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0181B1 -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181B1
KR100830181B1 KR1020060067615A KR20060067615A KR100830181B1 KR 100830181 B1 KR100830181 B1 KR 100830181B1 KR 1020060067615 A KR1020060067615 A KR 1020060067615A KR 20060067615 A KR20060067615 A KR 20060067615A KR 100830181 B1 KR100830181 B1 KR 10083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cable
wall
br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129A (ko
Inventor
김산홍
고경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060067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18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1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1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하나 이상의 차단기가 구비되는 세대분전함;
상기 차단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입력케이블이 연결되며, 내장전기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출력케이블이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원차단신호가 공급되거나 통신이 가능하도록 UTP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노브가 구비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차단기로부터 출력신호와 입력신호를 각각 전달하도록 전원의 입력케이블 및 출력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내장전기재로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스위치의 노브를 온/오프 시키는 동작에 의해 복수의 내장전기재에 공급되는 전원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차단기, 내장전기재, 스위치, 세대분전함

Description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A Power Off System With Switch Of A Wall}
도1은 종래의 매립형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전원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전원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스위치 130...출력케이블
170...전원차단회로 190...전원제어유니트
200...세대분전함 400...내장전기재
500...리모콘
본 발명은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가 구비되는 세대분전함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거 나 다른 전기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내장전기재 및 상기 차단기와 내장전기재 사이에 연결되면서 벽면에 매립되어 차단기의 조작없이도 내장전기재에 공급되는 전원을 원터치의 동작에 의해 차단하도록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등에서 누전등을 방지하거나, 장시간 외출 및 입/퇴실시 조명이나 벽면에 매립되는 콘센트등의 전원을 동시에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차단기는 고전압이 흘러 감전등의 안전사고 우려가 있어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하여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콘센트가 등록실용신안 제34299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본체의 중간부에 동작용 스위치(2n)가 구비되는 과전류 차단기(2)를 장착하고, 그 양측에 블럭 삽입부(3a)와 핀 삽입공(3h)이 형성된 콘센트(3)를 과전류 차단기(2)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게 형성하며, 과전류 차단기(2)와 콘센트(3)의 표면에는 방수성 덮개(4)를 보스(4a)로서 삽입되는 경첩(4x)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센트는, 콘센트(3)에 연결되는 전원만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전체에 설치되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전체를 제어할 수 없게 되고,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2n)를 동작시켜야만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이 불편하게 되며, 외부나 근접지에서는 전원차단이 불가능하게 되고, 덮개(4)를 개방한 후 동작하여야 하여 그 동작이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이나 사무실 전체에 설치되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전체를 한번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원터치동작은 물론 무선신호에 의해 전원차단이 가능토록 하여 그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며, 외부에서의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벽면에서 케이블의 노출없이 설치되는 텃치패드형 스위치에 의해 감전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차단기가 구비되는 세대분전함;
상기 차단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입력케이블이 연결되며, 내장전기재 및 가스밸브 제어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출력케이블이 연결되고, 외부에서 전원차단신호가 공급되거나 테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UTP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면서 복수의 노브가 구비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차단기로부터 출력신호와 입력신호를 각각 전달하도록 전원의 입력케이블 및 출력케이블이 각각 연결되는 내장전기재로서 이루어지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내장전기재 및 가스밸브 제어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의 전원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전원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세대분전함(200)과 상기 세대분전함(200)으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내장전기재(400) 및 상기 내장전기재(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토록 벽면에 설치되는 스위치(100)로서 이루어 진다.
상기 세대분전함(200)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단기(210)가 구비된다.
상기 세대분전함(200)은, 실내 및 실외의 높은 곳에 설치되거나 커버를 갖는 배전반등에 내장되어 어린이등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100)는, 사용자가 발견하기 쉬운 현과근처나 사무실 출입구근처에 설치되며, 벽면에 매립되거나 부착되는 구성으로 노브가 위치하는 표면만이 노출되는 구성으로 노출이 최소화 되고, 원텃치 형으로 그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100)는, 전원제어유니트(190)가 구비되어 입력케이블(110)(150)로서 차단기(210)와 연결되며, 상기 내장전기재(400)와 출력케이블(130)로서 연결된다.
그리고, 중성선을 이루는 입력케이블(150)은 스위치(100)와 내장전기재(400)에 각각 연결된다.
계속하여, 상기 스위치(100)는, 그 내측에 전원차단회로(170a)가 내장되어 외부의 제어기(300)에 연결되는 UTP케이블(310)이 접속되고, 상기 UTP케이블은 RS232 및RS485 통신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00)는, 그 내측에 데이터통신이 가능토록 통신회로(170b)가 내장되어 다른 UTP케이블(310b)이 접속된다.
계속하여, 상기 스위치(100)는, 가스밸브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도록 가스밸브제어구동부(180)가 구비되어 이에 모터에 정회전 및 역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케이블(180a)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원차단회로(170a) 및 가스밸브제어구동부(180)는 전원제어유니트(190)에 연결되어 전원차단신호 및 밸브차단신호를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전원제어유니트(190)는 외부의 리모콘(500)과 RF통신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스밸브 제어구동부(180)는, DC출력포트가 구비되어 가스밸브에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역방향 및 순방향으로 인가하여 모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함으로써 밸브를 차단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스위치(100)는, 조명기기나 콘센트 및 가스밸브등의 전원을 각각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노브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내장전기재(400)는, 상기 스위치(100)와 차단기(210)로부터 출력신호와 입력신호를 각각 전달하도록 중선전원용 입력케이블(150) 및 출력케이블(130)이 각각 연결되고, 입력케이블및 출력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모든 장비를 통칭한다.
즉, 상기 내장전기재(400)는, 복수의 조명기기, 냉장고 텔레비젼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벽면의 콘센트 등 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4에서와 같이, 세대분전함(200)에 설치되는 복수의 차단기(210)는 각각 실내에 설치되는 조명기기나 전원공급용 매립형 콘센트 등에 대응되는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세대분전함(200)은, 고전압의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감전등을 방지토록 실내 및 실외의 높은 곳에 설치되거나 커버를 갖는 배전반등에 내장되어 어린이등이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이에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차단기(210)를 벽면에 매립되면서 사용자가 발견하기 쉬운 현관 근처나 사무실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는 스위치(100)에 의해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차단기의 조작을 손쉽게 하고, 매립형 또는 벽면부착형으로서 케이블등의 노출이 없어 감전등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100)는, 벽면에 매립되거나 부착되는 구성으로 벽면의 전방에 노브만이 노출토록 하여 노출이 최소화 되고, 원텃치 형으로 그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100)는, 전원제어유니트(190)가 구비되어 입력케이블(110)(150)로서 차단기(210)와 연결될 때 실내의 조명기기나 TV, 생활가전기기 및 콘센트등으로 이루어진 내장전기재(400)와 출력케이블(130)및 중성선의 입력케이블(150)로서 연결되어 스위치를 오프시킬 때 내장전기재(4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가스밸브제어 구동부(180) 역시 전원제어유니트(190)에 연결되어 입력케이블(110)(150)로서 차단기(210)와 연결될 때 가스밸브를 구동하는 모터에 정방향 및 역방향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가스밸브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장전기재(400)는 본 발명의 도2에서와 같이 조명기구일 경우 전원의 차단 및 공급을 위한 별도의 수동제어용 조작스위치(430)가 더 구비되어 개별제어가 가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스위치(100)는, 그 내측에 전원제어유니트(190)와 연동되는 전원차단회로(170a) 및 통신회로(170b)가 일체로 내장되어 외부의 제어기(300)에 UTP케이블(310)(310b)로서 연결될 때 전화기등으로서 내장전기재(400)의 전원차단신호 및 제어신호가 공급되므로서 외부에서 전원의 차단이나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100)는, 전원제어유니트(190)가 외부의 리모콘(500)과 RF통신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스위치(100)의 조작없이도 실내에서 리모콘에 의해 내장전기재(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00)는 사용자가 발견하기 쉬운 현관 근처나 사무실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외출 및 입/퇴실시 운 텃치에 의해 주택 및 사무실의 조명이나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별 또는 일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누전등에 의한 화재등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또한, 한 곳에서 모든 내장전기재(400)의 제어가 가능하여 그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출시 필요없는 조명을 일괄소등하여 절전효과를 가져오며, 가정이나 사무실 전체에 설치되는 가전제품이나 조명전체를 한번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어하고, 원 터치동작은 물론 무선신호에 의해 전원차단이 가능하여 그 사용이 용이하며, 전화등을 통한 전기신호에 의해 외부에서의 전원차단이 가능하고,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토록 되며, 벽면에 노출없이 설치되는 텃치패드형 스위치에 의해 감전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6)

  1. 세대 분전함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입력케이블이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출력케이블은 내장전기재 또는 모터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연결되고, 외부에서의 전원차단신호가 공급되거나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기와 UTP케이블로서 스위치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는 전원제어유니트가 구비되어 입력케이블로서 차단기와 연결되며, 상기 내장전기재 또는 모터에 출력케이블 및 중성선의 입력케이블로서 연결되고, 내장전기재 또는 모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노브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내장전기재 또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도록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노브가 벽면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그 내측에 전원차단회로 및 통신회로가 내장되어 제어기에 연결되는 UTP케이블이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원제어유니트가 외부의 리모콘과 RF통신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전기재는, 수동제어를 위한 별도의 조작스위치가 더 구비되어 개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KR1020060067615A 2006-07-19 2006-07-19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3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615A KR100830181B1 (ko) 2006-07-19 2006-07-19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615A KR100830181B1 (ko) 2006-07-19 2006-07-19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129A KR20080008129A (ko) 2008-01-23
KR100830181B1 true KR100830181B1 (ko) 2008-05-16

Family

ID=3922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0181B1 (ko) 2006-07-19 2006-07-19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88A (ko) * 2021-11-25 2023-06-01 이신복 개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41B1 (ko) * 2012-09-21 2014-08-07 주식회사 세븐에코 배전반용 스위치어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전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395A (ko) * 2001-05-23 2002-12-05 김유성 주택의 전원 관리시스템
KR200366933Y1 (ko) 2004-07-28 2004-11-06 장기헌 가스 개폐와 일괄 소등을 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
KR200388976Y1 (ko) 2005-04-21 2005-07-07 (주)에스디시스템 조명등의 일괄소등과 가스의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외출용제어스위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613205B1 (ko) 2006-01-13 2006-08-22 윤경도 외부 신호에 의해 대기전력 차단 및 일괄소등이 가능한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0395A (ko) * 2001-05-23 2002-12-05 김유성 주택의 전원 관리시스템
KR200366933Y1 (ko) 2004-07-28 2004-11-06 장기헌 가스 개폐와 일괄 소등을 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
KR200388976Y1 (ko) 2005-04-21 2005-07-07 (주)에스디시스템 조명등의 일괄소등과 가스의 차단을 가능하게 하는외출용제어스위치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613205B1 (ko) 2006-01-13 2006-08-22 윤경도 외부 신호에 의해 대기전력 차단 및 일괄소등이 가능한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488A (ko) * 2021-11-25 2023-06-01 이신복 개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KR102671747B1 (ko) * 2021-11-25 2024-06-03 이신복 개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등 전기배선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129A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9340B1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uxiliary power
US5161240A (en) Electric wall switch with ground fault protection
GB2448861A (en) Light switch controlled socket isolator
AU20122432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C power relay and current sensors with AC wiring devices
US4259618A (en) Electronic assembly
US6011328A (en) Electric power lockout apparatus
KR100830181B1 (ko) 벽면 스위치형 전원차단 시스템
US7888823B2 (en) Remotely controllable switch for incorporating in a wall socket
EP3631586A1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in particular for home automation systems
CA2356972C (en) Mode selectable power receptacle
ES2905555T3 (es) Módulo de interfaz para alimentar una interfaz de usuario inalámbrica a través de un interruptor de luz
KR200392807Y1 (ko) 대기전력 차단 스위치 구조
KR100955244B1 (ko) 조명기능을 갖는 분전반 커버
JP6455771B2 (ja) 一括開閉装置および分電盤装置
KR100700377B1 (ko) 원격 제어용 세대 분전반
KR20090006229U (ko) 전원 제어수단이 내장된 분전반용 누전차단기
KR200372972Y1 (ko) 전기설비 상시.절전콘센트 설치 시스템
CN215073077U (zh) 一种开关控制装置
KR200391718Y1 (ko) 댁내 조명 일괄 소등 스위치 구조
KR200237884Y1 (ko) 콤팩트형 분전반
KR200260852Y1 (ko) 절전형 전기설비
KR100778084B1 (ko) 실내전기공급을 위한 공동주택용 멀티탭
AU640004B2 (en) Electrical timer device
KR20090055274A (ko) 대기전력 차단시스템 및 방법
GB2421366A (en) Electronic dimmer control through two-way switc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