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2260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260B1
KR100832260B1 KR1020070011290A KR20070011290A KR100832260B1 KR 100832260 B1 KR100832260 B1 KR 100832260B1 KR 1020070011290 A KR1020070011290 A KR 1020070011290A KR 20070011290 A KR20070011290 A KR 20070011290A KR 100832260 B1 KR100832260 B1 KR 10083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olume
mode
vib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장세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260B1/ko
Priority to US11/797,171 priority patent/US20080188268A1/en
Priority to EP07013599.1A priority patent/EP1954013B1/en
Priority to CNA2007101391591A priority patent/CN101237645A/zh
Priority to BRPI0703279-0A priority patent/BRPI0703279A/pt
Priority to RU2007134112/07A priority patent/RU2451393C2/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2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1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 H04M1/715Substation extension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extensions per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사이드 키 조작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여러 모드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드 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면이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예가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예가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제3 예가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20 : 터치스크린
132~135 : 사이드 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을 한번의 키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사용자가 이동통신을 통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나아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적절하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인터페이스의 개발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더불어 전화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의 스피커 음량이나 전화통화 중의 음량을 원하는 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등을 셋팅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환경설정 등의 메뉴를 선택한 후 그 하위메뉴로 진입한 다음에야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설정에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중 간단한 버튼조작을 통해 음량 등을 조절하는 방법이 없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에 불편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이나 진동 크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조작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셋팅할 수 있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조작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셋팅할 수 있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이 드래그되는 바에 따라 상기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가 조작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어느 하나를 셋팅하는데 사용되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가 조작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어느 하나를 셋팅하는데 사용되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도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에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이 드래그되는 바에 따라 상기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외부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110)와,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바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로 구성된다.
제어부(160)는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며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110)를 통해 송신함으로서 전화통화 등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이나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되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에 다른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입력이 가능한 조작키부(130)와,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여러 어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메모리부(15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부 목록이나 메모 등의 여러 데이터가 저장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키부(130)로 이동통신 단말기 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키패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 등의 소자로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키부(130) 외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120)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특히, 터치스크린(120)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에 설치하게 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20)은 디스플레이부의 역할도 겸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향처리부(140)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바, 음향처리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음향이 출력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는 특히 조작키부(130)와 별도로 디스플레이부 및 키입력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스크린(120)을 두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조작키부(130) 없이 상기 터치스크린(120)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만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역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에 부착된 터치스크린(120) 및 스피커(141)로 구성된다. 이 때, 필요에 따 라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 외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키입력부(131)를 상기 터치스크린(120) 하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별도의 키입력부(131)와 터치스크린(120) 모두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적절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입력부(131) 외에 복수개의 사이드 키(132~135)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실시예의 경우 사이드 키(132~135)를 4개 두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사이드 키(132~135)의 개수는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정의 사이드 키(133,134)를 조작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120)에 제어부(160)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모드 상태(a)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소정의 사이드 키(133 또는 134)를 조작하면 상기 터치스크린(120)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 수신음 또는 키버튼에 관련된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b)된다. 이때, 수신음 또는 키버튼에 관련된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설정하고자 하는 수신모드 또는 키버튼모드 중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음을 통해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알게 되거나, 진동 또는 램프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수신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오는 것을 알려주는 수신음의 크기나 진동의 세기 등을 나타내는 모드이다.
즉, 수신모드로는 수신음모드, 진동모드, 매너모드 등이 있을 수 있다. 수신모드 관련메뉴란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메뉴이다. 마찬가지로 키버튼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여러 입력버튼 조작 시 발생하는 소리나 진동 등을 나타내는 모드이다. 따라서, 수신모드 또는 키버튼모드 관련메뉴의 화면이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음 크기 등을 설정하거나 키 조작 시 발생하는 소리의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음 또는 키버튼에 관련된 여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개의 아이콘(I1~I5)과, 상기 아이콘(I1~I5) 선택 시 그에 대응되는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창(12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160)는 각 메뉴별로 현재 설정된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그래픽(122)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아이콘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모드 또는 키버튼모드 관련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의 하나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현재 설정된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숫자(123)를 통하지 않고도 그래픽(122)을 통해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창(121)에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뉴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키(S1,S2)를 추가로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하 방향의 사이드 키(133,134) 외에 디스플레이된 소프트키(S1,S2)를 조작함으로서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프트키(S1,S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으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을 접촉하면 조작된다. 그러나,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일반 LCD 화면으로 구성된 경우 사이드 키를 이용하여 소프트키(S1,S2)를 조작할 수 있다.또한, 사이드 키와 별도의 키패드를 구비하는 경우, 키패드 상의 상하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아이콘(I1~I5)이나 소프트키(S1,S2)를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여러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터치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즉, 사용자가 사이드 키(133 또는 134)를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1회 조작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I2를 선택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I3을 선택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수신시 최대벨이 출력되면서 진동이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I4를 선택하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너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I5를 선택하면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음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도 4의 b)화면과 마찬가지로 음량이나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메뉴의 경우 제어부(160)가 표시창(121)에 음량이나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 키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5의 a)와 d)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진동의 크기나 버튼음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크기 조절메뉴 또는 버튼음량 크기 조절메뉴가 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창(121)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소프트키(S1,S2)도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120)으로 구성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소프트키(S1,S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버튼음량이 디스플레이된 화면(d)에서 사이드키(133,134)를 통해 버튼음량을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는 경우 외에도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소프트키(S1,S2)를 통해 버튼음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벨이나 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세기를 최대로 설정할 경우 제어부(160)가 그래픽(122)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서 사용자가 최대크기가 설정되었음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가령,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벨과 진동 설정메뉴 상태에서 전화 수신음은 최대가 된다. 이 경우 음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픽(122)의 색상이 변경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현재 벨소리의 크기가 최대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1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픽(122)을 직접 드래깅함으로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소리의 크기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에 손을 갖다댄 후 이를 드래깅함으로서 벨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음량의 크기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에 손을 갖다댄 후 이를 드래깅함으로서 버튼음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면 그 사용자는 사이드 키, 소프트키 조절 및 그래픽 드래그의 3가지 방법을 통하여 각 메뉴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소프트키는 터치스크린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일반 LCD인 경우 사용자는 사이드 키, 소프트키를 조절함으로서 각 메뉴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 다. 이때 소프트키의 조작은 키패드 상에 구비된 상하좌우 방향키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이드 키 조작 시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20)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그 디스플레이 시간을 카운팅한다. 만일, 상기 터치스크린(120)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카운팅된 디스플레이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이동통신 단말기로 추가적인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것이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 조절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기 전의 화면일 것이다. 가령,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이드 키 조작을 통해 그 터치스크린에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라면, 카운팅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는 대기모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음량이나 진동의 크기 조절 후 설정시간동안 추가적인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에도 제어부(160)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하고 대기모드로 복귀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대기모드로 복귀되기 전 터치스크린(12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각 메뉴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로 저장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가령,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 5의 b)의 상태가 되도록 I3 아이콘을 조작한 후 설정시간 동안 추가적인 신호 입력을 하지 아니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음은 최대벨과 진동모드가 된다. 물론, 이러한 자동설정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하기 나름인 바, 설정시간 또는 자동설정 여부는 추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이드 키(133,13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측면 외 다른 부분에도 형성 가능하다. 즉,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 외에 이동통신 단말기로 한번에 명령이 입력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의 상하 또는 좌우에 구비된 키조작부 역시 본원발명의 사이드 키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사이드 키(133,134)의 특징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특정 모드에 있을 경우 조작 시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된 것에 있는 바, 사이드 키의 위치가 변형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이드 키의 조작이 발생하면(S1),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그 디스플레이부에 수신음 또는 키버튼 관련메뉴를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의 시간을 카운팅(S3)하는 바, 이 때 카운팅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 부를 확인(S4)한다. 그리고, 설정시간을 추가적인 신호 입력 없이 초과하면 원래모드로 복귀한다(S5). 원래모드란 본 실시예의 경우 대기모드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는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를 종료한 후 원래모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제어부는 대기모드로 복귀하면서 현재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바에 따라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상태를 변경한다. 가령, 예를 들어 도 4의 a)상태에서 사이드 키를 조작하여 도 4의 b)상태에 진입한 후 I4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5의 c)화면이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 설정시간 동안 추가적인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는 수신음 상태를 매너모드로 자동설정하고 대기모드로 복귀한다.
그러나 카운팅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추가적인 신호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한다(S7). 이 때 입력된 신호는 터치스크린 상의 소프트 키를 통한 신호이거나, 터치스크린 상의 그래픽 드래깅 신호이거나, 사이드 키를 통한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신호 입력 시 그에 따라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변경하면서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역시 변경한다.
그 후, 제어부는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후 카운팅된 시간을 리셋(S8)한 후 디스플레이 시간을 다시 카운팅하는 단계(S3)로 복귀한다. 만일, 설정시간 내에 추가적인 신호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변경할 것이나, 그렇지 않을 경우 제어부는 가장 최근에 음량 또는 진 동이 조절된 바에 따라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저장한 후 원래모드로 복귀할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된 사이드 키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량 또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간단한 사이드 키 조작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조작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셋팅할 수 있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아이템은 수신모드, 키버튼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관련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관련메뉴의 화면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음 도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가 최대인 경우 상기 그래픽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이 드래그되는 바에 따라 상기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또는 키버튼모드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키를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음, 키버튼 관련메뉴는 벨소리 크기 조절메뉴, 진동 세기 조절메뉴, 최대벨 및 진동 설정메뉴, 매너모드 설정메뉴, 버튼음량 크기 조절메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키 조작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후 명령 입력 없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후 명령 입력 없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대기모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가 조작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어느 하나를 셋팅하는데 사용되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아이템은 수신모드, 키버튼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관련메뉴에 대응되는 아이콘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관련메뉴의 화면을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수신음 도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가 최대인 경우 상기 그래픽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이 드래그되는 바에 따라 상기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벨소리 크기 조절메뉴, 진동 세기 조절메뉴, 최대벨 및 진동 설정메뉴, 매너모드 설정메뉴, 버튼음량 크기 조절메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신음, 키버튼 관련메뉴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사이드 키 조작이 대기모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후 명령 입력 없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현재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 디스플레이 후 명령 입력 없이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대기모드 화면을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3.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조작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셋팅할 수 있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또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이 드래그되는 바에 따라 상기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4.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가 조작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수신모드, 키버튼모드 중 어느 하나를 셋팅하는데 사용되는 선택아이템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수신모드, 키버튼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관련메뉴에서 수신음 도는 키버튼의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그래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에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그래픽이 드래그되는 바에 따라 상기 음량 또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70011290A 2007-02-03 2007-02-03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90A KR100832260B1 (ko) 2007-02-03 2007-02-03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797,171 US20080188268A1 (en) 2007-02-03 2007-05-0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07013599.1A EP1954013B1 (en) 2007-02-03 2007-07-1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A2007101391591A CN101237645A (zh) 2007-02-03 2007-07-20 移动通信终端及其操作方法
BRPI0703279-0A BRPI0703279A (pt) 2007-02-03 2007-07-25 terminal de comunicação móvel e método para sua operação
RU2007134112/07A RU2451393C2 (ru) 2007-02-03 2007-09-12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вязи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90A KR100832260B1 (ko) 2007-02-03 2007-02-03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260B1 true KR100832260B1 (ko) 2008-05-28

Family

ID=3938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2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260B1 (ko) 2007-02-03 2007-02-03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188268A1 (ko)
EP (1) EP1954013B1 (ko)
KR (1) KR100832260B1 (ko)
CN (1) CN101237645A (ko)
BR (1) BRPI0703279A (ko)
RU (1) RU2451393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66A1 (ko) * 2013-12-10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1348B2 (en) * 2007-05-25 2013-12-31 Immersion Corporation Customizing haptic effects on an end user device
CN101094469A (zh) * 2007-07-17 2007-12-26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提示信息的生成方法和装置
KR101404606B1 (ko) * 2007-08-21 201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JP2009122862A (ja) * 2007-11-13 2009-06-04 Sharp Corp 操作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US8373549B2 (en) 2007-12-31 2013-02-12 Apple Inc.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TWI407763B (zh) 2008-05-13 2013-09-01 Htc Corp 電子裝置、接通與拒絕通話方法及數位資料儲存媒體
USD589487S1 (en) * 2008-05-21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lephone
KR101498623B1 (ko) *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5341B1 (ko) * 2008-07-11 201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스탠바이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통신 방법
US8913991B2 (en) * 2008-08-15 2014-12-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User identification in cell phones based on skin contact
JP4710940B2 (ja) * 2008-09-09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8620295B2 (en) * 2009-03-05 2013-12-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notification settings on a mobile electronic device
TW201112083A (en) * 2009-06-19 2011-04-01 Research In Motion Ltd Selection of a selection item on a touch-sensitive display
KR20110116524A (ko) * 2010-04-19 2011-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169908B1 (ko) * 2010-06-24 2012-08-01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 모드 변경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9203979B1 (en) * 2010-11-04 2015-12-01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 for operating a wireless device in an environment with ambient noise
USD663766S1 (en) * 2011-01-20 2012-07-17 Dymo Printer
US8693188B2 (en) * 2011-05-24 2014-04-08 Blackberry Limited Pivotable display guide mechanism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US9067044B2 (en) 2012-02-17 2015-06-30 Frank M. WANCA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dynamic neural stimulation
US9380146B1 (en) * 2012-03-14 2016-06-28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conversion between voice calls and text calls
US10114445B2 (en) * 2012-10-29 2018-10-30 Facebook, Inc. Screen timeout duration
AU352564S (en) * 2013-03-08 2013-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3809911B (zh) * 2014-02-28 2017-06-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振动模式的设置方法及系统
CN105912112A (zh) * 2016-04-05 2016-08-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震动等级的设置方法及装置
CN105912114A (zh) * 2016-04-05 2016-08-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震动级别的调整方法及装置
CN106775533B (zh) * 2016-12-23 2022-12-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利用多个屏幕展示信息的方法、装置和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58B1 (ko) * 2006-09-29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0567B (en) * 1996-02-23 2000-04-26 Nokia Mobile Phones Ltd A radio telephone
WO1999035590A1 (en) * 1998-01-07 1999-07-15 Microsoft Corporation Fast start voice recording on a hand held digital device
US6597397B1 (en) * 1998-07-22 2003-07-22 Eastman Kodak Company Digital still camera with optical tape
US6982695B1 (en) * 1999-04-22 2006-01-03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control of viewing parameters
GB2365676B (en) * 2000-02-18 2004-06-23 Sensei Ltd Mobile telephone with improved man-machine interface
US7458080B2 (en) * 2000-12-19 2008-11-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user notifications for small computer devices
KR20020059031A (ko) * 2000-12-30 2002-07-12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터치 링톤 차단방법
US7730401B2 (en) *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6957397B1 (en) * 2001-06-11 2005-10-18 Palm, Inc. Navigating through a menu of a handheld computer using a keyboard
KR100389829B1 (ko) * 2001-06-15 200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볼륨키의 조작으로 소정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CA2398798A1 (en) * 2001-08-28 2003-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ity for an lcd touchscreen
JP4096541B2 (ja) * 2001-10-01 2008-06-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面表示方法
JP3798287B2 (ja) * 2001-10-10 2006-07-19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3852368B2 (ja) * 2002-05-16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US20040067768A1 (en) * 2002-05-31 2004-04-08 Lavaflow, Llp User interface for a cellular telephone functioning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7856251B2 (en) * 2003-04-24 2010-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US7164410B2 (en) * 2003-07-28 2007-01-16 Sig G. Kupka Manipulating an on-screen object using zones surrounding the object
US20050159189A1 (en) * 2003-12-30 2005-07-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ccessing and displaying data on a limited display
JP4046095B2 (ja) * 2004-03-26 2008-02-13 ソニー株式会社 触覚機能付き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TWI305889B (en) * 2004-06-08 2009-02-01 Qisda Corp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user-defined keys
JP4210936B2 (ja) * 2004-07-08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JP4439351B2 (ja) * 2004-07-28 2010-03-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振動付与機能付き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および操作入力に対する振動付与方法
US7366609B2 (en) * 2005-08-29 2008-04-29 Garmin Ltd. Navigation device with control feature limiting access to non-navigation application
CN102169415A (zh) * 2005-12-30 2011-08-31 苹果公司 具有多重触摸输入的便携式电子设备
RU59355U1 (ru) * 2006-05-19 2006-12-10 Фарит Мерванович Валиуллов Простейший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CN101079907B (zh) * 2006-05-26 2011-11-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设备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7791594B2 (en) * 2006-08-30 2010-09-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rientation based multiple mode mechanically vibrated touch screen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58B1 (ko) * 2006-09-29 2007-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8166A1 (ko) * 2013-12-10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방법
US10296165B2 (en) 2013-12-10 2019-05-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ncluding display on front surface and rear input unit on rear surface and method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based on first input applied to rear input unit and second input applied to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7645A (zh) 2008-08-06
EP1954013A3 (en) 2009-04-15
RU2007134112A (ru) 2009-03-20
RU2451393C2 (ru) 2012-05-20
BRPI0703279A (pt) 2008-09-16
US20080188268A1 (en) 2008-08-07
EP1954013B1 (en) 2017-06-21
EP1954013A2 (en)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2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776180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90309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0689522B1 (ko)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US74299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nient change of display characters on a handheld device
KR100844071B1 (ko) 웹페이지 표시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97072B1 (ko) 인디케이터 아이콘의 위치지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917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KR200100830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JP2001111661A (ja) タッチ・センス・スクリーンを備える通信デバイス
KR1013800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33479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20030055855A (ko)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WO2011056320A1 (en) Methods for displaying status components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4820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4511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 구현방법
KR100868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11057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바로가기 설정 및 실행방법
KR20060001448A (ko)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KR101276826B1 (ko) 이동 단말기의 동작상태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KR20020066700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관리 방법
KR20020038849A (ko) 터치 패드를 가지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에 의한 메뉴선택 방법
KR100731777B1 (ko) 포인팅 디바이스,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063005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90761B1 (ko) 휴대폰의 메뉴 선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