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9312B1 -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312B1
KR100829312B1 KR1020070059257A KR20070059257A KR100829312B1 KR 100829312 B1 KR100829312 B1 KR 100829312B1 KR 1020070059257 A KR1020070059257 A KR 1020070059257A KR 20070059257 A KR20070059257 A KR 20070059257A KR 100829312 B1 KR100829312 B1 KR 10082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s
idle stop
hybrid electric
stop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금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9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3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18Hill 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들 스탑 기능을 갖는 차량이 언덕길 주행시 정차후 재출발하는 경우에 아이들 스탑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CAS의 작동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차량의 출발지연 및 뒤로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언덕길 주행시 정차후 재출발하는 경우에 아이들 스탑 상태인지 또는 아이들 스탑 상태가 아닌지를 판단하여, 상기 아이들 스탑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 오프 후 CAS 작동시간은 T1 이며, 상기 아이들 스탑 상태인 경우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 오프 후 CAS 작동시간은 T1보다 상대적으로 긴 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아이들 스탑, CAS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a backward moving of hybrid electric vehicles in slop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들 스탑 기능을 갖는 차량이 언덕길 주행시 정차후 재출발하는 경우에 아이들 스탑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CAS의 작동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차량의 출발지연 및 뒤로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를 갖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T/M)은 브레이크 온시에는 엔진과 T/M사이의 클러치가 오픈(Open)되어 있어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브레이크 오프(Brake Off)시에는 클러치가 인게이지(Engage) 되어 동력을 전달 한다.
이때, 경사로에서 정차한 후 재출발하는 경우에 충분한 동력이 휠로 전달되지 않을 때는 차량이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 하이브리드차량은 연비 향상을 위해 차량의 정차시 엔진 시동을 오프시키는 아이들 스톱(idle stop)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아이들 스톱 모드는 경사로에서 주행중 정차시에도 동작하고 운전자의 재출발의지 즉, 브레이크 오프에 의해 차량의 출발이 이루어지며, 엔진 시동 완료시간과 CVT(무단변속기) 클러치 체결을 위해 엔진RPM이 상승하는데 약 1~2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때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CAS(Creeping Aided System)를 구비하고 있고, 브레이크 오프시점부터 어느 일정시간 동안 CAS를 온 함으로써, 운전자의 브레이크 신호와는 별개로 브레이크 유압을 일정시간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후방으로 밀림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 CAS의 작동시간은 경사각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경사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아이들스탑 상태에서의 CAS 작동시간은 차량이 정지하고 어떤 조건에 의해 아이들스탑이 아닌 상태의 CAS 작동시간과 같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들스탑 상태에선 엔진의 시동이 꺼져있으므로, 출발할 경우에 엔진시동완료시간만큼 엔진의 동력이 구동축에 전달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따라서 CAS의 작동시간이 엔진의 시동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면, 엔진 시동의 온상태에서는 불필요하게 CAS를 오랫동안 동작하게 되므로 차량의 출발에 지장을 주고, 아이들스탑상태에서는 엔진 시동시간 때문에 CAS 작동시간이 짧아 언덕에서 밀리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언덕길 주행시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출발하는 경우에 아이들 스탑 조건에 의해 엔진 시동이 오프 상태인지 아니면 엔진 시동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시동 온 상태인 경우에 CAS의 구동을 일정시간동안(T1) 온시키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에 CAS의 구동을 일정시간(T1)에 시동완료시간 등을 더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언덕길에서 출발지연 및 뒤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CAS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에 있어서,
언덕길 주행시 정차후 재출발하는 경우에 출발상태판정조건의 만족여부에 따라 CAS 작동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출발상태판정조건은 아이들 스탑 상태인지 또는 아이들 스탑 상태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아이들 스탑 상태가 아닌 경 우에는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 오프 후 CAS 작동시간은 T1 이며, 상기 아이들 스탑 상태인 경우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 오프 후 CAS 작동시간은 T1보다 상대적으로 긴 T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출발상태판정조건은 T2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의 시동여부를 판단하여, 시동이 완료된 후에 T1만큼 CAS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출발상태판정조건은 무단변속기의 경우에 T2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의 시동여부를 판단하고, 시동이 완료된 후에도 무단변속기 유압 생성 등 차랑이 출발할 수 있는 상태를 판단하여 출발상태판정이 완료된 후 T1만큼 CAS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은 언덕길 주행시 아이들 스탑 유무에 따라 CAS의 동작시간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출발지연 및 뒤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상기 CAS는 언덕길 주행시 차량의 뒤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오프시점 또는 차량이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차량이 정치했을 때부터 작동하여 재 출발할 때 운전자의 브레이크 신호와 별개로 브레이크 유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게 된다.
1. CAS 구동여부 판단
먼저,CAS가 구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
2. 브레이크 온/오프 상태 판단
운전자가 언덕길 주행시 정차한 후 브레이크 페달센서로 출발의지를 감지할 수 있고, 브레이크 페달센서로부터 브레이크 온/오프 신호를 입력 받아 브레이크 온 상태인 경우에는 차량의 정지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브레이크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차량의 출발하려는 의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온 시에는 브레이크 작동신호에 의해 브레이크 유압이 작동하므로, 별도로 CAS를 구동하지 않고도 언덕길에서 뒤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CAS 작동판단시간(T)을 0으로 설정한다.
문제는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어 브레이크 작동신호가 오프된 경우이며, 브레이크 유압은 CAS의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를 밟는 것과 같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CAS의 작동판단시간을 계산한다. 작동판단시간은 본 실시예의 시작부터 끝까지 걸리는 주기가 1ms이고 CAS 작동시간을 계산하는 곳부터 다음 CAS 작동시간을 계산하는 곳까지의 주기도 1ms 라면 T=T+1이 된다.
3. 아이들 스탑 유무 판단
상기 아이들 스탑 유무 판단은 차량 정지상태에서 엔진시동이 온된 상태인지 오프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엔진 시동이 온 된 상태(아이들 스탑 기능이 작동되지 않음)에서 출발하 는 때에는 브레이크 오프후 CAS 작동시간은 T1이고, 엔진 시동이 오프된 상태(아이들 스탑 기능이 작동됨)에서 출발할 때에는 브레이크 오프후 CAS 작동시간은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완료시간이 더 추가되어야 하므로, 브레이크 오프 후 CAS 작동시간은 T1보다 상대적으로 긴 T2이다.
상기 T1은 엔진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브레이크 오프 후 엔진의 동력이 구동축에 전달되기까지의 시간동안에는 브레이크 유압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때 차량의 뒤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CAS가 작동되어야 한다. 더불어 T1은 경사각 센서등에서 받은 경사정보를 가지고 경사가 높으면 높을수록 큰 값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에서 계산된 CAS작동판단시간(T)이 T1이나 T2보다 작을 때는 계속CAS를 온시켜 브레이크 유압을 유지하여 밀림을 방지하고 CAS작동판단시간(T)이 T1이나 T2보다 클 때는 CAS를 오프시켜 프레이크 유압을 해제한다.
여기서 T2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의 시동여부를 판단하여, 시동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동이 완료되는 시간에 T1을 합산한 시간이 CAS의 작동시간이 되고,시동이 완료된 후에는 T1만큼만 CAS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CVT의 경우에는 시동이 걸린 후에 CVT 작동을 위한 유압생성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T2를 사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엔진시동조건 이외에도 CVT 유압 생성 등 차량이 출발할 수 있는 상태 즉, 아이들 스탑이 아니고 차량이 정차해 있는 상태를 판단하고, 출발상태가 완료된 후 T1 만큼 CAS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CAS 작동시간을 아이들 스탑 조건에 따라 달리함으 로써, 차량의 출발지연 및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에 의하면, 언덕길 주행시 차량의 정차상태에서 출발하는 경우에 아이들 스탑 조건에 의해 엔진 시동이 오프 상태인지 아니면 엔진 시동이 온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시동 온 상태인 경우에 CAS의 구동을 일정시간동안(T1) 온시키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에 CAS의 구동을 일정시간(T1)에 시동완료시간 등을 더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언덕길에서 출발지연 및 뒤로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CAS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에 있어서,
    언덕길 주행시 정차후 재출발하는 경우에 출발상태판정조건의 만족여부에 따라 CAS 작동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발상태판정조건은 아이들 스탑 상태인지 또는 아이들 스탑 상태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아이들 스탑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 오프 후 CAS 작동시간은 T1 이며, 상기 아이들 스탑 상태인 경우에는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 오프 후 CAS 작동시간은 T1보다 상대적으로 긴 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발상태판정조건은 T2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의 시동여부를 판단하여, 시동이 완료된 후에 T1만큼 CAS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발상태판정조건은 무단변속기의 경우에 T2를 사용하지 않고 엔진의 시동여부를 판단하고, 시동이 완료된 후에도 무단변속기 유압 생성 등 차랑이 출발할 수 있는 상태를 판단하여 출발상태판정이 완료된 후 T1만큼 CAS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KR1020070059257A 2007-06-18 2007-06-18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2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257A KR100829312B1 (ko) 2007-06-18 2007-06-18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257A KR100829312B1 (ko) 2007-06-18 2007-06-18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312B1 true KR100829312B1 (ko) 2008-05-13

Family

ID=3965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2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9312B1 (ko) 2007-06-18 2007-06-18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9758A (ko) 2023-05-25 2024-12-03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avn을 이용한 언덕길 안전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289A (en) * 1984-08-24 1987-03-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dling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providing anti roll back action
KR19980042517A (ko) * 1996-11-19 1998-08-17 하나와 요시카즈 자동차 구동력 제어 장치
US6679810B1 (en) 1998-10-14 2004-01-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Hill holder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05324730A (ja) * 2004-05-17 2005-11-24 Toyota Motor Corp 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289A (en) * 1984-08-24 1987-03-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dling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providing anti roll back action
KR19980042517A (ko) * 1996-11-19 1998-08-17 하나와 요시카즈 자동차 구동력 제어 장치
US6679810B1 (en) 1998-10-14 2004-01-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Hill holder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05324730A (ja) * 2004-05-17 2005-11-24 Toyota Motor Corp 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9758A (ko) 2023-05-25 2024-12-03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avn을 이용한 언덕길 안전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3690B2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制御装置
JP4893834B2 (ja) 車両制御装置
US20070096557A1 (en) Rollback reduction in hybrid or conventional powertrain vehicle via vehicle stability enhancement system (VSES)
KR101294163B1 (ko)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밀림방지 제어방법
EP3327271B1 (en) Engine control method and vehicle drive control device
JP6696282B2 (ja) 車両制御装置
JP6471630B2 (ja) 惰性走行制御方法及び惰性走行制御装置
JP2006200370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KR100829312B1 (ko) 하이브리드 전기차량의 언덕길 뒤로밀림방지 제어방법
JP6468111B2 (ja) 惰性走行制御方法及び惰性走行制御装置
JP5974753B2 (ja) 車両制御装置
JP6123558B2 (ja) 車両用制御装置
CN103661356B (zh) 车辆控制装置
KR10181632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후방 밀림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WO2012132119A1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制御装置
JP2005030484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3775117B2 (ja) エンジン自動停止車両
JP2007001327A (ja) 先行車追従走行制御装置
WO2013084691A1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制御装置
KR100846656B1 (ko) 차량의 등판길 밀림방지방법
JP5834608B2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制御装置
KR10116347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밀림방지 제어 방법
KR20090062702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로 주행시 밀림방지 제어 방법
JP5974754B2 (ja) 車両制御装置
KR20180083528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사로 밀림 방지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