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3683B1 - 아이젠 - Google Patents

아이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683B1
KR100823683B1 KR1020070045629A KR20070045629A KR100823683B1 KR 100823683 B1 KR100823683 B1 KR 100823683B1 KR 1020070045629 A KR1020070045629 A KR 1020070045629A KR 20070045629 A KR20070045629 A KR 20070045629A KR 100823683 B1 KR100823683 B1 KR 100823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outsole
eisen
fastening band
memb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실호
Original Assignee
김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실호 filed Critical 김실호
Priority to KR102007004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68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8Reversible ice-spik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8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glacier crampons, mountain climbing iro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상부 둘레를 따라 마련된 어퍼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장착되는 아이젠에 관한 것으로서, 아웃솔의 저면에 접촉하는 스파이크본체와 스파이크본체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파이크핀과 스파이크본체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를 가지고, 아웃솔의 저면에 전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스파이크부재와; 어퍼솔의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전방 및 후방 스파이크부재의 연결부들이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와;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를 아웃솔의 상면을 따라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아웃솔의 전후방에 전방스파이크부재와 후방스파이크부재를 배치하고 전방스파이크부재 및 후방스파이크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마련하여 보행 편의성과 결빙구간에서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젠{CRAMP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이 사용상태로 신발에 장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의 착탈연결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의 연결부재와 착탈연결부의 결합 작동도 및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의 전방스파이크부재 및 후방스파이크부재가 반전상태로 신발의 어퍼솔에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아이젠 10 : 스파이크부재
30 : 전방스파이크부재 50 : 후방스파이크부재
70 : 연결부 72 : 지지연결부
80 : 착탈연결부 100 : 연결부재
160 : 착탈결합돌기 200 ; 체결유닛
220 : 체결띠 222 : 전방체결띠
224 : 후방체결띠 226 : 저면체결띠
240 : 버클 260 : 래치
본 발명은, 아이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저면 전후방에 복수의 스파이크부재를 장착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조가 개선된 아이젠에 관한 것이다.
아이젠은 동계 산행 시 빙판이나 눈 같은 결빙 구간에서 보행할 때 등산객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산 장비의 일종이다.
아이젠은 신발의 하부에 접촉 지지되는 스파이크부재와, 스파이크부재를 신발에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파이크부재의 저면에는 지면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스파이크핀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아이젠은 결빙구간에서는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의 저면에 장착되고, 결빙구간을 지나면 신발의 저면으로부터 탈거된다.
그러나, 종래의 아이젠은 신발의 저면 중심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장시간의 산행 시 불편을 초래하고 보행에 따른 유연성이 떨어져서 결빙구간에서의 접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아이젠은 결빙구간이 있는 산행 조건에서 신발에 장착되고 비결빙구간이 있는 산행 조건에서 신발로부터 탈거해야되므로 탈부착에 따른 시간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의 산행 시 편리한 산행을 할 수 있고, 보행에 따른 유연성의 저하를 방지하여 결빙구간에서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아이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행의 지형조건에 따라 스파이크핀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아이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상부 둘레를 따라 마련된 어퍼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장착되는 아이젠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저면에 접촉하는 스파이크본체와 상기 스파이크본체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파이크핀과 상기 스파이크본체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아웃솔의 저면에 전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스파이크부재와; 상기 어퍼솔의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스파이크부재의 상기 연결부들이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와; 상기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를 상기 아웃솔의 상면을 따라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파이크부재들의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양 연결부재를 발목의 전방 및 후방에서 연결하는 체결띠와, 상기 신발의 저면을 따라 상기 양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저면체결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파이크부재들이 상기 어퍼솔의 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파이크부재들을 상기 체결띠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등산화에 장착되는 아이젠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신발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등산화는 지면에 접촉되는 아웃솔과, 아웃솔의 상부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착용하는 사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어퍼솔로 구성되어 있음을 미리 알려둔다. 그리고,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은 사용자의 우측발에 착용되는 등산화의 기준으로 설명됨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이 사용상태로 신발에 장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1)은 등산화(400)의 아웃솔(440)의 저면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스파이크부재(10)와, 스파이크부재(1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00)와, 연결부재(100)를 등산화(400)에 체결하는 체결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스파이크부재(10)가 등산화(400)의 어퍼솔(420)에 위치하는 반전상태에서 복수의 스파이크부재(10)를 유지시키는 유지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스파이크부재(10)는 아웃솔(440)의 저면에 전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파이크부 재(10)는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에 각각 마련되어 연결부재(100)와 연결되는 연결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파이크부재(10)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로 마련되어 있으나, 2개를 초과하여 마련될 수도 있다.
전방스파이크부재(30)는 아웃솔(440)의 전방에 마련된다. 즉, 전방스파이크부재(30)는 보행 방향을 따라 아웃솔(44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전방스파이크부재(30)는 아웃솔(440)의 저면에 접촉하는 전방스파이크본체(32)와, 전방스파이크본체(32)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전방스파이크핀(34)을 포함한다.
한편, 후방스파이크부재(50)는 아웃솔(440)의 후방에 마련된다. 즉, 전방스파이크부재(30)와 상호 간격을 두고 보행 방향을 따라 아웃솔(44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방스파이크부재(50)도 전방스파이크부재(30)와 동일하게 아웃솔(440)의 저면에 접촉하는 후방스파이크본체(52)와, 후방스파이크본체(52)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후방스파이크핀(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스파이크본체(32)와 후방스파이크본체(52)는 각각 전방스파이크부재(30)와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외관을 형성하며 판상의 플레이트로 마련된다. 전방스파이크본체(32) 및 후방스파이크본체(52)는 아웃솔(440)의 저면과 접촉한다. 전방스파이크본체(32) 및 후방스파이크본체(52)는 사용자의 보행 시 발생되는 가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강성재질의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전방스파이크본체(32) 및 후방스파이크본체(52)의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각각의 전방스파이크핀(34) 및 후방스파이크핀(54)은 보행에 따른 가압 력에 의해 휘어지지 않도록 강성재질의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연결부(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스파이크본체(32) 및 후방스파이크본체(52)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부재(100)와 연결된다. 연결부(70)는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에 각각 연결되는 지지연결부(72)와 착탈연결부(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연결부(72)와 착탈연결부(80)는 한 쌍으로 각각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에 마련된다. 즉, 전방스파이크부재(30)의 양단부에는 지지연결부(72)와 착탈연결부(80)가 마련되고,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양단부에도 전방스파이크부재(30)와 동일하게 지지연결부(72)와 착탈연결부(80)가 마련되는 것이다.
지지연결부(72)는 스파이크부재(10)와 연결부재(100)를 상호 연결한다. 지지연결부(72)는 스파이크부재(10)와 연결부재(100)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스파이크부재(10)가 아웃솔(440)의 저면에 장착되는 사용상태로부터 어퍼솔(420)의 표면에 지지되는 반전상태로의 회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착탈연결부(80)는 지지연결부(72)와 같이 스파이크부재(10)와 연결부재(100)를 상호 연결하지만, 후술할 착탈결합돌기(16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착탈연결부(80)는 사용상태 시 지지연결부(72)와 동일하게 스파이크부재(10)와 연결부재(100)를 상호 연결하고, 반면 반전상태일 때는 연결부재(100)로부터 탈거되어 전방스파이크핀(34) 및 후방스파이크핀(54)이 상향되어 어퍼솔(420)의 표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착탈연결부(80)는 착탈연결부(80)를 형성하는 본체(82)와, 착탈결합 돌기(160)와의 맞물림과 맞물림해제를 안내하는 가압부(84)와, 가압부(8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86)를 포함한다. 착탈연결부(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할 연결부재(100)와 함께 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연결부재(100)는 어퍼솔(420)의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연결부(70)들과 결합된다. 연결부재(100)는 아웃솔(440)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를 일체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100)는 어퍼솔(42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의 한 쌍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는 편의상 구분해 놓은 것으로 그 형상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로서, 사용자의 우측발을 수용하는 등산화(400)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00) 중 좌측연결부재(120)는 우측발의 안쪽으로 배치되고, 우측연결부재(140)는 우측발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연결부재(100)는 보행에 따른 등산화(400)의 변형에 대응하도록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연결부재(100)는 좌측연결부재(120)와 우측연결부재(140)로 구분되어 있으나, 좌측연결부재(120)와 우측연결부재(14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재(100)는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를 연결한 'U'자 형상의 모양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에는 각각 착탈연결부와 맞물리는 착탈결합돌기(16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착탈결합돌기(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연결부(80)의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즉, 착탈결 합돌기(160)는 착탈연결부(80)의 가압부(84)의 가압에 따른 공간에 맞물리며, 가압부(84)의 가압 해제 시 가압부(84)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돌출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착탈연결부(80)와 착탈결합돌기(160)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 방식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여기서 결합 방식은 보행 시 스파이크부재(10)가 연결부재(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체결유닛(200)은 어퍼솔(420) 및 아웃솔(440)에 접촉되는 체결띠(220)와, 체결띠(220)에 마련된 버클(240)과, 체결띠(220)의 표면 일영역에 마련되어 버클(240)에 의해 진퇴되는 래치(260)를 포함한다. 체결유닛(200)은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가 어퍼솔(42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와 연결된다.
체결띠(220)는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를 발목의 전방 및 후방에서 연결하는 전방체결띠(222) 및 후방체결띠(224)와, 등산화(400)의 저면을 따라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를 연결하는 저면체결띠(226)를 포함한다.
전방체결띠(222)는 사용자의 발목의 전방에 지지되어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를 연결한다. 즉, 전방체결띠(222)는 등산화(400)에 수용된 사용자의 발 기준으로 발등 부분에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후방체결띠(224)는 사용자의 발목 후방에 지지된다. 즉, 후방체결띠(224)는 등산화(400)에 수용된 사용 자의 발 기준으로 뒷꿈치 부분에 체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후방체결띠(224)는 전방체결띠(222)와 연결된다.
한편, 저면체결띠(226)는 등산화(400)의 저면을 따라 좌측연결부재(120)와 우측연결부재(140)를 상호 연결한다. 저면체결띠(226)는 전방스파이크부재(30)와 후방스파이크부재(50) 사이에 개재된다. 저면체결띠(226)는 등산화(400)와 아이젠(1)이 상호 밀착지지되도록 마련된다.
버클(240)은 본 발명의 일예로서, 전방체결띠(222)와 저면체결띠(226)에 마련된다. 버클(240)은 전방체결띠(222) 및 저면체결띠(226)가 각각 연결될 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버클(240)은 전방체결띠(222) 및 저면체결띠(226)에 형성된 래치(260)를 진퇴시키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래치(260)는 전방체결띠(222) 및 저면체결띠(226)의 표면에 형성되어, 버클(240)에 의해 전진된다. 래치(260)는 그 형상에 의해 버클(240)에 의해 전진 후 후퇴되지 않는다. 단, 래치(260)는 버클(240)에 작동에 의해 후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지부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가 어퍼솔(420)의 표면에 배치된 상태, 즉, 전방스파이크핀(34) 및 후방스파이크핀(54)이 상향 배치된 반전상태에서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를 체결띠(220)에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유지부재(300)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체결띠(220)에 마련되며 전방스파이크핀(34) 및 후방스파이크핀(54)을 상호 유지하도록 탄성재질로 마련된다. 그러나, 유지부재(300)는 전방스파이크핀(34) 및 후방스파이크핀(54)과 상호 맞물리는 고리 형상 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1)의 사용상태 및 반전상태의 작동과정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동계 산행 시 결빙구간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아이젠(1)을 등산화(400)에 착용한다. 여기서, 아이젠(1)의 착용순서는 등산화(400)의 뒷꿈치영역을 후방체결띠(224)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판면에 아웃솔(440)을 접촉 지지시킨다.
그리고, 전방체결띠(222)에 마련된 버클(240)과 래치(260)를 이용하여 전방체결띠(222)를 어퍼솔(420)에 체결하면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가 어퍼솔(420)의 양측부에 지지된다. 아웃솔(440)의 저면을 경유하는 저면체결띠(226)에 마련된 버클(240)과 래치(260)를 이용하여 저면체결띠(226)를 아웃솔(440)에 체결한다. 여기서, 저면체결띠(226)는 기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버클(240)과 래치(260)의 이용에 의해 아웃솔(440)에 밀착되도록 조정된다.
그러면,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가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를 상호 연결하여 보행 시에도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이탈 및 유동이 방지된다.
한편, 결빙구간을 지난 후에 일반 지형에서는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전방스파이크핀(34) 및 후방스파이크핀(54)에 의해 보행이 불편하게 된다.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 재(50)를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에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70) 중 착탈연결부(80)를 이용하여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일단을 각각 좌측연결부재(120) 및 우측연결부재(140)로부터 탈거시킨다.
그리고, 연결부재(100)로부터 탈거된 전방스파이크부재(30) 및 후방스파이크부재(50)의 전방스파이크핀(34) 및 후방스파이크핀(54)이 상향되도록 어퍼솔(420)의 표면에 반전상태로 지지시킨다. 전방체결띠(222)에 마련된 유지부재(300)를 사용하여 전방스파이크핀(34)과 후방스파이크핀(54)을 상호 연결 유지한다.
이에, 아웃솔의 전후방에 전방스파이크부재와 후방스파이크부재를 배치하고 전방스파이크부재 및 후방스파이크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마련하여 보행 편의성과 결빙구간에서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파이크부재들의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산행의 지형조건에 따라 스파이크핀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신발과의 탈부착에 따른 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솔의 전후방에 전방스파이크부재와 후방스파이크부재를 배치하고 전방스파이크부재 및 후방스파이크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마련하여 보행 편의성과 결빙구간에서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젠이 제공된다.
또한, 스파이크부재들의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산행의 지형조건에 따라 스파이크핀의 방향을 반전시킬 수 있으므로, 신발과의 탈부착에 따른 소요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아이젠이 제공된다.

Claims (4)

  1. 아웃솔과 상기 아웃솔의 상부 둘레를 따라 마련된 어퍼솔을 포함하는 신발에 장착되는 아이젠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의 저면에 접촉하는 스파이크본체와 상기 스파이크본체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파이크핀과 상기 스파이크본체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연장된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아웃솔의 저면에 전후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스파이크부재와;
    상기 어퍼솔의 양측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방 및 후방 스파이크부재의 상기 연결부들이 결합되는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와;
    상기 좌측 및 우측연결부재를 상기 아웃솔의 상면을 따라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부재들의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좌측 및 우측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양 연결부재를 발목의 전방 및 후방에서 연결하는 체결띠와,
    상기 신발의 저면을 따라 상기 양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저면체결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부재들이 상기 어퍼솔의 표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파이크부재들을 상기 체결띠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젠.
KR1020070045629A 2007-05-10 2007-05-10 아이젠 Expired - Fee Related KR100823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29A KR100823683B1 (ko) 2007-05-10 2007-05-10 아이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29A KR100823683B1 (ko) 2007-05-10 2007-05-10 아이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683B1 true KR100823683B1 (ko) 2008-04-21

Family

ID=39572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6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3683B1 (ko) 2007-05-10 2007-05-10 아이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0660B2 (en) 2021-09-21 2024-04-09 Rebekah Bevin Footwear cleats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901A (en) 1996-02-15 1997-11-25 Michael Bell Footwear with two-piece sole
KR100263584B1 (ko) 1998-04-17 2000-08-01 윤시태 등산용 아이젠
KR200271114Y1 (ko) 2002-01-08 2002-04-09 최진홍 신발의 미끄럼 방지용 착탈식 아이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901A (en) 1996-02-15 1997-11-25 Michael Bell Footwear with two-piece sole
KR100263584B1 (ko) 1998-04-17 2000-08-01 윤시태 등산용 아이젠
KR200271114Y1 (ko) 2002-01-08 2002-04-09 최진홍 신발의 미끄럼 방지용 착탈식 아이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0660B2 (en) 2021-09-21 2024-04-09 Rebekah Bevin Footwear cleats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86737A1 (en) Sports boot
US7836610B2 (en) Attachments for an item of footwear
US20100175280A1 (en) Footwear assemblies with removable enhanced tract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8250779B2 (en) Overshoe
EP1254611A1 (en) Crampon, mountain boot and relative fastening system
US12161198B2 (en) Crampon with embedded cleats
US7461467B2 (en) Safety crampon with generality put on
US5359789A (en) Ice gripping sandal for use on other footwear
US20030052473A1 (en) Cleated overshoe and snowshoe with binding for accepting same
KR200467045Y1 (ko) 미끄럼방지 덧신
KR100823683B1 (ko) 아이젠
KR20180002406U (ko) 낙상 방지용 신발
KR200238313Y1 (ko) 아이젠
KR200471407Y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KR20170018606A (ko) 신발 밑창의 형상대로 탈부착 가능한 아이젠
KR100792132B1 (ko) 체인형 아이젠
EP2430936A1 (en) Anti-slip device
KR20120042423A (ko) 체인형 아이젠
KR200440963Y1 (ko) 체인형 아이젠
KR100501923B1 (ko) 일반신발겸용 스노우보드용 부츠
KR100427456B1 (ko) 겨울철등산용 아이젠
KR200333826Y1 (ko) 아이젠이 부착된 신발
KR100839241B1 (ko) 아이젠
KR100822049B1 (ko) 신발 고정구조가 구비된 스케이트
KR19990083906A (ko)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