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100B1 -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nd pylon base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nd pylon base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2100B1 KR100832100B1 KR1020070038848A KR20070038848A KR100832100B1 KR 100832100 B1 KR100832100 B1 KR 100832100B1 KR 1020070038848 A KR1020070038848 A KR 1020070038848A KR 20070038848 A KR20070038848 A KR 20070038848A KR 100832100 B1 KR100832100 B1 KR 1008321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e cable
- stress reduction
- sheath
- fixing
- pyl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은 역Y자형 주탑의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verted Y-shaped pylon.
도2는 역Y자형 주탑 기부(基部)에 작용하는 응력에 관한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ess acting on the inverted Y-shaped pylon base.
도3은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colum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도4는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colum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도5는 단위쉬스 및 연결커플러로 구성된 쉬스관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sheath tube consisting of a unit sheath and a couple coupler.
도6은 타이케이블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tie cable.
도7은 베어링 플레이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bearing plate.
도8은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ylon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도9는 타이케이블을 긴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9 illustrates a process of tensioning a tie cabl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주탑 2 : 가로보1: pylon 2: horizontal beam
3 : 도로3: road
100 :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 V-shap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110 : 좌측 경사구조물 120 : 우측 경사구조물110: left inclined structure 120: right inclined structure
200a, 200b : 쉬스관 210 : 단위쉬스관200a, 200b: sheath pipe 210: unit sheath pipe
220 : 연결커플러220: connection coupler
300 : 타이케이블 310a, 310b : 여유장300:
400a, 400b : 베어링 플레이트400a, 400b: Bearing Plate
500a, 500b : 고정너트500a, 500b: Fixing nut
600 : 텐션커플러 700 : 텐션바600: tension coupler 700: tension bar
800 : 유압잭800: hydraulic jack
M : 기준로트M: Standard Lot
본 발명은 사장교 또는 현수교 주탑의 가로보 하단부를 V자형태로 시공할 때, 주탑의 자중에 의해 구조물의 하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저감시키고 주탑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가설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structure for reducing the stress acting on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e and controlling the displacement of the pylon when the bottom of the cross beam of the pylon of the cable-stayed bridge or suspension bridge in the V-shaped construction.
사장교 또는 현수교는 주탑(1)의 가로보(2) 위에 도로(3)가 놓이고, 상기 도로(3)는 다시 주탑(1)에 매달리는 구조로 구성된다.(도1 참조) 따라서, 주탑(Pylon)은 사장교 또는 현수교에서 가장 중요한 구조물이라 할 수 있는데, 교량 이 대형화되고, 스팬간격이 멀어짐에 따라 주탑도 높고 튼튼하게 축조되어야 한다. The cable-stayed bridge or suspension bridge has a road 3 on the crossbeam 2 of the main tower 1, and the road 3 is configured to hang on the main tower 1 again (see Fig. 1). ) Is the most important structure in cable-stayed bridges or suspension bridges. As the bridges become larger and span intervals increase, the pylons must be constructed high and strong.
이러한 주탑은 보통 A자형, H자형, 역 Y자형으로 축조되며, 이 때 역Y자형의 주탑(1)은 가로보(2) 하단부를 V자형태의 캔틸레버 형식의 기둥 형태로 축조하여 대형 구조물인 주탑에 심미감을 줄 수 있다. Such pylons are usually constructed in A, H, and inverted Y-shapes. In this case, the inverted Y-shaped pylons (1) a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pillars in the form of V-shaped cantilevered columns at the bottom of the crossbeam (2). It can give a sense of aesthetics.
종래에는 위와 같은 V자형태의 구조물을 축조할 때는 중력에 대한 구조물 자체의 형상유지 및 구조물의 하단에 발생하는 큰 응력에 저항하기 위해 구조물의 하부로 갈수록 대단면을 갖도록 설계하여 단면력을 이용해 응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방식(공법)을 취하여 왔다.Conventionally, when constructing a V-shap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designed to have a large cross section toward the bottom of the structure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tructure itself against gravity and to resist the large stress occurring at the bottom of the structure. It has been a way to resist.
그러나, 주탑이 대형화됨에 따라 V자형 구조물의 하단이 감내해야할 응력도 함께 커지게 되고, 이러한 응력에 대항하기 위해 구조물 하부의 단면적을 크게 한다면 시공상의 불이익이 커짐은 물론 그 외관도 좋지 못하게 되므로, 구조물 하부의 단면적을 너무 크게 하지 않더라도 안정적 시공을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However, as the main column becomes larger, the lower end of the V-shaped structure also increases the stress to bear, and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e is increased to cope with such stress, the construction disadvantage increases and the appearance thereof becomes poo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be stably constructed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is not too larg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현수교 또는 사장교의 주탑을 역Y자로 축조할 때, 가로보의 하부는 V자형으로 축조함에 있어, 상기 가로보의 설치 전에 임시로 설치하는 타이케이블에 의하여 경사구조물의 회전모 멘트를 통제하여 구조물 하부가 감당해야할 응력을 경감시킴으로서, 경사구조물 하부의 단면적을 크게 하지 않고도 대형의 V자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constructing the main tower of the suspension bridge or cable-stayed bridge as an inverted Y, the lower part of the cross beam in the V-shape, in the tie cable temporarily install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cross beam By controlling the rotation moment of the inclined structure by reducing the stress that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e, to provide a hypothetical structure to enable the construction of a large V-shaped structure without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clined structure.
본 발명은 사장교 또는 현수교의 주탑 가로보 하부를 V자형으로 시공하기 위한 가설구조로서, 좌, 우측 경사구조물을 로트(Lot)단위로 축조하여 형성된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주탑 가로보 하부의 좌, 우측 경사구조물의 기준로트에, 관홀이 상호 대향하도록 수평매립된 쉬스관; 좌단은 상기 좌측 경사구조물에 매립된 쉬스관을 관통하여 긴장되고, 우단은 상기 우측 경사구조물에 매립된 쉬스관을 관통하여 긴장된 채로 고정, 설치되는 타이케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mporary 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in column crossbeam of the cable-stayed bridge or suspension bridge in a V-shape, V-shap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med by constructing the left and right inclined structure by lot unit; Sheath pipe horizontally buried in the reference lot of the left and right inclined structure of the main column cross beam so that the pipe hole is opposed to each other; The left end is tensioned through the sheath tube embedded in the left inclined structure, the right end is fixed through the sheath tube embedded in the right inclined structure, the tie cable is fixed and installed; It provides a main colum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은 사장교 또는 현수교의 주탑 가로보 하부를 로트(Lot)단위로 축조하여 좌, 우측 경사구조물로 이루어진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하기 위한 가설공법으로서, (a) 시스템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기 좌, 우측 구조물을 로트단위로 축조하되, 상기 주탑 가로보 설치 전의 기준로트에는 각각 쉬스관을 수평매립하여 관홀(201)이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하는 공정; (b) 타이케이블의 우단을 인양하여 상기 우측 경사구조물에 매립된 쉬스관에 삽입, 관통시킨 후, 상기 타이케이블의 우단을 상기 우측 경사물에 가고정시키는 공정; (c) 상기 타이케이블의 좌 단을 인양하여 상기 좌측 경사구조물에 매립된 쉬스관에 삽입, 관통시킨 후, 상기 타이케이블의 좌단을 상기 좌측 경사물에 고정시키는 공정; 및 (d) 상기 타이케이블의 우단을 긴장하여 고정시키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V-shap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nsisting of left and right inclined structure by constructing the bottom of the main column crossbeam of the cable-stayed bridge or suspension bridge by lot unit, (a) using the system formwork Constructing the left and right structures in a lot unit, and installing the sheath pipes horizontally in the reference lot before installing the main column crossbeams so that the
도1은 역Y자형 주탑의 모식도이다. 도2는 역Y자형 주탑의 기부(基部)에 작용하는 응력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3은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4는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5는 단위쉬스 및 연결커플러로 구성된 쉬스관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6은 타이케이블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7은 베어링 플레이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8은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9는 타이케이블을 긴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verted Y-shaped pyl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stress acting on the base of an inverted Y-shaped pylon. 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colum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4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colum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sheath tube consisting of a unit sheath and a couple coupl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tie cable. 7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bearing plate. Figure 8 show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ylon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9 illustrates a process of tensioning a tie cabl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Ⅰ. I. 주탑Pylon 기부( donate( 基部Base station ) ) 응력저감Stress reduction 가설구조 Construction
도1은 역Y자형 주탑의 모식도이다. 역Y자형 주탑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로트(Lot)단위로 축조된다. 또한, 역Y자형 주탑(1)의 하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로 축조할 수 있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inverted Y-shaped pylon. Inverted Y-shaped pylons ar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are constructed in lots.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verted Y-shaped pylon 1 can be constructed with a V-shaped reinforced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을 로트(Lot)단위로 축조하여 형성되고,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상단에는 가로보(2)가 놓이며, 상기 가로보의 상부에는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로부터 다시 역 Y자형으로 수렴되며 축조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역Y자형 주탑(1)에서는 상기 가로보(2)가 두 갈래의 구조체를 잡아주므로 구조상 불리한 점은 없다.The V-shaped reinforced
그러나, 상기 가로보(2)가 놓이기 전, 즉,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를 축조하는 과정에서는 V자형태의 특성상,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이 중력에 의해 각각 양측으로 기울어지고자 하는 힘에 의해, 구조체의 기부(基部)가 감당해야할 회전모멘트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에 가로보(2)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과 가로보(2)가 완전히 일체화되기 전에는 상기 가로보(2)의 하중은 고스란히 좌, 우측 경사구조물의 기부(基部)가 감당해야할 응력으로 작용한다. However, before the cross beam 2 is placed, that i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V-shaped reinforced
도2는 역Y자형 주탑의 기부(基部)가 받는 응력에 관한 모식도로서, 상기 주탑(1) 기부의 하단에 걸리는 과도한 부하에 대응하는 방법은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의 하부를 대단면으로 축조하는 방법밖에 없었고,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할 경우 가로보(2)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주탑(1)이 붕괴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도 없었다.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ess applied to the base of the inverted Y-shaped pylon, and the method for dealing with an excessive load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pylon 1 base is shown in FIG. There was only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lower part in a large cross section, and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method, it was not possible to exclude the risk that the main column 1 collaps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cross beam 2.
이에 본 발명은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상단을 서로 잡아당겨줄 수 있는 가설구조를 도입하여, 구조체의 하단이 감당해야 할 회전모멘트를 경감시켜 줌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구조물 축조에 소요되는 콘크리트, 철근 등의 자재를 절감하고,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형태를 갖도록 개발되었다. 이 경우 가로부(2)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상기 좌, 우 경사구조물(110, 12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과 가로보(2)가 완전히 일체화된 상태와 마찬가지로 안정적 구조를 이룰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hypothetical structure that can pull the upper ends of the V-shaped reinforced
도3은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도4는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 쉬스관(200a, 200b); 및 타이케이블(300)로 구성된다.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Figure 4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V-shaped reinforced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은 시공은 일반적인 시스템거푸집을 상부로 이동시키며 로트(Lot)별로 시공할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일정 각도록 기울어져 있더라도 구조물 자체의 강성에 의해 어느 정도 높이까지는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세워질 수 있다. 다만, 가로보(2)가 설치되는 중에는 상기 가로보(2)의 자중에 의한 수십, 수백톤의 하중을 경사구조물이 일시에 감당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로보(2)의 설치로트 하부에 위와 같은 응력을 통제할 수 있는 가설구조를 하도록 구성된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가설구조 설치를 위해 필요한 쉬스관(200a, 200b)이 매립되는 로트(lot)를 기준로트(M)라 명하였다.The left and right
상기 쉬스관(200a, 200b)은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의 기준로트(M)를 각각 관통하여, 관홀(201)이 상호 대향하도록 수평매립되는 부재이다.The
이 때, 상기 쉬스관(200a, 200b)은, 양단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단위쉬스(210); 및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위쉬스(210)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단위쉬스(210)를 2개씩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연결커플러(220); 로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eath pipe (200a, 200b), a plurality of
강관파이프 등을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를 관통할 만한 길이로 제작하여 상기 쉬스관(200a, 200b)으로 활용할 수 있으나, 하나의 긴 쉬스관(200a, 200b)을 횡방향으로 매립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다수개의 단위쉬스(210)를 다수개의 연결커플러(220)로 결합시켜 가면서 요구되는 길이를 만족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5 참조)Steel pipe pipes and the like can be produced to the length to penetrate the V-shaped reinforced
상기 타이케이블(300)은 일단이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좌측 경사구조물(110)에 매립된 쉬스관(200a, 200b)을 관통하여 긴장되고, 타단이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우측 경사구조물(120)에 매립된 쉬스관(200a, 200b)을 관통하여 긴장된 채로 고정, 설치되는 강선부재이다. (도6 참조)The
상기한 바와 같이 타이케이블(300)의 좌우단이 긴장된 채로 고정, 설치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타이케이블(300)의 좌, 우 양단을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여유장(310a, 310b)으로 구성하여, 베어링 플레이트(400a, 400b)와 고정너트(500a, 500b)를 이용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4 참조) In order to fix and install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a, 400b)는 판면에 상기 여유장(310a, 310b)이 관통하는 통공(410)이 형성된 판상부재로서,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500a, 500b)는 상기 여유장(310a, 310b)과 나사결합하며 상기 베이링 플레이트(400a, 400b)를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의 외면에 각각 밀착고정시키는 부재이다.The bearing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a, 400b)를 상기 경사구조물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테이퍼형 측단면을 갖도록 구성하여, 상기 고정너트(500a, 500b)와 접하는 판면이 연직면을 이루도록 설치하면 상기 고정너트(500, 500b)가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a, 400b)를 밀어 고정시키는 힘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도7 참조)When the
Ⅱ. II. 주탑Pylon 기부( donate( 基部Base station ) ) 응력저감Stress reduction 공법 Metho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주탑 기부 응력저감 가설구조를 설치하는 공법을 함께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의 시공과정이 도시된 도8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stalling the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ylon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공정 1. (a) Process
본 공정은 상기 기준로트(M)까지, 일반적인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과정을 통해 축조하되,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의 기준로트(M)에는 각각 쉬스관(200a, 200b)을 수평매립하여 관홀(201)이 상호 대향하도록 설치하는 공정이다.(도8의 (a) 참조)This process is built up to the reference lot (M) through a general concrete casting and curing process, the horizontal sheath pipe (200a, 200b) to the reference lot (M) of the left and right inclined structures (110, 120), respectively It is a process of burying and installing the
2. (b)공정2. (b) process
본 공정은 타이케이블(300)의 우단을 인양하여 상기 우측 경사구조물(120)에 매립된 쉬스관(200b)에 삽입, 관통시킨 후, 상기 타이케이블(300)의 우단을 상기 우측 경사물(120)에 가고정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타이케이블(300)의 인양작업시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케이블(300)에 인양용 금구 및 와이어를 체결하여 인양할 수 있다. (도8의 (b) 참조)In this process, the right end of the
3. (c)공정3. (c) process
본 공정은 상기 타이케이블(300)의 좌단을 인양하여 상기 좌측 경사구조물(110)에 매립된 쉬스관(200a)에 삽입, 관통시킨 후, 상기 타이케이블(300)의 좌단을 상기 좌측 경사물(110)에 고정시키는 공정이다. (도8의 (c) 참조)In this step, the left end of the
4. (d)공정4. (d) process
본 공정은 상기 타이케이블(300)의 우단을 긴장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이다. (도8의 (d) 및 (e) 참조)This step is a step of fixing the right end of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타이케이블(300)의 좌, 우 양단은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여유장(310a, 310b)으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여유장(310a, 310b)을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에 가고정시키거나, 고정시킬 때, 판면에 통공(410)이 형성된 베어링플레이트(400a, 400b)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너트(500a, 500b)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b)공정 내지 (d)공정에서는 각각 상기 여유장(310a, 310b)을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a, 400b)의 통공(410)에 관통시킨 채로 상기 고정너트(500a, 500b)와 각각 나사결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탑 기부 응력저감 공법의 실시예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이 때 상기 (d)공정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상기 타이케이블(300) 우단 여유장(310b)에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텐션커플러(600) 및 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텐션바(700)를 차례로 나사결합시키며 설치하는 단계(도9의 (a) 참조); 2)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b)를 누르며 상기 텐션바(70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 유압잭(800)을 설치하는 단계(도9의 (b) 참조); 3) 상기 유압잭(800)으로 상기 텐션바(700)를 잡아당기는 단계(도9의 (c) 참조); 및 4) 상기 텐션바(700)가 잡아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500b)를 상기 베어링 플레이트(400b)에 밀착되도록 조여 고정시킨 후 상기 유압잭(800), 텐션바(700) 및 텐션커플러(600)를 해체하는 단계(도9의 (d) 참조); 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케이블 가설공법의 실시예를 함께 제공한다. At this time, the step (d), as shown in Figure 9 1) the
상기한 바와 같이 (a)공정 내지 (d)공정의 실시로 타이케이블 가설구조를 완성하게 되며, 이후에는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을 상기 기준로트(M)에서부터 1로트 내지 2로트 더 높게 축조한 후 상기 좌, 우측 경사구조물(110, 120) 사이에 가로보(2)를 설치한다. 상기 가로보(2)가 설치, 고정된 후에는 상기 가로보(2)에 의해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00)의 변위가 제어되므로, 상기 타이케이블 가설구조는 해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tie cable temporary structure is completed by performing the steps (a) to (d), and thereafter, the left and righ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케이블로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좌, 우 경사구조물 상단을 잡아당겨 줌으로서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하부가 감당해야 할 회전모멘트를 경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ulling the upper left and right inclined structure of the V-shap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ith a tie cable can reduce the rotation moment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V-shap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has to bear.
따라서 상기 V자형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하부는 대단면이 불필요하여 공사기간, 공사비 절감은 물론, 시공 중의 안정성을 신뢰할 수 있게 되며,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경사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lower portion of the V-shap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not necessary for the large cross-section, the construction period, cost reduction, as well as reliability during constru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uild a visually excellent inclined structur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8848A KR100832100B1 (en) | 2007-04-20 | 2007-04-20 |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nd pylon base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8848A KR100832100B1 (en) | 2007-04-20 | 2007-04-20 |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nd pylon base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2100B1 true KR100832100B1 (en) | 2008-05-27 |
Family
ID=3966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88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100B1 (en) | 2007-04-20 | 2007-04-20 |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nd pylon base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2100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9900B1 (en) | 2008-12-11 | 2011-07-15 | 오병담 | Tension member assembly |
CN108330831A (en) * | 2018-03-13 | 2018-07-27 |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 Steel locker format Suo-tower connection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KR20190119443A (en) * | 2018-04-12 | 2019-10-22 |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 Tie cable bind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4000426A (en) * | 2021-11-17 | 2022-02-01 |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 Cable tower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CN115182248A (en) * | 2022-06-30 | 2022-10-14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space split type steel-concrete mixing tower, method, equipment and medium |
CN115262391A (en) * | 2022-06-24 | 2022-11-01 | 贵州省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able tower X support setting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2477002B1 (en) * | 2022-04-08 | 2022-12-14 | (주)리콘 | Cable Tie Construction Method For Platform Reinforcem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46052A (en) * | 1991-11-22 | 1993-12-27 | P S Co Ltd | Sheath joint for filling concrete |
JP2003301560A (en) * | 2002-04-08 | 2003-10-24 | Totaku Industries Inc | Joint for sheath, and sheath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joint |
JP2005299111A (en) * | 2004-04-07 | 2005-10-27 | Taisei Corp | Temporary stru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0667921B1 (en) * | 2005-12-13 | 2007-01-11 | 재현토건(주) | Pylon construction method of cable bridge using precast concrete crossbeam |
-
2007
- 2007-04-20 KR KR1020070038848A patent/KR1008321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46052A (en) * | 1991-11-22 | 1993-12-27 | P S Co Ltd | Sheath joint for filling concrete |
JP2003301560A (en) * | 2002-04-08 | 2003-10-24 | Totaku Industries Inc | Joint for sheath, and sheath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joint |
JP2005299111A (en) * | 2004-04-07 | 2005-10-27 | Taisei Corp | Temporary stru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0667921B1 (en) * | 2005-12-13 | 2007-01-11 | 재현토건(주) | Pylon construction method of cable bridge using precast concrete crossbeam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9900B1 (en) | 2008-12-11 | 2011-07-15 | 오병담 | Tension member assembly |
CN108330831A (en) * | 2018-03-13 | 2018-07-27 | 中交公路规划设计院有限公司 | Steel locker format Suo-tower connection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KR20190119443A (en) * | 2018-04-12 | 2019-10-22 |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 Tie cable bind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051553B1 (en) | 2018-04-12 | 2019-12-05 |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 Tie cable bind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4000426A (en) * | 2021-11-17 | 2022-02-01 | 中交一公局集团有限公司 | Cable tower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
KR102477002B1 (en) * | 2022-04-08 | 2022-12-14 | (주)리콘 | Cable Tie Construction Method For Platform Reinforcement |
CN115262391A (en) * | 2022-06-24 | 2022-11-01 | 贵州省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able tower X support setting and construction method |
CN115182248A (en) * | 2022-06-30 | 2022-10-14 |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space split type steel-concrete mixing tower, method, equipment and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2100B1 (en) | Pylon base stress reduction hypothesis structure and pylon base base stress reduction method | |
CN100417771C (en) |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ng prestressed concrete I-beams with steel brackets | |
CN110886237B (en) | Arch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CN106087707B (en) | A kind of accessory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existing bridge lateral from toppl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19881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using a preflex girder | |
CN105970799A (en) | Structure for preventing bridge from overturning transversely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 | |
JP3844743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067254B1 (en) | Negative moment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girder and cross 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1163744B1 (en) | Segmental type preflex girder making method for uniform preflexion | |
JP3635004B2 (en) | Bridge cantilever construction method | |
CN110878535A (en) | Diagonal tension load-adjusting system for reinforcing rigid truss bridge and reinforcing method thereof | |
CN113279582A (en) | Hanging construction method for overhanging and hanging type cast-in-place plate | |
CN216196612U (en) | Support structure of cantilever scaffold and support system of cantilever scaffold | |
CN113860190B (en) | Cantilever crane turnover-free beam rest bracket and installation method | |
CN113756619B (en) | Temporary support structure of cooling tower steel pipe concrete X-shaped oblique stru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529517B1 (en) | Method for pulling up equally the upper structure of a bridge using a raising bracket supporting load dispersedly, having a displacement measuring instrument | |
JP3737475B2 (en) |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22787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Bridge Using PSC Girder | |
JP4728453B1 (en) | Main girder continuous structure | |
KR20080099061A (en) | Gangaro robo for connection to the PCS beam of the PCS bridge | |
JP3847604B2 (en) | Floor slab replacement method | |
KR101674725B1 (en) | Precast segment unit and precast segment structure by using of it) | |
CN217629436U (en) | Assembled bracket suitable for special-shaped bridge pier | |
CN212956140U (en) | Support system device of large cantilever bent cap of soft foundation | |
CN214497525U (en) | Prefabricated hollow concrete supporting member and inner suppor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