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1656B1 -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656B1
KR100831656B1 KR1020060118699A KR20060118699A KR100831656B1 KR 100831656 B1 KR100831656 B1 KR 100831656B1 KR 1020060118699 A KR1020060118699 A KR 1020060118699A KR 20060118699 A KR20060118699 A KR 20060118699A KR 100831656 B1 KR100831656 B1 KR 10083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vot
axle box
box housing
ax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혁
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6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8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incorporating d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 객차 대차의 현가장치에서 탄성조인트를 취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가장치의 탄성조인트의 부품점수를 줄이면서 대차 프레임에 좀 더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탄성조인트 취부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객차 대차에 있어서 탄성조인트를 프레임에 취부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며 편평한 형상의 편평부와 이 편평부의 중심에 형성된 일방이 개방된 홈이 형성된 하단부를 구비하는 피봇 하우징과, 상기 피봇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환형 형상의 피봇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액슬을 지지하는 반원 형상의 액슬지지부가 타단부에 형성된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과, 상기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에 체결되어 액슬을 지지하는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피봇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부시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단된 단차부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핀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피봇하우징의 홈에 상기 핀이 끼워지며, 상기 핀의 단차부가 상기 피봇하우징에 체결되는 클램핑 블럭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RESIELIENT JOINT MOUNTING STRUCTURE OF SUSPENSION EQUIPMENT FOR TRUCK}
도 1 은 종래기술에서의 현가장치가 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기술에서의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종래기술에서의 탄성조인트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에서 A-A 에 따른 종래기술에서의 탄성조인트에 대한 단면이다.
도 5 은 본 발명에서의 현가장치가 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에서의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서의 탄성조인트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는 도 6 에서 A-A 에 따른 본 발명에서의 탄성조인트에 대한 단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2:현가장치
3:액슬 4:탄성조인트
5:코일스프링 6:수직댐퍼
41:피봇하우징 42:상부 액슬박스 하우징
43:하부 액슬박스 하우징 44:부시
45:핀 46:클램프 링
47:클램프 블럭
본 발명은 철도 차량 객차 대차의 현가장치에서 탄성조인트를 취부하는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가장치의 탄성조인트의 부품점수를 줄이면서 대차 프레임에 좀 더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탄성조인트 취부 구조에 대한 것이다.
철도 차량용 객차 대차의 대차 프레임 (100) 의 단부에는 철도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1차 현가장치 (200) 가 대차 프레임 (100) 의 단부에 설치된다. 1차 현가장치 (200) 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프레임 (100) 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액슬 (300) 을 지지하는 탄성조인트 (400) 와, 탄성조인트 (400) 와 프레임 (100) 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500) 과, 일단부가 프레임 (100) 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성조인트 (400) 에 고정되는 수직댐퍼 (600) 로 이루어진다.
탄성조인트 (400) 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100) 에 내측에 고정되며 양 단부에 형성된 환형 형상의 커버부 (411) 를 구비하는 피봇하 우징 (410) 과, 피봇하우징 (410)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환형 형상의 피봇부 (421) 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액슬 (300) 을 지지하는 환형 형상의 액슬지지부 (422) 가 타단부에 형성된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 (420) 과, 상기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 (420) 에 체결되어 액슬 (300) 을 지지하는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 (430) 을 구비한다.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 (420) 의 피봇부 (421) 의 내부에는 2개의 분할된 부시 (440) 가 끼워지고, 각 부시 (440) 의 내부에 삽입되는 커버 (450, 451) 가 피봇하우징 (410) 에 대한 회전이 방지되도록 커버부 (411) 에 볼트 (460)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커버 (451) 는 핀 (470) 에 의해 커버 (450) 와 상호 체결됨으로써 부시 (440) 의 중심축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탄성조인트 (400) 를 조립 및 보수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커버 (450, 451) 를 커버부 (411) 에 대해 양 방향에서 조립 내지는 체결하고 또한, 커버 (450) 간의 체결을 통해 축방향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핀 (470) 이 체결하여야 하는 바, 요구되는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고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어 조립 및 유지보수의 효율이 감소하며 제조단가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객차 대차의 프레임에 있어서 현가장치의 탄성조인트취부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조립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탄성조인트 취부구조를 제 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철도차량용 객차 대차에 있어서 탄성조인트를 프레임에 취부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며 하단부가 편평한 형상의 편평부 및 이 편평부의 중심에 형성된 일방이 개방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피봇 하우징과, 상기 피봇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환형 형상의 피봇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액슬을 지지하는 반원 형상의 액슬지지부가 타단부에 형성된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과, 상기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을 덮어 액슬을 지지하는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피봇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부시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단된 단차부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핀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피봇하우징의 홈은 상기 핀의 양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피봇하우징의 편평부가 클램핑 블럭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램핑 블럭의 중앙 상면에는 수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의 단차부의 수평부가 상기 클램핑 블럭의 수평 돌출부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수직 댐퍼를 취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은 본 발명에서의 현가장치가 대차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에서의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서의 탄성조인트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는 도 6 에서 A-A 에 따른 본 발명에서의 탄성조인트에 대한 단면이다.
본 발명의 1차 현가장치 (2)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프레임 (1) 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액슬 (3) 을 지지하는 탄성조인트 (4) 와, 탄성조인트 (4) 와 프레임 (1) 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5) 과, 일단부가 프레임 (1) 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탄성조인트 (4) 에 고정되는 수직댐퍼 (6) 로 이루어진다.
탄성조인트 (4) 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1) 의 내측에 고정되며 양 단부에 환형 형상의 커버부 (41a) 가 형성된 피봇하우징 (41) 과, 피봇하우징 (41)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환형 형상의 피봇부 (42a) 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액슬 (3) 을 지지하는 환형 형상의 액슬지지부 (42b) 가 타단부에 형성된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 (42) 과, 상기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 (42) 을 덮어 액슬 (3) 을 지지하는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 (43) 을 구비한다.
피봇하우징 (41) 의 커버부 (41a) 의 하단부는 편평한 형상으로 편평부 (41b) 와 편평부의 중심에 형성된 일방이 개방된 홈 (41c) 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 (42)의 환형 형상의 피봇부 (42a) 의 내부에는 2개의 분할된 부시 (44) 가 끼워지며 클램프 링 (46) 에 의해 고정된다.
부시 (44) 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핀 (45) 이 부시 (44) 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핀 (45) 의 상부에는 커버 (41a) 에 형성된 홈 (41c) 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원형 형상부 (45a) 를 구비하며, 핀 (45) 의 하측 양 단부에는 핀 (45) 의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단된 단차부 (45b) 가 형성되어 있다.
피봇하우징 (41) 의 커버부 (41a) 의 하단부 형성된 홈 (41c) 이 핀 (45) 의 원형 형상부 (45a) 에 끼워지고, 커버부 (41a) 의 하단부가 클램핑 블럭 (47) 에 의해 체결된다.
클램핑 블럭 (47) 은 대략 직사각형 블럭형상이며 중앙에 형성된 편평한 형상의 수평부 (47a) 및 이 수평부 (47a) 의 양측에 형성되어 커버부 (41a) 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체결부 (47b) 로 이루어진다.
한편,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 (43) 의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수직 댐퍼 (6) 를 취부하기 위한 지지부 (4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핀 (45) 의 단차부 (45b) 의 수평부가 클램프 블럭 (47) 의 상면 수평부 (47a) 와 체결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양측에서 체결하는 커버 (450) 가 없어도 핀 (45) 이 피봇하우징 (41) 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핀 (45) 의 단차부 (45b) 의 수직부가 클램프 블럭 (47) 의 측면 수직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양측에서 체결하는 커버 (450) 가 없어도 핀 (45) 이 부시 (44) 의 축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핀을 양측에서 체결하는 커버 및 커버 체결부재가 없다 하더라도 탄성조인트를 철로 차량용 객차 대차 프레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바, 이로 인해 탄성조인트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며 탄성조인트의 조립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철도차량용 객차 대차에 있어서 탄성조인트를 프레임에 취부하는 구조로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며 하단부가 편평한 형상의 편평부 및 이 편평부의 중심에 형성된 일방이 개방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피봇 하우징과,
    상기 피봇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환형 형상의 피봇부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액슬을 지지하는 반원 형상의 액슬지지부가 타단부에 형성된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과,
    상기 상부 액슬박스 하우징을 덮어 액슬을 지지하는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피봇부의 내부에 끼워지는 부시의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절단된 단차부가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핀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피봇하우징의 홈은 상기 핀의 양단부에 끼워지고 상기 피봇하우징의 편평부가 클램핑 블럭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클램핑 블럭의 중앙 상면에는 수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의 단차부의 수평부가 상기 클램핑 블럭의 수평 돌출부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하부 액슬박스 하우징의 선단부에는 수직 댐퍼를 취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조인트 취부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60118699A 2006-11-29 2006-11-29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 Active KR10083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699A KR100831656B1 (ko) 2006-11-29 2006-11-29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699A KR100831656B1 (ko) 2006-11-29 2006-11-29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656B1 true KR100831656B1 (ko) 2008-05-23

Family

ID=3966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699A Active KR100831656B1 (ko) 2006-11-29 2006-11-29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6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2738A1 (zh) * 2015-01-16 2016-07-2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列车及其轴箱结构
KR20190072208A (ko) 2017-12-15 2019-06-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링크암방식 축상지지장치 설치구조
CN110198878A (zh) * 2017-01-30 2019-09-03 川崎重工业株式会社 铁道车辆的轴箱支持装置
KR20230045797A (ko) 2021-09-29 2023-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링크암 방식 현가장치 설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395A (ja) 2001-01-16 2002-07-31 Tokai Rubber Ind Ltd 鉄道車両の軸ハリ連結用防振ゴムブッシュ組付体
KR200413314Y1 (ko) * 2006-01-20 2006-04-05 주식회사 로템 변위 방지용 코니컬 조인트 타입의 관절장치
KR100658310B1 (ko) 2006-01-20 2006-12-14 주식회사 로템 철도차량의 연결 관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395A (ja) 2001-01-16 2002-07-31 Tokai Rubber Ind Ltd 鉄道車両の軸ハリ連結用防振ゴムブッシュ組付体
KR200413314Y1 (ko) * 2006-01-20 2006-04-05 주식회사 로템 변위 방지용 코니컬 조인트 타입의 관절장치
KR100658310B1 (ko) 2006-01-20 2006-12-14 주식회사 로템 철도차량의 연결 관절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2738A1 (zh) * 2015-01-16 2016-07-2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轨道列车及其轴箱结构
GB2537299A (en) * 2015-01-16 2016-10-12 Crrc Qingdao Sifang Co Ltd Rail train and axle box structure thereof
GB2537299B (en) * 2015-01-16 2017-04-19 Crrc Qingdao Sifang Co Ltd Railway vehicle and axle box structure thereof
US10196075B2 (en) 2015-01-16 2019-02-05 Crrc Qingdao Sifang Co., Ltd. Railway vehicle and axle box structure thereof
CN110198878A (zh) * 2017-01-30 2019-09-03 川崎重工业株式会社 铁道车辆的轴箱支持装置
CN110198878B (zh) * 2017-01-30 2023-03-14 川崎车辆株式会社 铁道车辆的轴箱支持装置
KR20190072208A (ko) 2017-12-15 2019-06-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링크암방식 축상지지장치 설치구조
KR20230045797A (ko) 2021-09-29 2023-04-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링크암 방식 현가장치 설치구조
KR102636886B1 (ko) * 2021-09-29 2024-02-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링크암 방식 현가장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656B1 (ko) 객차 대차용 현가장치의 탄성 조인트 취부구조
JP6068984B2 (ja) 鉄道車両用台車
US20090014224A1 (en) Motor vehicle with a rear end mounted battery box
JP2010042798A (ja) 懸架装置用ローワーアームアセンブリー
CN210680567U (zh) 车用踏板设备及其伸缩装置
US20110204589A1 (en) Commercial vehicle and device for attaching a spring element to a commercial vehicle axle
CN202278948U (zh) 一种汽车横向稳定杆总成
JP4727980B2 (ja) オートバイ用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CN1754732A (zh) 铁路车辆用轴箱支撑装置
JP2015509878A (ja) スタビライザ・バー
CN102463907A (zh) 张力平衡器
KR102467873B1 (ko) 팬터그래프 충전장치
IES20060267A2 (e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JP2005225360A (ja) 車両用マウント構造
JP6605841B2 (ja) 鉄道車両用シングルアーム式パンタグラフ
CN217898132U (zh) 车辆用的空气泵的安装支架和车辆
KR20150079802A (ko) 차량용 마운팅 장치
TWI641517B (zh) Railway vehicle trolley
CN215680118U (zh) 一种车载硬盘装置
WO2003074349A3 (en) Wide motorcycle swing arm assembly
CN211442319U (zh) 支撑机构及具有其的对中装置
JP2007269125A (ja) アクスルハウジングとサイドフレームとの連結構造
CN215155127U (zh) 一种底盘系统及机器人
KR200227494Y1 (ko) 차량용 독립 현가장치의 컨트롤아암 구조
CN221605805U (zh) 轮轴轴箱悬挂装置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