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964B1 -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7964B1 KR100827964B1 KR1020010069111A KR20010069111A KR100827964B1 KR 100827964 B1 KR100827964 B1 KR 100827964B1 KR 1020010069111 A KR1020010069111 A KR 1020010069111A KR 20010069111 A KR20010069111 A KR 20010069111A KR 100827964 B1 KR100827964 B1 KR 1008279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crystal display
- vertical alignment
- display device
-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5—Insulating lay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서로 대향되며, 내부면에 제 1, 2 전극이 각각 형성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계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과 제 1, 2 전극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 수직 배향막을 포함하는 수직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전극이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필름 전사법에 의해 이루어진 다수 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멀티도메인 수직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므로써, 돌기부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생산 수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ormed therein, respectively,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In a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vertically arranged liquid crystal layer and upper and lower vertical alignment layers position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provided in corresponding regions. It is located, and by providing 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made by a film transfer metho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 cost required for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projections can be reduced to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Has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일부영역에 대한 입체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portion of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2는 일반적인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하나의 액정 구동부에 대한 평면도. 2 is a plan view of one liquid crystal driver of a general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3a, 3b는 상기 도 2의 절단선 III-III에 따라 자른 단면을 전계특성에 따라 각각 나타낸 도면.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cut along the cutting line III-III of FIG. 2 according to electric field characteristics.
도 4a 내지 4c는 기존의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돌기부의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각각 나타낸 도면. Figures 4a to 4c is a step showing each step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jection for the conventional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한 액정 구동부에 대한 평면도. 5 is a plan view of one liquid crystal driver of the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전사법을 이용한 돌기부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
Figure 6a, 6b is a step showing a projection manufacturing process using a film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10 : 돌기부 Va : 상부 영역110: protrusion Va: upper region
Vb : 하부 영역 V : 액정 구동부Vb: lower region V: liquid crystal driver
①, ②, ③, ④ : 제 1, 2, 3, 4 도메인
①, ②, ③, ④: 1st, 2nd, 3rd, 4th domain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도메인 수직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한 기술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첨단 표시장치 소자로 가장 각광받고 있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most popular as a next generation advanced display device device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good portability, technology-intensive and high added value.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유전적 이방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액정은 구조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분자의 배열에 방향성을 갖고 있으며, 인위적으로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분자배열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riving principl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the optical and dielectric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The liquid crystal has a long and thin structure, and thus has a directivity in the arrangement of molecules. The liquid crystal can be artificially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molecular arrangement. have.
따라서, 상기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면, 액정의 분자배열이 변하게 되고, 광학적 이방성에 의하여 상기 액정이 분자 배열 방향으로 빛이 굴절하여 화상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if the molecular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is arbitrarily adjusted, the molecular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is changed, and light is refracted in the molecular arrangement direction by optical anisotropy to express image information.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일부영역에 대한 입체도이다. 1 is a stereoscopic view of a part of a gener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 및 하부 기판(10, 30)이 대향하고 있고, 이 상부 및 하부 기판(10, 30) 사이에는 액정층(50)이 개재되어 있 다. As shown, the upper and
상기 하부 기판(30) 상부에는 다수 개의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32, 34)이 서로 교차되어 있고, 이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32, 34)이 교차되는 지점에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32, 34)이 교차되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화소 영역(P)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된 화소 전극(46)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gates and
그리고, 상부 기판(10) 하부에는 컬러필터층(12), 공통 전극(16)이 차례대로 형성되어 있다. The
도면으로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컬러필터층(12)은 특정한 파장대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컬러필터와, 컬러필터의 경계부에 위치하여 액정의 배열이 제어되지 않는 영역상의 빛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로 구성된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 the
그리고, 상부 및 하부 기판(10, 30)의 각 외부면에는 편광축과 평행한 빛만을 투과시키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52, 54)이 위치하고, 하부 편광판(54) 하부에는 별도의 광원인 백라이트(back light)가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upper and
본 발명에서는 액정의 유전적 이방성을 이용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서의 액정 배향특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dielectric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Hereinafter,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일반적으로, 유전적 이방성을 이용한 액정모드는 전압 제어 복굴절(ECB:electricallycontrollable birefringence), 비틀린 네마틱(TN:twist nematic), 게스트-호스트(GH:guest-host) 등이 있는데, 이 중 ECB 모드에서는 전계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유전적 이방성이 음(△ε<0)인 네가형 액정이 이용된다. In general, liquid crystal modes using dielectric anisotropy include voltage controlled birefringence (ECB), twisted nematic (TN), and guest-host (GH). A negative liquid crystal is used in which the dielectric anisotropy arrang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field is negative (Δε <0).
상기 ECB 모드 중에서도 수직 배향(VA : Vertical Alignment) 모드는 계조전압에 대한 반응시간의 변화의 폭이 작아, 응답특성이 TN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Among the ECB modes, the vertical alignment (VA) mode has a small change in the response time with respect to the gray scale voltage, and thus has a good response characteristic compared to the T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일반적인 VA 모드 액정표시장치는, 내부면에 수직 배향막이 도포된 두 기판 사이에 개재된 네가형 액정으로 구성되고, 별도로 기판 하부면에 위상차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배향막으로는 시란(silane), 크롬(chrome)착제 등을 기판 상에 피착하고, 액정 분자를 수직배향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들의 경우에는 기판 상에 알킬(alkyle)기가 수직으로 늘어서고, 이 알킬기와 액정 분자의 말단기의 상호작용으로 액정 분자를 수직으로 배향시키게 된다. A general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 negative liquid crystal interposed between two substrates having a vertical alignment layer coat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and a retardation plate may be separately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s the vertical alignment layer, a method of depositing silane, chromium complex, or the like on a substrate and vertically aligning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is generally used. In these cases, alkyle groups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substrate, an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oriented vertically by the interaction of the alkyl groups and the end groups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최근에는, 시야각 특성이 향상된 VA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멀티 도메인 방식 VA 모드(이하, MVA로 약칭함)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노광, 현상, 식각 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공정인 사진 식각 공정에 의해 수직 배향막을 여러방향으로 러빙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사진 식각 공정 중 수직 배향막에 결함이 발생되는 등 제품 수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Recently, research /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for a multi-domain VA mode (hereinafter, abbreviated as MVA) for providing a 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a method of rubbing the vertical alignment layer in various directions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which is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exposure, development, and etching processes, has been proposed, but defects occur in the vertical alignment layer during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Etc., there is a disadvantage in falling product yield.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부 및 하부 화소 영역 상에 전계 왜곡 현상을 일으켜 액정의 배향 방향을 서로 다르게 유도하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 돌기부를 포함하는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n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a protrusion made of a dielectric material which causes an electric field distortion phenomenon on the upper and lower pixel areas to induce different alignment directions of liquid crystals has been proposed.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돌기부를 가지는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전압 오프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가 수직 배향막의 영향으로 기판에 수직하게 배향되고, 문턱값 이상의 전압이 걸리면 돌기 부근에서 생성되는 전경선에 의해 수직배향된 액정이 돌기부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향 분할되어 멀티 도메인 구조를 구성하게 된다. In more detail, in the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protrusions,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oriented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under the influence of the vertical alignment layer in the voltage-off state, and when the voltage above the threshold is applied,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vertically aligned by the foreground lines generated near the protrusions. The liquid crystals are align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s to form a multi-domain structure.
도 2는 일반적인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하나의 액정 구동부에 대한 평면도로써, 액정을 포함하는 합착된 기판에서의 돌기부 패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하 한 화소 전극과 대향된 공통 전극간 액정 구동영역을 액정 구동부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FIG. 2 is a plan view of one liquid crystal driving unit of a general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and is a plan view showing a protrusion pattern structure in a bonded substrate including liquid crystal, and hereinafter, a liquid crystal driving region between common electrodes facing one pixel electrode; It demonstrates by defining with a liquid crystal driver.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구동부(II)는 상부 및 하부 영역(IIa, IIb)으로 구성되고, 이 상부 및 하부 영역(IIa, IIb)의 경계부에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빗살무늬 구조를 이루는 다수 개의 돌기부(60)가 형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the liquid crystal driver II includes upper and lower regions IIa and IIb,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ing a comb-toothed structure in a symmetrical direction at the boundary of the upper and lower regions IIa and IIb. 60 is formed.
이때, 영역별로 서로 이웃하는 돌기부(60)는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된 돌기부(60)에 해당되고, 각 영역(IIa, IIb)을 대각선 방향으로 양분하는 위치의 돌기부(60)는 양쪽 영역을 두 개의 도메인으로 분할함에 따라, 액정 구동부(II)는 4개의 도메인(①, ②, ③, ④)으로 구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이어서, 상기 돌기부에서의 전계 왜곡 현상에 의한 도메인 분할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domain division characteristic by the electric field distortion phenomenon in the said projection part is demonstrated.
도 3a, 3b는 상기 도 2의 절단선 III-III에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돌기부의 유전율이 액정의 유전율보다 작은 경우 액정의 배향 특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돌기부의 유전율이 액정의 유전율보다 큰 경우 액정 의 배향 특성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I-III of FIG. 2, and FIG. 3A illustrates the alignment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when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iquid crystal, and FIG. 3B is a protrusion. When the dielectric constant of is larger than that of the liquid crystal, the orientation characteristic of the liquid crystal is shown.
도 3a에서는, 액정층(90)이 개재된 상부 및 하부 기판(70, 80)이 서로 대향되어 있는 구조에서, 상부 및 하부 기판(70, 80)의 각각의 내부면에는 서로 비대응 되는 영역에 돌기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기판(70)에는 중앙부에 돌기부(60)가 위치하고, 하부 기판(80)에는 좌, 우측에 각각 돌기부(60)가 위치하고 있다. In FIG. 3A,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이때, 한 예로 돌기부(60)를 이루는 재질이 액정 분자(92)보다 유전율이 작은 물질에서 선택될 경우, 화살표로 나타낸 전계(94)가 상부 기판(70)의 돌기부(60) 바깥쪽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전계(94)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액정 분자(92)가 배열되어, 액정 배열이 서로 다른 제 1, 2 도메인(도 2의 ①, ②)으로 나뉘게 된다. At this time, as an example, whe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도 3b에서는, 또 다른 예로 돌기부(60)를 이루는 재질이 액정 분자(92)보다 유전율이 높은 물질에서 선택할 수록, 화살표로 나타낸 전계(96)가 상부 기판(70)의 돌기부(60)를 향하는 쪽으로 형성되며, 이 전계(96)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액정 분자(92)가 배열된다. In FIG. 3B, as the material of the
또한, 이러한 전계 왜곡 정도는 돌기부(60)와 액정 분자(92) 간의 유전율 차가 심할수록 강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돌기부(60)를 이루는 재질을 액정 분자(92)와 유전율차가 큰 물질에서 선택할 수록 안정적인 멀티도메인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electric field distortion becomes stronger as the dielectric constant difference between the
이하, 도 4a 내지 4c는 기존의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돌기부의 제조 공정 을 단계별로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4A to 4C are diagrams each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rojection for a conventional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step by step.
도 4a는 기판(72) 상에 유전체 물질층(74)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4A is a step of coating a
이 단계에서 기판(72)에는 돌기부 패턴부(IV)가 정의된다. In this step, the protrusion pattern portion IV is defined in the
상기 유전체 물질층(74)은 빛에 의해 감광되는 부분이 패턴화되는 네가티브(negative)타입 감광성 유전체 물질에서 선택된다. The
도 4b는 유전체 물질층(74)이 코팅된 기판(72) 상에, 돌기부 패턴부(IV)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오픈 영역(76)을 가지는 마스크(78)을 배치한 후, 노광처리를 하는 단계이다. FIG. 4B shows a
도 4c에서는, 상기 도 4b 단계를 거친 유전체 물질층(도 4b의 74)을 현상, 식각하는 단계를 거쳐, 돌기부 패턴부(IV)와 대응되는 영역 상에 돌기부(6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In FIG. 4C, the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돌기부 형성 후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기판 전면에 수직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fter forming the protrusions, a step of forming a vertical alignment layer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protrusions are formed is performed.
이와 같이, 기존에는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돌기부를 물리적, 화학적 공정이 여러번 반복되는 사진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함에 따라, 돌기부 재료 소모량이 크고 공정비용이 많이 들고, 공정시간이 길어지며 식각공정 후 폐액처리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ojection portion for the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is formed by a photolithography process in which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es are repeated many times, the consumption of the projection material is large, the process cost is high, the process time is long, and the waste liquid after the etching process is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cessing cost was ad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MVA 액정표시장치용 돌기 부를 형성하는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켜 생산수율이 향상된 MVA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MV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production yield 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to form a projection for the MV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필름 전사법을 이용하여 돌기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projection by using a film transfer method.
필름 전사법이란, 레이저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가열된 필름층을 기판으로 전이시켜 제작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사진식각 공정에 비해 공정을 간단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lm transfer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film layer heated instantly using a laser is transferred to a substrate to be produced, and a process can be simplifi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process.
이러한 필름 전사법은 컬러필터 제조 공정에서는 이용되고 있지만,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돌기부 제조 공정에 이용된 것은 어느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Although such a film transfer method is used in the color filter manufacturing process, it cannot be found in any literature 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ojection part for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는 서로 대향되며, 내부면에 제 1, 2 전극이 각각 형성된 제 1, 2 기판과, 상기 제 1, 2 기판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계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열되는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과 제 1, 2 전극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및 하부 수직 배향막을 포함하는 수직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전극이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필름 전사법에 의해 이루어진 다수 개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멀티도메인 수직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ormed therein are respective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In the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quid crystal layer arranged perpendicular to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upper and lower vertical alignment layers respectively position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ositioned in regions corresponding to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lm transfer method.
상기 돌기부를 이루는 재질은 감광성 아크릴, BCB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돌기부는 빗살무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terial forming the protrusions may be any one of photosensitive acrylic and BCB, and the protrusions may have a comb pattern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서는, 기판을 구비하는 단계와; 레이저 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전사장비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돌기부 패턴을 가지는 유전체 물질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유전체 물질 필름이 부착된 기판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돌기부 패턴을 기판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도메인 수직배향 모드 액정표시장치용 돌기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substrate; Providing a film transfer device including a laser device; Attaching a dielectric material film having a protrusion pattern on the substr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trusion for a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irradiating a laser onto a substrate on which the dielectric material film is attached and transferring the protrusion pattern onto a substrate.
상기 유전체 물질 필름은 감광성 아크릴, BCB 중 어느 한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electric material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photosensitive acrylic, BCB.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liquid crystal display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의 한 액정 구동부에 대한 평면도로서, 액정이 개재된 합착 기판에서의 돌기부 패턴 구조를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FIG. 5 is a plan view of one liquid crystal driving unit of the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llustrated mainly with the projection pattern structure of the bonded substrate including the liquid crystal.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영역(Va, Vb)로 구성되는 액정 구동부(V)에 있어서, 두 영역(Va, Vb)간 경계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빗살무늬 구조를 이루는 다수 개의 돌기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liquid crystal drive unit V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regions Va and Vb, a comb-toothed structur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regions Va and Vb. A plurality of
이때, 영역별로 서로 이웃하는 돌기부(110)는 서로 다른 기판 상에 위치한다. 상부 및 하부 영역(Va, Vb)내에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중심부에 위치하는 돌기부(110)는 이 돌기부(110)에 의해 양분된 양쪽 영역은 액정의 배향 방향이 서로 다른 도메인으로 분할되어 4 도메인(①, ②, ③, ④)으로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부(110)를 필름 전사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며, 돌기부(110)를 이루는 재질은 유전체 물질에서 선택되며, 특히 멀티도메인 구조를 안정화하기 위해 액정 분자와 유전율차가 큰 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계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네가형 액정모드를 더욱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기부(110)의 패턴 구조를 상기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멀티도메인 갯수도 한정하지 않는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negative liquid crystal mod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electric field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tern structure of the
이하,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전사법을 이용한 돌기부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step-by-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the projection part using the film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서는, 기판(120)과, 자외선 램프와 같은 레이저 장치를 포함하는 필름 전사장비를 구비한 후, 상기 기판(120) 상에 유전체 물질 필름(122)을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유전체 물질 필름(122)에는 돌기부 패턴부(VI)가 정의되어 있다. In FIG. 6A, after the film transfer device including the
상기 유전체 물질 필름(122)을 구성하는 물질은 액정 분자와 유전율 차가 큰 물질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감광성 아크릴(photo acryl), BCB(benzocyclobutene)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도 6b에서는, 상기 유전체 물질 필름(122)이 부착된 기판(120) 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레이저 에너지에 의해 유전체 물질 필름(122)의 돌기부 패턴부(IV)가 기판(120) 상에 전사된 후, 나머지 유전체 물질 필름(122)부를 기판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떼어내는 것으로 돌기부(1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In FIG. 6B, a laser is irradiated onto the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전체 물질 필름(122)은 유전체 물질 층, LTHC층(Light to Hit Conversion Layer), 베이스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 LTHC층은 레이저 에너지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판(120)과 유전체 물질 필름(122)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층(adhesion layer)이 더욱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접착층은 유전체 물질 필름(122)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유전체 물질 필름(122)과 기판(120) 부착 전에, 기판(1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6b에 의해 유전체 물질 필름(122)의 기판(120) 상에 전사되는 것은 전술한 LTHC층에 의한 발열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그리고, 상기 돌기부(110) 형성단계 다음에는, 돌기부(110)가 형성된 기판 상에 수직 배향막을 도포하는 단계가 이어진다. In addition, the forming of the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전사법에 의해 돌기부를 형성하면, 돌기부 제조에 소요되는 공정 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생산 수율이 향상된 MVA 모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protrusions are formed by the film transf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rocess time and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protrusions, thereby providing an MVA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production yiel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9111A KR100827964B1 (en) | 2001-11-07 | 2001-11-07 |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69111A KR100827964B1 (en) | 2001-11-07 | 2001-11-07 |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8913A KR20030038913A (en) | 2003-05-17 |
KR100827964B1 true KR100827964B1 (en) | 2008-05-08 |
Family
ID=2956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691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7964B1 (en) | 2001-11-07 | 2001-11-07 |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796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0584A (en) * | 1997-01-22 | 1998-10-26 | 가따오까마사따까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19990006951A (en) * | 1997-06-12 | 1999-01-25 | 세끼자와다다시 | Liquid crystal display |
-
2001
- 2001-11-07 KR KR1020010069111A patent/KR10082796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0584A (en) * | 1997-01-22 | 1998-10-26 | 가따오까마사따까 | Manufacturing method of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19990006951A (en) * | 1997-06-12 | 1999-01-25 | 세끼자와다다시 | Liquid crystal displ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38913A (en) | 2003-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7962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475467B1 (en) |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6961107B2 (en) | Transflective display device with different pretilt angles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reof | |
US7436472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with color filters having overcoat layer thereover formed on substrate except for fourth color filter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 |
US6184959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lignment film that provides alignment upon irradi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
EP2317372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0798315B1 (en) | Substrate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060099885A (en) |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050043220A (en) | Fabrication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color filter substrate formed by back exposure and structure of the same | |
KR101380784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818914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mmon electrode being formed on color filter patterns | |
KR100421902B1 (en) |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 |
US7532299B2 (en) | Method of fabric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lumn spacers and overcoat layer formed by double exposure | |
US6930747B2 (en) |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061703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4028633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JPH112717A (en) | Color filter | |
KR100827964B1 (en) | Multi-domain vertical alignment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3896191B2 (en) | Color filter and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JPH06265870A (en) | Formation of color fil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plate | |
JP4104374B2 (en) |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0959129B1 (en) | Multi-domain Vertical Orientation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H0829790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070097885A (en) | Photo mas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112558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