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4972B1 -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 Google Patents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972B1
KR100824972B1 KR1020070040740A KR20070040740A KR100824972B1 KR 100824972 B1 KR100824972 B1 KR 100824972B1 KR 1020070040740 A KR1020070040740 A KR 1020070040740A KR 20070040740 A KR20070040740 A KR 20070040740A KR 100824972 B1 KR100824972 B1 KR 10082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ension
fixing plate
loss prevention
load lo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귀
김범연
Original Assignee
이인귀
김범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귀, 김범연 filed Critical 이인귀
Priority to KR102007004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9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연 선의 슬립 현상을 최소화하여 앵커 시공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며, 내부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분할 쐐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시공 및 조립이 간편한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측 내주 면에 가이드 턱(111)을 형성하고 내부에 분할 쐐기(20)가 삽입되는 삽입공(112)을 복수 개 갖는 인장 헤드(110)와;
상기 인장 헤드(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강연 선(40)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공(121)을 가지며 하측 면에 쿠션 재(130)가 체결되어 있는 헤드 고정판(120);으로 구성한다.
인장 헤드, 헤드 고정판, 쿠션 재

Description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Load a loss prevention for head}
도 1~2는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인장 헤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헤드 고정판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9~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본체
110: 인장 헤드 111: 가이드 턱
112,121: 삽입공 115: 절개 면
120: 헤드 고정판 130: 쿠션 재
본 발명은 강연 선의 슬립 현상을 최소화하는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 재의 탄성으로 분할 쐐기를 빠르게 복귀시켜 강연 선이 하측으로 밀리는 슬립 현상을 차단하여 인장 하중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앵커 시공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에 앵커 구멍을 천공하고 그 앵커 구멍으로 인장 강도가 우수한 강연 선을 내부 정착제 및 내하체와 함께 삽입한 후, 콘크리트 등의 그라우트 재를 주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런 다음 강연 선의 자유 단에 하중을 걸고 외부 정착제로 고정시켜 강력한 정착력을 확보하여 토류 벽 같은 구조물 등을 안전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강연 선을 인장 하는 시공하는 공법이 건축 및 토목공사의 지하 구조물용 굴착공사시 주변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흙 막이 공사나 연약지반 절개 면의 토사 유실을 억제하기 위한 공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강연 선을 긴장시키기 위한 도구의 하나로 인장 헤드가 이용되고 있으며, 인장 헤드는 여러 가닥의 강연 선을 한꺼번에 긴장시킬 수 있으므로, 한 가닥씩의 강연 선을 긴장시키는 것에 비해 시공 속도 등을 높이게 된다.
상기 강연선 인장 헤드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경사진 복수 개의 삽입공(11)이 형성되고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인장 블록(10)과, 상 기 인장 블록(10)의 삽입공(11)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된 분할 쐐기(20)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장 블록(10)의 상면에는 하측에 이송 홈(31)이 형성된 삽입공(32)을 갖는 블록 고정판(30)을 밀착 결합한다.
상기 이송 홈(31)은 강연 선(40)의 지름 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상측에 형성된 삽입공(32)은 강연 선(4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인장 블록(10)의 복수 개의 삽입공(11)으로 강연 선(40)을 결합하고, 강연 선(40)을 분할 쐐기(20) 내부로 관통시킨 후, 블록 고정판(30)의 삽입공(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블록 고정판(30)의 상면으로 별도의 인장 기를 설치한 후에 강연 선(40)을 잡아당기면서 인장을 하게 된다.
이때, 인장 기에 약 20t 정도의 힘을 가하게 되면, 강연 선(40)을 물고 있는 분할 쐐기(20)가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블록 고정판(30)의 이송 홈(31) 하측 면에 맞닿는 상태에서 강연 선(40)이 인장 되다가, 인장 후에는 분할 쐐기(2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인장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블록 고정판이 금속을 이루어져 있어 탄성력이 떨어져 분할 쐐기가 복귀력이 약해 강연 선이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슬립(Slip) 현상이 발생하므로 정확한 인장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할 쐐기가 인장 블록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하고 외부 충격에 쉽게 노출되며, 인장 블록과 블록 고정판 사이로 수분 이나 이 물질이 유입되어 인장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인장 후 강연 선이 하측으로 밀리는 슬립 현상을 차단하여 정확한 하중의 인장이 이루어져 앵커 시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 중 부호 200은 본 발명의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200)는 강연 선(40)을 물고 있는 분할 쐐기(20)가 삽입되는 인장 헤드(110)와 상기 인장 헤드(110) 상면에 설치되면서 하측에 쿠션 재(130)가 형성된 헤드 고정판(120)으로 구성한다.
상기 인장 헤드(110)는 원형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 내주 면에 폭이 9㎝로 이루어지고 깊이가 5㎜를 갖는 가이드 턱(111)을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에 경사면을 갖는 복수 개의 삽입공(112)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공(112)의 개수는 첨부된 도면 도 5에서 보듯이 보통 7개가 형성된 것을 기본으로 사용하나, 4구, 9구, 12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장 헤드(110)의 삽입공(112)으로 분할 쐐기(20)가 삽입 설치된다. 이때, 분할 쐐기(20)의 상측이 삽입공(112)에서 4㎜ 정도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분할 쐐기(20)의 노출 부분이 인장 헤드(110)의 가이드 턱(111)보다 낮아 가이드 턱(111)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분할 쐐기(20)의 내부로는 강연 선(40)의 선단 부분이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인장 헤드(110)는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 면 라운드 형태로 절개한 복수 개의 절개 면(115)을 형성하여 사용하며, 첨부된 도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장 헤드(110)의 외주 면을 다각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또, 상기 인장 헤드(110)는 원형이 아닌 사각 형태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헤드 고정판(120)은 인장 헤드(110)의 상면에 맞닿아 설치되며 첨부된 도면 도 8에서 보듯이 하측 면의 중앙 부분에 쿠션 재(130)가 형성되고, 내부에 강연 선(40)이 삽입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삽입공(121)을 형성한다.
상기 쿠션 재(130)는 탄성력이 좋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그 지름은 인장 헤드(110)의 외주면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삽입공(121)의 개수는 인장 헤드(110)에 형성된 삽입공(112)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앵커로부터 천공 외부로 배출되어 있는 강연 선(40)으로 인장 헤드(110)의 를 설치한다.
그리고 분할 쐐기(20) 내부로 강연 선(40)을 관통시킨 후 인장 헤드(110)의 삽입공(112)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분할 쐐기(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인장 헤드(110)의 가이드 턱(111)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헤드 고정판(120)의 삽입공(121)으로 강연 선(40)을 삽입하여 헤드 고정판(120)의 하측 면이 인장 헤드(110)의 상면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헤드 고정판(120)의 쿠션 재(130)가 인장 헤드(110) 상면에 밀착되어 내부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헤드 고정판(120)의 상면으로 별도의 인장 기(150)를 설치한 후 강연 선(40)을 약 20t 정도의 힘을 가하여 인장 하면, 강연 선(40)을 물고 있는 분할 쐐기(20)가 상측으로 이동하다가 헤드 고정판(120)의 하측 면에 형성된 쿠션 재(130)에 맞닿는 상태에서 쿠션 재(130)를 가압하면서 인장 된다. 이때, 분할 쐐기(20)의 이동 거리는 1㎜ 정도이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다가 인장 후에는 가압 받은 쿠션 재(130)가 분할 쐐기(20)를 강한 탄성으로 하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분할 쐐기(20)가 인장 헤드(110)의 삽입공(112)으로 복귀되면서 인장이 마무리되므로 강연 선의 슬립 현상을 차단하여 정확하게 인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장 후 강연 선이 하측으로 밀리는 슬립(Slip) 현상을 차단하여 정확한 하중의 인장이 이루어져 앵커 시공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며, 인장 헤드 내부로 외부의 수분이나 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분할 쐐기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시공 및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상측 내주 면에 가이드 턱(111)을 형성하고 외주 면에 복수 개의 절개 면(115)을 가지며 내부에 분할 쐐기(20)가 삽입되는 삽입공(112)을 복수 개 갖는 인장 헤드(110)와;
    상기 인장 헤드(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강연 선(40)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삽입공(121)을 가지며 하측 면에 쿠션 재(130)가 체결되어 있는 헤드 고정판(12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3. 삭제
KR1020070040740A 2007-04-26 2007-04-26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Active KR10082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740A KR100824972B1 (ko) 2007-04-26 2007-04-26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740A KR100824972B1 (ko) 2007-04-26 2007-04-26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4972B1 true KR100824972B1 (ko) 2008-04-28

Family

ID=3957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740A Active KR100824972B1 (ko) 2007-04-26 2007-04-26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9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893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비엠테크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와 인장재 시공방법과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의 처킹 가압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97Y1 (ko) * 1998-06-09 2001-01-15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0366050Y1 (ko) * 2004-07-28 2004-10-28 김범연 재긴장 장치가 형성된 웨지정착구
KR200392133Y1 (ko) 2005-05-03 2005-08-10 김응주 제거형 앵커
KR200392134Y1 (ko) 2005-05-03 2005-08-10 황민영 제거형 앵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297Y1 (ko) * 1998-06-09 2001-01-15 박재만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
KR200366050Y1 (ko) * 2004-07-28 2004-10-28 김범연 재긴장 장치가 형성된 웨지정착구
KR200392133Y1 (ko) 2005-05-03 2005-08-10 김응주 제거형 앵커
KR200392134Y1 (ko) 2005-05-03 2005-08-10 황민영 제거형 앵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893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비엠테크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와 인장재 시공방법과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의 처킹 가압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435942B1 (ko) * 2020-10-30 2022-08-24 주식회사 비엠테크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와 인장재 시공방법과 긴장력을 도입하는 앵커시스템의 인장재 시공장치의 처킹 가압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682B1 (ko) 앵커 조립체,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101072527B1 (ko)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0855381B1 (ko) 지압식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구조
KR101040038B1 (ko) 암반층 정착용 쐐기식 확장형 앵커
KR20080112559A (ko) 어스앵커구조체 및 어스앵커공법
KR200457716Y1 (ko) 지반앵커의 지반 지지장치
KR100832101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받침
KR100824972B1 (ko)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KR100997672B1 (ko) 강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앵커 구조
KR100912482B1 (ko) 이중 날개형 앵커
KR101534036B1 (ko) 복합형 앵커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5031B1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1017412B1 (ko) 마찰 지압형 영구 앵커 및 이 시공 방법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101474530B1 (ko) 쐐기정착부 작용력에 의한 확장 지압형 앵커체
KR100948051B1 (ko) 확장팩을 이용한 어스앵커
KR101547320B1 (ko) 나선형 패커 확장구조를 갖는 영구앵커
KR100413550B1 (ko) 제거형 앵커정착장치
KR100903407B1 (ko) 사면보강공사용 네일앵커
JP5468818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764013B1 (ko) 밀림방지 수단을 갖는 그라운드 앵커
KR20140049729A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200283335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1277730B1 (ko) 앵커용 일체형 정착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0403638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5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4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