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544B1 -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8544B1 KR100828544B1 KR1020060106743A KR20060106743A KR100828544B1 KR 100828544 B1 KR100828544 B1 KR 100828544B1 KR 1020060106743 A KR1020060106743 A KR 1020060106743A KR 20060106743 A KR20060106743 A KR 20060106743A KR 100828544 B1 KR100828544 B1 KR 1008285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verload
- active set
- base station
- parameter
- ce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파라미터명 | 의미 | 비고 |
Critical_MaxActiveSet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의 등급이 Critical 등급일 때 감소시킬 최대 활성 세트 셀 수. 단, 정상(Normal) 상태일 때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 - Critical_MaxActiveSet < "2"라면 해당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는 "2"로 설정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예) Critical_MaxActiveSet = 3이고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정상(Normal) 상태에서의 최대 활성 세트의 셀 수가 "6"이었다면,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 등급이 "Critical" 등급으로 상승하면 해당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가 "3"이 된다. | |
Major_MaxActiveSet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의 등급이 Major 등급일 때 감소시킬 최대 활성 세트 셀 수. 단, 정상(Normal) 상태일 때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 - Major_MaxActiveSet < "2"라면 해당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는 "2"로 설정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예) Major_MaxActiveSet = 2이고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정상(Normal) 상태에서의 최대 활성 세트의 셀 수가 "6"이었다면,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 등급이 "Major" 등급으로 상승하면 해당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가 "4"이 된다. | |
Minor_MaxActiveSet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의 등급이 Minor등급일 때 감소시킬 최대 활성 세트 셀 수. 단, 정상(Normal) 상태일 때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 - Minor_MaxActiveSet < "2"라면 해당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는 "2"로 설정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예) Minor_MaxActiveSet = 1이고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정상(Normal) 상태에서의 최대 활성 세트의 셀 수가 "6"이었다면,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 등급이 "Minor" 등급으로 상승하면 해당 기지국(노드 B)(120, 130, 140)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가 "5"이 된다. | |
정상(Normal)_MaxActiveSet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 등급이 Minor 미만일 때(과부하 미발생 상태)의 최대 활성 세트 셀 수 | |
Critical_1c_Hysteresis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의 등급이 Critical등급일 때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값 | |
Major_1c_ Hysteresis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의 등급이 Major등급일 때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값 | |
Minor_1c_ Hysteresis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의 등급이 Minor등급일 때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값 | |
정상(Normal)_1c_ Hysteresis | 기지국(노드 B)(120, 130, 140) 또는 기지국 제어기(RNC)(150)의 부하율의 등급이 Minor 미만일 때(과부하 미발생 상태)의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값 |
Claims (1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제어 장치에 있어서,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부하 정보를 측정하는 부하 측정부;상기 부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부하 판단부;상기 판단 결과 과부하가 발생된 경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여 활성 세트 조절을 위한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파라미터 변경부; 및상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활성 세트(Active Set)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활성 세트 설정부를 포함하는 과부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부하 정보는 기지국 별 또는 기지국 제어기 별 부하 정보로, 발신 호 횟수, 착신 호 횟수, 위치등록 횟수 또는 기지국에서 송신하는 파일럿 채널 강도(Ec/I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판단되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활성 세트 조절을 위한 파라미터는 활성 세트의 셀을 교체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활성 세트의 수가 완전히 차고 일정 주기동안 이동 통신 단말에서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모니터링되는 세트에서 가장 강하게 측정되는 셀의 파일럿 채널 강도가 활성 세트에서 가장 약하게 측정되는 셀의 파일럿 채널 강도보다 큰 경우 발생되는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 또는 상기 활성 세트에 포함되는 셀 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활성 세트 설정부는 상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는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활성 세트의 셀 교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활성 세트 설정부는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는 상기 조절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정상 상태에서 최대 활성 세트 셀 수에서 상기 조절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값을 차감한 값이 2보다 작은 경우 활성 세트의 셀 수를 2로 설정하고, 상기 차감한 값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차감한 값을 활성 세트의 셀 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과부하 제어 장치는 AMR(Adaptive Multi-Rate speech codec) 호, CS(Circuited Switched) 영상 호, PS(Packet Switched)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호를 제외한 모든 DCH(Dedicated Channel) 호 및 SRB(Signaling Radio Bear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과부하 제어 장치는 기지국 제어기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별도의 장치로 상기 기지국 제어기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장치.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부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상기 부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 결과 과부하가 발생된 경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여 활성 세트 조절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활성 세트(Active Set)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파라미터는 활성 세트의 셀을 교체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활성 세트의 수가 완전히 차고 일정 주기동안 이동 통신 단말에서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모니터링되는 세트에서 가장 강하게 측정되는 셀의 파일럿 채널 강도가 활성 세트에서 가장 약하게 측정되는 셀의 파일럿 채널 강도보다 큰 경우 발생되는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 또는 상기 활성 세트에 포함되는 셀 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는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활성 세트의 셀 교체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방법.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정상 상태에서 최대 활성 세트의 셀 셀 수에서 상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는 상기 조절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값을 차감하는 단계;상기 차감한 값이 2보다 작은 경우 활성 세트의 셀 수를 2로 설정하고, 상기 차감한 값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차감한 값을 활성 세트의 셀 수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방법.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들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부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상기 부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과부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판단 결과 과부하가 발생된 경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여 활성 세트 조절을 위한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단계; 및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과부하 정도에 상응하여 핸드오버를 위한 활성 세트(Active Set)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파라미터는 활성 세트의 셀을 교체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활성 세트의 수가 완전히 차고 일정 주기동안 이동 통신 단말에서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모니터링되는 세트에서 가장 강하게 측정되는 셀의 파일럿 채널 강도가 활성 세트에서 가장 약하게 측정되는 셀의 파일럿 채널 강도보다 큰 경우 발생되는 이벤트 1c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파라미터 또는 상기 활성 세트에 포함되는 셀 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6743A KR100828544B1 (ko) | 2006-10-31 | 2006-10-31 |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6743A KR100828544B1 (ko) | 2006-10-31 | 2006-10-31 |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9061A KR20080039061A (ko) | 2008-05-07 |
KR100828544B1 true KR100828544B1 (ko) | 2008-05-13 |
Family
ID=3964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6743A KR100828544B1 (ko) | 2006-10-31 | 2006-10-31 |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854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11667A2 (en) * | 2009-03-27 | 2010-09-30 | Chaz Immendorf | Reduc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
US9998953B2 (en) | 2012-06-22 | 2018-06-12 | Kt Corporation | Load management |
KR20230049481A (ko) | 2021-10-06 | 2023-04-13 | 주식회사 케이티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감시방법 및 그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4702B1 (ko) * | 2013-03-08 | 2019-10-21 | 주식회사 케이티 | 영상 전송 방법과 영상 수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8937A (ja) | 1998-04-10 | 1999-10-29 | Nec Corp | ハンドオフ制御方式、ハンドオフ制御方法及びこれが書き込まれた記憶媒体 |
WO1999060797A2 (en) | 1998-05-15 | 1999-11-2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ff control based on access network capacity |
-
2006
- 2006-10-31 KR KR1020060106743A patent/KR1008285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98937A (ja) | 1998-04-10 | 1999-10-29 | Nec Corp | ハンドオフ制御方式、ハンドオフ制御方法及びこれが書き込まれた記憶媒体 |
WO1999060797A2 (en) | 1998-05-15 | 1999-11-25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ff control based on access network capacity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11667A2 (en) * | 2009-03-27 | 2010-09-30 | Chaz Immendorf | Reduc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
WO2010111667A3 (en) * | 2009-03-27 | 2011-01-13 | Chaz Immendorf | Reduc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
US8537731B2 (en) | 2009-03-27 | 2013-09-17 | Eden Rock Communication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
US9998953B2 (en) | 2012-06-22 | 2018-06-12 | Kt Corporation | Load management |
KR20230049481A (ko) | 2021-10-06 | 2023-04-13 | 주식회사 케이티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감시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9061A (ko) | 2008-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53715B1 (en) | A method for decide cdma frequency hard hand-off | |
EP1487131B1 (en) |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forward access channel (FACH), and a corresponding network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 |
US638145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oft handoff control based on access network capacity | |
EP2132949B1 (en) | Selection of an uplink carrier frequency corresponding to one of co-sited cells having different coverage areas and supporting different uplink data rates | |
JP5765129B2 (ja) |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 |
EP1240729B1 (en) | Radio network control using uplink mobile transmit power | |
TWI386082B (zh) | 用於控制蜂巢式通訊系統中無線連結之方法 | |
JP4795045B2 (ja) | 移動局およ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並びにモビリティ制御方法 | |
KR20140102237A (ko) | 시그널링 트래픽 감소 | |
US20090181673A1 (en) | Method, apparatus and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a radio link characteristic | |
KR100836239B1 (ko) |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CN103501519A (zh) | 在分层小区结构中的基于小区质量的小区选择方法 | |
CN100380997C (zh) | 无线电通信系统及其控制方法 | |
KR100828544B1 (ko) |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CN100450289C (zh) | 一种切换的方法 | |
US20050239472A1 (en) | Allocation method and controller | |
JP4361934B2 (ja) | パラメータ再符号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CN100415041C (zh) | 一种动态调整码分多址系统通信质量的方法 | |
JP4856243B2 (ja) | ベストエフォート型マクロダイバーシティ | |
CN113891406B (zh) | 多频网络中的小区切换方法及装置 | |
KR100821176B1 (ko) | 주파수 대역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 |
CN102869063B (zh) | 空中接口调整方法与装置 | |
KR101065128B1 (ko) |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
KR101648086B1 (ko)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거기에 이용되는 망 제어장치, 및 그 망 제어방법 | |
KR100724416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탐색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