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1170B1 -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 Google Patents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170B1
KR100831170B1 KR1020070054898A KR20070054898A KR100831170B1 KR 100831170 B1 KR100831170 B1 KR 100831170B1 KR 1020070054898 A KR1020070054898 A KR 1020070054898A KR 20070054898 A KR20070054898 A KR 20070054898A KR 100831170 B1 KR100831170 B1 KR 10083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furnace
air
surplus 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5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1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4Gaseous waste or fu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종말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보일러나 발전기등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고 남은 잉여가스를 연소시키도록 한 잉여가스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내 연소방식을 채택하며, 연소로를 내, 외벽 이중구조(이중 자켓)로 제작한 상태에서 그 공간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냉각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공기를 연소로의 상부로 배출시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 외벽 이중구조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잉여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공간이 형성되는 연소로와, 상기 연소로의 외벽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에어냉각덕트와, 상기 에어냉각덕트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에어냉각덕트를 통해 상기 연소로의 내, 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에어를 강제 공급시켜 연소로의 내벽을 냉각시키는 에어송풍기를 포함한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연소로, 점화부, 냉각, 수취기

Description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reminder gas combusto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수취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취기 12: 수취조
18: 분리판 20: 드레인관
22: 수압발생조 28: 가스배출관
30: 연소로 32: 내벽
34: 외벽 36: 공간
40: 점화부 42: 가스송풍기
44: 가스공급관 46: 에어송풍기
48: 에어냉각덕트 52: 에어분기관
100: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본 발명은 하수종말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보일러나 발전기등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고 남은 잉여가스를 연소시키도록 한 잉여가스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내 연소방식을 채택하며, 연소로를 내, 외벽 이중구조(이중 자켓)로 제작한 상태에서 그 공간부로 공기를 불어넣어 냉각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공간부로 공급된 공기를 연소로의 상부로 배출시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는 탈황기를 거쳐 황화수소를 제거한 후, 이를 별도의 가스홀더(가스탱크)에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처, 예를 들어 보일러나 발전기등의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게 된다.
한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남은 잉여가스(잔류 메탄가스)는 대기로 방출할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됨으로서, 연소기를 통해 잉여가스를 소각처리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상기 잉여가스를 제거하는 대표적인 연소기로는 노외연소식과 노내연소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자의 노외연소식은 노외부(연돌상부)에서 잉여가스를 연소하는 방식으로서, 설치비가 적게 들며 구조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연소과정에서 불꽃 이 연소상부로 지나치게 많이 노출됨으로서 미관상 좋지 못하여 안정성을 고려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노내연소식은 노내에서 잉여가스를 연소하는 방식으로서, 노외연소식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반면, 노내에서 연소가 이루어짐으로서, 불꽃이 외부로 적게 노출됨으로서 민원발생의 소지가 적고,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노내연소식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불꽃의 외부 노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는 없으며,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불꽃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내 연소식을 채택하고, 연소로를 내, 외벽 이중구조로 제작한 상태에서 그 공간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연소로 상부로 배출시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토록 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 외벽 사이 공간으로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냉각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연소기로 공급되는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연소효율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에 있어서, 내, 외벽 이중구조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잉여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공간이 형성되는 연소로와, 상기 연소로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잉여가스를 점화시키는 파일럿버너가 내장된 점화부와, 상기 점화부와 가스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가스배출관에서 배출된 잉여가스를 상기 가스공급관을 통해 상기 점화부로 강제 공급시키는 가스송풍기와, 상기 연소로의 외벽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에어냉각덕트와, 상기 에어냉각덕트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에어냉각덕트를 통해 상기 연소로의 내, 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에어를 강제 공급시켜 연소로의 내벽을 냉각시키는 에어송풍기 및 상기 에어냉각덕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점화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냉각덕트로 공급되는 에어의 일부를 상기 점화부로 공급하는 에어분기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배출관에는 유입되는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취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취기는 잉여가스를 공급받는 수취조와, 상기 수취조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취조로 공급된 잉여가스는 통과시키고, 상기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걸러내는 다공구조의 분리판과, 상기 수취조의 하단부 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판에서 걸려져 수취조 바닥으로 떨어진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관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관에는 수압발생조가 연결되며, 상기 수압발생조내에는 상기 드레인관의 출구로 수압을 가하여 상기 드레인관으로 잉여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물이 채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의 구서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는 하수종말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발생한 잉여가스를 에너지로 사용한 후, 사용되고 남은 잉여가스를 연소시켜 소각 처리토록 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대의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를 사용하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의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100)는 연소로(30), 점화부(40), 가스송풍기(42), 에어냉각덕트(48), 에어송풍기(46) 및 에어분기관(5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연소로(30)는 원통체 형태로 내, 외벽(32, 34) 이중구조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점화된 잉여가스가 연소될 수 있는 연소공간(38)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벽(32)은 연소로(30)에서 발생하는 열원에 대한 내화성을 가지도록 내화벽돌(32a)을 사이에 두고 내, 외면을 서스판(32b, 32c)으로 밀착시켜 3중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상기 외벽(34)은 내벽(32) 외부에 일정크기만큼의 공간(36)을 가지도록 하여 내벽(32)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한다. 상기 내, 외벽(32, 34) 사이에 형성된 공간(36)으로는 에어냉각덕트(48)를 통해 에어가 공급되고, 공급된 에어는 연소로(30)에서 발생하는 열원에 의해 내벽(32)이 변형되지 않도록 냉각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 외벽(32, 3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36)의 상부는 개방(37)시켜 상기 공간(36)으로 공급된 공기가 상부의 개방구(37)를 통해 연소로(30)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개방구(37)로 배출되는 공기는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위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차단시켜 불꽃의 외부노출을 방지시키게 된다.
상기 점화부(40)는 연소로(30)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파일럿버너가 설치되어 가스공급관(44)을 통해 공급된 잉여가스를 점화시키게 된다.
상기 가스송풍기(42)는 점화부(40)와 가스공급관(44)으로 연결 구성하여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가스배출관(28)에서 배출된 잉여가스를 상기 가스공급관(44)을 통해 점화부(40)로 강제 공급시키는 수단이다. 이때 상기 가스배출관(28)에는 수취기(10)가 설치되며, 상기 수취기(10)는 가스배출관(28)으로 배출되는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시키게 되는 바, 이러한 수취기(10)의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에어냉각덕트(48)는 연소로(30)의 외벽(34)을 관통한 상태에서 에어냉각덕트(48)의 출구(48a)가 내, 외벽(32, 34) 사이에 형성된 공간(36)에 위치하도록 조립하여 에어송풍기(46)의 구동으로 강제 공급되는 에어를 내, 외벽(32, 34) 사이 공간(36)으로 배출시키는 덕트이다. 상기 에어냉각덕트(48)에는 댐퍼(50)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50)는 에어냉각덕트(48)내의 유로를 개폐시켜 에어냉각덕트(48)를 통과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에어송풍기(46)는 에어냉각덕트(48)의 입구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에어냉각덕트(48)를 통해 연소로(30)의 내, 외벽(32, 34) 사이 공간(36)으로 에어를 강제 공급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내, 외벽(32, 34)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은 냉각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에어 냉각효과를 통해 내벽(32)은 연소로(30)의 열원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상기 에어분기관(52)은 일단은 에어냉각덕트(48)에 연결되고, 타단은 전술한 점화부(40)에 연결되는 관체이다. 상기 에어분기관(52)은 에어냉각덕트(48)를 통과하는 에어중에서 일부의 에어를 점화부(40)로 공급시켜, 상기 점화부(40)의 초기점화와 함께 잉여가스를 연소시킬 때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분기관(52)에도 전술한 에어냉각덕트(48)에 설치되는 댐퍼(50)와 같이, 에어분기관(52)을 통과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는 댐퍼(54)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가스송풍기(42)에 연결되는 가스배출관(28)에는 수취기(10)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수취기(10)는 가스배출관(28)으로 배출되는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잉여가스의 연소효율을 높혀주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 3은 상기 수취기(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취기(10)는 수취조(12), 분리판, 드레인관 및 수압발생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취조(12)는 가스유입관(5)을 통해 소화조(미 도시 함)에서 생성된 잉여가스를 공급받으며, 분리판(18)을 통해 잉여가스에서 분리된 수분을 저장하는 탱크로서, 일측상단에는 상기 가스유입관(5)이 연결되는 인라인(14)이 구비되고, 타측상단에는 수분이 제거된 잉여가스를 배출시키는 아웃라인(16)이 구비된다. 상기 아웃라인(16)에는 가스배출관(28)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배출관(28)의 타단은 전술한 가스송풍기(42)에 연결 구성된다.
상기 분리판(18)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수취조(12)의 내부 중앙을 가로지르며 설치되는 판으로서, 전면에는 다수개의 미세기공(18a)들이 형성된 다공판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분리판(18)에는 수취조(12)의 인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잉여가스가 일차적으로 부딧치게 되는 데, 이때 잉여가스는 분리판(18)의 미세기공(18a)들을 통과한 후, 아웃라인(16)으로 배출되어 지고,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미세기공(18a)들 사이사이에 걸려지도록 하여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걸러주게 된다. 상기 분리판(18)으로 걸러진 수분은 분리판(18)의 표면에 물방울 형태로 맺혀진 상태에서 자중으로 하강하며 수취조(12)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분리판(18)의 미세기공(18a)을 통과한 잉여가스는 대부분의 수분이 제 거된 상태에서 수취조(12)의 아웃라인(16)으로 배출된 후, 가스배출관(28)을 통해 탈황조(32)로 배출되어 진다.
상기 드레인관(20)은 수취조(12)의 일측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판(18)을 통해 잉여가스에서 걸러진 후, 수취조(12) 아래로 떨어진 수분이 일정량 고여지게 되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이다.
상기 수압발생조(22)는 드레인관(20)에 연결되어 수취조(12)에서 배출되는 수분을 저장하고,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드레인관(20)으로 잉여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인관(20)은 수압발생조(22)를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드레인관(20)의 출구가 수압발생조(22)의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조립하고, 상기 수압발생조(22)의 내부로는 일정량의 물(W)이 채워지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수압발생조(22)에 채워져 있는 물(W)의 수압이 드레인관(20)의 출구(20a)로 전해지게 됨으로서 수취조(12)의 바닥에 고여있는 수분은 드레인관(20)을 통해 수압발생조(22)로 배출될 수 있으나, 수취조(12)내의 잉여가스는 상기 드레인관(20)의 출구(20a)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드레인관(20)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압발생조(22)에 채워지는 물(W)의 담수량은 수취조(12)로 공급되는 잉여가스의 공급압력보다 높은 압력의 수압을 발생시킬 수 있을 정도의 담수량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압발생조(22)의 일측 상단에는 오버플러워관(24)이 더 구비된다. 상기 오버플로워관(24)은 드레인관(20)을 통해 수취조(12)에서 배출되는 수분 이 수압발생조(22)에 계속적으로 저장된 후, 일정량 이상이 되면, 이를 배출관(25)으로 배출시켜 수압발생조(22)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취조(12)의 바닥면에는 보조드레인관(26)이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드레인관(26)은 수취조(12) 내부의 청소작업시, 수취조(12) 바닥에 고여있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100)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하수종말처리장의 소화조에서 발생한 잉여가스를 에너지로 사용한 후, 사용되고 남은 잉여가스는 수취기(10)를 통과하여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한 다음, 가스배출관(28)으로 배출된 후, 가스송풍기(42)의 송풍압력에 의해 점화부(40)로 강제 공급된 다음, 연소로(30)내에서 점화되어 연소 처리된다.
즉, 사용되고 남은 잉여가스가 가스유입관(5)을 통해 수취조(12)내로 공급되면, 공급된 잉여가스는 수취조(12)내의 분리판(18)과 부딧치는 과정에서 분리판(18)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기공(18a)들을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미세기공(18a)을 통과하지 못하고 분리판(18)의 표면에 물방울(B) 형태로 맺혀진 후, 자중으로 수취조(12)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후, 수취조(12)의 바닥으로 일정량의 수분이 채워지면 드레인관(20)을 개방시켜 수취조(12) 바닥에 채워져 있는 수분을 수압발생조(22)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수압발생조(22)내에는 일정량의 물이 항상 채워져 있으며, 상기 수압발생조(22)내에 채워져 있는 물의 수압이 드레인관(20)의 출구(20a)로 전해지게 됨으로 서 수취조(12)로 공급된 잉여가스가 드레인관(2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 드레인관을 통해 수압발생조(22)내로 일정량 이상의 수분이 채워지면, 오버플로워관(24)을 개방시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켜 수압발생조(22)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취기(20)의 분리판(18)을 통과한 잉여가스는 대부분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수취조(12)의 아웃라인(16)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배출관(28)으로 배출된다.
이후, 가스배출관(28)으로 배출된 잉여가스는 가스송풍기(42)의 구동으로 가스공급관(44)을 타고 점화부(40)로 강제 공급된다.
한편, 잉여가스가 점화부(40)로 공급됨과 동시에 에어송풍기(46)가 동작하며 에어냉각덕트(48)로 에어를 강제 공급시키게 되는 데, 이때 에어냉각덕트(48)로 공급된 에어의 대부분은 연소로(30)의 내, 외벽(32, 34) 사이 공간(36)으로 배출되어 내벽(32)을 냉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또한 일부의 에어는 에어분기관(52)을 통해 점화부(40)로 공급되어, 점화부(40)의 초기점화 및 잉여가스의 연소에 필요로 하는 산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후, 상기 가스공급관(28)과 에어분기관(52)을 통해 점화부(40) 내부로 잉여가스와 에어가 공급되면 점화부(40)내에 설치되어 있는 파일럿버너가 점화부(40)로 공급된 산소를 이용하여 잉여가스를 점화시키게 되고, 이어서 잉여가스는 연소로(30)내의 연소공간(38)에서 연소된 후, 소각 처리된다.
한편, 내, 외벽(32, 34) 사이 공간(36)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공간(36)의 상단에 형성된 개방구(37)를 통해 연소로(30) 상단으로 배출되는 데, 이때 배출되는 공기는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불꽃이 위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따라서 불꽃이 연소로(3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내 연소식을 채택하고, 연소로를 내, 외벽 이중구조로 제작한 상태에서 그 공간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연소로 상부로 배출시켜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켜 외관의 미려함은 물론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 외벽 사이 공간으로 주입되는 공기를 통해 냉각효과를 구현하게 됨으로서 연소로를 구성하는 내벽이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취기를 통해 연소기로 공급되는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토록 함으로서 연소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에 있어서,
    내, 외벽(32, 34) 이중구조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잉여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공간(38)이 형성되는 연소로(30)와;
    상기 연소로(3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잉여가스를 점화시키는 파일럿버너가 내장된 점화부(40)와;
    상기 점화부(40)와 가스공급관(44)으로 연결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가스배출관(28)에서 배출된 잉여가스를 상기 가스공급관(44)을 통해 상기 점화부(40)로 강제 공급시키는 가스송풍기(42)와;
    상기 연소로(30)의 외벽(34)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는 에어냉각덕트(48)와;
    상기 에어냉각덕트(48)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으로 구동하며 상기 에어냉각덕트(48)를 통해 상기 연소로(30)의 내, 외벽(32, 34) 사이에 형성된 공간(36)으로 에어를 강제 공급시켜 연소로(30)의 내벽(32)을 냉각시키는 에어송풍기 (46)및 ;
    상기 에어냉각덕트(48)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점화부(40)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냉각덕트(48)로 공급되는 에어의 일부를 상기 점화부(40)로 공급하는 에어분기관(5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관(28)에는 유입되는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취기(10)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기(10)는;
    잉여가스를 공급받는 수취조(12)와;
    상기 수취조(12)내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수취조(12)로 공급된 잉여가스는 통과시키고, 상기 잉여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걸러내는 다공구조의 분리판(18)과;
    상기 수취조(12)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판(18)에서 걸려져 수취조 (12)바닥으로 떨어진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관(2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20)에는 수압발생조(22)가 연결되며;
    상기 수압발생조(22)내에는 상기 드레인관(20)의 출구(20a)로 수압을 가하여 상기 드레인관(20)으로 잉여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물(W)이 채워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KR1020070054898A 2007-06-05 2007-06-05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Active KR10083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898A KR100831170B1 (ko) 2007-06-05 2007-06-05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898A KR100831170B1 (ko) 2007-06-05 2007-06-05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170B1 true KR100831170B1 (ko) 2008-05-22

Family

ID=3966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898A Active KR100831170B1 (ko) 2007-06-05 2007-06-05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5B1 (ko) * 2017-02-24 2017-08-24 청우에이스(주)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KR101811798B1 (ko) 2017-07-19 2017-12-26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잉여가스 연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1710A (en) 1979-11-19 1981-06-15 Babcock Hitachi Kk Furnace for incinerating waste gas and waste liquid
KR960016462U (ko) * 1994-11-10 1996-06-17 김종제 폐기가스 연소장치
JPH1151341A (ja) 1997-08-05 1999-02-26 Fujisawa Kenki Kk 有害ガス除去システムを備えた焼却炉
JP2003302029A (ja) 2002-04-05 2003-10-24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脱臭装置
JP2004198024A (ja) 2002-12-18 2004-07-15 Seiko Epson Corp 除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1710A (en) 1979-11-19 1981-06-15 Babcock Hitachi Kk Furnace for incinerating waste gas and waste liquid
KR960016462U (ko) * 1994-11-10 1996-06-17 김종제 폐기가스 연소장치
JPH1151341A (ja) 1997-08-05 1999-02-26 Fujisawa Kenki Kk 有害ガス除去システムを備えた焼却炉
JP2003302029A (ja) 2002-04-05 2003-10-24 Nikko Co Ltd 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の脱臭装置
JP2004198024A (ja) 2002-12-18 2004-07-15 Seiko Epson Corp 除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595B1 (ko) * 2017-02-24 2017-08-24 청우에이스(주)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KR101811798B1 (ko) 2017-07-19 2017-12-26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잉여가스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9286B1 (en) Solid fuel burning method and heating boiler
JP2010075823A (ja) 有機物分解処理装置
KR101770595B1 (ko)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KR100831170B1 (ko) 노내 연소식 잉여가스 연소기
JP2012241981A (ja) 固体燃料燃焼装置
KR20190104701A (ko) 화목난로
RU2395035C1 (ru) Газовая инжекционная горелка
KR20120124872A (ko) 회전 로스터가 구비된 연관 보일러
KR100977012B1 (ko) 기압차를 이용한 연소장치 겸용 보일러
CN217559846U (zh) 尾气燃烧装置
RU2395034C1 (ru) Газовая инжекционная горелка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JP2011133118A (ja) 廃油燃焼装置
KR100758115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NO780621L (no) Fremgangsmaate og varmeanlegg for forbrenning av fast brensel
JP5523192B2 (ja) 廃液処理装置および廃液処理方法
KR20190003054A (ko) 수직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101188901B1 (ko) 펠릿 보일러용 연소기
KR101189049B1 (ko) 펠릿 연소용 로스터
RU2000105671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древесного угля
KR200483709Y1 (ko) 펠릿 난방 장치
JPS60205113A (ja) 燃焼装置
KR20140129646A (ko) 펠릿 연소 장치
JP4317785B2 (ja) 廃油ストーブ
KR20110003144A (ko)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