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1201B1 -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201B1
KR100831201B1 KR1020080005197A KR20080005197A KR100831201B1 KR 100831201 B1 KR100831201 B1 KR 100831201B1 KR 1020080005197 A KR1020080005197 A KR 1020080005197A KR 20080005197 A KR20080005197 A KR 20080005197A KR 100831201 B1 KR100831201 B1 KR 10083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attern
robot
external stimulus
unit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온진욱
이종문
손수경
Original Assignee
(주)다사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사로봇 filed Critical (주)다사로봇
Priority to KR102008000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2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46Sens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자극을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판별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외부 자극에 따라 발생하는 모터의 흔들림에 따른 모터의 진동 패턴을 분석하여 외부 자극의 유무와 외부 자극의 위치를 판별하고, 로봇이 상기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특정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사용과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자극에 따라 흔들리는 모터의 진동 패턴을 감지하는 진동패턴 감지부,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한 진동 패턴과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값을 출력하는 진동패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값을 분석하여, 상기 로봇이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봇, 외부자극, 판별

Description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outer stimulus of robot}
본 발명은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자극을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판별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외부 자극에 따라 발생하는 모터의 흔들림에 따른 모터의 진동 패턴을 분석하여 외부 자극의 유무와 외부 자극의 위치를 판별하고, 로봇이 상기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특정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사용과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봇에 대한 외부 자극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로봇의 필요한 부위에 센서를 부착하고, 이 센서에 의하여 외부 자극이 감지되는지에 의하여 판단하는 방법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로봇의 특정 부위에 접촉 센서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상기 접촉 센서를 자극하면, 상기 접촉 센서는 외부 자극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상기 로봇이 소정의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4족 보행의 로봇을 예시한다. 사용자가 로봇의 ②의 부분(센서가 구비된 부위)을 자극하면, 상기 센서는 외부 자극을 감지하여 그 결과 값을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자극에 대하여 상기 로봇이 응답하기 위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특정 부위에 설치된 모터를 구동한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로봇의 ①의 부분을 자극하는 경우, 상기 ①의 부분에 센서가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로봇은 어떠한 반응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 즉, 상기 ①의 부분의 자극에 대한 로봇의 반응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상기 ①의 부분에 센서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이유로, 센서를 추가한다면, 많은 센서들을 로봇에 구비시켜야 하고, 센서의 제어 및 동작을 위한 기판들을 새롭게 로봇 내부에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센서의 사용이 방대해지고, 기판들을 추가할 공간들이 마련되어야 하며, 기판 설계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외부 자극을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판별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외부 자극에 따라 발생하는 모터의 흔들림에 따른 모터의 진동 패턴을 분석하여 외부 자극의 유무와 외부 자극의 위치를 판별하고, 로봇이 상기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특정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사용과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자극에 따라 흔들리는 모터의 진동 패턴을 감지하는 진동패턴 감지부,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한 진동 패턴과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값을 출력하는 진동패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값을 분석하여, 상기 로봇이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은 상기 로봇의 턱 밑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진동 패턴인 것을 특 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또 다른 본 발명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에 있어서, 진동패턴 감지부가 외부 자극에 따른 모터의 진동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동 패턴을 진동패턴 비교부가 입력받아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진동 패턴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일한 진동 패턴이 있는 경우, 상기 로봇이 상기 진동 패턴에 응답하는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부가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은 상기 로봇의 턱 밑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진동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외부 자극을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판별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탈피하여, 외부 자극에 따라 발생하는 모터의 흔들림에 따른 모터의 진동 패턴을 분석하여 외부 자극의 유무와 외부 자극의 위치를 판별하고, 로봇이 상기 외부 자극에 응답하여 특정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의 사용과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는 진동패턴 감지부(10), 진동패턴 비교부(20) 및 구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20)가 필요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저장부(4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로봇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10)는 외부 자극에 따라 흔들리는 모터의 진동을 감지하고, 결과 값으로 감지된 진동 패턴을 출력한다.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10)에서 출력하는 진동 패턴을 예시하면,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에 대하여 외부 자극이 있으면, 해당 모터는 흔들리게 되고, 그 진동 패턴은 시간에 따라 소정의 펄스가 발생하게 된다. 도 4에서는 총 4번의 외부 자극이 가해진 것을 예시한다.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10)에서 출력되는 진동 패턴은 진동패턴 비교부(2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20)는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한 진동 패턴과 사전에 저장부(40)에 저장된 진동 패턴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값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20)는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10)로부터 출력되는 진동 패턴과 동일한 진동 패턴이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동일한 진동 패턴이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0"을 결과 값으로 출력한다. 반대로 동일한 진동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0" 이외의 값을 결과 값으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40)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진동 패턴을 사전에 저장하고 있다. 로봇의 다양한 부위에 대하여 사용자가 외부 자극을 가하고, 그에 따른 모터의 진동 패턴들을 형성하여 사전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진동패턴을 형성하는 각각의 모터는 상기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부위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모터이다. 즉, 턱 밑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진동 패턴은 상기 턱 밑과 가장 가까운 모터(예를 들어, 목 관절 모터)에서 흔들리는 진동 패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40)에 로봇의 목 관절에 존재하는 모터가 흔들릴 때 발생하는 진동 패턴(패턴 1)과, 로봇의 꼬리 관절에 존재하는 모터가 흔들릴 때 발생하는 진동 패턴(패턴 2)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사용자가 상기 로봇의 턱 밑을 자극하면, 상기 로봇의 목 관절에 존재하는 모터가 흔들릴 것이다. 그러면,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10)가 상기 진동 패턴을 감지하여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20)로 전달한다.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20)는 상기 감지된 진동패턴과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1과 패턴2의 진동패턴과 순서대로 비교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20)는 상기 감지된 진동패턴이 상기 패턴1의 진동패턴과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고, 그 비교 결과 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된 진동 패턴이 상기 패턴1과 동일하므로 "1"을 그 결과 값으로 출력한다. 만약, 사용자가 꼬리 부분을 자극하였다면, 상기 감지된 진동 패턴은 상기 패턴2와 동일하기 때문에 "2"를 그 결과 값으로 출력한다.
상기 비교 결과 값(감지된 진동패턴과 동일한 진동 패턴이 상기 저장부에 없는 경우에는 "0", 감지된 진동패턴이 패턴1과 동일한 경우에는 "1", 감지된 진동패턴이 패턴2와 동일한 경우에는 "2")은 구동부(3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비교 결과 값을 분석하여 상기 로봇이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모터를 구동한다. 즉,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비교 결과 값이 "0"인 경우에는 어떠한 구동도 하지 않고, 비교 결과 값이 "1"인 경우에는 턱 밑이 자극되었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로봇의 머리가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모터를 구동하며, 비교 결과 값이 "2"인 경우에는 꼬리가 자극되었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로봇의 꼬리가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거나 또는 동심원을 그릴 수 있도록 모터를 구동한다.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되는 진동 패턴들은 복수개일 수 있다. 즉, 다양한 부위에 존재하는 모터의 진동 패턴들을 사전 실험에 의하여 확정하고, 이 확정된 진동 패턴들을 상기 저장부(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서로 유사한 형상의 진동 패턴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 자극 위치를 판별함에 있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차적으로 상기 사전에 저장부(40)에 저장된 진동 패턴은 상기 로봇의 턱 밑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 감지부(10)가 감지하는 진동패턴만으로 한다. 즉, 로봇의 목 관절부에 존재하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진동 패턴만이 상기 저장부(40)에 사전에 저장되고, 상기 로봇의 턱 밑이 자극되는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30)가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로봇의 머리가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리도록 한다. 또는 꼬리를 흔들리도록 상기 구동부(30)가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되는 진동 패턴은 사용자가 로봇의 턱 밑을 자극할 때,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10)가 감지하는 진동 패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파형을 가진다. 즉, 진동 크기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패턴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진동패턴 감지부(10)가 감지한 진동 패턴과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진동 패턴이 크기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하면,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20)는 동일한 진동 패턴으로 인식하고 그에 해당하는 비교 결과 값을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진동패턴 감지부가 외부 자극에 따른 진동 패턴을 감지한다(s10). 이 때,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가 감지하는 진동 패턴은 로봇을 던졌을 때에도 감지될 수 있고, 사용자가 로봇의 턱 밑을 자극할 때도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진동 패턴은 진동패턴 비교부에 입력 된다. 그러면,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는 감지된 진동패턴과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패턴들을 비교한다(s20).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패턴 비교부는 상기 입력되는 진동 패턴과 동일한 진동 패턴이 상기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패턴 중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30). 즉, 감지된 진동패턴과 동일한 진동패턴이 상기 저장부에 있는지를 순서대로 비교하여 확인한다.
비교 결과, 동일한 진동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봇이 상기 진동 패턴에 응답하는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부가 모터를 구동한다(s40). 상기 감지된 진동패턴과 저장부에 사전에 저장된 진동패턴의 동일성 판단은 진동 크기와 패턴이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 아니라, 진동 크기는 약간 차이가 있더라도 진동 패턴이 동일 또는 유사하면 동일성이 있는 진동패턴으로 판단한다. 이는 로봇에 대한 사용자의 자극이 때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은 상기 로봇의 턱 밑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진동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저장부에는 로봇의 턱 밑을 자극할 때, 상기 턱 밑 근처에 있는 모터가 흔들려 발생하는 진동 패턴만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인 4족 보행 로봇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 패턴의 일 예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Claims (4)

  1.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자극에 따라 흔들리는 모터의 진동 패턴을 감지하는 진동패턴 감지부;
    상기 진동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한 진동 패턴과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값을 출력하는 진동패턴 비교부;
    상기 비교 결과값을 분석하여, 상기 로봇이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은 상기 로봇의 턱 밑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진동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3.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에 있어서,
    진동패턴 감지부가 외부 자극에 따른 모터의 진동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진동 패턴을 진동패턴 비교부가 입력받아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 된 진동 패턴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진동 패턴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일한 진동 패턴이 있는 경우, 상기 로봇이 상기 진동 패턴에 응답하는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구동부가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전에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 패턴은 상기 로봇의 턱 밑에 외부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진동 패턴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진동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방법.
KR1020080005197A 2008-01-17 2008-01-17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083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97A KR100831201B1 (ko) 2008-01-17 2008-01-17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197A KR100831201B1 (ko) 2008-01-17 2008-01-17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201B1 true KR100831201B1 (ko) 2008-05-22

Family

ID=3966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197A Active KR100831201B1 (ko) 2008-01-17 2008-01-17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2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983A (ja) 2001-01-30 2002-08-13 Nec Corp 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020067692A (ko) * 2000-10-05 2002-08-2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로봇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692A (ko) * 2000-10-05 2002-08-2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로봇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224983A (ja) 2001-01-30 2002-08-13 Nec Corp ロボットおよびその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6314A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surmounting obstacle
JP4987010B2 (ja) 周期的変化率センサ自己テスト
JP2019532432A5 (ko)
JP2003330618A5 (ko)
TW201721999A (zh) 連接器匹配確認系統及方法
CN105637372B (zh) 振动传感器
KR100831201B1 (ko) 로봇의 외부 자극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JP5504948B2 (ja) データ記録システム及びデータ記録システムにおける関連付け方法
KR20220147918A (ko) 크랙 센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7300617B2 (ja) 作業支援装置、作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869949B (zh) 一种控制振动的方法及电子设备
JP715684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自動ドアセンサ
JP2001188087A (ja) センサー手段と、これを利用した認識装置
JP2010054374A (ja) 移動検知装置
JP4606891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状態監視システム
US12358150B2 (e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922733B2 (ja) ロボット、自己診断プログラム、及び自己診断方法
EP339649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interactive functions
KR101309691B1 (ko) 로봇의 이상 유무 감지 장치
JP2012127684A (ja) ノイズ分布測定装置
JP2015138299A (ja) 指示具及び座標検出システム
KR102820049B1 (ko) 자율 주행 차량용 시트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트 제어 및 운전자 모니터링 방법
KR20170010576A (ko) 카본마이크로코일(cmc)의 통합센서를 가진 로봇 및 그의 제어 장치
JP2021094659A (ja) 直接教示装置及び直接教示方法
JP7442066B2 (ja) 作業表示方法、及び、作業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