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756B1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9756B1 KR100829756B1 KR1020070021159A KR20070021159A KR100829756B1 KR 100829756 B1 KR100829756 B1 KR 100829756B1 KR 1020070021159 A KR1020070021159 A KR 1020070021159A KR 20070021159 A KR20070021159 A KR 20070021159A KR 100829756 B1 KR100829756 B1 KR 1008297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organic light
- grid
- component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콘트라스트와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일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며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성분 및 금속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을 구비하는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고, 상기 제1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그리드의 양 끝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그리드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contrast and visi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rids having a base and a second component comprising a first component comprising a dielectric material and a metal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ase,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has a concentration gradi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the first component is increased in content toward both ends of the grid relative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the second The component provides a polarizer having an increasing content toward the center of the gri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편광자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ar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부분 단면도이다.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도 2의 그리드의 두께별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함량을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briefl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by thickness of the grid of FIG. 2.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와 각각의 선형 편광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4 to 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a bottom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respective linear polarization layers.
도 10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와 각각의 선형 편광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들이다.10 to 2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a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nd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respective linear polarization layers.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수동 구동 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와 선형 편광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21 and 2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ssive emission type bottom-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linear polarization layer.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능동 구동 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와 선형 편광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23 and 24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f an active driving method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linear polarization lay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능동 구동 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2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수동 구동 방식의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와 선형 편광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26 and 27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ssive emission type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a linear polarization layer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능동 구동 방식의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와 선형 편광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28 and 2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ctive driving type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linear polarization laye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편광자 11: 베이스 10: polarizer 11: base
12: 그리드 20: 기판12: grid 20: substrate
21: 1/4 파장 위상차층 22: 선형 편광층 21: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22: linear polarization layer
30: 유기 발광 소자 31: 제1 전극 30: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31: first electrode
32: 유기 발광층 33: 제2 전극 32: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33: second electrode
34: 반사막 35: 내부 절연막 34: reflecting film 35: internal insulating film
36: 세퍼레이터 40: 보호막 36: separator 40: protective film
41: 버퍼층 42: 반도체층 41: buffer layer 42: semiconductor layer
43: 게이트 절연막 44: 게이트 전극 43: gate insulating film 44: gate electrode
45: 층간 절연막 46: 소스 전극 45: interlayer insulating film 46: source electrode
47: 드레인 전극 48: 패시베이션막 47: drain electrode 48: passivation film
49: 화소 정의막 50: 밀봉 부재 49: pixel defining layer 50: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트라스트와 시인성을 향상하는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arizer for improving contrast and visibilit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평판 표시 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도 유기 또는 무기 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 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발광층의 형성 물질이 유기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무기 발광 표시 장치에 비해 휘도, 구동 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가지고 있다.Recently, display devices have been replaced by portable thin flat display devices. Among flat panel display devices, organic or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s because of their advantages of having a wide viewing angle, excellent contrast, and fast response speed. In addi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of an organic material has excellent luminance, driving voltage, and response speed, and may be multicolored, compared to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한편 평판 표시 장치는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에서 사용가능하고 그러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경량이면서 박형으로 제조한다. 이때 야외에서 화상을 볼 때 햇빛이 반사돼 콘트라스트 및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금속 반사막에서 이러한 반사가 심하여 더 큰 문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lat panel display is portable and can be used outdoors, and is manufactured in a lightweight and thin form to satisfy such an object. In this case, when the image is viewed outdoors, sunlight is reflected, thereby deteriorating contrast and visibility. In particula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e reflection is severe in the metal reflective film, which is a more serious probl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면에 원편광판을 배치한 다. 그리고 이러한 원편광판은 통상 얇은 금속으로 된 와이어 그리드를 갖는 선형 편광판을 포함한다. 이때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그리드는 그 재질의 특성상 외광 을 반사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를 향상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a circular polarizer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such circular polarizers usually include linear polarizers having a wire grid of thin metal. At this time, the grid made of a metal material reflects external ligh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so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contrast.
본 발명은 평판 표시 장치의 콘트라스트와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는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olarizer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and visibility of a flat panel display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상에 일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며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성분 및 금속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을 구비하는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고, 상기 제1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그리드의 양 끝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그리드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편광자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grids formed to have a pattern on the base and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the grid comprising a first component comprising a dielectric material and a second component comprising a metal, wherei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Has a concentration gradi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and the content of the first component increases toward both ends of the gri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and the second component refers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The polarizer which increases in content toward the center of the grid is disclos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은 SiOx(x≥1), SiNx(x≥1), MgF2, CaF2, Al2O3, SnO2,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및 In2O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is composed of SiO x (x ≧ 1), SiN x (x ≧ 1), MgF 2, CaF 2, Al 2 O 3, SnO 2,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ZnO, and In 2 O 3. It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은 Fe, Co, V, Ti, Al, Ag, Si, Cr, Mo, Ge, Y, Zn, Zr, W, Ta, Cu 및 P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e, Co, V, Ti, Al, Ag, Si, Cr, Mo, Ge, Y, Zn, Zr, W, Ta, Cu, and Pt.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어 화상을 구현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유기 발광 소자상에 형성되는 밀봉 부재,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및 밀봉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일면에 형성된 1/4 파장 위상차층 및 상기 기판, 유기 발광 소자, 밀봉 부재 및 1/4 파장 위상차층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의 다른 일 면에 형성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보다 상기 화상이 구현되는 방향에 가깝게 위치하는 선형 편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성분 및 금속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을 구비하는 복수의 그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고, 상기 제1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그리드의 양 끝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상기 제2 성분은 상기 그리드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그리드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formed on the substrate to implement an image, the sealing member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surface formed by the sealing member A 1/4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formed on the substrate and the other one of the surfaces formed by the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 sealing member, and the quarter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nd the image is realized more than the quarter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A linear polarization layer positioned close to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wherein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comprises a plurality of grids having a first component comprising a dielectric material and a second component comprising a metal, wherei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The second component has a concentration gradi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and the first component can go in both ends of the grid relative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Increasing the amou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disclos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gradually increases the content toward the center of the grid relative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gri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기판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상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is formed on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may be formed on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기판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is formed on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the 1/4 It can be formed on the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기판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은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1/4 파장 위 상차층상에 형성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의 양면 중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the quarter wavelength retardation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on the phase difference layer on the quarter wavelength and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is It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is formed of both sides of the substra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기판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 및 선형 편광층은 상기 기판의 양면중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차례대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and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may be sequentially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상에 형성되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is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와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 사이에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 및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 부재의 양면중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차례대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and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and the linear polarizing layer may be sequentially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sealing member on which both side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re formed.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은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양면 중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and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fac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linear polarizing lay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ing member. The quarter wave retardation layer may be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quarter wave retardation layer is 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은 상기 선형 편광층의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향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the linear polarizing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sealing member,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is the organic of the linear polarizing layer I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이 상기 밀봉 부재의 방향으로 구현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사이에 개재된 반사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은 상기 반사막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선형 편광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ling member and further includes a reflective film interpose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wherein the quarter-wave retardation layer is formed between the reflective film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The linear pol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편광자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그리드의 두께별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함량을 비교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그래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olariz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FIG. 3 is a graph briefly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by thickness of the grid of FIG. 2.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편광자(10)는 베이스(11) 및 그리드(12)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편광자(10)가 배치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하는 광이 잘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베이스(11)는 글래스 또는 플렉시블한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필름화를 위해서 플라스틱을 포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2, the
베이스(11) 상에 복수의 그리드(12)가 형성된다. 그리드(12)는 전자기파에서 특정 편광만을 편광 시키는 목적으로 평행한 선을 배열한 형태로 서로 이격되고 스트라이프 형태의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시광선에 대한 편광자로 사용하기 위해 그리드(12)의 폭(w)은 10 내지 500나노미터, 두께(t1)는 50 내지 500 나노미터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그리드(12)간에는 일정한 간격(P)이 있다. 그리 고 이러한 간격(P)은 편광자(10)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각 그리드(12) 간의 간격(P)이 입사되는 광의 파장에 비해 길다면 편광자(10)는 편광 기능보다는 회절 격자의 기능을 주로 하게 된다. 반대로 그리드(12) 간의 간격(P)이 입사되는 파장의 광에 비해 짧다면 그리드(12)는 편광 기능을 주로 하게 된다. A plurality of
광학 상수 중 광학 상수 k는 빛의 흡수와 관련된 지수로 k값이 클수록 특정한 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흡수하는 편광자의 특성이 향상된다. 금속은 통상 k값이 커 종래의 그리드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표면에서의 반사율도 높아 그리드의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로 인해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콘트라스트를 향상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Of the optical constants, the optical constant k is an index related to light absorption. The larger the value of k, the better the polarizer absorbing light oscillating in a particular direction. Metals have been widely used in conventional grids because of their large k-values. However, the high reflectance on the surface of the metal has a limitation in improving the overall contrast of the display device due to th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on the surface of the grid.
그래서 본 발명의 그리드(12)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을 포함한다. 제1 성분(13a)은 SiOx(x≥1), SiNx(x≥1), MgF2, CaF2, Al2O3, SnO2등의 절연 투명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성분(13a)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또는 In2O3의 도전성 투명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성분(12b)은 금속을 포함한다. 제2 성분(12b)은 Fe, Co, V, Ti, Al, Ag, Si, Cr, Mo, Ge, Y, Zn, Zr, W, Ta, Cu 또는 Pt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가진다.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리드(12)의 양 끝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리드(12)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한 다. 즉 도 2에서 그리드(12)의 상단과 인접한 부분 및 그리드(12)의 베이스(11)와 인접한 부분에서는 제1 성분(12a)이 주로 분포하고 그리드(12)의 중앙 부분에는 제2 성분(12b)이 주로 분포한다. 2 and 3, the content of the
도 2에서 도면의 상부 즉 베이스(11)의 반대 방향에서 외광이 입사되는 경우 그리드(12)는 외광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형성된 제1 성분(12a)이 증가하게 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서 외광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한다. 결과적으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게 된다.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In FIG. 2, when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upper side of the drawing, that is, the base 11, the
또한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리드(12)의 중심에서 베이스(11)방향으로 갈수록 제1 성분이 증가하게 된다. 도 2에서 도면의 하부 즉 베이스(11)를 향하도록 외광이 입사되는 경우 그리드(12)는 외광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된 제1 성분(12a)이 증가하게 된다. 즉 베이스(11)에 가까워질수록 유전 물질로 형성되는 제1 성분(12a)의 함량이 증가하고, 베이스(11)에서 멀어지고 그리드(12)의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제2 성분(12b)의 함량이 증가한다.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서 베이스(11)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결과적으로 굴절율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한다.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mponent of the
제1 성분(12a)과 제2 성분(12b)이 농도 구배를 가지도록 그리드(12)를 형성하기 위해 공증착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공증착시 제1 성분(12a)과 제2 성분(12b)의 증착 속도를 시간에 따라 조절하여 제1 성분(12a)과 제2 성분(12b)의 함량이 반비례관계가 되도록 그리드(12)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1)상에 공증착시 초기에는 제1 성분(12a)을 주로 함유하도록 증착하다가 점차로 제1 성분(12a)의 양을 줄이고 제2 성분(12b)을 늘린다. 증착의 중반부에는 제2 성분(12b)이 주로 함유되도록 증착한다. 그리고 다시 제1 성분(12a)의 양을 늘려 증착의 후반부에는 다시 제1 성분(12a)이 주로 함유되도록 증착한다. Co-deposition or the like may be used to form the
특히 그리드(12)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는 제2 성분(12b)만 존재하여 금속층이 형성되는데 제2 성분(12b)의 증착량과 증착시간을 조절하여 금속층을 적절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Particularly, only the
본 발명의 편광자를 유기 발광 표시 장치등과 같은 평판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베이스(11)를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복수의 그리드(12)로 이루어진 선형 편광층을 기판 및 밀봉 부재 등에 직접 형성한다. 후술할 선형 편광층의 그리드(12)는 전술한 편광자(10)에서의 그리드(12)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구조, 재료 및 형성 방법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The polarizer of this invention can be used for a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ll be describ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11 is not required separately. A linear polarizing layer composed of a plurality of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명한 소재로 된 기판(20), 기판(20)상에 차례대로 형성되는 선 형 편광층(22), 1/4 파장 위상차층(21), 유기 발광 소자(30) 및 밀봉 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기판(2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도시하지 않았으나 투명 기판(20)의 상면에는 기판(20)의 평활성과 불순 원소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버퍼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버퍼층은 SiO2 및/또는 SiNx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판(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플라스틱 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기판(20)의 상면에 선형 편광층(22)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4의 A의 확대도로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과 기판(20)사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기판(20)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기판(20)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The
그러므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기판(20)방향으로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terfac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sup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또한 기판(20)방향으로 입사한 외광의 일부는 기판(20)을 투과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금속막 등에서 반사하여 다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에서 기판(20)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변하는 구조이므로 그리드(12)에서 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to the
선형 편광층(22)상에 1/4 파장 위상차층(21)이형성된다. 1/4 파장 위상차층(21)은 무기물을 경사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미세한 컬럼들이 1/4 파장 위상차층(21)의 표면에 경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게 된다. 이 컬럼들은 결정성장방향이 된다. 무기물을 증착할 경우, 이 무기물은 원기둥 형상으로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증착할 경우 이 원기둥 형상은 수평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1/4 파장 위상차층(21)에 복굴절 특성이 부여된다. 1/4 파장 위상차층(21)을 형성할 수 있는 무기물은 TiO2, TaOx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CaO나 BaO로 형성하여 상기 1/4 파장 위상차층(21)에 수분 흡수 기능까지도 부여할 수 있다.A quarter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30)를 형성한다. 선형 편광층(22), 1/4 파장 위상차층(21)의 적층 순서는 외광의 입사 방향에 가깝게 선형 편광층(22)을 배치시키고 그 안쪽에 1/4 파장 위상차층(21)을 배치한다.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 사이에는 다른 광투과성 부재가 개재되어도 무방 하다.The organic
유기 발광 소자(30)는 서로 대향된 제1 전극(31), 제2 전극(33) 및 유기 발광층(32)을 포함한다. 제1 전극(31)은 투명 소재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ITO, IZO, In2O3 및 ZnO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포토 리소그래피법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31)의 패턴은 수동 구동형(passive matrix type:PM)의 경우에는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스트라이프 상의 라인들로 형성될 수 있고, 능동 구동형(active matrix type:AM)의 경우에는 화소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31)의 상부로 제2 전극(33)이 배치되는데 제2 전극(33)은 반사형 전극이 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은 및/또는 칼슘 등으로 형성되고 외부단자(미도시)에 연결하여 캐소오드(cathode)전극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제2 전극(33)은 수동 구동형의 경우에는 제1 전극(31)의 패턴에 직교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일 수 있고 능동 구동형의 경우에는 화상이 구현되는 액티브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31)의 극성과 제2 전극(33)의 극성은 서로 반대가 되어도 무방하다.The organic
제1 전극(31)과 제2 전극(33)의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층(32)은 제1 전극(31)과 제2 전극(33)의 전기적 구동에 의해 발광한다. 유기 발광층(32)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32)이 저분자 유기물로 형성되는 경우 유기 발광층(32)을 중심으로 제1 전극(31)의 방향으로 홀 수송층 및 홀 주입층 등이 적층되고, 제2 전극(33) 방향으로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이 적층된다.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층들이 적층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The organic
한편,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된 고분자 유기층의 경우에는 유기 발광층(32)을 중심으로 제1 전극(31)의 방향으로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만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홀 수송층은 폴리에틸렌 디히드록시티오펜 (PEDOT: poly-(2,4)-ethylene-dihydroxy thiophene)이나, 폴리아닐린(PANI: polyaniline) 등을 사용하여 잉크젯 프린팅이나 스핀 코팅의 방법에 의해 제1 전극(31) 상부에 형성되며, 고분자 유기 발광층(32)은 PPV, Soluble PPV's, Cyano-PPV,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잉크젯 프린팅이나 스핀 코팅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열전사방식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컬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olymer organic layer formed of the polymer organic material, only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may be included in the directio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30)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기판(20)의 방향으로 방출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용자는 도 6의 아래 즉 기판(20)의 하측 외부에서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발광형 구조에서 태양광과 같은 외광이 기판(20)을 통해 유입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원편광층을 형성해 외광의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판(20)의 하측 외부에서 입사되는 외광은 선형 편광층(22)의 흡수축에 따른 방향의 성분이 흡수되고, 투과축에 따른 방향의 성분이 투과된다. 이 투과축에 따른 방향의 성분은 1/4 파장 위 상차층(21)을 지나면서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원편광은 유기 발광 소자(30)의 제2 전극(33)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될 때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은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이 되고, 1/4 파장 위상차층(21)을 지나면서 처음의 투과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직선 편광으로 변환된다. 직선 편광은 선형 편광층(22)의 흡수축에 의해 흡수되어 기판(20)의 하측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외광 반사가 최소화되고 콘트라스트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나아가 본 발명의 선형 편광층(22)은 복수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기판(20)을 통하여 입사된 외광이 선형 편광층(22)에 도달할 때 농도 구배를 갖는 그리드(12) 로 인해 굴절율 차이에서 오는 계면의 반사를 억제한다. 또한 기판(20)을 통하여 입사된 외광의 일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입사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이루는 계면들 및 금속막에서 반사하여 다시 기판(20)을 통하여 외부로 나가게 돼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때 기판(20)을 통하여 나가는 외광도 그리드(12)가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가 최소화되어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 향상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linear
또한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은 기판(20)상에 직접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접착층등이 필요 없어 두께가 감소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고 발광층으로부터 구현된 화상이 접착층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휘도가 상승한다.In addition, since the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전술한 배면 발광 형의 경우뿐만 아니라 전면 발광 형의 경우에도 외광의 입사방향을 고려하여 변형 적용 가능하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판(20)의 양면 중 외부를 향하는 일면에 선형 편광층(22)이 형성되고 타면에 1/4 파장 위상차층(21)이 형성된다.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 유기 발광 소자(30)가 형성된다. 선형 편광층(22)의 자세한 구조는 도 6의 B의 확대도인 도 7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기판(20)의 양면 중 유기 발광 소자(30)를 향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기판(20)방향 및 기판(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기판(20)방향 및 기판(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bottom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므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기판(20)방향으로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terfac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sup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또한 기판(20)방향으로 입사한 외광의 일부는 기판(20)을 투과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금속막 등에서 반사하여 다시 기판(20)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12) 는 기판(20)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변하는 구조이므로 그리드(12)에서 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to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판의 양면 중 외부를 향한 일 면에 1/4 파장 위상차층(21) 및 선형 편광층(22)이 차례대로 형성되고, 기판(20)의 타면에 유기 발광 소자(3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quarter
선형 편광층(22)의 자세한 구조는 도 8의 C의 확대도인 도 9에 자세히 도시도어 있다.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의 양면 중 기판(20)을 향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3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1/4 파장 위상차층(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linear
그러므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기판(20)방향으로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terfac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sup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또한 기판(20)방향으로 입사한 외광의 일부는 기판(20)을 투과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금속막 등에서 반사하여 다시 기판(20)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변하는 구조이므로 그리드(12)에서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toward the
이상 설명한 것은 기판(20)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장치의 예이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발광층에서 구현되는 화상이 기판(20)의 방향이 아닌, 기판(20)의 반대 방향을 향해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is an example of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which an image is embodied in the direction of the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20), 기판(20) 상의 반사막(34), 유기 발광 소자(30), 밀봉 부재(50)를 포함한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s a
기판(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명한 글라스 기판(20)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또한,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금속 표면에는 절연막을 더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기판(20)의 일면에 형성된 반사막(34)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막(34) 상에 제1 전극(31)을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31)은 애노우드 기능을 하는데 만일 제1 전극(31)이 캐소우드 기능을 한다면 제1 전극(31)층을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해 반사막(34)을 겸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전극(31)이 애노우드 기능을 하는 예를 기본으로 설명한다.The
제2 전극(33)은 투과형 전극으로 형성한다. 일함수가 작은 Li, Ca, LiF/Al, Al, Mg, Ag 등의 금속으로 반투과막이 되도록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금속 반투과막 상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체를 형성해 두께가 얇아짐에 따른 고저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전극(31)과 제2 전극(33)사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32)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The
유기 발광 소자(30) 상에 유기 발광 소자(30)를 봉지하는 밀봉 부재(50)가 형성된다. 밀봉 부재(50)는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30)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밀봉 부재(5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글라스 기판, 플라스틱 기판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복수의 중첩된 구조일 수도 있다.The sealing
밀봉 부재(50)의 상면 즉 유기 발광 소자(30)를 향하지 않고 외부를 향하는 면에1/4 파장 위상차층(21) 및 선형 편광층(22)을 차례대로 형성한다.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10의 D의 확대도인 도 11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선형 편광 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의 양 면 중에서 밀봉 부재(50)를 향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1/4 파장 위상차층(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1/4 파장 위상차층(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The quarter
그러므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밀봉 부재(50)방향으로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surfac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sup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또한 기판(20)방향으로 입사한 외광의 일부는 밀봉 부재(50)를 투과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금속막 등에서 반사하여 다시 밀봉 부재(50)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변하는 구조이므로 그리드(12)에서 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to the
21) mf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이 구현되는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외광 즉 도 10에서 상부에서 입사되는 외광은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을 순서로 통과한 후 반사막(34) 표면에서 반사되어 나갈 때 최종적으로 선형 편광층(22)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 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다. 21) mf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that is, external light incident from the top in FIG. 10 passes through th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밀봉 부재(50)의 양면 중 유기 발광 소자(30)를 향하는 일면에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차례대로 형성된다.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12의 E의 확대도인 도 1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밀봉 부재(50)와 1/4 파장 위상차층(21)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밀봉 부재(50)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밀봉 부재(50)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므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밀봉 부재(50)방향으로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surfac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sup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또한 밀봉 부재(50)방향으로 입사한 외광의 일부는 밀봉 부재(50)를 투과하 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금속막 등에서 반사하여 다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에서 밀봉 부재(50)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변하는 구조이므로 그리드(12)에서 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toward the sealing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밀봉 부재(50)의 양면 중 외부를 향하는 일면에 선형 편광층(22)이 형성되고, 유기 발광 소자(30)를 향하는 타면에 1/4 파장 위상차층(21)이 형성된다.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14의 F의 확대도인 도 15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밀봉 부재(50)의 양 면 중에서 유기 발광 소자(30)를 향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밀봉 부재(50)방향 및 밀봉 부재(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밀봉 부재(50)방향 및 밀봉 부재(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므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밀봉 부재(50) 방향으로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terfac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sup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또한 밀봉 부재(50)방향으로 입사한 외광의 일부는 밀봉 부재(50)를 투과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금속막 등에서 반사하여 다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에서 밀봉 부재(50)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12)는 밀봉 부재(50)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변하는 구조이므로 그리드(12)에서 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toward the sealing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판(20) 상에 반사막(34)을 형성하고, 반사막(34)상에 유기 발광 소자(30)를 형성하고, 유기 발광 소자(30) 상에 1/4 파장 위상차층(21)을 형성하고,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 선형 편광층(22)을 형성한다.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16의 G의 확대도인 도 17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 복수의 그리드(12)가 형성된다.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top-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상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1/4 파장 위상차층(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1/4 파장 위상차층(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The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Detailed structures, manufacturing methods, and effects of the
이때 제2 전극(33)층과 1/4 파장 위상차층(21) 사이에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30)의 제2 전극(33)과 1/4 파장 위상차층(21)사이에 보호층(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의 구조는 보호층(40)을 제외하면 도 16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보호층(40)만을 설명한다. 보호층(40)은 1/4 파장 위상차층(21)이 형성될 때 공정상 제2 전극(33)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다. 보호층(40)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형성한다. 무기물로는 메탈 옥사이드(metal oxide), 메탈 나이트라이드(metal nitride), 메탈 카바이드(metal carbide),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metal oxy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옥사이드로는 실리콘 옥사이드,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틴 옥사이드(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나이트라이드로는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uminium nitride),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licon nitride) 및 이들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탈 카바이드로는 실리콘 카바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메탈 옥시나이트라이드로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가 사용 될 수 있다. 무기물로는 이 밖에도 실리콘이 사용될 수도 있고, 실리콘 및 메탈 각각의 세라믹 유도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DLC(diamond-like carbon) 등도 사용 가능하다. 유기물로는 오가닉 폴리머(organic polymer), 인오가닉 폴리머(inorganic polymer), 오가노메탈릭 폴리머(organometallic polymer), 및 하이브리드 오가닉/인오가닉 폴리머(hybrid organic/inorganic polym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아크릴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세한 구조와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아 생략한다.In this case, a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장치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1/4 파장 위상차층(21)과 선형 편광층(22)이 반사막(34)과 유기 발광 소자(30)의 사이에 성막된 예를 나타낸다.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19의 H의 확대도인 도 20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 복수의 그리드(12)가 형성된다. 19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 in which the quarter-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과 제1 전극(31)사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제1 전극(31)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제1 전극(31)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The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Detailed structures, manufacturing methods, and effects of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반사막(34) 상면에 1/4 파장 위상차층(21)을 형성하고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 유기 발광 소자(30)를 형성하고, 이 유기 발광 소자(30) 상에 선형 편광층(22)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not shown, the quarter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수동 구동 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20)의 상면에 선형 편광층(22) 및 1/4파장 위상차층(21)이 차례대로 형성된 것으로, 이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 유기 발광 소자(30)가 형성된다. 선형 편광층(22)의 자세한 구조는 도 21의 I의 확대도인 도 22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선형 편광층(22)은 복수 개의 그리드(12)를 포함한다.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과 기판(20)사이에 형성된다. 그리드(12)는 두께 방향으로 농도 구배를 갖는 제1 성분(12a) 및 제2 성분(12b)을 포함한다. 제1 성분(12a)은 유전 물질로 형성하고 제2 성분(12b)은 금속으로 형성한다. 제1 성분(12a)은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기판(20)방향으로 갈수록 함량이 증가하고 제2 성분(12b)은 그리드(12)의 중심방향에 가까워질수록 함량이 증가한다. 즉 그리드(12)는 그리드(12)의 중심 방향에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 및 기판(20)방향으로 갈수록 불투명한 금속에서 유전 물질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FIG. 2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ssive emission typ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f FIG. 21, the
그러므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기판(20)방향으로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terfac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sup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또한 기판(20)방향으로 입사한 외광의 일부는 기판(20)을 투과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금속막 등에서 반사하여 다시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에서 기판(20)방향으로 나가게 되어 콘트라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이 때 그리드(12)는 1/4 파장 위상차층(21)방향으로 갈수록 유전 물질로 변하는 구조이므로 그리드(12)에서 외광을 흡수하여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드(12)의 자세한 구조, 제법 및 효과 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external light incident to the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는 제1 전극(31)이 소정의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1 전극(31) 상에 이를 구획하도록 내부 절연막(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절연막(35) 상에는 유기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의 패터닝을 위해, 제1 전극(31)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세퍼레이터(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퍼레이터(36)에 의해, 유기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은 제1 전극(31)에 교차하도록 패터닝된다. 제2 전극(33) 상으로는 밀봉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유기 발광 소자(30)를 외기로부터 차단한다. 경우에 따라서 세퍼레이터(36) 없이 유기 발광층(32) 및 제 2전극(33)을 패터닝할 수도 있다.The
도 21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기판(20) 상에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도 21에 서 볼 때에 기판(20)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유입된 외광의 반사를 이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또한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외광이 그리드(12)에 입사되었을 때 외광을 흡수하여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21, the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배면 발광형 수동 구동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도 6 및 도 8과 같은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a separate draw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S. 6 and 8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emission type passive driving display device.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능동 구동 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2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기판(20)의 상면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각 화소별로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데, 유기 발광 소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3, a thin film transistor TF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기판(20) 상에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을 차례대로 형성한다.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23의 J의 확대도인 도 24에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24의 구조는 도 5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pecifically, the
1/4 파장 위상차층(21) 상에 버퍼층(41)이 형성되고, 버퍼층(41) 상에 소정 패턴의 반도체 층(4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42)의 상부에는 SiO2, SiNx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43)이 형성되고, 게이트 절연막(43) 상부의 소정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44)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44)은 TFT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44)의 상부로는 층간 절연막(45) 이 형성되고, 컨택 홀을 통해 소스 전극(46) 및 드레인 전극(47)이 각각 반도체층(42)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TFT는 패시베이션막(48)으로 덮여 보호된다. The
패시베이션막(48) 상부에는 애노우드 전극이 되는 제1 전극(31)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절연물로 화소 정의막(49)(pixel define layer)이 형성된다. 이 화소 정의막(49)에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 후, 이 개구로 한정된 영역 내에 유기 발광층(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체 화소들을 모두 덮도록 제2 전극(33)이 형성된다.A
능동 구동형 구조에 있어서도, 기판(20) 상에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순차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도 24에서 볼 때에 기판(20)의 하부 방향으로부터 유입된 외광의 반사를 이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저반사층(13) 및 제2 저반사층(14)은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한다. Also in the active drive type structure, since the
이러한 능동 구동방식의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은, 선형 편광층(22)이 외광을 향한 방향에 배치되고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유기 발광 소자(30)를 향한 방향에 배치되는 한, 기판(20),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유기 발광 소자(30)에 의해 이루어지는 어떠한 면에 성막되어도 무방하다. 즉,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6 및 도 8과 같이, 기판(20)의 일 면 및/또는 타면에 1/4 파장 위상차층(21), 선형 편광층(22)을 성막한 후에, 그 위로 박막 트랜지스터(TFT), 유기 발광 소자(30)를 형성할 수도 있고, 1/4 파장 위상차층(21) 및/또는 선형 편광층(22)을 박막 트랜지 스터(TFT)의 각 층으로 형성되는 계면 사이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In such an active driving type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도 23의 패시베이션막(48)을 형성하지 않고 그 역할을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이 대신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TFT 상부로 별도의 패시베이션막(48)을 유기물 및/또는 무기물로 형성되지 않고,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차례대로 층간 절연막(45) 상에 형성되어 패시베이션막(48)을 대신하고 있다. 이하 기타 상세한 구조와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Instead of forming the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수동 구동 방식의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2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ssive emission type top-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기판(20)의 상면에 반사막(34)이 형성되고, 이 반사막(34)의 상면에 1/4파장 위상차층(21) 및 선형 편광층(22)이 순차로 형성된 것으로, 선형 편광층(22) 상에 유기 발광 소자(30)가 형성된다.The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26의 k의 확대도인 도 27에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구조는 도 20과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ructure of the linear
선형 편광층(22) 상에 제1 전극(31)이 소정의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전극(31) 상에 이를 구획하도록 내부 절연막(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 절연막(35) 상에는 유기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의 패터닝을 위해, 제1 전극(31)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세퍼레이터(36)가 형성되어있다. 세퍼레이터(36)에 의해, 유기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은 제1 전극(31)에 교차되도록 패터닝된다. 제2 전극(33) 상으로는 밀봉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유기 발광 소 자(30)를 외기로부터 차단한다. 경우에 따라서 세퍼레이터(36) 없이 유기 발광층(32) 및 제2 전극(33)을 패터닝할 수도 있다. The
이 실시예에서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광이 반사되지 않아 콘트라스트가 향상될 수 있고, 전체적인 디스플레이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자세한 구조와 효과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Even 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light flowing from the outside is not reflected, so that the contrast can be improved and the overall display thickness can be reduced. Detailed structure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전면 발광형 수동 구동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도 10 내지 도 18과 같은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a separate draw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0 to 18 may be applied to the front emission type passive driving display device as it is.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능동 구동 방식의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2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ctive driving type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8을 참조하면, 기판(20)의 상면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각 화소별로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는 데, 유기 발광 소자(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구조에 대한 것은 전술한 도 23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28, a thin film transistor TF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4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시베이션막(48) 상에 반사막(34)이 형성된다. 그리고, 반사막(34) 상에 애노우드 전극이 되는 제1 전극(31)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절연물로 화소 정의막(49)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49)에 소정의 개구를 형성한 후, 이 개구로 한정된 영역 내에 유기 발광층(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체 화소들을 모두 덮도록 제2 전극(33)이 형성된다.The
도 28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50)의 양면 중 유기 발광 소자(30)를 향한 일면에 순차로 선형 편광층(22) 및 1/4 파장 위상차층(21)을 형성한다. 선형 편광층(22)의 구조는 도 28의 L의 확대도인 도 29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9에 도시한 구조는 도 13과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 28, the linear
도 28에서 볼 때 도면의 상부 방향인 밀봉 부재(50)의 위쪽에서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를 선형 편광층(22)과 1/4 파장 위상차층(21)이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리드(12)는 굴절율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계면 반사를 억제하여 외광을 흡수한다. 결과적으로 외광의 반사를 방지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전면 발광형 능동 구동형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도 10 내지 도 20과 같은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28,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소자로서 무기 발광 소자나, LCD, 전자 방출 장치 등을 사용하는 여타의 평판 표시장치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can be applied to any other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 LCD, an electron emitting device, or the like as the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에 관한 편광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콘트라스트와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polarize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contrast and visibility.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1159A KR100829756B1 (en) | 2007-03-02 | 2007-03-02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EP07253133.8A EP1965233B1 (en) | 2007-03-02 | 2007-08-10 | Polarizer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JP2007210180A JP4949966B2 (en) | 2007-03-02 | 2007-08-10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CN2007101403993A CN101256250B (en) | 2007-03-02 | 2007-08-10 | Polarizer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US11/837,451 US7772768B2 (en) | 2007-03-02 | 2007-08-10 | Polarizer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1159A KR100829756B1 (en) | 2007-03-02 | 2007-03-02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9756B1 true KR100829756B1 (en) | 2008-05-16 |
Family
ID=3966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1159A KR100829756B1 (en) | 2007-03-02 | 2007-03-02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9756B1 (en) |
CN (1) | CN101256250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0131B1 (en) * | 2013-06-17 | 2020-04-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CN104659051B (en) * | 2013-11-20 | 2018-11-23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CN105652507B (en) * | 2016-02-29 | 2019-11-29 |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 Coated polarized display screen, mobile terminal and production method of coated polarized display screen |
KR20170136109A (en) * | 2016-05-31 | 2017-12-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Color conversion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129A (en) * | 1999-06-22 | 2002-03-18 | 추후보정 | Broadband wire grid polarizser for the visible spectrum |
KR20040030981A (en) * | 2001-08-21 | 2004-04-09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Self-luminous image display apparatus |
KR20050069386A (en) * | 2003-12-31 | 2005-07-05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JP2006178186A (en) | 2004-12-22 | 2006-07-06 | Seiko Epson Corp |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method for designing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electronic device |
JP2007033746A (en) | 2005-07-26 | 2007-02-08 | Seiko Epson Corp | Optical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element,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65119B1 (en) * | 2002-10-15 | 2003-12-16 | Eastman Kodak Company | Wire grid polarizer |
KR20060060164A (en) * | 2004-11-30 | 2006-06-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polarizing plate |
-
2007
- 2007-03-02 KR KR1020070021159A patent/KR10082975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7-08-10 CN CN2007101403993A patent/CN101256250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1129A (en) * | 1999-06-22 | 2002-03-18 | 추후보정 | Broadband wire grid polarizser for the visible spectrum |
KR20040030981A (en) * | 2001-08-21 | 2004-04-09 |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 Self-luminous image display apparatus |
KR20050069386A (en) * | 2003-12-31 | 2005-07-05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JP2006178186A (en) | 2004-12-22 | 2006-07-06 | Seiko Epson Corp |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method for designing polarization control element, electronic device |
JP2007033746A (en) | 2005-07-26 | 2007-02-08 | Seiko Epson Corp | Optical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optical element,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56250B (en) | 2011-07-27 |
CN101256250A (en) | 2008-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4996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KR100838066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US8373928B2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polarizer | |
KR10084659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KR100829750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KR100852115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10111773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KR100768241B1 (en) | Polarizer and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KR100829756B1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0958638B1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0932933B1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0795811B1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0894065B1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0863908B1 (en) | Polarizer and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KR100838068B1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0777747B1 (en) |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