next, the backward process of the lock module proceeds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dvance proces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Hereinafter, the steering lock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nd various combin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tected. The application is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는 락바가 기어의 치합에 의해 모터의 작동력을 전달받아 스티어링 샤프트로 전/후진되기 때문에, 상기 락바의 작동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steering lock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ore precisely adjusting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lock bar because the lock bar is forwarded / reversed to the steering shaft by receiv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motor by the meshing of the gear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는 락바를 지지하는 제 2 스퍼기어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락바에 배치된 이동치형과의 상호작용 시 상기 제 2 스퍼기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스퍼기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락바와의 상호 치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pur gear for supporting the rock bar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the steering lock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econd spur gear from moving when interacting with the moving tooth type disposed on the rock bar. In addition, the second spur gear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to smoothly interlock with the rock ba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스티어링 락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걸림산에 상기 락바가 위치하더라도,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 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락바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걸림홈으로 삽입되어 스티어링 샤프트를 "잠금"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teering lock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ock bar is located on the hook mount of the steering shaft, when the steering shaft is rotated, the lock ba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steering shaft by the elastic member to rotate the steering shaft. It has the effect of "locking".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3538A KR100833383B1 (en) | 2007-03-09 | 2007-03-09 | Vehicle steering 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3538A KR100833383B1 (en) | 2007-03-09 | 2007-03-09 | Vehicle steering 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3383B1 true KR100833383B1 (en) | 2008-05-28 |
Family
ID=3966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35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3383B1 (en) | 2007-03-09 | 2007-03-09 | Vehicle steering 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338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4065B1 (en) | 2008-03-21 | 2010-04-20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
WO2013055022A1 (en) * | 2011-10-10 | 2013-04-18 | 주식회사 신창전기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KR20230037363A (en) * | 2021-09-09 | 2023-03-16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4573A (en) | 2004-08-06 | 2006-02-16 | Tokai Rika Co Ltd | Steering lock device |
JP2006123783A (en) | 2004-10-29 | 2006-05-18 | Alpha Corp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KR20060055449A (en) * | 2003-05-06 | 2006-05-23 | 후프 휠스베크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Locking device for car steering shaft |
-
2007
- 2007-03-09 KR KR1020070023538A patent/KR10083338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55449A (en) * | 2003-05-06 | 2006-05-23 | 후프 휠스베크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Locking device for car steering shaft |
JP2006044573A (en) | 2004-08-06 | 2006-02-16 | Tokai Rika Co Ltd | Steering lock device |
JP2006123783A (en) | 2004-10-29 | 2006-05-18 | Alpha Corp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4065B1 (en) | 2008-03-21 | 2010-04-20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
WO2013055022A1 (en) * | 2011-10-10 | 2013-04-18 | 주식회사 신창전기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US9573614B2 (en) | 2011-10-10 | 2017-02-21 | Dae Dong Co., Ltd.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KR20230037363A (en) * | 2021-09-09 | 2023-03-16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
KR102613408B1 (en) | 2021-09-09 | 2023-12-14 |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 Steering wheel apparatus of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61677B2 (en) | Steering device | |
JP6455059B2 (en) | Shift device | |
US6840347B2 (en) | Vehicle steering apparatus | |
KR100833383B1 (en) | Vehicle steering lock | |
JP6388588B2 (en) | Electric steering column lock device for automobiles | |
JP5624822B2 (en)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
WO2007127962A2 (en) | Steering shaft lock actuator | |
JP2008094138A (en) | Steering lock device | |
CN107000675B (en) | Safety belt lock presenter | |
JP6889526B2 (en)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
US9731681B2 (en) | Steering lock | |
JP4456431B2 (en) | Steering lock device | |
EP1174314A2 (en) | Electric vehicle steering lock | |
JP4786497B2 (en) | Steering lock device | |
KR20100024598A (en) | Apparatus for locking steering of vehicle | |
CN111406000B (en) | Gear shift device for vehicle | |
JP2008018814A (en) | Steering lock device | |
JP5942452B2 (en) | Steering device | |
CN108495770B (en) | Steering column with electric steering lock | |
KR101277945B1 (en) | Variable Rack Stroke Sytem for Vehicle | |
JP6075828B2 (en) | Engine start system | |
KR100980515B1 (en) | Steering Lock Device of Vehicle | |
EP1024055A1 (en) | Steering column switch assembly including an antenna coil | |
JP6775291B2 (en) | Steering lock device | |
JP2021104747A (en)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