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202B1 - Construction method of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panel member for formwork frame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panel member for formwork frame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7202B1 KR100827202B1 KR1020070102036A KR20070102036A KR100827202B1 KR 100827202 B1 KR100827202 B1 KR 100827202B1 KR 1020070102036 A KR1020070102036 A KR 1020070102036A KR 20070102036 A KR20070102036 A KR 20070102036A KR 100827202 B1 KR100827202 B1 KR 1008272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work
- panel member
- concrete
- soil
- pi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9972 noncorro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JCOSYZMQJWQCA-UHFFFAOYSA-N 9H-xanth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3=CC=CC=C3OC2=C1 GJCOSYZMQJWQC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8 adhesive strength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8 discontinuous diafiltration by volum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48 expandable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4—Watertight packings for use under hydraulic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 붕괴 방지 말뚝과 구조물 사이의 공간인 굴착 여유 작업 공간(space)을 마련할 필요 없이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가능하게 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이 시공방법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ite-casting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that enables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without the need to provide excavation clearance work space,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and the structure, formwork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It relates to a frame combined panel memb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흙 붕괴 방지 말뚝의 인발 성능을 종래공법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마찰 저감 성능,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견디는 거푸집으로서의 내하력, 지하구조물 측벽부의 수밀성능 및 비부식성 등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흙 붕괴 방지 말뚝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시공하는 공법을 확립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이 시공방법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ull-out performance of the anti-collapsing pil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and at the same time meets the requirements of friction reduction performance that does not affect the structure, load-bearing capacity as a formwork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concrete placing, watertightness performance and non-corrosiveness of the side wall part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ite-cast concrete basement structure that establish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contacting or approaching the formwork panel member which satisfies the formwork frame to satisfy the soil collapse, the formwork panel member for the formwork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ts installation method to provide.
그리고 본 발명은 흙 붕괴 방지 말뚝에 대향하는 면은 마찰저항이 0.05N/㎟ 보다 작고, 다른 면은 콘크리트 부착력 0.10N/㎟ 이상이며, 수밀성이 뛰어나고 비 부식성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시 변형하지 않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와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facing the soil collapse pile has a frictional resistance of less than 0.05N / mm2, and the other surface has a concrete adhesion of 0.10N / mm2 or more, and is excellent in watertightness and non-corrosive, and thus does not deform when cast concrete. Provides a combined panel member and its installation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을 굴삭 공법에 의해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최종적으로 흙 붕괴 방지 말뚝을 인발하는 경우에 지하구조물의 측면에 콘크리트거푸집 외형 틀을 설치하고 철거하기 위해 필요했던 흙 붕괴 방지 말뚝과 구조물 사이의 공간인 굴착 여유 작업 공간(space)을 마련할 필요 없이 지하구조물의 구축을 가능하게 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ast-in-place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by an excav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finally remove the soil collapse pil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d demolish the concrete formwork frame on the sid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that enables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without the need to provide excavation clearance work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and the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에서 흙 붕괴 방지 말뚝의 인발 시, 흙 붕괴 방지 말뚝 인발력이 직접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마찰 저감 효과를 가지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와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work panel member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formwork frame having a frictional reduction effect that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structure when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pull-out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It is about.
종래에는 도 1의 a)도는 평면도, b)도는 단면도, c)도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거푸집 지지공정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304)을 굴삭 공법에 의해 구축할 경우, 흙 붕괴 방지 말뚝(301)을 설치하고, 말뚝 내측의 흙을 굴삭, 제거한 후, 일반 거푸집 외형 틀(302a)을 설치한다. 그리고 그 내측에 철근(311)를 배치하고, 배치한 내측에 또 거푸집 내형 틀(303)을 설치한 다음, 일반 거푸집 외형 틀(302a)과 거푸집 내형 틀(303)은 세퍼레이터(317)로 연결하고 지하구조물(304)의 규정 벽두께를 확보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Conventionally, in Fig. 1, a) is a plan view, b) is a sectional view, and c) is a sectional view of a form support process before concrete placement, and when the site-cast concrete
도 1에서 (305)는 지하구조물의 헌치, (306)은 지하구조물 기반의 기초 쇄석층, (307)은 그 표면의 막힘 및 버림용 기초 콘크리트층, (308)은 토류 지지공,(309)는 복공 바침 횡목, (310)은 복공판이다. 거푸집 지지공정에 대해서는 (311)은 철근, (312)는 장선, (313)은 멍에, (314)는 종 방향 각재, (315)는 횡 방향 각재, (316)은 파이프 서포터, (317)은 세퍼레이터이다. In FIG. 1, 305 is the haunt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306 is the foundation crushed stone layer based on the underground structure, 307 is the foundation concrete layer for the blockage and disposal of the surface, 308 is the earth support hole, 309 Is the perforation debris, 310 is the perforated plate. For the form support process, (311) is the rebar, (312) the joist, (313) the yoke, (314) the longitudinal horn, (315) the lateral horn, (316) the pipe supporter, and (317) It is a separator.
상기에서 일반 거푸집 외형 틀(302a)은 흙 붕괴 방지 말뚝(301)에서 굴착 여유 부(P)라 불리는 80~150㎝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 굴착 여유 부(P)를 두는 것은 일반 거푸집 외형 틀(302a)을 설치하고, 거기에다 콘크리트를 시공 경화 후 철거할 때,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하기 위한 공간(space) 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지하구조물(304)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구축할 지하구조물(304)을 따라서 양측에 굴착 여유 부(P)를 시공하기 때문에 굴삭 폭은 원하는 지하구조물(304) 폭보다, 통상 80~150㎝의 2배인 160~300㎝만큼 여분으로 굴착할 필요가 있었다. The
이 때문에 좁은 도로에서의 공사는 곤란하고 굴착 공사량, 공사시간 및 공사비용도 20~30% 여분으로 필요했다. 여기서 사용되는 일반 거푸집 외형 틀(302a) 이란, 형틀용 합판과 금속제 거푸집 등을 말한다.For this reason, construction on narrow roads was difficult, and the amount of excavation work,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 were also required by 20-30%. The
상기와 같은 굴착 여유 부(P)를 시공하지 않고 지하구조물(304)을 구축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공법에서는 지하구조물(304)의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어 되메움을 한 뒤, 흙 붕괴 방지 말뚝(301)을 인발하고 싶지만 흙 붕괴 방지 말뚝(301)의 인발력이 직접 구조물에 작용하여 구조물에 악영향을 주므로 흙 붕괴 방지 말뚝(301)은 인발하지 않고 그대로 지중에 매설하고 있다. 게다가 이 경우, 거푸집 외형 틀(302a)에는 목재 거푸집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장기적인 목재의 부식에 의한 흙 체적 감소로 노면 침하도 우려되고 있다.In some cases, the
또한 도로 하부와 같은 공공 지하 공간에서는 생활기반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전기, 가스, 통신, 상하수도 등의 각종 라이프 라인이 매설되어 있고, 협소한 국토에서 도로의 지하 공공 공간은 대단히 귀중한 공간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해 후일 다른 매설물 공사 또는 토목공사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가설재인 흙 붕괴 방지 말뚝(301)은 원칙적으로 철거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various underground life lines, such as electricity, gas, telecommunications, and water and sewage, which are necessary to form a living base, are buried in public underground spaces such as the lower part of the road, and underground public spaces of roads are very valuable in a narrow country.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use this space, the soil
그리고 목재 거푸집의 경우도 흙 속에 매설했을 때, 부식에 의한 체적감소의 영향 으로 인해 도로의 부등침하의 요인이 되므로 원칙적으로 철거할 필요가 있다.그 때문에 종래공법에서는 상기 시점에서 거푸집 설치, 철거를 위해 여유 굴삭을 하고, 되메움 후 흙 붕괴 방지 말뚝(301)을 인발하는 공법이 여전히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 결과, 굴착 여유 부(P)를 필요로 하는 종래공법은 굴착 범위가 커지므로 도로 점용 공사로 인한 교통 흐름 저해의 문제점과 더불어서 시공 시 발생하는 굴착토양 처리의 문제점과 건설공사비의 증대 등의 문제점이 과제로 되고 있다.In addition, in case of wooden formwork,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it in principle because it is a factor of uneven settlement of the road due to the effect of the volume reduction caused by corrosion. For the sake of excavation and after backfilling, the method of drawing up the soi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흙 붕괴 방지 말뚝의 인발 성능을 종래공법보다 향상시킴과 동시에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마찰 저감 성능,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견디는 거푸집으로서의 내하력, 지하구조물 측벽부의 수밀성능 및 비부식성 등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흙 붕괴 방지 말뚝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시공하는 공법을 확립함으로써, 종래공법에서 필요로 하는 160~300㎝ 여분의 굴착 여유 부를 회피할 수 있도록 구축 가능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이 시공방법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mproves the pull-out performance of anti-collapsing pil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whil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friction reduction performance that does not affect the structure, load-bearing capacity as a formwork to withstand the pressure of concrete placing, watertightness performance and non-corrosiveness of the side wall part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of site-cast concrete basement structures that can be constructed to avoid the extra excavation margin of 160-300 cm required by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s by establishing a construction method that contacts or approaches the panel frame for both external appearances and piles. A method, a formwork panel member for formwork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are provided.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굴착 여유 부를 회피함으로써 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void the excavation margin
가) 굴착 폭의 삭감, 즉 도로 상부 작업 폭의 축소 및 굴착규모의 절감에 따 른 공기 단축 효과로 교통 흐름의 저해 규모 및 저해 기간을 축소할 수 있고,A) The reduction in the excavation width, that is, the reduction of the work width on the upper road and the reduction of the air due to the reduction of the excavation scale, can reduce the scale and duration of the impediment of traffic flow.
나) 굴착규모의 축소의 의해 발생 흙량을 20~30%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굴착 여유 부에 되메움 했었던 흙 등을 생략할 수 있음에 따라 공사에 사용되는 덤프트럭 수를 줄일 수 있어 배기가스 배출량도 억제되고, 지구온난화 방지대책으로써 환경보전에 공헌할 수 있으며,B) By reducing the size of the excavation, the amount of soil generated can be reduced by 20 ~ 30%, and the amount of dump truck used for construction can be reduced by eliminating the soil backfilled in the excavation margin. It can also reduce gas emissions and contribute to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as a countermeasure against global warming.
다) 굴착 규모의 축소에 의해 공사량이 절감되고 공사비도 축소되고,C) The reduction of the excavation scale reduces the construction volume and reduces the construction cost,
라) 가설 재인 흙 붕괴 방지 말뚝의 철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흙 붕괴 방지 말뚝의 재이용이 가능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이 시공방법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와 그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D) Provide construction method of site-cast concrete basement structure that can be reused because it is possible to dismantl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which is temporary construction material, formwork panel panel formwork used for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청구항 1에서 굴착방식에 의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by excavation method in claim 1,
흙 붕괴 방지 말뚝을 설치하여 흙을 굴삭하는 단계;Excavating the soil by installing a pile preventing dirt collapse;
상기 흙 붕괴 방지 말뚝에 대향하는 면은 마찰저항이 0.05N/㎟ 보다 작고, 다른 면은 콘크리트 부착력 0.1N/㎟ 이상이며, 수밀성을 갖고 비 부식성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흙 붕괴 방지 말뚝에 접촉 시공하는 단계;The surface facing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has a frictional resistance of less than 0.05N / mm 2, and the other surface has a concrete adhesion force of 0.1N / mm 2 or more, and is a watertight and non-corrosive formwork panel member having a watertightness and non-corrosive pile. Constructing a contact;
상기 흙 붕괴 방지 말뚝과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 사이에 판넬 부재 지지 및 위치 조정용 지지재를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a panel member support and position adjustment support member between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and the formwork panel member;
내측에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와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보조재로 임시 고정하는 단계;Installing a formwork inner mold panel member on an inner side and temporarily fixing the formwork mold panel member and the formwork mold panel member as an auxiliary material;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와 상기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Placing concrete between the formwork frame panel member and the formwork frame panel member; And
타설한 콘크리트와 상기 거푸집 외형 틀은 일체화시키고 상기 흙 붕괴 방지 말뚝을 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poured concrete and the formwork frame is integrated and the step of drawing the soil to prevent the collapse;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ite-pouring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comprising a.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와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보조재로 임시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상기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수평방향의 파이프 서포터를 설치하여 지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temporarily fixing the formwork inner mold panel member and the formwork outer mold panel member as an auxiliary material is a horizontal direct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ormwork inner mold panel member horizontally between the formwork inner mold panel members.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on of the site-casting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installation of the pipe supporter.
청구항 3의 발명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굴착방식에 의한 구축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흙 붕괴 방지 말뚝에 접촉 시공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에 있어서, 상기 흙 붕괴 방지 말뚝에 대향하는 면은 마찰저항이 0.05N/㎟ 보다 작고, 다른 면은 콘크리트 부착력 0.1N/㎟ 이상이며, 수밀성을 갖고 비 부식성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제공한다.The invention of claim 3 is a formwork panel member for contact with the soil collapse preventing pile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method of the cast-in-place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the surface facing the soil collapse preventing pile is frictional resistance It provides a formwork panel panel member having a shape smaller than 0.05 N / mm 2, the other side of which has a concrete adhesion of 0.1 N / mm 2 or more, and is watertight and non-corrosive.
청구항 4의 발명은 흙 붕괴 방지 말뚝과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와의 사이에는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가 수직이 되도록 위치 조정하는 지지재를 삽입하고,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 측에서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 측에 못 또는 스테이플러로 임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에 기재된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흙 붕괴 방지 말뚝에 접촉 시공하는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어긋나지 않게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 지구를 판넬 부재 간의 이음매에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onnection earth for connecting the formwork frame member for contact with the soil collapse preventing pile to be connected to the soil collapse preventing member is used for the joint between the panel members. To provide.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 거푸집 외형 틀의 흙 붕괴 방지 말뚝과 대향하는 면이 마찰저항이 작은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중에서 흙 붕괴 방지 말뚝을 안정적으로 인발할 수 있고, 이 인발력이 지하구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유효자원인 흙 붕괴 방지 말뚝의 인발이 가능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since the surface facing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of the formwork fram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 frictional resistance,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can be stably pulled out in the ground, and the pulling force is underground. Since it does not affect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raw out the soil to prevent soil collapse, which can be reused.
또한 지하구조물의 측방에 굴착 여유 부를 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굴착할 굴삭 폭을 축소하여 굴삭 토량을 감소시켜 지하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굴착공사 때마다 굴삭토를 잔토 처리지에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고, 특히 시가지처럼 잔토처리지가 부족한 상태에 있어서는 공사 기간이 단축되고 건설비용의 절감 이상으로 사회적 문제의 해소에 공헌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construct excavation margin on the sid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underground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by reducing the excavated soil volume by reducing the excavation width to be excavated. This means that the excavated soil must be transported to the Xantha Land for each excavation, and especially when the Xanthan Land is insufficient, such as urban areas,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and contributing to the resolution of social problems beyond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
청구항 2의 발명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굴착방식에 의한 구축방법에서 지하구조물의 콘크리트 벽두께의 지지 지그를 생략하는 시공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종래부터 문제가 되었던 벽두께 지지 지그의 설치 부에서 지하구조물 내에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연명화 대책으로서도 유효하다.The invention of claim 2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by omitting the supporting jig of the concrete wall thicknes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construction method by the excavation method of the cast-in-place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installation portion of the wall thickness supporting jig, which has been a problem conventionally It is effective as a countermeasure for the softening of underground structures since the inflow of groundwater can be prevented.
청구항 3의 발명은 흙 붕괴 방지 말뚝과 대향하는 면이 마찰저항이 작은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지중에서 흙 붕괴 방지 말뚝을 인발할 때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인발할 수가 있어 이 인발력이 지하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이다. 지중에 매설한 거푸집 외형 틀은 지하구조물과 일체화하지만 비부식성, 수밀성을 가지므로 지하구조물 측방의 방수재로서 기능하여 효율이 좋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since the surface facing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frictional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easily pull out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in the ground so that the pulling force does not affect the underground structure. It is a formwork panel member used for formwork. The formwork mold embedded in the ground is integrated with the underground structure, but because it has non-corrosiveness and watertightness, it functions as a waterproofing material on the sid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us has good efficiency.
또한 흙 붕괴 방지 말뚝에 대향하는 면의 마찰저항이 0.05N/㎟보다 작고, 다른 면의 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쉬운 부착력이 0.1N/㎟ 이상을 가진 재료라면 흙 붕괴 방지 말뚝의 인발 후에도 확실히 구조물과 일체가 되어 실시 예에 나타낸 판넬 부재 재료 이외에도 환경적 측면, 경제적 측면에서 동등한 효과가 기대된다.In addition, if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surface opposite to the anti-collapsing pile is less than 0.05N / mm2 and the adhesive force is more than 0.1N / mm2, which is easy to install on the concrete of the other side, it is surely integrated with the structure even after drawing the anti-collapsing pile. In addition to the panel member materials shown in the examples, an equivalent effect is expected in environmental and economic aspects.
청구항 4의 발명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굴착방식에 의한 구축방법에 사용하는 흙 붕괴 방지 말뚝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설치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의 설치방법이다. 이 설치방법은 흙 붕괴 방지 말뚝과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와의 사이에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가 수직이 되도록 위치 조정하는 지지재를 삽입하고,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 측에서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 측에 못 또는 스테이플러(staplers)로 임시 고정한다.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지하구조물의 측벽 연직 정밀도를 향상시켜 콘크리트 경화 후에 지지재를 용이하게 철거시킬 수 있고, 지지재에 간벌재를 사용함으로써 유한자원의 이용률 향상을 얻을 수 있다.The invention of
청구항 5의 발명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지하구조물의 굴착방법에 의한 구축방법에 사용하는 흙 붕괴 방지 말뚝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설치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를 엇갈림 없이 연결시키는 접속 지구를, 판넬 부재와 판넬 부재의 이음부에 사용함으로써 판넬 부재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판넬 부재 이음부에서 콘크리트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5, the panel member and the panel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gap between the panel member and the panel having a formwork for forming a frame, which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soil collapse prevention pile used in the construction method by the excavation method of the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By using it at the joint part of a member, installation of a panel member becomes easy and it can prevent concrete from flowing in a panel member joint par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에서는 우선 종래의 여유 굴삭을 시행하는 공법과 본 발명공법이 굴삭 폭, 복공 폭 및 거푸집 지지공이 어떻게 다른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 1의 종래공법과 도 2의 본 발명 공법을 비교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굴착 여유 부(P)가 필요 없는 공법으로서, 시공한 지하구조물(104)의 구축 상태를 나타내는 a) 평면도, b)도는 단면도, c)도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거푸집 지지공정 단면도이다. In the following, it will be described first by comparing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gure 1 and the present invention method of Figure 2 so that it is easy to understand how the conventional excavation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method is different in the excavation width, the cavity hole width and the form support hole. do. Figure 2 i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excavation clearance (P) of the present invention, a) a plan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the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해서 대략 산형의 구조를 갖추고, 번갈아 가면서 방향을 바꿔 설치되며, 각 단부 상호를 계지(係止)한 단면이 대략 요철(凹凸) 형의 흙 붕괴 방지 말뚝(101), 그리고 지하구조물(104)용의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인 두께가 약 15mm나 되는 판상체, 상기 지하구조물(104)용의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103), 타설된 높이 3m, 폭 2.7m의 지하구조물(104)이 도시되어 있다. In Figure 2,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mountainous structure, and alternately installed in alternating directions, and the cross-sections engaging each end are roughly uneven soil prevention piles 101, and A plate body having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15 mm, which is a
또한 도 2에서 (105)는 지하구조물의 헌치, (106)은 지하구조물 기반의 기초 쇄석층, (107)은 그 표면의 막힘 및 버림용 기초 콘크리트층, (108)은 토류 지지공, (109)는 복공 바침 횡목, (110)은 복공판이다. 거푸집 지지공에 대해서는 (111)은 철근, (112)는 장선, (113)은 멍에, (114)는 종 방향 각재, (115)는 횡 방향 각재, (116)은 파이프 서포터이다. Also, in Fig. 2,
도 1에서 굴착 여유 부(P)를 시공하는 종래 공법에 의하면, 굴삭 폭은 4.6m, 복공 폭은 6.0m이다. 그리고 도 2의 본 발명에 의한 구축물은 굴삭 폭 3.05m, 복공 폭 4m이다. 이는 본 발명에서의 굴삭 폭은 종래의 굴착 여유 부(P) 공법의 약 66%, 복공 폭은 약 67%로 각각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는 흙 붕괴 방지 말뚝(101)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시공된다. 고정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처리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for constructing the excavation clearance P in FIG. 1, the excavation width is 4.6 m and the cavity hole width is 6.0 m. And the structure by this invention of FIG. 2 is 3.05 m in excavation width, and 4 m in hole opening width. This means that the excavation width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reduced to about 66% and the perforation width to about 67% of the conventional excavation margin (P) metho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ormwork dual
흙 붕괴 방지 말뚝(101)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면이 대략 산형(山形)의 철강 말뚝(101a) 들을 번갈아 가며 방향을 바꿔 설치하고, 각 철강 말뚝(101a)의 각 단부에 설치한 계지(係止)부(101b)들을 상호 계지하여 각 철강 말뚝(101a)를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이 계지 부(101b) 와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 ) 사이에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119)를 삽입하고, 이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119)와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를 못 또는 스테이플러(121)로 고정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oil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철강 말뚝 중앙부에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119)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위치 조정용 재료(120)로 만든 지지 재에 의해 지지시킨 상태에서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를 짧은 못 또는 스테이플러(121)로 고정한다.The method shown in Fig. 4 is a
그리고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의 판넬 부재 상호 연결은 판넬 부재 이음부의 엇갈림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H형상 접속 지그(122)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H형상 접속 지그(122)는 상부와 하부에 상호 이웃하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 사이에 위치하며, 이는 설치하는 순서는 먼저 하부에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를 위치시켜 고정한 다음, 하부의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의 위에 H형강 접속 지그(122)를 끼우고, 다시 그 위에 상부의 거푸집 외형틀 겸용 판넬 부재(102b)를 H형강 접속 지그(122) 위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nel member interconnection of the formwork
그런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103)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는 도 2(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103)의 헌치(105)와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 사이에 보조재(118)를 콘크리트 타설 완료 때까지 일시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거푸집 내형 틀 판넬 부재(103) 3개를 수평방향의 파이프 서포터(116)로 고정함으로써 종래 벽두께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퍼레이터(317)를 생략할 수 있다.Then, as shown in FIG. 2, the formwork
그리고 부식 재료인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119)와 위치 조정 재료(120)는 지하구조물(104)이 경화한 후, 흙 붕괴 방지 말뚝(101)을 인발하기 전에 지중에서 인발한다. 또한 상기 판상의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는 흙 붕괴 방지 말뚝(101)을 지중에서 인발할 때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와 흙 붕괴 방지 말뚝(101)의 마찰저항을 저감하는 재질인 동시에 타설 콘크리트에 사용하기 쉬운 재질이고, 콘크리트 타설 시에 변형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것이다.And the panel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출 발포 폴리스틸렌 보드(123a)의 상하면에 장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복합 시트(123b)를 피복하여 만드는 두께 15mm의 폴리스틸렌 판이다. 그 외에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에 사용할 수 있는 소재는 경질염화비닐 저 발포판, 플라이 애시 50%와 폴리프로필렌 50%으로 만드는 플라이 애시판 등을 들 수 있고, 그 양쪽 모두다 시판 제품이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a polystyrene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5 mm made by coating the long-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e sheet 123b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xtruded expanded polystyrene board 123a. In addition, the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the
그리고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로서는 허용 휨 강도 5.6N/㎟이상(JIS K 7221-2 시험 상당), 휨 탄성율 1,600N/㎟ 이상(JAS 거푸집 합판 시험 상당), 흡수성 0.01g/100㎠ 이하(JIS A 9511 시험 상당)의 것을 적용하면 된다.As the
본 발명에서의 판상의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는 약 15mm로 얇은 판이지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지하구조물(104)과 일체화시킨 다음은 거푸집 외형 틀로써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물의 일부가 되어 방수재로서의 기능을 띤다.그리고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 상호를 맞대는 개소에는 양쪽 가장자리에 걸쳐 지수 테이프를 붙이고 방수 처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흙 붕괴 방지 말뚝(101)을 인발할 때 주위의 굴삭 면이 붕괴되지 않도록 흙 붕괴 방지 말뚝(101)이 매설되어 있던 공극부에 산모래나 급경성 시멘트 벤트나이트 용액 등을 충전하는 경우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shaped formwork frame
이하는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의 마찰저항(전단 저항 응력)이 실제로 흙 붕괴 방지 말뚝(101)을 인발할 때에 어떠한 값을 나타내는가를 실험을 통해 측정한 것이다. 이 마찰저항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흙 붕괴 방지 말뚝(101) 측의 측방토압 또는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 측의 콘크리트 타설 압력에 의해 변화한다. 그래서 지반 공학회의 기준에 의한 「흙의 압밀 정압 일면 전단(DBS-CP)시험방법」(JIS T 561-1997)에서의 개량형 일면 전단 시험기 로 토압 또는 콘크리트 타설압을 작용시켜 인발력 F를 측정하였다. 이 인발력을 설치면적(φ60,100,150mm)으로 나눈 수치를 도 7에 인발 전단 응력으로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measurement was conducted through experiments to determine what value the frictional resistance (shear resistance stress) of the formwork dual-
도 7에는 상기 실시 예에 나타낸 발포 폴리스틸렌판, 경질 염화 비닐 저발포판, 플라이 애시판의 예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거푸집용 합판에 대해서도 표시하였다. 도 7은 예를 들면, 바닥면 고르기 깊이 GL-10m, 흙의 단위체적중량 γt=13kN/㎥, 측압 계수 λ=0.5의 경우,σ=λ×γt×h=0.5×13×10=65kN/㎡=0.065N/㎟ 로서, 이 값을 도 7에 종 방향의 일점 파선 A으로 나타내었다. 7 shows examples of the expanded polystyrene plate, the hard vinyl chloride low foam plate, and the fly ash plate shown in the examples. In addition, it also indicated about the formwork plywood conventionally used. Fig. 7 show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ottom surface level GL-10m, the unit volume weight γt = 13 kN / m 3 of soil, and the side pressure coefficient λ = 0.5, σ = λ × γt × h = 0.5 × 13 × 10 = 65 kN / As m <2> = 0.065 N / mm <2>, this value i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A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이 값(σ=0.065N/㎟)에 대한 인발 전단응력 τ는 폴리스틸렌판에서는 τ=0.017N/㎟, 경질염화비닐 저 발포판에서는 τ=0.013N/㎟, 플라이 애시판에서는 τ=0.018N/㎟, 몰드용 합판에서는τ=0.021N/㎟이다. 어느 쪽도 구조물에 확실하게 영향을 주지 않는 목표 전단 응력인 0.05N/㎟의 값을 하회하고 있다.The drawn shear stress τ for this value (σ = 0.065 N / mm 2) is τ = 0.017 N / mm 2 for polystyrene plates, τ = 0.013 N / mm 2 for hard vinyl chloride low foam plates, and τ = 0.018 N / for fly ash plates. Mm 2 and τ = 0.021 N / mm 2 in the mold plywood. Neither of them is below the value of 0.05 N / mm 2, which is a target shear stress that does not reliably affect the structure.
본 발명에서 지하구조물(104)에 일체화하는 도 5의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와의 부착성능을 발포 폴리스틸렌판에 대하여 부착 시험으로 확인하였다. 부착 강도 시험은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 후, 건연식 접착력 시험기용 지그(면적40mm×40mm)를 접착제로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에 부착하고, 건연식 접착력 시험기를 사용하여 지그 를 잡아당겨 부착력을 측정하였다. 이 부착력을 설치면적으로 나눈 수치를 콘크리트 강도별로 부착응력 fo 별로 나타냈다. 시험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 구축되는 지하구조물(104)의 압축강도 f'ck에 대한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의 부착력은 0.1N/㎟ 이상임을 확인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on performance with the formwork
상기 거푸집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2b)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판상의 거푸집 외형 틀 부재로서 수밀성을 갖추고 있고, 게다가 비부식성 물질이며 상기 흙 붕괴 방지 말뚝(101)에 대향하는 면은 마찰저항이 작고, 다른 면은 콘크리트에 설치하기 쉽고, 콘크리트 타설 시에 변형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판넬 부재 형태의 것이라면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 예의 흙 붕괴 방지 말뚝(10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토목 공사용 H형 철강말뚝에도 적용된다.The formwork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pecific structu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Nevertheless,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such modifications or design modifications to such simple embodiments will clearl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비교하기 위한 종래공법으로 시공한 지하구조물의 구축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ed by a conventional method for compar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평면도, b)도는 단면도, c)도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몰드 지지공 단면도;a) a plan view, b) a cross-sectional view, c) a cross section of a mold support hole before concrete castin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지하구조물 구축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평면도, b)도는 단면도, c)도는 콘크리트 타설 전의 몰드 지지공 단면도;a) a plan view, b) a cross-sectional view, c) a cross section of a mold support hole before concrete castin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부재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3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fixing the formwork frame member us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평 단면도, b)도는 종단면도;a) is a plan sectional view;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부재의 다른 고정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4 is a view showing another method of fixing the formwork frame member us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도는 평 단면도, b)도는 종단면도;a) is a plan sectional view; 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판넬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mwork form panel member us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거푸집 외형 틀 마찰저항을 측정하는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principle of measuring the formwork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formwork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거푸집 외형 틀 부재의 수평응력(토압) σ과 인발 전단응력 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도;7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rizontal stress (soil pressure) σ and the drawn shear stress τ of the formwork frame memb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사용하는 거푸집 외형 틀 부재의 콘크리트 강도별 수직방향 부착 응력과 전단방향 부착 응력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tical direction stress and the shear direction of the stress in the form of the formwork frame member us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301.... 흙 붕괴 방지 말뚝 102b.... 외형 틀 겸용 판넬 부재101,301 .... Earthquake-
103,303.... 거푸집 내형 틀 104,304.... 지하구조물103,303 .... formwork frame 104,304 .... underground structure
105,305.... 지하구조물 헌치 106,306.... 기초쇄석 105,305 .... Underground structure haunting 106,306 .... Basic stone
107,307.... 기초콘크리트 108,308.... 토류 지지공107,307 .... Foundation Concrete 108,308 .... Earth Supporter
109,309.... 복공 횡목 110,310.... 복공판109,309 .... Perforated Diaphragm 110,310 .... Perforated Plate
111,311.... 철근 112,312.... 장선 111,311 .... Rebar 112,312 .... Joist
113,313.... 멍에 114,314.... 종 방향 각재113,313 .... Yoke 114,314 .... Longitudinal lumber
115,315.... 횡 방향 각재 116,316.... 파이프 서포터115,315 .... Transverse angle beam 116,316 .... Pipe supporter
317.... 세퍼레이터 118.... 보조재 317 ....
119... 판넬 부재 지지용 각재 120.... 위치 조정재 119 ... Angle for supporting
121.... 못 또는 스테이플러 122.... H형상 접속 지그 121 .... Nails or
123a.... 압출 발포 폴리스틸렌 보드 123b.... 장섬유 폴리프로필렌 시트 123a .... Extruded Foamed Polystyrene Board 123b .... Long Fiber Polypropylene Sheet
302a....종래의 거푸집 외형 틀302a .... Conventional formwork form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036A KR100827202B1 (en) | 2007-10-10 | 2007-10-10 | Construction method of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panel member for formwork frame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2036A KR100827202B1 (en) | 2007-10-10 | 2007-10-10 | Construction method of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panel member for formwork frame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7202B1 true KR100827202B1 (en) | 2008-05-02 |
Family
ID=3964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20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7202B1 (en) | 2007-10-10 | 2007-10-10 | Construction method of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panel member for formwork frame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720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2372A (en) | 2021-06-01 | 2022-12-08 |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 Constructing Method for Concrete Construction using Lightweight Molding Panel |
KR20220162371A (en) | 2021-06-01 | 2022-12-08 |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 Landfill type Lightweight Molding Panel for Underground Concret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8018A (en) * | 1988-11-04 | 1990-05-16 | Misawa Homes Co Ltd | Construction of basement |
JPH0913404A (en) * | 1995-06-30 | 1997-01-14 | Mitsui Fudosan Kensetsu Kk |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s |
JPH1121870A (en) * | 1997-06-30 | 1999-01-26 | Sumitomo Metal Ind Ltd | Liquefaction countermeasures for underground structures |
JP2004332368A (en) * | 2003-05-07 | 2004-11-25 | Nakamura Doboku Kk |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oundation |
KR100476839B1 (en) * | 2001-09-28 | 2005-03-18 | 최춘식 |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s |
-
2007
- 2007-10-10 KR KR1020070102036A patent/KR10082720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28018A (en) * | 1988-11-04 | 1990-05-16 | Misawa Homes Co Ltd | Construction of basement |
JPH0913404A (en) * | 1995-06-30 | 1997-01-14 | Mitsui Fudosan Kensetsu Kk |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s |
JPH1121870A (en) * | 1997-06-30 | 1999-01-26 | Sumitomo Metal Ind Ltd | Liquefaction countermeasures for underground structures |
KR100476839B1 (en) * | 2001-09-28 | 2005-03-18 | 최춘식 |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s |
JP2004332368A (en) * | 2003-05-07 | 2004-11-25 | Nakamura Doboku Kk |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foundatio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2372A (en) | 2021-06-01 | 2022-12-08 |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 Constructing Method for Concrete Construction using Lightweight Molding Panel |
KR20220162371A (en) | 2021-06-01 | 2022-12-08 |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 Landfill type Lightweight Molding Panel for Underground Concret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KR20220162679A (en) | 2021-06-01 | 2022-12-08 |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 Landfill type Lightweight Molding Panel for Underground Concret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
KR20220163340A (en) | 2021-06-01 | 2022-12-09 |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 Constructing Method for Concrete Construction using Lightweight Molding Pan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8918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frame by channel | |
KR100640716B1 (en) | Inverted tee type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31261B1 (en) | Underground prefabricated precast concrete rainwater recycling facility using precast concrete continuous wall in strut structure or earth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761734B1 (en) | Cutoff wall structure of continuous wall type with hot rolled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utoff wall of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
CN107542115B (en) | Underground engineering waterproof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1250886B (en) | Method for reinforcing masonry structure building base | |
KR101772939B1 (en) | Non-abutment bridge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nd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JP4757959B2 (en) | Steel sheet pile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80061580A (en) | Precast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 |
KR20100095986A (en) |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wall by combining the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the reinforced concrete member | |
KR20190022132A (en) | Top-down method using precast-concrete colum | |
US20210017755A1 (en) | Composite wall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 composite wall | |
JPH07252870A (en) | Rainwater storage tank | |
KR20080100740A (en) | Reverse support structure of mud wall using open type plate for continuous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lywood and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plywood using the same | |
KR10082720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ite-cast concrete underground structure, panel member for formwork frame used in this construc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 |
CN109763518A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post-pouring zone | |
KR20090043625A (en) | Slab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layer using steel cross beam | |
KR20100113957A (en) | Joint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lab of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the same | |
KR20100118482A (en) | To use reclamation steel perimeter beam and slab diaphragm effect in order for one side of the basement outer wall continuous construct was possible ,which the basemen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JP5280150B2 (en) | Yamadome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forming Yamadome retaining wall | |
KR101406865B1 (en) | Extension of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for extension of founda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3905069B2 (en) | Dry work box and installation method | |
JP2000212979A (en) | Underground structure having arch roof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tructure | |
JP5509009B2 (en) | Underground structure expansion method for existing buildings straddling underground structures | |
CN111501832B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wo-wall-integrated underground pipe gallery and the structure of the two-wall-integrated underground pipe gall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0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