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2267B1 -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267B1
KR100822267B1 KR1020037007220A KR20037007220A KR100822267B1 KR 100822267 B1 KR100822267 B1 KR 100822267B1 KR 1020037007220 A KR1020037007220 A KR 1020037007220A KR 20037007220 A KR20037007220 A KR 20037007220A KR 100822267 B1 KR100822267 B1 KR 100822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ushing
bore
valve
boo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328A (ko
Inventor
미숑장피에르
라끄로이스테판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5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26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3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rea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제동장치는 마스터 실린더(2), 제 1 피스톤(3), 수동-제어 부재(4), 수동-제어 부재(4)에 연결된 부스터(6), 및 반작용 피스톤(17)을 포함한 긴급 조력 밸브(VA)를 포함하고 있어서 제 1 피스톤의 보어(18)에서 더 전방으로 수용된 부싱(27)과 반작용 피스톤(17) 사이에 형성된 챔버(26)에 위치된 헤드(25)를 갖추고 있는 비율 제어부(24)가 통과하고, 이러한 부싱(27)은 고속 피스톤(29)이 미끄러지게 할 수 있는 축방향의 통로(28)를 구비하고 있고, 고속 피스톤의 후단부는 헤드(25)와 함께, 고속 피스톤내의 통로(30)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36)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장치는 부싱의 전방에 위치된 보어의 구역(18a) 과 챔버(26) 사이의 압력차를 밸브를 개방시키는 값 이하로 제한하기 위하여 미끄러지도록 장착된 부싱(27)을 포함한 수단(E)을 구비한다.
Figure 112003019207512-pct00001
부스터식 제동장치, 브레이크 회로, 부스터, 배력, 역지 밸브, 반작용 피스톤, 마스터 실린더, 비상 조력 밸브, 부싱

Description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BRAKE BOOSTER DEVICE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회로에서 압력을 제어하는 마스터 실린더를 포함하는 타입의 부스터식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마스터 실린더 내에는 내부에 압력변동을 만들기 위해 제 1 피스톤(primary pistion)이 미끄러지도록 장착되고, 이러한 제 1 피스톤은 수동 제어부재에 연결되는 부스터에 의해 가해진 배력(boost force) 및 브레이크 페달로 전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제어부재에 의해 가해진 입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력을 받는다.
부스터는 공압식이고 그리고 수동 제어부재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의 작용하에 챔버들 사이에서 압력차를 받을 수 있는 이동격벽에 의해 2개의 공압챔버로 나뉘어진 강성 케이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제동장치는 예를 들면, EP-B-0 662 894에 개시되어 있다.
제동이 수행되는 조건은 다를 수 있다. 제 1 시나리오는 장애물이 멀리 보이고 그리고 제동이 비교적 부드럽게 수행되는 통상의 조건에 상당하는데; 이러한 제동은 "슬로우 제동(slow-braking)"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하나의 시나리오는 예를 들면, 장애물이 운전자의 앞에 급작스럽게 나타나서 운전자가 차량을 가능한 한 빨리 멈추어야 할 때, 급제동 또는 "긴급 제동(rapid-braking)" 이다.
이러한 여러가지 제동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타입의 부스터식 제동장치는 슬로우 제동 및 긴급 제동에 각각 상응하는 적어도 2개의 배력비의 조정을 시작할 수 있는 긴급 조력 밸브(emergency assist valve)가 추가되었고; 슬로우 제동용 배력비는 더 낮고 그리고 수동 제어부재의 진행에 대항하는 반작용은 더 커진다. 긴급 제동에 대해서는, 배력비는 더 높고 그리고 수동 제어부재에 대항하는 반작용은 더 약해지는데, 이것은 운전자가 더 길게 그리고 더 강하게 제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편의상, "전방"이라는 용어는 이하 설명에서 제어부재로부터 마스터 실린더쪽으로의 방향을 나타내고 그리고 "후방" 또는 "뒷쪽"이라는 용어는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긴급 조력 밸브는 제 1 피스톤의 보어의 뒷쪽에서 시일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반작용 피스톤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보어의 전방부는 마스터 실린더의 내부체적과 연통하고, 또 긴급 조력 밸브는 반작용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고, 이 반작용 피스톤은 그 전방끝에서 헤드를 갖춘 비율 제어부가 통과하는 축방향 통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헤드는 제 1 피스톤의 보어에서 더 전방쪽으로 수납되어 있는 부싱과 반작용 피스톤사이에 놓인 챔버에 위치하고 있고, 이 부싱은 반작용 피스톤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의 고속 피스톤이 미끄러질 수 있는 축방향 통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 고속 피스톤은 각각의 끝에서 개방된 축방향 통로를 역시 가지고 있고, 고속 피스톤의 후방끝과 비율 제어부의 헤드는 신속한 피스톤의 통로로의 입구를 차닫할 수 있는 밸브를 형성하고 있다.
슬로우 배력비는 반작용 피스톤과 관계있고, 이 피스톤은 더 큰 단면을 가지고 있고; 이에 대하여, 긴급 제동은 더 작은 단면을 가진 고속 피스톤과 관계 있다.
긴급 조력 밸브를 장착하고 있는 이러한 제동장치는 조작 및 제동력의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한편, 특히 슬로우 제동의 종료시 소음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먼저, 상기한 단점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발생빈도가 작은, 긴급 조력 밸브가 장착된 상기 설명한 타입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시한 해결책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설명한 타입의 긴급 조력 밸브가 장착된,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는 일방측에서의 반작용 피스톤과 부싱사이에 놓인 챔버와, 타방측에서의 부싱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피스톤의 보어의 구역 사이의 압력차를, 비율제어부의 헤드와 고속 피스톤의 후방끝에 의해 형성된 밸브가 개방될 수 있게 하는 값보다 낮은 값으로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결책을 찾기 전에, 본 발명자는 문제의 소음원을 찾았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소음이 부스터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배력을 넘어서, 말하자면 나중에 설명하는 "포화(saturation)"점을 넘어서 슬로우 제동조건하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리고 이것은 밸브의 급격한 개방에 뒤이은 유체의 급작스러운 흐름으로 인한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밸브의 이러한 바람직스럽지 못한 개방은 피할 수 있고 그리고 소음은 사라졌다. 더욱이, 밸브는 작동 빈도가 낮게되고, 그 수명이 개선되었다.
제 1 가능성에 따라서, 압력차를 제한하는 수단은 제 1 피스톤의 보어에서 시일된 상태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부싱을 장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된 스토퍼, 특히 제 1 피스톤의 보어의 벽에 장착되는 링은 반작용 피스톤쪽으로 면하는 쪽에 부싱을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한편, 부싱의 다른 쪽은 스프링의 작용을 받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른 형태에 의하면, 부싱은 제 1 피스톤의 보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있고 그리고 압력차를 제한하는 수단은 부싱의 전방쪽의 구역과 챔버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이러한 연결 덕트는 챔버 전방구역 방향으로 가청 노이즈가 없는 흐름을 허용하는 값으로 설정된 역지 밸브를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압축가능한 폼(foam) 링이 챔버에 위치하고, 이러한 링은 주어진 제한된 압력이 도달하면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러한 제한된 압력은 밸브의 개방을 피하기 위해 허용가능한 한계 값보다 더 낮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 몇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의 일부 절결된 부분 단면도;
도 2는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입력을 가로축에 표시한 함수로서 세로축에 표시한 제동압력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포화가 도달되기 전에 슬로우 제동동안에 도 1의 요소들의 확대된 부 분 단면도;
도 4는 포화가 도달된 후에 슬로우 제동동안에 도 3의 요소들의 확대된 축방향 단면도;
도 5는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타입의 부스터식 제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조와 일반적인 작동은 특허 EP-B-0 662 894 또는 FR-B-2 658 466에 특히 알려져 있다. 더 상세한 것은 상기한 2건의 특허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만을 표시한 마스터 실린더(2), 그리고 마스터 실린더(2)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된 제 1 피스톤(3)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제동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제 1 피스톤(3)과 동축인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수동 제어부재(4)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말하자면 도 1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러한 피스톤에 입력을 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 피스톤(3)의 전방으로의 변위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브레이크 회로에 연결된 마스터 실린더(2)의 내부체적(5)에서 액체의 압력의 증가를 야기한다. 제어부재(4)는 전체적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브레이크페달(4a)에 의해 조작된다.
공압식 부스터(6)는 제어부재(4)에 연결되어 있다. 부스터(6)는 탄성중합체의 다이어프램(8a) 및 강성 스커트(8b)로 만들어진 이동격벽(8)에 의해 2개의 공압챔버(7a,7b)로 시일된 상태에서 내부가 나누어져 있는 강성 케이싱(7)으로 구성되어 있다. 챔버(7a)는 노즐(A)에 의해 부분 진공원(도시생략)에 항시 연결되어 있다. 제 1 피스톤(3)과 동축인 슬리브의 형태인 공압 피스톤(9)은 강성 스커트(8b)에 고정되어 있다. 공압피스톤(9)은 O-링(11)에 의해 시일된 상태에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 distributor)는 전방쪽으로 소직경의 확장부(10a) 및 후방쪽으로 블라인드 축방향 하우징(10b)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하우징(10b)은 후방쪽으로 개방되어, 연결기구(4)의 끝에 구비된 볼(4b)을 수용한다.
피스톤(3)의 반대쪽에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는 절두원추형(frustoconical) 확장부(12)를 가지고 있는데, 이 확장부는 공압 피스톤(9)에 축방향 병진이동에 의하여 연결된 탄성중합체 링(13)에 대하여 시일되도록 맞닿아 지지된다. 조립체(12,13)는 3-방향 밸브(B)(부분적으로 도시됨)의 부분을 구성하는데, 이것은 챔버(7b)를 대기로부터 차단하고 챔버(7a,7b)를 연통tkdox로 하는 것, 또는 확장부(12)가 링(13)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움직일 때 챔버(7a,7b)를 서로 차단하여 대기압의 공기가 챔버(7b)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행하도록 한다.
공압 피스톤(9)은 마스터 실린더(2)가 고정되는 케이싱(7)의 대향하는 벽과 피스톤(9)사이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14)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작동정지 위치쪽으로 복귀한다. 중앙 개구부(16)를 가진 컵(15)은 공압피스톤(9)의 쇼울더에 대하여 그 외주 가장자리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맞닿아 지지한다. 스프링(14)은 피스톤(9)에 대하여 이러한 컵의 가장자리를 가압한다. 컵(15)은 그 개구부(16)를 둘러싸는 내부 가장자리를 통하여 제 1 피스톤(3)의 후방끝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맞닿아 지지한다.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의 확장부(10a)는 개구부(16)를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다.
긴급 조력 밸브(VA)는 슬로우 제동과 긴급 제동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배력비를 조정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밸브(VA)는 반작용 피스톤(17)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소직경 전방부(17a)는 제 1 피스톤(3)의 축방향 보어(18)에서, O-링(17b)에 의해 시일된 상태에서 미끄러진다. 반작용 피스톤의 후방부(17c)는 대직경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제 1 피스톤(3)의 보어(18)의 대직경 후방구역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플랜지(19)를 가지고 있다. 탄성재질로 만든 링(20)은 전방 부분(17a)과 동일한 쪽에서, 플랜지(19)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링(20)은 제 1 피스톤(3)의 쇼울더(2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19)의 반대쪽은 점프 스프링으로 알려진 예압의 헬리컬 압축스프링(22)의 축방향 스러스트 베이스로서 작용한다. 스프링(22)의 다른 후방 끝은 제 1 피스톤(3)에 고정된 플라스틱으로 만든 클립-인(clip-in) 링(23)에 맞닿아 지지하고 그리고 여기에서 반작용 피스톤의 후방부(17c)는 미끄러진다.
반작용 피스톤(17)은 비율 제어부(24)가 장착되어 O-링(24a)에 의해 시일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축방향 보어를 가지고 있다. 비율 제어부(24)의 후방끝은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의 확장부(10a)에 대하여 맞닿아 지지한다. 비율 제어부(24)의 전방끝은 보어(18)에서 더욱 전방에 수납된 부싱(27)과 반작용 피스톤(17) 사이에 위치한 보어(18)의 챔버(26)에 배치한 헤드(25)를 가지고 있다.
부싱(27)은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보어(28)를 가지고 있고, 이 보어중에는 고속 피스톤(29)은 O-링(29a)에 의해 시일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고속 피스톤(29)의 외경은 반작용 피스톤의 전방 부분(17a)의 외경보다 작다. 고속 피스톤(29)은 축방향으로 통과하는 통로(30)를 가지고 있고, 이 통로의 양 끝부는 개방되어 있다. 고속 피스톤(29)의 전방끝은 부싱(27)에 대하여 스프링(32)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링(31)에 맞닿아 지지된다. 스프링(32)의 다른 끝은 보어(18)의 전방에 위치한 끝벽(33)에 맞닿아 지지된다. 스프링(32)이 수용되어 있는 보어(18)의 전방구역(18a)은 통로(34)를 통해서 마스터 실린더(2)의 내부체적(5)과 연통한다. 스프링(32)에는 스프링(22)의 예압보다 더 낮은 예압이 걸린다. 체적(5)이 더 이상 압력을 받지않을 때, 이러한 체적은 저장소(도시생략)로부터의 액체가 재공급되도록 밸브(35)가 또한 설치되어 있다.
고속 피스톤(29)의 후방끝은 비율 제어부(24)의 헤드(25) 근처에서, 챔버(26)에 위치한다. 고속 피스톤(29)의 후방끝은 헤드(25)와 함께 밸브(36)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 밸브는 예를 들면 고속 피스톤(29)의 끝면에서 환형 베어링면(37)(도 3), 그리고 헤드(25)에 고정된 탄성중합체 스토퍼(38)를 구비하고 있고, 이 스토퍼는 그 일부가 헤드에 대하여 돌출해 있고, 이러한 부분은 베어링면(37)에 대하여 시일된 상태에서 맞닿아 지지할 수 있는 환형 주변 가장자리를 갖추고 있다. 압축 스프링(39)은 각각 피스톤(29)에 그리고 헤드(25)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쇼울더 사이에 배치되어, 비작동시에 밸브(36)를 개방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단(E)이 구비되어 챔버(26)와 챔버(26)에 대해 부싱(27)의 반대쪽에 위치한 구역(18a) 사이에서 압력차를 제한하는데, 그 값은 밸브(36)가 슬로우 제동의 경우에 포화점을 넘어서 개방될 수 없게 하는 값이다. 참고로, 압력차는 5bar 이하의 값으로 제한된다.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도 2를 참조하여 "포화"라는 표현을 설명한다.
도 2에서의 곡선 C는 제어 부재(4)에 축선 방향으로 나타나는 입력(F)의 함수로서 체적(5)에서의 제동압(P) 또는 유압을 세로축에 나타낸다. 곡선 C는 세로축에 제로 값의 제 1 수평부(C1)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3-방향 밸브(B)를 작동시키기 위한 연결장치(4)의 운동에 해당한다.
반작용 피스톤(17)에 의하여 압축되는 스프링 상에 해당하는 "점프(jump)"로 알려진 수직 세그먼트 C2가 C1에 이어지고, 다음에 제 1 피스톤(3)에 부스터에 의하여 나타나는 배력의 결과로서 마스터 실린더(2)에 액압을 증가시킨다. 반작용 피스톤(17)은 확장부(10a)에 대향해 맞닿을 때까지 후퇴한다.
곡선 C는 제 1 피스톤(3)의 부스터(7) 및 제어 부재(4)의 조합 작용에 따르는 경사 구배의 세그먼트(C3)의 형태로 계속된다. 부스터(6)의 배력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 즉 2개의 챔버(8a,8b) 사이의 압력차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을 때, 포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황은 가로축 값(F4)에 해당한다. 곡선 C는 구배가 세그먼트(C3)의 구배만큼 경사가 급하지는 않는 세그먼트(C4)의 형태로 계속되고, 압력(P)의 증가가 오직 부재(4)에 가해지는 수동 입력 증가만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제 1 가능성에 따라, 챔버(26)와 구역(18a) 사이의 압력차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E)은 보어(18)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는 부싱(27)에 놓여진다. 이 부싱(27)은 O-링(27a)에 의하여 시일된 상태에서 미끄러진다. 탄성 스플릿 링(40, elastic split ring)은 부싱(27) 뒤에서 보어(18)의 홈에 고정되어, 스프링(32)에 의하여 가압되는 이러한 부싱(27)의 축방향의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부싱(27)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착되므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즉 챔버(26)의 체적이 증가함으로써 이러한 챔버에서의 압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다른 형태에 따라, 부싱(27)은 보어(18)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고, 챔버(26)와 구역(18a) 사이의 압력차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E)은 이들 2개의 공간을 연결하는 동시에 챔버(26)에서 구역(18a)으로 액체를 통과하게 하는 역지 밸브(42)를 구비한 연결 덕트(41)를 포함한다. 이 밸브(42)는 가청 노이즈 없이 액체가 흐르도록 바람직하게 5bar 이하의 충분히 적은 압력값으로 설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또다른 대안의 형태에 따라, 예를 들면 80bar 정도의 임의의 한계압 이상으로만 크러싱(crushing)할 수 있는 사전압축된 셀룰러 폼 링은 챔버(26)에 제공되어, 한계압 이상으로 크러시됨으로서 이러한 챔버(26)에서의 액체를 이용할 수 있는 체적을 증가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부스터식 제동 장치는 슬로우 제동의 경우에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수동 제어부재(4)는 상대적으로 천천히 좌측으로 향하여 변위한다. 밸브(B)가 챔버(7a,7b) 사이에서 연통을 차단하고, 이어서 절두원추형 확장부(12)는 탄성 링(13)으로부터 멀어지고, 대기압의 공기가 공압식 부스터(6)의 챔버(7b)에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동 격벽(8)은 배력을 공압식 피스톤(9)에 전달하고, 이것은 스프링(14)의 작동에 대항하여 전방으로 이동한다. 피스톤(9)을 따라서, 컵(15)은 제 1 피스톤(3)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밸브(36)가 개방하기 때문에 액압은 체적(5) 및 챔버(26)에서 증가한다. 압력에 의해, 반작용 피스톤(17)에 작용하는 후방력이 증가한다. 이러한 힘이 스프링(22)의 예압에 도달하여 이를 초과하면, 반작용 피스톤(1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부(10a)에 대하여 맞닿을 때까지 후퇴한다. 점프(C2)(도 2)가 발생한다.
부재(4)에 가해진 입력의 작용하에서,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는 전방 운동을 계속하고; 공압식 피스톤(9)은 플런저 디스트리뷰터(10)를 따라 제 1 피스톤(3)을 배력으로 가압한다. 체적(5)에서의 그리고 또한 챔버(26)에서의 액압은 계속하여 증가한다.
포화에 도달할 때, 부스터(6)는 그의 최대 배력을 생성한다. 제 1 피스톤(3)은 압력(P)에 의해 후방에 가해진 힘이 배력과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잠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제어 부재(4)는 수동 입력의 작용하에서 전진을 계속한다. 비율 제어부(24)는 제 1 피스톤(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하고 그리고 헤드부(25)는 그의 플러그(38)를 통하여 고속 피스톤(29)의 베어링 면(37)에 대하여 가압된다. 밸브(36)는 폐쇄된다. 링(20)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피스톤(3)의 쇼울더에 대하여 맞닿을 때까지 확장부(10a)에 대하여 맞닿는 반작용 피스톤(17)은 또한 제 1 피스톤(3)에 대하여 전진한다. 계속되는 제어 부재(4)에의 입력은 제 1 피스톤(3)을 반작용 피스톤(17)을 통하여 전방으로 가압하고, 제동압력이 상승 한다.
반작용 피스톤(17)이 제 1 피스톤(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 이동하는 동안에, 챔버(23)의 체적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이 결과, 이러한 챔버(26)에서 압력 상승이 발생하고, 압력이 높게 되면 밸브(36)가 갑자기 개방하여, 갑작스런 흐름의 결과로 상세한 설명의 개시부에 언급한 소음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챔버(26)내의 압력이 상승할 때 부싱(27)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32)을 압축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흐름이 회피된다. 따라서 챔버(26)에서의 압력은 밸브(36)가 개방되지 않게 되는 제한된 값으로 유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챔버(26)와 구역(18a) 사이의 압력차는 5bar 이하의 값으로 제한된다.
도 5에 있어서 대안의 형태에 따라, 부싱(27)은 보어(28)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있으나 밸브(42)에 의해 가청 노이즈가 없도록 충분히 낮은 압력하에서 액체가 챔버(26)로 부터 구역(18a)으로 흐르게 하고; 바람직하게, 챔버(26)와 구역(18a) 사이의 압력차는 5bar 이하의 값으로 제한된다.
급 제동하에서의 작동은 변경되지 않는다. 급 제동이 시작하자 마자, 링(20)은 제 1 피스톤(3)의 쇼울더(21)에 대하여 맞닿아 지지되어 유지된다.
운전자가 그의 다리를 브레이크 페달(4a)에서 느슨하게 할 때, 한편으로 밸브(B)는 레벨(12,13)로 폐쇄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챔버(7a,7b)에서의 압력을 균등한 상태로 복귀시켜서, 부스터(6)의 작동을 취소하고 제동을 종료시켜 비작동시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공압식 부스터를 사용하여 설명되었더라도, 부스터는 최대 부스트(boost)에 대응하는 포화상태이면 유압식이어도 좋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회로에서 압력을 제어하는 마스터 실린더(2),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에 압력 변동을 만들도록 마스터 실린더에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는 제 1 피스톤(3), 그리고 제 1 피스톤(3)의 보어(18)의 후방부를 시일한 상태로 미끄러지는 반작용 피스톤(17)을 포함하는 긴급 조력 밸브(VA)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 1 피스톤(3)은 수동 제어부재(4)에 의하여 가해진 입력 및 수동 제어부재(4)에 연결되는 부스터(6)에 의하여 가해진 배력으로 이루어지는 작동력을 받고, 이러한 보어의 전방부(18a)는 마스터 실린더의 내부 체적(5)과 연통하고, 반작용 피스톤(17)은 비율 제어부(24)가 통과하는 축방향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비율 제어부의 전방 끝부에 헤드(25)를 구비하며, 이 헤드는 상기 제 1 피스톤의 보어에서 더 전방에 수용된 부싱(27)과 상기 반작용 피스톤(17) 사이에 놓여있는 챔버(26)에 위치되고, 이러한 부싱(27)은 단면이 반작용 피스톤의 단면보다 더 작은 고속 피스톤(29)이 미끄러질 수 있는 축방향 통로(28)를 구비하고, 상기 고속 피스톤도 양 끝부가 개방된 축방향 통로(30)를 구비하고, 상기 고속 피스톤의 후방 끝부 및 상기 비율 제어부의 헤드는 상기 고속 피스톤의 통로(30)로의 입구를 차단할 수 있는 밸브(36)를 형성하는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에 있어서,
    일방의 상기 반작용 피스톤(17)과 상기 부싱(27) 사이에 놓여있는 챔버(26)와, 타방의 상기 부싱(27)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 1 피스톤의 보어의 구역(18a) 사이의 압력차이를 비율 제어부의 헤드와 상기 고속 피스톤의 후방 끝부에 의하여 형성된 밸브(36)를 개방시킬 수 있는 값보다 낮은 값으로 제한하기 위한 수단(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단(E)은 챔버(26)와 구역(18a) 사이에서의 압력차를 5bar 이하 값으로 제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차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E)은, 부싱(27)이 상기 제 1 피스톤(3)의 보어(18)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부싱(27)을 장착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27)을 상기 보어(18)내에, 시일한 상태에서 미끄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시일(27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부싱의 한쪽은 스프링(32)의 작용을 받으면서 상기 부싱을 반작용 피스톤(17)쪽으로 면한 다른 쪽에 유지하기 위하여, 부싱(27) 뒤에 구비된 탄성 스플릿 링(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 스플릿 링은 제 1 피스톤의 보어의 벽(18)에 고정된 링(40)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싱(27)은 제 1 피스톤(3)의 보어(18)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되고 그리고 압력차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E)은 부싱 전방의 영역(18a)과 챔버(26)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41)를 포함하고, 이러한 연결 덕트는 챔버-전방 영역 방향으로의 흐름을 가청 노이즈가 없게 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는 역지밸브(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역지밸브(42)는 5bar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밸브(36)의 개방을 피하기 위하여 허용가능한 한계 값보다 더 낮은 주어진 압력에 도달하면 체적이 작아질 수 있고, 챔버(26)내에 위치된 압축성 폼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터식 제동장치.
KR1020037007220A 2000-11-29 2001-11-26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22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5543A FR2817224B1 (fr) 2000-11-29 2000-11-29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pour vehicule a moteur
FR00/15543 2000-11-29
PCT/FR2001/003719 WO2002044000A1 (fr) 2000-11-29 2001-11-26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pour vehicule a mot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328A KR20030055328A (ko) 2003-07-02
KR100822267B1 true KR100822267B1 (ko) 2008-04-16

Family

ID=885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2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2267B1 (ko) 2000-11-29 2001-11-26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948313B2 (ko)
EP (1) EP1343673B1 (ko)
JP (1) JP4070603B2 (ko)
KR (1) KR100822267B1 (ko)
CN (1) CN1248891C (ko)
AT (1) ATE387360T1 (ko)
AU (2) AU2002222040B2 (ko)
BR (1) BR0116104A (ko)
DE (1) DE60133040D1 (ko)
FR (1) FR2817224B1 (ko)
RU (1) RU2267416C2 (ko)
WO (1) WO2002044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4238B1 (fr) * 2002-09-11 2004-11-26 Bosch Sist S Frenado Sl Servofrein comportant un maitre-cylindre a reaction reduite
DE102010003822B4 (de) 2010-04-09 2025-05-15 Robert Bosch Gmbh Bremskraftverstärker-Ankopplungsvorrichtung
CN101963250B (zh) * 2010-10-14 2012-07-04 王树先 一种紧急切断阀
JP2017165181A (ja) * 2016-03-15 2017-09-21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ブレーキ力の倍力装置
CN107399311B (zh) * 2017-05-24 2023-08-08 浙江万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限压机构及电控式气制动阀总成
CN114212068B (zh) * 2021-11-24 2023-06-30 中车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内燃机车的电空真空双模式制动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1084A (en) 1996-07-23 1999-07-13 Robert Bosch Technology Corporation Power-assisted braking device with a variable assistance ratio
FR2774345A1 (fr) * 1998-01-30 1999-08-06 Bosch Syst Freinage Maitre-cylindre perfectionne a reaction hydraulique dynamiquement annulable
WO2000003903A1 (fr) * 1998-07-16 2000-01-27 Bosch Systemes De Freinage Maitre-cylindre perfectionne a reaction hydraulique et auto-assistance selectiv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41090C1 (ru) * 1989-08-09 1995-08-09 Лукас Индастриз Паблик Лимитед Компани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тормозная система
FR2752210B1 (fr) * 1996-08-09 1998-09-18 Bosch Sist De Frenado Sl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a reaction hydraulique et securite accrue
FR2765173B1 (fr) * 1997-06-27 1999-08-27 Bosch Sist De Frenado Sl Maitre-cylindre a reaction hydraulique dynamique et a piston flottant
FR2817221B1 (fr) * 2000-11-24 2003-01-10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 freinage assiste, a fonctionnement ameliore, pour vehicule a moteu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1084A (en) 1996-07-23 1999-07-13 Robert Bosch Technology Corporation Power-assisted braking device with a variable assistance ratio
FR2774345A1 (fr) * 1998-01-30 1999-08-06 Bosch Syst Freinage Maitre-cylindre perfectionne a reaction hydraulique dynamiquement annulable
WO2000003903A1 (fr) * 1998-07-16 2000-01-27 Bosch Systemes De Freinage Maitre-cylindre perfectionne a reaction hydraulique et auto-assistance sele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3673B1 (fr) 2008-02-27
JP4070603B2 (ja) 2008-04-02
US20040088974A1 (en) 2004-05-13
DE60133040D1 (de) 2008-04-10
BR0116104A (pt) 2004-02-03
CN1484592A (zh) 2004-03-24
CN1248891C (zh) 2006-04-05
FR2817224B1 (fr) 2003-01-10
WO2002044000A1 (fr) 2002-06-06
JP2004514593A (ja) 2004-05-20
RU2267416C2 (ru) 2006-01-10
ATE387360T1 (de) 2008-03-15
AU2204002A (en) 2002-06-11
US6948313B2 (en) 2005-09-27
EP1343673A1 (fr) 2003-09-17
AU2002222040B2 (en) 2005-10-06
FR2817224A1 (fr) 2002-05-31
KR20030055328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7425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JP4647598B2 (ja) 死行程を減少したブースター及びこのようなブースターを含む制動システム
US7083240B2 (en) Vehicle braking system
KR100298465B1 (ko) 은폐된이동을하는승압브레이크장치
KR100822267B1 (ko) 자동차용 부스터식 제동장치
JPH0313105B2 (ko)
KR20050057370A (ko) 공기압 브레이크 부스터
US8210091B2 (en) Quick booster
JP3935141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US6318081B1 (en) Hydraulic reaction master cylinder with enhanced input force
US5722240A (en) Boosted braking device with reduced travel
KR100784329B1 (ko) 차량을 위해 개선된 작동을 갖춘 제동 배력장치
WO2014118803A1 (en) A vaccum booster
JP4207191B2 (ja) 高ジャンプを有する非常弁を備えたブースト式ブレーキ装置及びこの装置のためのブースタ
US4443040A (en) Hydraulic boosters for vehicle braking systems
EP1538045B1 (en) Hydraulic controller
US6023931A (en) Master cylinder with dynamic reaction regulated by a difference in cross section
US4038999A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valve
US6773079B2 (en) Boosted braking device with emergency valve
US20040200219A1 (en) Braking device using an integrated master-cylinder brake booster
JPH02193754A (ja) 流体圧倍力装置
JPH0986399A (ja) 気圧式倍力装置
JPH0345458A (ja) 流体圧倍力装置
JPH02193755A (ja) 流体圧倍力装置
JP2004514592A (ja) 制動法を改良した空気圧ブレーキブー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9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