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780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1780B1 KR100831780B1 KR1020060075527A KR20060075527A KR100831780B1 KR 100831780 B1 KR100831780 B1 KR 100831780B1 KR 1020060075527 A KR1020060075527 A KR 1020060075527A KR 20060075527 A KR20060075527 A KR 20060075527A KR 100831780 B1 KR100831780 B1 KR 100831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guide surface
- display device
- display panel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의 고열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ling device for a flat display device that allows a high temperature inside a flat display device to be rapidly and stab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덮는 백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부를 보호하는 프런트 커버;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커버 사이에 제공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팬의 일측에 제공되는 스크롤과, 상기 스크롤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로 이루어지는 팬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근 거리에 위치되는 흡입가이드면과, 상기 흡입가이드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토출가이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 back cover covering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ront cov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cover for protecting the front edge of the display panel, a fan for sucking air, a scrol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Wherein the stabilizer comprises a suction guide surface positioned at a rectilinear distance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and a discharge guide surfac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guide surface.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냉각효율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유동소음이 줄어들고, 팬의 동작에 있어서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flat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the flow noise can be reduced, the operation reliability can be improved in the operation of the fan, and the cost can be reduced.
횡류팬, 스태빌라이저, 스크롤 Cross-flow fan, stabilizer, scrol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팬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a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an assembly.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팬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의 외관 사시도.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 mounted on a fa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되지 않은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기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기 간의 공기 역류량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시뮬레이션도.5 is a simulation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display device on which a stabilizer is mounted and a display device on which a stab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which the discharge guide surface is not provided, and the discharge guide surface.
도 6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된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팬 어셈블리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되지 않은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흡입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6 is a graph comparing the suction speeds of air passing through a fan assembly using a stabilizer having a discharge guide surface and a fan assembly using a stabilizer without a discharge guide surfa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 디스플레이 기기 11 : 프런트 커버10: Display device 11: Front cover
12 : 디스플레이 패널 13 : 백커버12: display panel 13: back cover
14 :베이스 20 : 팬 어셈블리14: Base 20: Fan assembly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의 고열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일반적인 음극선관과는 달리 메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구동회로에 의해서, 각 화소의 발광상태가 서로 달리 구현되어 전체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음극선관과는 달리 부피가 작기 때문에, 협소한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고 근래 들어 그 사용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다.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 구동방식에 따라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EL) 표시장치 등이 있다. 이들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서 제작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는 부피가 작아서 사용자의 편리함을 추구할 수는 있지만, 폭이 좁은 평면 형태의 내부 공간에 다수의 발열 부품들이 집적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모듈의 구동 중에 발생하는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한 해결 과제이다. Unlike a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forms an image entirely by implementing a light emitting state of each pixel differently by a driving circuit arranged in a matrix form. Since the flat display device has a small volume unlike the cathode ray tube, the space occupied in the narrow indoor space is small, so that the consumer's preference is high and the use thereof is remarkab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flat panel display module applied to the flat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devices. Since the flat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se display modules has a small volume and can pursu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since a large number of heat generating components are integrated in a planar inner space with a narrow width, Allowing heat to be released is an important challenge.
특히, PDP 장치는 방전가스의 방전현상에 의해서 화상이 형성되고 전장부품 등에 의해 고온의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열이 신속하게 방출되지 아니하면 기기가 오작동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현실이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 구동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도 방열성능이 기기의 성능을 제한하는 것은 물론이다. Particularly, in the PDP apparatus, an image is formed due to the discharge phenomenon of the discharge gas, and high-temperature heat is generated by electric parts and the like. Therefore, unless such heat is rapidly released, the PDP apparatus malfunctions or malfunctions It is a reality. Of cours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flat panel display module driven by other methods also limits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 횡류팬을 설치하여, 기기 내부에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기기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되도록 하고자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provide a transverse fan inside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high-temperature heat generated inside the device can be rapi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그러나, 종래의 횡류팬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횡류팬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역류하여 기기 내부로 재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뜨거운 공기의 재순환이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에서 일어남으로써, 횡류팬에 의하여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감소하여, 냉각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cross-flow fan, a part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flow fan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flows backward into the device. That is, the hot air recirculation occurs inside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the air sucked and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are reduced, and the cooling speed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토출되면서 기기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기기 내부의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apidly cooling the inside of a device by preventing hot air in the display device from flowing back into the device while discharging hot air therein .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에 제공되는 냉각 장치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유동 소음이 최소화되고, 흡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및 유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that minimizes flow noise and increases the flow rate and flow rate of air sucked and discharg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ol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display device.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개선되어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설치에 대한 자유도가 개선될 수 있는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apparatus for a flat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rection of air flow inside the flat display device is improved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installation of the flat display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덮는 백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테두리부를 보호하는 프런트 커버;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커버 사이에 제공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팬의 일측에 제공되는 스크롤과, 상기 스크롤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로 이루어지는 팬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상기 팬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근 거리에 위치되는 흡입가이드면과, 상기 흡입가이드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토출가이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 back cover covering a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front cov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back cover for protecting the front edge of the display panel, a fan for sucking air, a scrol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n, Wherein the stabilizer has a suction guide surface positioned at a rectilinear distance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and a discharge guide surfac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guide surface.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한 냉각효율이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고, 유동소음이 줄어들고, 팬의 동작에 있어서 동작 신뢰성이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flat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the flow noise can be reduced, the operation reliability can be improved in the operation of the fan, and the cost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Range. ≪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전면 테두리부에 둘러지는 프런트 커버(11)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배면에 장착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백커버(13)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하는 베이스(14)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백커버(13) 사이에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팬 어셈블리(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0) 내부에는 기타 여러 부품이 내장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1, a
한편, 상기 백커버(13)의 상측에는 상기 팬 어셈블리(2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토출 그릴(131)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된 내부 공기는 상기 팬 어셈블리(20)에 의하여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 그릴(1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With the above construction, the internal air he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팬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다.FIG.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fa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fan assembly.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팬 어셈블리(20)에는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횡류팬(24)과, 상기 횡류팬(24)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 패널(22)과, 상기 횡류팬(24)의 전방에 제공되어,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스크롤(21)과, 상기 횡류팬(24)의 후방에 위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정화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 23)가 포함된다. 2 and 3, a
상세히, 상기 횡류팬(24)의 하측은 개구되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201)를 형성하고, 상측도 개구되어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202)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20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20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detail, the lower side of the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23)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20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백커버(13)와 팬 어셈블리(20) 사이로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shap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팬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의 외관 사시도이다.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abilizer mounted on a fa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23)는 상기 스크롤(21)과 함께 상기 횡류팬(24)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스크롤(21)을 따라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스태빌라이저(23)에 의하여 회전을 반복하지 않고 상기 토출구(202)로 토출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23)는 상기 횡류팬(24)의 외주면쪽에 위치되는 흡입가이드면(231)과, 상기 흡입가이드면(231)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토출가이드면(2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토출가이드면(232)에 의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역류 현상이 차단된다. 도 3을 기준으로 볼 때에는 스태빌라이저(23)의 하측부분으로서 공기의 흡입을 가이드하는 면이 흡입가이드면(231)이고, 스태빌라이저(23)의 상측부분으로서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면이 토출가이드면(232)이 된다.The
상세히, 상기 스태빌라이저(23)에 상기 토출가이드면(232)과 같은 공기 유동 가이드 부분이 없는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역류하여, 다시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로 재유입된다. 즉, 상기 스태빌라이저(23)의 배면과 백커버(13) 사이 공간을 통하여 토출 공기의 일부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re is no air flow guide part such as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기의 토출측에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동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횡류팬(24)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202)를 통하여 토출되어, 상기 백커버(13)의 토출 그릴(13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가이드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ow surface for preventing the backward flow of air is form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air, the air sucked by the
여기서, 상기 흡입가이드면(231)과 토출가이드면(232)는 상기 스태빌라이저(23)의 수평 이등분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토출가이드면(232)의 단부가 상기 스크롤(21) 쪽으로 부드럽게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상기 흡입가이드면(231)은, 스태빌라이저(23)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하단에서 시작하여 아래쪽으로 볼록한 면이 윗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변곡점을 포함하는 영역이고, 상기 토출가이드면(232)은, 윗쪽으로 볼록한 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변곡점을 포함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가이드면(232)의 영역에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변화하는 변곡점이 포함됨으로써, 결국 스크롤(21)쪽으로 만곡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3, the
도 5는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되지 않은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기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기 간의 공기 역류량을 비교하여 보여주는 시뮬레이션도이다.FIG. 5 is a simulation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amount of airflow between a display device on which a stabilizer is mounted and a display device on whic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discharge guide surface, is mounted.
도 5를 참조하면, 토출가이드면(232)이 없는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백커버(13)와 팬 어셈블리(20) 사이 공간을 통하여 역류하는 고온의 공기의 양이 토출가이드면(232)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현저히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5, the amount of the high-temperature air flowing back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또한, 뜨거운 공기의 분포 면적도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경우가 훨씬 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의 부품이 신속하게 냉각되는 것을 의미하며, 나아가 팬 어셈블리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고 공기 유량이 증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so,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hot air is much narrower when the stabil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is means that the parts inside the display device are cooled quickly, and furthermore, the flow of air by the fan assembly is accelerated and the air flow rate is increased.
또한, 실험 결과로부터 팬 어셈블리(20) 주위의 부품의 온도가 섭씨 1 ~ 2 도 정도 하강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소음의 경우도 토출가이드면이 형성된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 전면 소음이 약 17.2dB, 후면 소음이 약 22.0dB로 측정되었고, 토출가이드면이 없는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 전면 소음이 약 17.4dB, 후면 소음이 약 22.7dB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구조에 의하여 소음 또한 감소함을 알 수 있다.It was also confirm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mponents around the
도 6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된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팬 어셈블리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되지 않은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의 흡입 속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comparing suction speeds of air passing through a fan assembly using a stabilizer having a discharge guide surface and a fan assembly using a stabilizer without a discharge guide surface.
도 6을 참조하면, A 부분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된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경우 공기 팬 어셈블리의 흡입구 각 지점에 대한 흡입 속도이고, B 부분은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되지 않은 스태빌라이저를 적용한 경우 공기 흡입속도이다. 그래프 상에서 X 축은 팬 어셈블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에 이르는 흡입측 공간의 각 지점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6, A is a suction speed at each suction port of the air fan assembly when a stabilizer having a discharge guide surface is applied, and B is an air suction speed when a stabilizer without a discharge guide surface is applied . The X-axis on the graph represents each point of the suction-side space from the rotation center of the fan assembly to the radial direction.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태빌라이저에 토출가이드면이 구비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공기의 흡입 속도가 월등히 빠름을 알 수 있다. 이를 공기 유량으로 환산하면 동일 시간당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에 있어서 거의 37% 이상의 차이가 남을 확인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it can be seen that the suction speed of the air is much fast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stabilizer has the discharge guide surface. When the air flow rate was converted into the air flow r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flow rate of the air sucked at the same time was about 37% or mor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의 공기 흐름 속도와 유량이 증가되고, 토출 공기의 역류가 차단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가 신속하게 냉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ir flow rate and flow rate inside the display device are increased, and the reverse flow of the discharged air is blocked, so that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is quickly cooled.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팬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고온의 공기가 역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냉각 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the high-temperatur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assembl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flowing backward, so that the cooling rate is increased.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에서 공기의 역류 현상이 제거됨으로써, 유속 및 유량이 증가하는 반면, 유동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everse flow phenomenon of the air inside the display device is eliminated, thereby increasing flow velocity and flow rate, while minimizing flow noise.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이 개선되어,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설치에 대한 자유도가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팬 어셈블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저감되어, 내부 부품의 신속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rection of air flow inside the flat display device is improved, and the degree of freedom in installation of the flat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That is, the phenomenon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assembly flows back into the display device is reduced, and the internal parts can be quickly cooled.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백 커버의 배면에 별도의 개공이 형성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백커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백커버를 이루는 강판의 재질을 값비싼 고강도의 강판으로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재료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얻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flowing inside the flat display device is increase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opening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ack cover, There is no need to form a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thus an advantage that the material cost is reduced can be obtain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5527A KR100831780B1 (en) | 2006-08-10 | 2006-08-10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5527A KR100831780B1 (en) | 2006-08-10 | 2006-08-10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195A KR20080014195A (en) | 2008-02-14 |
KR100831780B1 true KR100831780B1 (en) | 2008-05-27 |
Family
ID=393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5527A KR100831780B1 (en) | 2006-08-10 | 2006-08-10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1780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4445B1 (en) * | 1994-02-19 | 1999-01-15 | 윤종용 | Air conditioner noise reduction device |
KR20040104984A (en) * | 2003-06-03 | 2004-12-1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cd module have a heat fan |
KR20050098990A (en) * | 2004-04-08 | 2005-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60075943A (en) * | 2004-12-29 | 2006-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television |
KR20070048296A (en) * | 2005-11-04 | 2007-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ling Unit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
-
2006
- 2006-08-10 KR KR1020060075527A patent/KR1008317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4445B1 (en) * | 1994-02-19 | 1999-01-15 | 윤종용 | Air conditioner noise reduction device |
KR20040104984A (en) * | 2003-06-03 | 2004-12-14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cd module have a heat fan |
KR20050098990A (en) * | 2004-04-08 | 2005-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60075943A (en) * | 2004-12-29 | 2006-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plasma display panel television |
KR20070048296A (en) * | 2005-11-04 | 2007-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ling Unit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195A (en) | 2008-0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7820B1 (en) | Cooling Unit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 |
US7369407B2 (en) | Flat display device and cooling apparatus for the same | |
CN110431925B (en) | Display device | |
US8432333B2 (en) | Image display | |
EP1783584A2 (en) | Cool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device | |
KR101868077B1 (en) | Back pan cooling assembly for electric display | |
US7457125B2 (en) | Cool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device and cross-flow fan of the cooling apparatus | |
CN1960618B (en) | Cool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device | |
US7522416B2 (en) | Display device and blower thereof | |
US20040036819A1 (en) | Case for covering electronic part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0673470B1 (en) | Display device | |
KR100831780B1 (en) | Display device | |
KR100805400B1 (en) | Cooling Unit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 |
KR100747828B1 (en) | Flat display appliance | |
JP2007171336A (en) | Display apparatus | |
JP2007120789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JP5457213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0693516B1 (en) | Mounting device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 |
KR100722281B1 (en) | Display device | |
KR100733318B1 (en) | Blower of display device | |
KR20070048295A (en) | Cooling Units for Flat Panel Display Devices | |
KR20090040687A (en) | Flat panel displays and cooling devices for flat panel displays | |
KR20050112843A (en) | Plasma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