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7609B1 -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 Google Patents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609B1
KR100827609B1 KR1020070019438A KR20070019438A KR100827609B1 KR 100827609 B1 KR100827609 B1 KR 100827609B1 KR 1020070019438 A KR1020070019438 A KR 1020070019438A KR 20070019438 A KR20070019438 A KR 20070019438A KR 100827609 B1 KR100827609 B1 KR 100827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late
aluminum plate
aluminum
weak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오식
고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씨
Priority to KR102007001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16Polishing
    • C25F3/18Polishing of light metals
    • C25F3/20Polishing of light metals of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판을 연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실 내부에 담겨진 약산 용액의 내부로 침전시킨 상태로 알루미늄판을 이동시키며, 그 상부로 비치된 카본판에 전기를 통전하여 전기를 고루 공급시키고 그에 따라 하단의 알루미늄판에서는 그 전체적인 표면에서의 전기분해 효과에 따라 미세한 요철의 형태로 표면 가공되어 인쇄기롤에 부착될 인쇄판으로서 잉크가 고루 잘 먹을 수 있도록 한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사용하던 분사식 전기분해 방식을 타파하고 침전식 전기분해 방식을 창안한 발상의 전환으로 높은 질의 알루미늄 인쇄판을 제작할 수 있기에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마방법을 통해 제작된 알루미늄 인쇄판의 경우 그 표면 처리가 전체적으로 고르고, 미세한 요철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기에 잉크가 잘 묻고 인쇄시 인쇄의 질이 향상된 유용한 발명이다.
약산의 용액, 수실, 알루미늄판, 지지판, 카본판

Description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The slectrolytic method to polish aluminum plate of deposition}
도 1은 종래의 인쇄용 알루미늄판의 표면을 가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분사식 알루미늄판 가공방식에서 카본판에 물을 분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침전식 알루미늄판을 연마하는 방법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약산의 용액 10; 수실
11; 간격 20; 지지판
30; 카본판 40; 안내롤
50; 알루미늄판 80; 정화탱크
81; 관 82; 필퍼
83; 드레인관 85; 연결관
90; 냉각장치
본 발명은 알루미늄판을 연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실 내부에 담겨진 약산 용액의 내부로 침전시킨 상태로 알루미늄판을 이동시키며, 그 상부로 비치된 카본판에 전기를 통전하여 전기를 고루 공급시키고 그에 따라 하단의 알루미늄판에서는 그 전체적인 표면에서의 전기분해 효과에 따라 미세한 요철의 형태로 표면 가공되어 인쇄기롤에 부착될 인쇄판으로서 잉크가 고루 잘 먹을 수 있도록 한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기에 비치되는 인쇄롤의 경우 그 외주면에 인쇄를 요하는 도안이나 문자가 새겨진 알루미늄판을 감아 그 알루미늄판에 잉크를 묻히고 회전시켜 인쇄를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알류미늄판의 경우 그 표면이 매끄러워야 그 표면에 도안을 도식할 때 용이하며 인쇄 오차의 범위가 작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알루미늄판의 제작시 그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부여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알루미늄판은 또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사실 요즘의 인쇄기의 경우 컬러 인쇄가 그 주종을 이루게 되기에 상기 인쇄롤의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묻히게 될 잉크의 색감은 다수이고 다양하다. 그런데 너무 매끄 러운 알루미늄 인쇄판의 경우 잉크 도포 균일성이 떨어져 전사가 용이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높으며,이러한 색감이 서로 엉키게 되는 결과를 가져와 불량이 발생될 소지가 높으며, 그 인쇄의 질이 떨어질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식이 알루미늄 인쇄판의 표면을 아주 미세한 요철의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다. 즉, 이렇게 표면을 가공하게 되면 잉크를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인쇄시 번지는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럼 바로 이렇게 알루미늄 인쇄판의 표면에 요철형의 굴곡을 형성시키는 종래의 방식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종래의 연마방법의 경우 도시된 도 1과 2에서처럼,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알루미늄판(50)을 안내롤(40)을 통해 이송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이송되는 알루미늄판(50)이 수실(10)의 상단에 위치할 즈음에, 도면에서처럼 상기 알루미늄판(50)은 지지판(20)과 카본판(30)의 사이로 지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카본판(30)은 전기가 통전되는 상태이며 상기 카본판(30)의 상부로는 약산의 용액(1)이 뿌려지게 된다. 즉, 이 약산 용액(1)의 분사되며 상기 카본판(30)에 전류가 통전되기 때문에 상기 카본판(30)과 알루미늄판(50)은 전기가 통전되고, 그 전기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판(50)은 전기분해가 되어 그 표면이 가공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알루미늄판(50)의 표면은 그 분자가 전기분해되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인데, 이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판(50)의 표면은 아주 미세한 요철의 형태로 표면 가공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카본판(30)에 약산의 용액이 분사되는 형태이기에 상기 카본판(3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용액(1)이 분사되기 힘들다. 따라서 노즐이 향하는 부분에는 많이 분사되고 노즐의 외부에는 작은 양이 분사되는 것이다. 만일 노즐이 카본판(30)의 중심부를 향하고 있다면, 그 카본판(30)의 중심부는 많은 양의 용액이 분사되며, 그 외부로는 소량의 용액이 분사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전류의 공급에 불평등한 조건을 제공하게 되고 가공되는 알루미늄판(50)의 경우에도 불규칙한 요철의 형상을 띄게 할 소지가 다분히 존재한다. 물론 이러한 결과는 알루미늄 인쇄판의 질적인 문제점을 가져와 인쇄에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많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판을 연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실 내부에 담겨진 약산 용액의 내부로 침전시킨 상태로 알루미늄판을 이동시키며, 그 상부로 비치된 카본판에 전기를 통전하여 전기를 고루 공급시키고 그에 따라 하단의 알루미늄판에서는 그 전체적인 표면에서의 전기분해 효과에 따라 미세한 요철의 형태로 표면 가공되어 인쇄기롤에 부착될 인쇄판으로서 잉크가 고루 잘 먹을 수 있도록 한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루미늄판을 연마하는 방법에 있어서, 약산의 용액이 담겨진 수실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다수의 지지판과 카본판을 침수시켜 배치하고, 그 간격 사이로 다수의 안내롤을 통해 인도되는 알루미늄판을 통과시키며, 카본판에 전기를 통전하여 간격 내의 알루미늄판을 전기분해하여 그 표면을 미세한 요철 형태로 가공하는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판을 연마하는 방법이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알루미늄판의 표면 가공시 수실의 내부 즉, 약산의 용액에 알루미늄판을 완전히 침수시킨 상태에서 카본판에 전류를 통전하는 방식으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시킨다는 점과, 그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며 인쇄를 위하여 잉크가 고루 묻을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기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약산의 용액(1)이 담겨진 수실(10)에 일정한 간격(11)을 가진 다수의 지지판(20)과 카본판(30)을 침수시켜 배치하고, 그 간격(11) 사이로 다수의 안내롤(40)을 통해 인도되는 알루미늄판(50)을 통과시키며, 카본판(30)에 전기를 통전하여 간격(11) 내의 알루미늄판(50)을 전기분해하여 그 표면을 미세한 요철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다. 즉, 도시된 것처럼 거의 종래의 가공장치와 별반 차이가 없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약산 용액(1)의 분사식이 아니라 침전식이다. 수실의 내부에 지지판(20)과 카본판(30)을 침수시키고, 그 지지판(20)과 카본판(30)의 사이 간격으로 안내롤(40)의 안내를 통해 이동하는 알루미늄판(50)을 통과시키면서, 상기 카본판(3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전기분해 시킨 다는 것이다.
이렇게 알루미늄판(50)이 완전히 침수된 상태에서 카본판(30)에 전류를 공급하기에 약산의 용액(1)은 통전의 매체가 되어 하단의 알루미늄판(50)에도 고른 전기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알루미늄판(50) 표면이 전체적으로 전기분해되어 미세한 표면 처리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표면은 아주 미세한 요철의 형태처럼 굴곡이 형성된다. 그 굴곡은 사람의 시각으로는 감지하기 힘들 정도로 미세하며 알루미늄판(50)의 전체적인 표면에 고루 분포되는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이 알루미늄판(50)으로 제작한 인쇄판은 잉크를 흡수하기 용이하고, 일단 흡수된 잉크가 서로 섞이고 화합하는 현상이 방지되며, 결국 인쇄 작업시 인쇄의 질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본 발명의 연마방법에서 상기 카본판(30)에는, 10-15V의 전력과 200-300A의 전류가 통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카본판(30)에 전류를 통전하여 이 전류를 이용하여 전기분해시키는 방식인데, 그 전류는 10-15V의 전력과 200-300A의 전류를 통전하는 것이다. 이 수치 한정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얻은 결과물을 비교 검토하여 산출된 것이다. 즉, 상기 한정된 수치범위에서의 인쇄판 생산이 그 제품의 생산성, 비용적인 측면 및 제품의 질을 모두 전면적으로 검토하여 최적의 수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실(10)에 존재하는 약산 용액(1)도 그 적당한 온도를 유지함이 표면 연마과정에서 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아내었다. 즉, 상기 수실(10)의 약산 용액(1)의 온도는, 30-50℃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침수된 지지판(20)과 카본판(30) 사이로 이동하는 알루미늄판(50)의 깊이는, 수면으로부터 3-10cm의 침수 깊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유는 상기 수실(10)의 크기와 작업자의 작업환경의 용이함을 위해서도 이 깊이가 요긴하다. 만일 발생된 사고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판(50)을 가공중에 회수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나, 지지판(20)과 카본판(30) 설치의 용이성 및 작업이 완성된 상태에서의 제품의 질면에서 상기의 침수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했기 때문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상기 수실(10)은, 수실(10)과 관(81)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필터(82)를 가진 정화탱크(80)를 비치하여 수실(10)의 가온된 약산 용액(1)을 필터링하고, 다시 타측의 드레인관(83)으로 배출되는 약산 용액(1)은 냉각장치(90)를 통해 냉각시킨 상태에서, 그 연결관(85)을 통해 수실(10)로 연결시켜 공급하는 순환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수실의 내부에 존재하는 약산 용액(1)의 경우 전기가 통전되어 전기분해 작용을 하기에 경우에 따라서는 온도가 상승될 소지가 많다. 그리고 잦은 사용으로 인하여 그 물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이 변질될 소지가 다분히 있기에 일정기간 사용하고 나면 교체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를 완전히 교체하는 방식은 너무나 많은 비용과 시간의 투자를 발생시키기에 재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실(10)과 인접된 곳에 별도의 정화탱크(80)를 설치하여 수시로 상기 수실(10) 내의 약산 용액(1)을 배출시켜 정화를 한다. 즉, 상기 정화탱크(80)와 상기 수실(10)은 별도의 관(81)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상기 수실(10) 내의 용액(1)을 관(81)을 통해 정화탱크(8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이 정화탱크(80)의 내부에 비치된 필터(82)를 통해 불순물을 걸러주는 필터링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필터링된 약산 용액(1)은 상기 정화탱크(80)의 타측에 결합된 드레인관(83)을 통해 배출시켜 측면의 냉각장치(90)로 이송시킨다. 사실 상기 약산 용액(1)은 수실(10) 내에서 약 30-50℃의 온도를 유지함이 그 전기분해 작용을 하기에 가장 적당하다. 그러나 전기분해의 과정을 거치며 온도가 상승되었을 소지가 높기에 이를 정화탱크(80)에서 필터링하고 온도를 떨어트려야만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냉각장치(90)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냉각되어 약 30-50℃의 온도로 상태변환된 용액은 수실과 연통된 별도의 연결관(85)을 통해 수실(1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만일 상기 약산 용액(1)이 너무 많은 온도로 떨어진 경우를 대비하여 온도를 다시 올리는 히터를 보조적으로 비치하여도 무방하다. 아무튼 이러한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는 본 발명의 수실(10)은 항상 깨끗하고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는 약산 용액(1)을 공급받고 있기에 최상의 인쇄판을 생산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발명은, 종래 사용하던 분사식 전기분해 방식을 타파하고 침전식 전기분해 방식을 창안한 발상의 전환으로 높은 질의 알루미늄 인쇄판을 제작할 수 있기에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마방법을 통해 제작된 알루미늄 인쇄판의 경우 그 표면 처리가 전체적으로 고르고, 미세한 요철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기에 잉크가 잘 묻고 인쇄시 인쇄의 질이 향상된 유용한 발명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연마방법을 통하면, 작업장이 많은 양의 약산 용액이 튈 소지가 적어 작업환경이 좋고 작업자에게 유해한 환경의 제공을 미연에 방지하기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알루미늄판을 연마하는 방법에 있어서,
    약산의 용액(1)이 담겨진 수실(10)에 일정한 간격(11)을 가진 다수의 지지판(20)과 카본판(30)을 침수시켜 배치하고, 상기 수실(10)의 약산 용액(1)의 온도는 30-50℃의 온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다수의 지지판(20)과 카본판(30)의 간격(11) 사이로 다수의 안내롤(40)을 통해 인도되는 알루미늄판(50)을 수면으로부터 3-10cm의 침수 깊이로 통과시키며, 카본판(30)에는 10-15V의 전력과 200-300A의 전류를 통전하여 간격(11) 내의 알루미늄판(50)을 전기분해하여 그 표면을 미세한 요철 형태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실(10)은,
    수실(10)과 관(81)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필터(82)를 가진 정화탱크(80)를 비치하여 수실(10)의 가온된 약산 용액(1)을 필터링하고, 다시 타측의 드레인관(83)으로 배출되는 약산 용액(1)은 냉각장치(90)를 통해 냉각시킨 상태에서, 그 연결관(85)을 통해 수실(10)로 연결시켜 공급하는 순환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KR1020070019438A 2007-02-27 2007-02-27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KR100827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38A KR100827609B1 (ko) 2007-02-27 2007-02-27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438A KR100827609B1 (ko) 2007-02-27 2007-02-27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609B1 true KR100827609B1 (ko) 2008-05-07

Family

ID=3964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438A KR100827609B1 (ko) 2007-02-27 2007-02-27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6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792A (ja) * 1995-06-27 1997-01-17 Eastman Kodak Co セルローストリアセテート写真フィルムベースの製造方法
JP2000019363A (ja) * 1998-06-18 2000-01-21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多チャンネル光素子モジュールの光整列補正方法
JP2001110142A (ja) * 1999-10-04 2001-04-20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装置
JP2004047264A (ja) * 2002-07-11 2004-02-12 Sharp Corp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46839A (ja) * 2003-07-14 2005-02-24 Hitachi Metals Ltd 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46837A (ja) * 2003-07-01 2005-02-24 Basf Ag 気/液反応または気/液/固反応用の反応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792A (ja) * 1995-06-27 1997-01-17 Eastman Kodak Co セルローストリアセテート写真フィルムベースの製造方法
JP2000019363A (ja) * 1998-06-18 2000-01-21 Korea Electronics Telecommun 多チャンネル光素子モジュールの光整列補正方法
JP2001110142A (ja) * 1999-10-04 2001-04-20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装置
JP2004047264A (ja) * 2002-07-11 2004-02-12 Sharp Corp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46837A (ja) * 2003-07-01 2005-02-24 Basf Ag 気/液反応または気/液/固反応用の反応器
JP2005046839A (ja) * 2003-07-14 2005-02-24 Hitachi Metals Ltd セラミックハニカム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공개 1988-7802
국내공개 1997-15792
국내공개 2000-19363
국내공개 2001-110142
국내공개 2004-47264
국내공개 2005-46837
국내공개 2005-4683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24985B (zh) 一种皮革加工用喷淋装置
CN207495222U (zh) 一种经过拉拔软化退火后线材的处理设备
KR100827609B1 (ko) 인쇄용 침전식 알루미늄판 연마방법
CN204738129U (zh) 新型印染水洗机
KR101620420B1 (ko) 롤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ITRM970253A1 (it)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un materiale semiconduttore
JPH03134200A (ja) 電解法による金属表面の粗面化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03852930U (zh) 一种过滤塔
CN204543680U (zh) 一种具有砂粒均匀分布功能的挡砂器及连续流砂过滤装置
KR101687265B1 (ko) 금속박 제조 장치
CN103774186A (zh) 一种电解锌电解后续工段阴极板针喷逆流清洗装置
CN103331249A (zh) 钢板印花彩涂方法
KR100311452B1 (ko) 스테인레스강판 가공방법 및 스테인레스강판용 전해연마기
CN217250999U (zh) 一种金属带清洗池的喷淋装置
CN108385051B (zh) 一种带钢锌液液压悬浮热镀锌系统
KR101203652B1 (ko) 브러쉬 롤의 세정건조장치
CN210304740U (zh) 一种新型带钢清洁装置
CN106835225B (zh) 一种邦迪管用钢带连续镀铜工艺
CN205128619U (zh) 用于改善光整机辊面磨损的清洗系统
CN211864082U (zh) 一种滤池过滤网板的反冲洗装置
CN2330667Y (zh) 穿孔钢带之电镀设备
CN207254649U (zh) 一种表面处理机
CN208869677U (zh) 高硬度高寿命镀铬模具
CN208308484U (zh) 一种转鼓式不锈钢膜过滤装置
CN105327952A (zh) 用于改善光整机辊面磨损的清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