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7375B1 - 전동연필깎이 - Google Patents

전동연필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375B1
KR100827375B1 KR1020070009317A KR20070009317A KR100827375B1 KR 100827375 B1 KR100827375 B1 KR 100827375B1 KR 1020070009317 A KR1020070009317 A KR 1020070009317A KR 20070009317 A KR20070009317 A KR 20070009317A KR 100827375 B1 KR100827375 B1 KR 10082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shim
cutting
plate
brok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834A (ko
Inventor
도키노리 타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케이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케이티에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케이티에프
Publication of KR2007010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37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rotating cutting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2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gearing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이면서,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절삭날을 연필로부터 떼어내는 구조의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의 기능 모두를 가지는 전동연필깎이를 제공한다. 또한,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가지는 전동연필깎이도 제공할 수 있다.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에 있어서,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가 절삭날(커터날)과, 커터 샤프트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절삭날을 연필로부터 떼어내는 구조이며, 심끝조절기구가 심끝조절다이얼과, 회전운동하는 심끝조절나사와, 기어 샤프트와, 연결봉과, 플레이트와,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버튼과, 기어 샤프트와, 연결봉과, 플레이트와,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연필깎이, 연필심

Description

전동연필깎이{An electric pencil sharpener}
도 1a는 전동연필깎이의 본체커버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전동연필깎이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동연필깎이를 측면에서 분해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심끝조절기구에 의해 두껍게 조절한 경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는 각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각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는 각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d는 각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e는 각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전동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전동연필깎이의 스위치 박스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은 전동연필깎이 스위치 박스의 스위치 레버 테이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전동연필깎이의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8b는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전동연필깎이 12:연필
20:본체커버 30:구동기구
32:구동부 34:전력공급원
40:전달기구 50:절삭기구
51:커터 홀더 52:절삭날
54:커터 샤프트 60:심끝조절기구
61:심끝조절다이얼 62:심끝조절나사
63:기어 샤프트 64:연결봉
65:플레이트 66:스톱퍼
67:맞닿음 조각 70: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
80:부러진 심 제거기구 81:버튼
90:심끝조절 손잡이 92:앞끝
94:나사결합부재 96:탄성체
100:걸어맞춤부재 110:샤프트
120:플레이트 130:스톱퍼
150:스위치 박스 160: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
162:삽입부 스위치 164:천공부
166:스위치 레버 볼록부 170:스위치 플레이트
172: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 180:스위치
182:단자 190:부스러기받이 검출부
200:스위치 레버 202:한 쪽 끝
204:다른 쪽 끝 206:스위치 레버 테이퍼
210:스위치 샤프트 220:연필직경 조정기구
230:슬라이드 플레이트 232:돌기
240:조정판 242:걸어맞춤 구멍
244:원호기어 250:연필직경 조정다이얼
252:기어
본 발명은 연필을 전동으로 절삭하는 연필깎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을 충실히 하여 심끝조절기능과 부러진 심 제거기능과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능을 모두 장비한 전동연필깎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장비한 전동연필깎이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및 사무용 전동연필깎이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종래의 수동연필깎이를 초월하고 있다. 특히, 기능이 충실한 전동연필깎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충전식 또는 전지식 기기도 있는데, 여러 가지 요구를 만족시킨 다기능 교류식 전동연필깎이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부가되는 기능으로는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서 절삭동작이 정지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구동력을 정지시키는 방법 과,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절삭날을 연필로부터 떼어내는 방법이 있다.
상기 이외에 부가되는 기능으로서는, 외부에 설치된 다이얼 등에 의해 연필심끝에 앞뒤로 이동가능하게 맞닿는 맞닿음 조각으로 연필심의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능이나, 회전절삭공정에서 심끝이 부러진 경우에 부러져서 남겨진 심을 한번에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에 필요한 기능을 들 수 있다.
수동연필깎이인 경우에도 심이 도중에 부러졌을 때 꺼내는 방법이 일정하지 않아 고생하는 일이 많았는데, 특히 전동인 경우에는 기기자체를 들어올리거나 넘어뜨리는 것이 기기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심이 부러져서 기기 안의 깊은 곳에 남겨진 상태가 되는 것은 치명적이며 조작을 불가능하게 할 우려가 있다. 심이 부러져서 내부에 남는 것은 연필깎이의 성능이 향상되어도 발생할 수 있는 일이어서, 전동연필깎이의 성능 향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고, 연필심의 경도, 연필 제조공정의 문제나 사용 도중의 연필인 경우에는 낙하 등의 충격을 받은 경위에 의해서도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또한,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구동력을 정지시키는 방법에 의한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심끝조정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를 구비한 전동연필깎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절삭이 완료된 시점에 구동력을 갑자기 정지시키기 때문에 연필의 절삭면이 거칠어지는 문제가 있다.
심 조정기능이 장비된 연필깎이로는 일본공개특허 2003-154791호가 있다. 또한, 심끝조절기능과 절삭날을 떼어내는 방법인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능을 모두 장비한 기기로는 일본공개특허 평6-210995호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심을 배출하 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전동연필깎이를 출원하여 특허를 받았다(일본특허 제3505144호).
그렇지만, 절삭날이 멀어져서 연필의 절삭동작을 정지시키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심끝조절기구와, 심을 배출하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를 모두 구비한 전동연필깎이는, 모든 기구를 내포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져 버리는 경향이 있어 존재하지 않는다.
각종 기능을 장비시키면 기기의 중량을 증가시켜 전체 크기가 커지는 동시에 비용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원래의 크기 중량이면서 고객을 만족시키는 각종 기능을 모두 장비한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의 기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각의 기능이 단독 구조로서 설치되었던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를, 모든 기능이 연동하고 하나의 구조로 되는 전동연필깎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가지는 전동연필깎이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연필깎이는,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에 있어서,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가, 연필에 비스듬하게 접촉하여 유성(遊星)회전하면서 끼워넣어진 연필을 앞끝부터 절삭하는 슬라이딩 운동가능한 절삭날(커터날)과, 그 중심축인 커터 샤프트와, 샤프트의 앞끝이 맞닿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이고, 심끝조절기구가, 본체커버의 바깥표면에 설치된 심의 길이를 선택하는 심끝조절다이얼과, 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심끝조절나사와, 심끝조절나사에 나사결합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어 샤프트와, 그 기어 샤프트의 앞끝에 연결되어 접한 연결봉과, 그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플레이드와, 그 플레이트에 기저부가 걸어맞추어지고 앞끝에 연필심끝에 맞닿는 맞닿음 조각이 설치된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본체커버의 바깥표면에 설치된 부러진 심 추출용 버튼과, 그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체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인 심끝조절나사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기 기어 샤프트와, 그 기어 샤프트의 앞끝에 연결되어 접한 상기 연결봉과, 그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된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기 플레이트와, 그 플레이트에 기저부가 걸어맞추어지고 앞끝에 연필심끝에 맞닿는 맞닿음 조각이 설치된 상기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 동연필깎이로서,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일체로 된 구성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누를 수 있는 구조인 심끝조절 손잡이와, 심끝조절 손잡이의 앞끝부에 눌리는 걸어맞춤부재와, 눌린 걸어맞춤부재를 더욱 누르는 샤프트와, 한 곳에 고정되어 지레처럼 동작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에 밀린 플레이트의 아래끝에 밀려 좌우로 이동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는, 심끝조절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심끝조절 내 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심끝조절기어를 회전시켜도 기어 샤프트 자체를 이동시켜 연결봉을 움직이기 때문에, 기어 샤프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봉이 움직이고,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의 요동끝을 누르게 되어 절삭날(커터날)의 샤프트가 연달아 이동하여, 절삭날(커터날)이 윗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절삭날(커터날)이 절삭하고 있던 연필의 절삭면으로부터 멀어져 불필요한 깎기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심끝조절기구는, 심끝조절나사의 중심에 나선조(spiral line)를 깎아 설치한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기어 샤프트를 중공(中空) 관통구멍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춘 구성이다.
또한, 상기 부러진 심 제거기구는, 부러진 심 추출용 버튼을 누르면 전원이 온(ON)되어 모터에 전류가 통하고, 커터 홀더가 회전하여 절삭날(커터날)이 연필삽입구측으로 잔류물을 밀어내도록 회전하기 때문에, 잔류물을 연필삽입구의 방향으로 튀겨 내어서 꺼내는 구조이다.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 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로서, 연필을 삽입하여 감지하게 하는 스위치 박스가, 연필이 삽입됨으로써 수평 가로방향으로 눌리고 대략 L자형이며 구멍이 뚫린 천공부 및 스위치 레버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레버 볼록부에 눌리며 스위치 단자를 누르고 볼록부가 형성되는 스위치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에 의해 단자가 눌려 온상태가 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와, 상기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의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를 하부로부터 누르는 부스러기받이 검출부와, 상기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의 상기 천공부에 한 쪽 끝이 삽입되고 다른 쪽 끝에서 스위치 샤프트에 눌려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테이퍼 형상으로 잘린 스위치 레버 테이퍼를 구비하는 스위치 레버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에 형성되는 상기 천공부의 형상은 대략 삼각형상의 구성이다.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로서, 어떤 두께의 연필을 삽입하여도 연필심의 정확한 위치에서 깎을 수 있도록, 연필직경 조정기구가 연필을 3방향으로부터 눌르며 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돌기가 끼워넣어지도록 동일 원호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여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이 형성되고 위끝에 조정레버의 기어와 걸어맞추는 원호기 어가 형성되는 조정판과, 상기 원호기어에 걸어맞추는 기어가 형성되는 조정레버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연필을 누르는 누름부의 형상은, 평판을 연필 직경에 맞출 수 있도록 구부린 형상이기도 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연필깎이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전동연필깎이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전동연필깎이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전동연필깎이를 측면에서 분해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심끝조절기구에 의해 두껍게 조절한 경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각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동연필깎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전동연필깎이의 스위치 박스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7은 스위치 박스의 스위치 레버 테이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a는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며, 도 8b는 연필직경 조정기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전동연필깎이(10)는 본체커버(20)와, 구동기구(30)와, 전달기구(40)와, 절삭기구(50)와, 심끝조절기구(60)와,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70)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8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1)
본체커버(20)는 전체가 직육면체인 상자체로서, 바깥표면의 일부에 심끝조절다이얼(61)과 부러진 심 제거기구 버튼(81)이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부러진 심 제거기구 버튼의 설치장소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필삽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커버의 안에는 상기 구동기구와, 전달기구와, 절삭기구와, 심끝조절기구와,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구동기구(30)는 구동부(32)와 전력공급원(34)으로 이루어진다. 구동부(32)는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모터에는 기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기어를 통해 동력이 전달기구(40)에 전달된다. 전력공급원(34)은 본 실시예에서는 교류전원을 사용하고 있지만,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장치의 스위치는 연필삽입구의 내주벽에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연필을 삽입구에 넣으면 돌기가 밀려 통전하여 동작하는 구성이다.
전달기구(40)는 복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구동기구(30)로부터의 동력을 절삭기구(50)로 전달하는 기구이다. 구성의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포인트가 아니므로 상세한 서술은 피하겠지만, 기어에 의해 모터의 회전을 절삭기구(50)로 전달하여 절삭날을 회전시켜 연필을 회전절삭한다.
절삭기구(50)는 원통체의 외주에 절삭날(52)을 나선형으로 설치한 원통형 커터로, 통 안에 커터 샤프트(54)가 끼워넣어져 장비되어 있으며, 깎을 연필(12)에 대하여 절삭각도를 유지하면서 경사져서 접합하고, 자전하여 연필의 앞끝을 회전절삭하면서 연필 주위를 유성회전(공전)한다.
커터 샤프트(54)는 연필(12)에 대하여 경사져서 장비되어 있다.
도 2와 도 3을 이용하여 실시예의 전동연필깎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동연필깎이는 심끝조절기구(60)와,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70)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80)의 각 기능을 장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심끝조절기구(60)는 본체커버의 바깥표면에 설치된 연필심의 길이 및 두께를 선택하는 심끝조절다이얼(61)과, 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심끝조절나사(62)에 걸어맞추어져 좌우로 이동하는 기어 샤프트(63)와, 그 기어 샤프트(63)의 앞끝에 연결되어 접한 연결봉(64)과, 그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된 자유롭게 움직이는 플레이트(65)와, 그 플레이트에 기저부가 걸어맞추어지고 앞끝에 연필심끝에 맞닿는 맞닿음 조각(67)이 설치된 심멈춤용 스톱퍼(66)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식 심끝조절다이얼(61)을 회전운동시켜 적절한 심의 길이로 설정하면, 다이얼을 회전시킨 범위에서 다이얼에 걸어맞추어져(맞물려) 있는 심끝조절나사(62)가 회전하여, 심끝조절나사의 회전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는 기어 샤프트(63)가 축방향 앞뒤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기어 샤프트의 앞끝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봉(64)도 따라 움직여서 앞뒤로 이동한다. 또한, 심끝조절다이얼(61)은 슬라이드식으로 할 수도 있다.
심끝조절나사(62)와 나사결합되어 있는 기어 샤프트(63)는, 심끝조절나사(62)의 축중심 내벽에 나선조가 깎여 설치된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기어 샤프트(63)를 축중심의 관통구멍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나사결합한 구성이며, 심끝조절나사(62)의 회전에 의해 기어 샤프트(63)가 기어(기어 샤프트)의 축방향 앞뒤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70)는, 연필에 비스듬하게 접촉하여 유성회전하면서 연필을 앞끝부터 절삭하는 절삭날(커터날)(52)과, 그 중심축인 커터 샤프트(54)와, 샤프트의 앞끝이 맞닿는 플레이트(65)와, 스톱퍼(66)와, 맞닿음 조각(67)으로 이루 어지며, 연필이 지정된 심의 길이로 깎여서 그 앞끝이 맞닿음 조각(67)에 도달하면 스톱퍼(66)가 눌리고, 스톱퍼가 끝부분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플레이트의 아래끝을 눌러 이동한다. 플레이트(65)는 연결봉(64)을 지점으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끝에 힘이 가해져서 이동하면 위끝이 아래끝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경사져서 맞닿아 있던 커터 샤프트(54)의 앞끝이 눌려서 되밀려지고, 도면의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절삭날과 연필 절삭면의 접촉이 떨어진다. 이에 의해, 절삭이 중단되고 불필요한 깎기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를 더 설명하면, 심끝조절다이얼(61)을 회전시켜 예를 들어, "가늘게"를 선택한 경우,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끝조절용 심끝조절나사(62)가 회전하여, 축중심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기어 샤프트(63)가 왼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결봉(64)이 움직여서, 맞닿음 조각(67)의 "가늘게"로 설정된 심끝 직경의 위치가 결정된다. 연필이 삽입구로부터 끼워넣어지면 전원이 ON되어 절삭이 개시된다. 연필이 "가늘게"의 위치까지 깎이고 앞끝이 맞닿음 조각(67)에 도달하여 맞닿음 조각을 누르면 스톱퍼(66)가 눌리고,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65)의 요동끝을 누르는 동시에 다른 쪽 끝이 커터 샤프트(54)의 앞끝을 눌러, 샤프트가 연달아 이동하고 절삭날(커터날)(52)이 오른쪽 윗방향으로 이동하여 절삭날(커터날)이 절삭하고 있던 연필의 절삭면으로부터 떨어진다.
마찬가지로, "두껍게"를 선택한 경우의 조작위치를 도 3에서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심끝조절용 심끝조절나사(62)를 "두껍게"로 회전시키면, 축중심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기어 샤프트(63)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연결봉(64)이 플레이트(65)를 경사지게 하기 때문에, 맞닿음 조각(67)은 밀려 나와서 "두껍게"의 위치에 설정된다. 작동은 "가늘게"의 경우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서 채용하고 있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는 일본공개특허 평6-210995호에 개시되어 있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유사한 구조이다.
부러진 심 제거기구(80)는, 본체커버의 바깥표면에 설치된 부러진 심 추출용 버튼(81)과,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체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인 기어 샤프트(63)와, 기어 샤프트의 앞끝에 연결되어 접해 있는 연결봉(64)과,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플레이트(65)와, 플레이트에 기저부가 걸어맞추어지고 앞끝에 연필심끝에 맞닿는 맞닿음 조각(67)이 설치된 심멈춤용 스톱퍼(66)로 이루어진다. 버튼(81)을 누르면, 심끝조절나사(62)와 심끝조절나사(62)에 끼워져 있는 기어 샤프트(63) 전체가 도 2에서의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연결봉(64) 앞끝의 플레이트(65)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플레이트(65)에 기저부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66)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맞닿음 조각(67)을 누른다. 이에 의해, 절삭되었을 때 부러져서 기기 안에 남겨진 앞끝의 심을 도면의 오른쪽으로 눌러서 배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심끝조절기구(60)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80)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재를 같은 부재로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연필깎이의 부러진 심 제거기구는, 부러진 심 추출용 버튼(81)을 누르면 전원이 온되어 모터가 통전되고, 커터 홀더(51)가 회전하 여 절삭날(커터날)이 연필삽입구측으로 부러져서 남은 심을 밀어내도록 회전하기 때문에, 빼내기 어려운 기기의 깊은 곳에 남겨진 부러진 심을 연필삽입구 방향으로 튀겨 낸다. 또한, 짧은 연필 등이 커터 홀더 안에 남은 경우에도 연필삽입구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심끝조절기구(60)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80)의 각 기능을 하나의 조작부에 의해 동시에 실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작동원리는 실시예 1과 같지만, 구조는 아래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다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는 별개의 부재로 되어 있던 다이얼(61)과 버튼(81)을 심끝조절 손잡이(90)로서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는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심끝조절 손잡이(90)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산이 설치되어 있는 심끝조절 손잡이(90)가 회전운동하면서 앞끝(92)이 걸어맞춤부재(100)를 누르고, 또한 걸어맞춤부재(100)가 샤프트(110)를 밀음으로써 샤프트의 앞끝이 플레이트(120)의 중앙부 부근을 누른다. 이에 의해, 한 쪽 끝이 커터 샤프트에 고정된 플레이트(120)의 아래끝이 스톱퍼(130)를 눌러서 연필의 맞닿음 위치가 이동하기 때문에 심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심끝조절 손잡이(90)를 눌러 나사결합부재(94)와 함께 앞끝(92)을 크게 움직임으로써, 연달아 움직이는 스톱퍼(130)를 크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심이 막혔을 때 심끝조절 손잡이(90)를 눌러서 심을 빼낼 수 있다. 또한, 나사결합부재(94)는 탄성체(96)와 걸어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심끝조절 손잡이(90)를 눌러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나사산에 의해 심조절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심끝조절 손잡이를 눌러도 심의 두께를 바꾸는 조절기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구조로 함으로써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를 동일한 부재로 실현할 수 있어, 장치의 외형을 간단하게 하고 기기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실시예 3)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동연필깎이에 연필을 삽입했을 때 감지하게 하는 스위치 박스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스위치 박스(150)는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와, 스위치 플레이트(170)와, 스위치(180)와, 부스러기받이 검출부(190)와, 스위치 레버(200)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는 연필이 삽입되는 구멍에 돌출한 돌출부로 연필이 진입하면 수평방향으로 구멍으로부터 밀려나오는 구성으로, 이에 의해 삽입부 스위치(162)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며, 대략 L자형으로 구멍이 뚫린 천공부(164)와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로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플레이트(170)는,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에 의해 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172)가 눌려서 스위치(180)의 단자(182)를 누르는 구성이다.
스위치(180)는 전류원과 접속되는 부재로, 전류를 온오프시키는 조작을 한다. 스위치(180)에는 단자(1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치 플레이트(170)의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를 밀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172)가 눌려 접합되어 전원이 온오프된다.
부스러기받이 검출부(190)는,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의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를 아래에서 누른다. 즉, 부스러기받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로 누를 수 있어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가 수평으로 가로로 슬라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172)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그러나, 부스러기받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부스러기받이 검출부(190)가 하부로 내려간 상태이기 때문에,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의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가 자유로워져서, 수평으로 이동하려고 하여도 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172)를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가 누를 수 없기 때문에, 스위치를 온으로 할 수 없는 구조이다. 이에 의해, 부스러기받이가 없는 경우에는 연필을 삽입하여도 동작하지 않으며, 만일 이 상태에서 부스러기받이부에 손가락 등을 넣어도 날이 회전하지 않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 레버(200)는 그 한 쪽 끝(202)이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의 천공부(164)에 삽입된 상태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쪽 끝(204)에는 스위치 샤프트(210)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눌려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된 스위치 레버 테이퍼(206)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레버(200)를 부러진 심 추출버튼(도시하지 않음)으로 누르면, 스위치 샤프트(210)가 스위치 레버(200) 상부의 스위치 레버 테이퍼(206)부에 강제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스위치 레버 전체가 상부로 들려 올라가는 구조이다. 연달아 천공부(164)에 걸어맞추어져 있는 한 쪽 끝(202)도 상부로 들려 올라감으로써, 이에 의해 연필을 삽입하지 않아도 강제로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를 가로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며, 스위치 레버 볼록부(166)가 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172)를 눌러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연필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을 넣음으로써, 심이 막힌 상태에서 동작시켜서 심을 부스러기받이로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천공부(164)가 삼각형상으로 뚫려 있는데,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스위치 레버(200)를 상부로 이동시켜 스위치를 강제로 넣기 위해서는, 삼각형상으로 뚫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 상부의 한 군데, 혹은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160)의 상부와 스위치 레버(200) 아래끝의 두 군데에 탄성체를 걸어맞추어 고정시킴으로써, 연필을 삽입하여 동작시키고 연필을 제거한 후에도 부재를 확실하게 도면에서 나타내는 대기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필심의 정확한 위치에서 깎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필직경 조정기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연필직경 조정기구(22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30)와, 조정판(240)과, 연필직경 조정다이얼(250)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플레이트(230)는 연필을 3방향으로부터 누르는 기구이다. 각각의 슬라이드 플레이트(230)에는 조정판(240)의 걸어맞춤구멍(242)에 끼워넣는 돌기(23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필을 직접 누르는 누름부의 형상을 연필직경과 동일하게 구부린 평판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연필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조정판(240)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30)의 돌기(232)가 끼워넣어지는 걸어맞춤구멍(242)이 뚫려 있다. 또한, 조정판(240)의 위끝에는 연필직경 조정다이얼(250)의 기어와 걸어맞추어지는 원호기어(2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어맞춤구멍(242)은 동일 원호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연필직경 조정다이얼(250)을 움직임으로써 조정레버의 기어(252)와 조정판의 원호기어(244)가 이동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230)가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연필직경 조정다이얼(250)에는 원호기어(244)에 걸어맞추어지는 기어(2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슬라이드 플레이트(230)를 움직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조로 함으로써 연필심의 정확한 위치에서 깎을 수 있어, 연필깎기의 마무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게 되고 한 쪽만 깎일 우려가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연필깎이는 상기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심끝조절기구 안에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구조는 다소 복잡한 구성이지만 전체 크기나 사용에 있어서의 편리함이 종래의 장치와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고, 비용도 저렴하게 제한된다. 또한, 종래의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가 그대로 설치되기 때문에, 소정의 심끝 직경에 이르면 전원이 꺼져 연필에 절삭날이 박힌 상태에서 어렵게 연필을 꺼내는 경우가 없다는 점에서 종래 기기의 이점을 충분히 겸비하고 있다.
2. 심끝조절기구와 심 제거기구가 공통된 하나의 나사부재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간단해지고 내부구조를 간략화함으로써 컴팩트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3.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를 표준적으로 장비하고 있기 때문에, 다기능이면서 종래 기기의 이점을 잃지 않는다.
4. 심끝조절기구의 심끝조절나사 중심에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기어 샤프트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춘 구성이기 때문에, 연필심끝의 직경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5. 부러진 심 제거기구는 상기 심끝조절기구의 심끝조절나사와 기어 샤프트가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체가 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기기의 구성은 다소 복잡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기기의 전체크기에 변화를 주지 않으며, 컴팩트하고 비용과 기능이 충실한 것에 비해 저렴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짧아진 연필이나 부러진 심 등의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6. 연필을 삽입하고 감지하게 하는 스위치 박스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7. 천공부의 형상을 대략 삼각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촉면에 여유를 주어,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8.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조정판과 조정레버에 의해 연필심의 정확한 위치에서 깎을 수 있다.
9. 또한,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연필과 접촉하는 면을 구부린 평판으로 함으로써 확실하게 연필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에 있어서,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가, 연필에 비스듬하게 접촉하여 유성회전하면서 끼워넣어진 연필을 앞끝부터 절삭하는 슬라이딩 운동가능한 절삭날(커터날)과, 그 중심축인 커터 샤프트와, 샤프트의 앞끝이 맞닿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구조이고, 심끝조절기구가, 본체커버의 바깥표면에 설치된 심의 길이를 선택하는 심끝조절다이얼과, 그 다이얼의 회전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심끝조절나사와, 심끝조절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어 샤프트와, 그 기어 샤프트의 앞끝에 연결되어 접한 연결봉과, 그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움직이는 플레이트와, 그 플레이트에 기저부가 걸어맞추어지고 앞끝에 연필심끝에 맞닿는 맞닿음 조각이 설치된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본체커버의 바깥표면에 설치된 부러진 심 추출용 버튼과, 그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체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인 심끝조절나사에 끼워넣어져 있는 상기 기어 샤프트와, 그 기어 샤프트의 앞끝에 연결되어 접한 상기 연결봉과, 그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된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기 플레이트와, 그 플레이트에 기저부가 걸어맞추어지고 앞끝에 연필심끝 에 맞닿는 맞닿음 조각이 설치된 상기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2.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에 있어서,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진 심 제거기구가 일체로 된 구성으로, 회전운동하면서 누를 수 있는 구조인 심끝조절 손잡이와, 심끝조절 손잡이의 앞끝부에서 눌리는 걸어맞춤부재와, 눌린 걸어맞춤부재를 더욱 누르는 샤프트와, 한 곳에 고정되어 지레처럼 동작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에 밀린 플레이트의 아래끝에 밀려 좌우로 이동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는, 심끝조절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심끝조절 내 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심끝조절기어를 회전시켜도 기어 샤프트 자체를 이동시켜 연결봉을 움직이기 때문에, 기어 샤프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연결봉이 움직이고, 연결봉의 앞끝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의 요동끝을 누르게 되어 절삭날(커터날)의 샤프트가 연달아 이동하여, 절삭날(커터날)이 윗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절 삭날(커터날)이 절삭하고 있던 연필의 절삭면으로부터 멀어져 불필요한 깎기를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끝조절기구는. 심끝조절나사의 중심에 나선조를 깎아 설치한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기어 샤프트를 중공 관통구멍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러진 심 제거기구는, 부러진 심 추출용 버튼을 누르면 전원이 온되어 모터에 전류가 통하고, 커터 홀더가 회전하여 절삭날(커터날)이 연필삽입구측으로 잔류물을 밀어내도록 회전하기 때문에, 잔류물을 연필삽입구의 방향으로 튀겨 내어 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6.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와, 연필로부터 회전절삭날을 해제하는 불필요한 깎기 방지기구와, 깎을 연필의 심끝 직경을 조절하는 심끝조절기구와, 부러져서 장치 안에 남겨진 심을 장치로부터 꺼내는 부러진 심 제거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에 있어서,
    연필을 삽입하여 감지하게 하는 스위치 박스가, 연필이 삽입됨으로써 수평 가로방향으로 눌리고 대략 L자형이며 구멍이 뚫린 천공부 및 스위치 레버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와, 상기 스위치 레버 볼록부에 눌리며 스위치 단자를 누르고 볼록부가 형성되는 스위치 플레이트와,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에 의해 단자가 눌려 온상태가 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치와, 상기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의 상기 스위치 플레이트 볼록부를 하부로부터 누르는 부스러기받이 검출부와, 상기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의 상기 천공부에 한 쪽 끝이 삽입되고 다른 쪽 끝에서 스위치 샤프트에 눌려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테이퍼 형상으로 잘린 스위치 레버 테이퍼를 구비하는 스위치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필삽입부 스위치 레버에 형성되는 상기 천공부의 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8. 본체커버와, 전력에 의한 구동기구와, 회전작동 전달기구와, 연필을 회전절삭하는 회전절삭날이 설치된 절삭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연필깎이에 있어서,
    어떤 두께의 연필을 삽입하여도 연필심의 정확한 위치에서 깎을 수 있도록, 연필직경 조정기구가 연필을 3방향으로부터 누르며 돌기가 형성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돌기가 끼워넣어지도록 동일 원호의 중심을 어긋나게 하여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이 형성되고 위끝에 조정레버의 기어와 걸 어맞추는 원호 기어가 형성되는 조정판과, 상기 원호기어에 걸어맞추는 기어가 형성되는 조정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연필을 누르는 누름부의 형상이, 평판을 연필 직경에 맞출 수 있도록 구부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연필깎이.
KR1020070009317A 2006-04-27 2007-01-30 전동연필깎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827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3479A JP3899113B1 (ja) 2006-04-27 2006-04-27 電動鉛筆削り器
JPJP-P-2006-00123479 2006-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34A KR20070105834A (ko) 2007-10-31
KR100827375B1 true KR100827375B1 (ko) 2008-05-07

Family

ID=3794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3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7375B1 (ko) 2006-04-27 2007-01-30 전동연필깎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51105A1 (ko)
JP (1) JP3899113B1 (ko)
KR (1) KR100827375B1 (ko)
CN (1) CN1010626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4409A1 (en) * 2005-09-30 2007-04-05 Hsu Chia W Pencil sharpener
US20080103500A1 (en) * 2006-10-31 2008-05-01 Nam Chao Instruments and Methods For Smoothing A Portion of A Spinal Rod
USD597602S1 (en) * 2007-11-23 2009-08-04 Maped Pencil sharpener
USD597603S1 (en) * 2007-11-23 2009-08-04 Maped Pencil sharpener
EP2078617B1 (en) * 2008-01-11 2011-10-05 Shen-Hsiung Chang Safety device for an electric pencil sharpener
USD600752S1 (en) 2008-02-25 2009-09-22 Charles Sued Pencil sharpener
TW201026522A (en) * 2009-01-13 2010-07-16 Sdi Corp Power pencil sharper capable of replacing knives
US9018024B2 (en) * 2009-10-22 2015-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extremely thin semiconductor-on-insulator (ETSOI) having substantially uniform thickness
KR100998229B1 (ko) 2010-07-14 2010-12-08 김소진 전동 연필 깎이
JP5620813B2 (ja) * 2010-12-28 2014-11-05 株式会社エルム・インターナショナル 電動鉛筆削り器
US20120233867A1 (en) * 2011-03-15 2012-09-20 Choon Nang Energy Equipment Mfy., Ltd. Pencil sharpener with two blades
USD670338S1 (en) * 2012-07-20 2012-11-06 Elmer's Products, Inc. Electric pencil sharpener
TWM459123U (zh) * 2013-04-12 2013-08-11 Jun-Hong Wu 按壓蓄能式削筆機
CN103465700B (zh) * 2013-09-23 2016-03-02 娄宗茂 电动刨削刀
CN104890418B (zh) * 2015-06-25 2016-06-08 胡海明 铅笔削接器
CN107160924B (zh) * 2017-07-13 2019-08-02 崔泽昊 卷笔刀的控制方法
CN107839390B (zh) * 2017-12-07 2023-05-09 义乌市鼎邦文体用品有限公司 削笔机的直推两档式笔尖粗细调节机构及削笔机
CN108772918A (zh) * 2018-07-30 2018-11-09 衡东县万泉竹业有限公司 一种一次性筷子削尖机削尖装置
CN109733100B (zh) * 2019-03-06 2023-10-24 三木控股集团有限公司 电动削笔器的机芯
CN111231553B (zh) * 2020-03-26 2025-05-02 宁波天虹文具有限公司 电动削笔器的调节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734B2 (ja) * 1993-01-18 2001-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鉛筆削り機
JP2002192891A (ja) * 2000-12-26 2002-07-10 Ktf:Kk 電動鉛筆削り器
JP3673493B2 (ja) * 2001-11-22 2005-07-20 株式会社ケーティーエフ 手動鉛筆削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734B2 (ja) * 1993-01-18 2001-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鉛筆削り機
JP2002192891A (ja) * 2000-12-26 2002-07-10 Ktf:Kk 電動鉛筆削り器
JP3673493B2 (ja) * 2001-11-22 2005-07-20 株式会社ケーティーエフ 手動鉛筆削り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00D423585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34A (ko) 2007-10-31
US20070251105A1 (en) 2007-11-01
CN101062644A (zh) 2007-10-31
JP3899113B1 (ja) 2007-03-28
JP2007290317A (ja)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375B1 (ko) 전동연필깎이
US8353323B2 (en) Sharpener with autostop feature
US3134365A (en) Electric pencil sharpener
US8955227B2 (en) Can opener
JPS5929365B2 (ja) 孔開口縁のバリ取り工具
US8205648B2 (en) Electronic pencil sharpener
CN114620664A (zh) 一种直流自动旋转边缘切割开罐器
KR20140137138A (ko) 연필심 길이조정이 가능한 연필깎이 및 연필깎이의 작동방법
JP2008229740A (ja) 電動工具
CN106313988A (zh) 电动削笔机
EP2078617B1 (en) Safety device for an electric pencil sharpener
US20110186178A1 (en) Safety device for an electric pencil sharpener
JP4181471B2 (ja) 電動鉛筆削り
CN213413376U (zh) 一种电动削笔器
JP5875526B2 (ja) 電動鉛筆削り機
CN209888498U (zh) 一种电动削笔器的延时结构
CN112081202B (zh) 一种按钮装置
CN115489059A (zh) 一种按压式工件毛边切削设备及方法
JP3505144B2 (ja) 電動鉛筆削り器
JPH06319656A (ja) ポータブル式食品加工用混合機でのスイッチ機構
CN210478237U (zh) 一种电动削笔机
JP2008023753A (ja) 鉛筆削り器
CN216467075U (zh) 一种电动削笔机的延时机构及电动削笔机
CN210607058U (zh) 一种瓦斯限时关闭装置
CN213631092U (zh) 一种刨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4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42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