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21938B1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938B1
KR100821938B1 KR1020060033844A KR20060033844A KR100821938B1 KR 100821938 B1 KR100821938 B1 KR 100821938B1 KR 1020060033844 A KR1020060033844 A KR 1020060033844A KR 20060033844 A KR20060033844 A KR 20060033844A KR 100821938 B1 KR100821938 B1 KR 100821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lation value
random access
signal
frequency offset
samp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121A (ko
Inventor
구진규
정수룡
조영권
조재원
박동식
최호규
엘리자베스
콩 후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938B1/ko
Priority to US11/787,410 priority patent/US7949034B2/en
Publication of KR20070102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9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4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using feedback from receiver for adjusting OFDM transmission parameters, e.g. transmission tim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5Pilot or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89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 H04L27/2695Link with other circuits, i.e. special connections between synchronisation arrangements and other circuits for achieving synchronisation with channel estimation, e.g. determination of delay spread, derivative or peak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2개의 시퀀스들로 구성되는 랜덤억세스채널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 장치는, 수신되는 랜덤억세스채널 신호에서 상기 2개의 시퀀스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추출하는 채널수신기와, 상기 채널수신기로부터의 샘플들중 소정 앞구간 샘플들과 뒷구간 샘플들을 미리 알고 있는 시퀀스와 상관하여 제1 및 제2상관값을 계산하는 상관기와, 상기 상관기로부터의 상기 제2상관값과 상기 제1상관값의 비를 이용해서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옵셋 추정기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시간 옵셋, 랜덤억세스채널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UPLINK FREQUENCY OFFS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의 송신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송신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들이 기지국에 동시에 수신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 송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 수신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덤 억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이라 불리는 4세대(4th Generation) 시스템에서는 고속(약 100Mbps이상)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속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물리 계층 혹은 그 상위계층에서 다양한 기법들이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물리 계층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하나의 회선(무선의 경우 한 조의 송수신기)을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독립된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는 다수의 통신로(이하 '채널'이라 칭하기로 한다)를 구성하는 기술로서 다중화(Multiplexing)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다중화 기술로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간 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등이 존재한다. 특히,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술 중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FDM :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은, 현재 구현중인 4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물리계층의 다중화 기술로 채택되어 연구되어 지고 있다.
상기 OFDM 방식은 멀티 캐리어(Multi Carri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직렬로 입력되는 심벌(symbol)열을 병렬로 변환하여 이들 각각을 상호 직교성을 갖는 다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다중 반 송파 변조(MCM : Multi Carrier Modulation) 방식의 일종이다.
상기 OFDM 방식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기 때문에 무선통신에서는 IEEE 802.11a, HIPERLAN/2의 고속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IEEE 802.16의 광대역 무선접속(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등에 표준방식으로 채택되었고, 유선통신에서도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과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의 표준방식으로 채택되었다.
상기 OFDM 방식 통신시스템의 성능은 주파수 옵셋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자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트한 신호를 단말기에서 받아 처리하는 하향링크 상황을 가정한 것이고, 상향링크 상황을 가정한 주파수 옵셋 추정 및 보정 방법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상향 링크에서는 하향링크와 달리 여러 사용자의 신호가 더해져서 수신되기 때문에, 하향링크를 가정하여 연구된 기존의 주파수 옵셋 추정 및 보정 기법들을 상향링크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대역을 사용하게 한 뒤 대역별로 필터를 두어 사용자별 신호를 분리함으로써, 하향링크와 같은 상황을 만들고 기존 하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 이론적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대역을 세밀하게 분리하는 필터가 사용자 수만큼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에는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기 위한 기술이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OFDM 기반의 시스템은 주파수 동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을 이용해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옵셋 추정을 위한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동일한 2개의 시퀀스들로 구성되는 랜덤억세스채널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랜덤억세스채널 신호에서 상기 2개의 시퀀스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추출하는 채널수신기와, 상기 채널수신기로부터의 샘플들중 소정 앞구간 샘플들과 뒷구간 샘플들을 미리 알고 있는 시퀀스와 상관하여 제1 및 제2상관값을 계산하는 상관기와, 상기 상관기로부터의 상기 제2상관값과 상기 제1상관값의 비를 이용해서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옵셋 추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 특정 시퀀스를 발생하는 코드 발생기와, 상기 코드 발생기로부터의 시퀀스를 한번 반복하여 출력하는 반복기와, 상기 반복기로부터의 샘플데이터의 앞과 뒤에 보호구간을 추가하여 기저대역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발생하는 보호구간 추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동일한 2개의 시퀀스들로 구성되는 랜덤억세스채널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랜덤억세스채널 신호에서 상기 2개의 시퀀스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샘플들중 소정 앞구간 샘플들과 뒷구간 샘플들을 미리 알고 있는 시퀀스와 상관하여 제1 및 제2상관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2상관값과 상기 제1상관값의 비를 이용해서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 특정 시퀀스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시퀀스를 한번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반복된 샘플데이터의 앞과 뒤에 보호구간을 추가하여 기저대역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 다.
이하 본 발명은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예 : 레인징 채널)을 이용해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하기로 한다. 이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주파수 동기를 필요로 하는 여타 시스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의 송신 형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1
는 유효 OFDM심볼의 샘플 개수를 나타내고,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2
는 보호구간의 샘플 개수를 나타내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3
은 OFDM심볼을 구성하는 샘플 개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4
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FFT(또는 IFFT)의 사이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는,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5
길이의 PN(Pseudo Noise) 시퀀스(코드)를 1번 반복하고, 상기 PN시퀀스의 소정 뒷부분(C 부분)을 복사하여 상기 반복된 시퀀스의 앞에 붙이고, 상기 PN시퀀스의 소정 앞부분(A 부분)을 복사하여 상기 반복된 시퀀스의 뒤에 붙여 구성된다. 즉, 단말기는 사용 가능한 PN시퀀스들 가운데 하나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PN시퀀스를 가지고 도 1과 같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생성된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의 앞 부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6
)과 뒷 부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7
)은 보호구간이다. 상기 보호구간은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들이 서로 다른 시간 옵셋을 가지고 기 지국에 도착했을 경우,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들 사이의 교차상관 특성이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추가되는 구간이다.
도 2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송신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들이 기지국에 동시에 수신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도 1과 같이 송신되는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3개의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8
구간들을 할당한다. 그리고 이 구간 내에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09
만큼의 샘플들을 매 샘플 타이밍마다 읽어 랜덤 억세스 코드(또는 레인징 코드)의 도착여부를 탐지한다. 특정 랜덤 억세스 코드의 도착이 감지되면, 상기 기지국은 랜덤 억세스 채널 신호의 반복 특성을 이용해서 주파수 옵셋을 추정한다. 이렇게 추정된 주파수 옵셋은 해당 단말로 피드백되어 단말의 주파수 옵셋 보정에 사용된다.
이하, 수식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n번째 샘플타이밍에 수신된 신호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0
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1
여기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2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3
번째 랜덤 억세스 코드(또는 레인징 코드)에 해당하는 PN시퀀스를 나타내고,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4
이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5
는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들이 도착하 도록 하는 목표 시점을 고려하여 결정한 값(시간)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 사이의 왕복 전송 지연(RTD: Round Trip Delay)보다 큰 값으로 고정된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6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7
번째 랜덤 억세스 코드가 기지국에 도착하는 시점과, 슬롯 시작으로부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8
시간 이후 시점 사이의 시간 옵셋이다. 따라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19
번째 랜덤 억세스 코드가 슬롯 시작으로부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0
시간 이후 시점보다 늦게 수신되면 상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1
값은 양수이고, 상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2
시간 이후 시점보다 먼저 수신되면 상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3
값은 음수가 된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4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5
번째 랜덤 억세스 코드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송신 오실레이터(oscillator) 주파수와 기지국 수신 오실레이터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옵셋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6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7
번째 랜덤 억세스 코드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송신 오실레이터와 기지국 수신 오실레이터 사이의 초기 위상차를 나타낸다. 이 값은 등화기를 통해 보상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 값에 관련된 추정 및 보상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기로 한다.
기지국은 특정 랜덤 억세스 코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8
을 송신한 사용자의 시간 옵셋 및 주파수 옵셋을 찾기 위해 매 샘플 타이밍에서 획득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29
개의 샘플들중 앞부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0
개의 샘플들과 상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1
를 상관하고, 또한 뒷부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2
개의 샘플들도 상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3
와 상관한다. 이 두 번의 상관결과가 모두 기준값보다 클 경우, 그 시점을 코드가 도착한 시점으로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샘플링 시작점이 n일 때, 앞부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4
개의 샘플들과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5
의 상관은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6
그리고, 뒷부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7
개의 샘플들과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8
의 상관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39
여기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0
일 경우, 상기 수학식 2는 다음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1
상기 수학식 4의 두 번째 줄에서 첫 번째 항은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2
인 반면, 두 번째 항은 '0'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3
일 경우, 상기 수학식 3은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4
마찬가지로, 상기 수학식 5의 두 번째 줄에서 첫 번째 항은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5
인 반면, 두 번째 항은 '0'에 가까운 값을 갖는다.
따라서, 기지국은 특정 랜덤 억세스 코드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6
을 상기 수학식 2와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수신신호와 상관하다가 두 상관결과가 모두 기준값보다 크게 발생하는 시점을 찾아 시간 옵셋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7
을 계산한다.
한편, 다음 수학식 6과 같이 2개의 상관값들을 나누어 위상성분을 추출한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8
그리고, 다음 수학식 7과 같이 주파수 옵셋(
Figure 112006025902019-pat00049
)을 추정한다.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0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 송신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송신장치는, 랜덤 억세스 코드 발생기(300), 반복기(302), 보호구간 (C,A) 추가기(304), D/A변환기(306) 및 RF처리기(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랜덤억세스코드에 대한 정보가 랜덤억세스코드 발생기(300)에 입력되면, 상기 랜덤억세스코드 발생기(300)는 상기 입력된 코드 번호에 해당하는 랜덤억세스코드(예 : PN시퀀스)를 발생한다.
반복기(302)는 상기 랜덤억세스코드 발생기(300)로부터의 특정 시퀀스를 연속하여 1번 반복하여 출력한다. 보호구간 추가기(302)는 상기 반복기(302)로부터의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1
길이의 샘플데이터의 앞과 뒤에 보호구간(C, A)을 추가하여 기저대역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이렇게 생성된 랜덤엑스채널 신호는 주파수 옵셋 추정을 요구하는 모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6)는 상기 보호구간 추가기(304)로부터의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RF처리기(308)는 필터(filter)와 전처리기(front and unit) 등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06)로부터의 신호를 실제 전송 가능하도록 RF처리한후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랜덤 억세스 채널 수신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랜덤 억세스 채널 수신장치는, RF처리기(400), A/D변환기(402), 샘플추출기(404), 스위치(406), 지연기(408), 곱셈기들(410,412), 랜덤억세스코드 발생기(414), 공액 발생기(416), 가산기들(418,420) 및 시간/주파수 옵셋 추정기(4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RF처리기(400)는 전처리기(front end unit)와 필터 등을 포함하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2)는 상기 RF처리기(400)로부터의 아날로그 기저대역 신호를 디지털 신호(샘플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샘플추출기(404)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402)로부터의 샘플데이터중 소정 기준(슬롯 시작점)에서 m(m=0,1,2..)번 이동된 위치로부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2
개의 샘플들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스위치(406)는 상기 샘플추출기(404)로부터의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3
개의 샘플들중 앞구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4
개의 샘플들은 지연기(408)로 출력하고, 뒷구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5
개의 샘 플들은 곱셈기(412)로 출력한다. 상기 지연기(408)는 상기 스위치(406)로부터의 샘플들을 소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한다.
랜덤억세스코드 발생기(414)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어하에 특정 랜덤억세스코드(예 : PN시퀀스)를 발생한다. 공액발생기(416)는 상기 랜덤억세스코드 발생기(414)로부터의 시퀀스를 공액 복소수화하여 출력한다.
곱셈기(410)는 상기 지연기(410)로부터의 상기 앞구간 샘플들과 상기 공액발생기(416)로부터의 시퀀스를 곱하여 출력한다. 가산기(418)는 상기 곱셈기(410)로부터의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6
개의 값들을 가산하여 제1상관값을 출력한다. 곱셈기(412)는 상기 스위치(406)로부터의 상기 뒷구간 샘플들과 상기 공액발생기(416)로부터의 시퀀스를 곱하여 출력한다. 가산기(420)는 상기 곱셈기(412)로부터의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7
개의 값들을 가산하여 제2상관값을 출력한다.
시간/주파수 옵셋 추정기(422)는 상기 제1상관값과 상기 제2상관값을 이용해 시간 옵셋(TO : Time Offset)과 주파수 옵셋(FO : Frequency Offset)을 추정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간/주파수 옵셋 추정기(422)는 상기 제1상관값과 상기 제2상관값을 평균 상관값과 비교하여 특정 수준 이상인지 판단한다. 상기 제1상관값과 상기 제2상관값 모두 특정 수준 이상이면, 상기 제2상관값과 제1상관값의 비가 특정 수준 이하인지 판단한다. 이 두 상관값들의 비가 특정 수준 이하이면, 상기 시간/주파수 옵셋 추정기(422)는 랜덤억세스코드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 시점의 샘플링 인덱스(또는 시간 인덱스)를 이용해 시간 옵셋을 추정한다. 또한, 상기 시간/주파수 옵셋 추정기(422)는 상기 수학식 6과 상기 수학식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관값을 상기 제1상관값으로 나누어 위상값을 추출하고, 상기 위상값을
Figure 112007028761465-pat00058
로 나누어 주파수 옵셋을 추정한다. 이렇게 추정된 시간 옵셋 및 주파수 옵셋은 해당 단말기로 피드백되어 상향링크 시간 옵셋 및 주파수 옵셋을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시간 인덱스 m을 순차로 증가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3단계에서 수신되는 샘플데이터에 대하여 소정 기준(슬롯 시작점)에서 m번 이동된 위치로부터
Figure 112006025902019-pat00059
개의 샘플들을 추출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샘플들중 앞구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60
개의 샘플들과 미리 알고 있는 랜덤억세스코드(또는 레인징코드)를 상관하여 제1상관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509단계에서 상기 제1상관값을 평균 상관값으로 나눈 값의 절대값을 계산하고, 상기 절대값이 소정 제1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지국은 513단계에서 상기 평균 상관값을 갱신한다. 반면, 상기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기지국은 515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샘플들중 뒷구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61
개의 샘플들과 미리 알고 있는 랜덤억세스코드(또는 레인징코드)를 상관하여 제2상관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511단계에서 상기 제2상관값을 평균 상관값으로 나눈 값의 절대값을 계산하고, 상기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513단계에서 상기 평균 상관값을 갱신한다. 반면, 상기 절대값이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515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기지국은 상기 515단계에서 상기 제2상관값을 상기 제1상관값으로 나눈 값의 절대값(이하 "비의 절대값"이라 칭함)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비의 절대값이 소정 제2기준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비의 절대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평균 상관값을 갱신한다.
만일, 상기 비의 절대값이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기지국은 517단계로 진행하여 랜덤억세스코드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 시점(또는 피크 검출 시점)의 시간 인덱스(m)를 이용하여 시간 옵셋(TO : Time Offset)을 추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519단계에서 상기 수학식 6과 상기 수학식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관값을 상기 제1상관값으로 나누어 위상값을 추출하고, 상기 위상값을
Figure 112007028761465-pat00062
로 나누어 주파수 옵셋(FO : Frequency Offset)을 추정한다. 이렇게 추정된 시간 옵셋 및 주파수 옵셋은 해당 단말기로 피드백되어 상향링크 시간 옵셋 및 주파수 옵셋을 보정하는데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파수 동기가 중요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옵셋 추정 기술은 기존에 운용되는 랜덤 억세스 채널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자원할당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Claims (20)

  1. 동일한 2개의 시퀀스들로 구성되는 랜덤억세스채널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랜덤억세스채널 신호에서 상기 2개의 시퀀스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추출하는 채널수신기와,
    상기 채널수신기로부터의 샘플들중 앞구간 샘플들과 뒷구간 샘플들을 미리 알고 있는 시퀀스와 상관하여 제1 및 제2상관값을 계산하는 상관기와,
    상기 상관기로부터의 상기 제2상관값과 상기 제1상관값의 비를 이용해서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옵셋 추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기는,
    상기 미리 알고 있는 시퀀스를 발생하는 코드 발생기와,
    상기 코드 발생기로부터의 시퀀스를 공액복소수화하여 출력하는 공액 발생기와,
    상기 앞구간 샘플들과 상기 공액 발생기로부터의 시퀀스를 곱하여 상기 제1상관값을 발생하는 제1곱셈기와,
    상기 뒷구간 샘플들과 상기 공액 발생기로부터의 시퀀스를 곱하여 상기 제2상관값을 발생하는 제2곱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기는 상기 제2상관값을 상기 제1상관값으로 나누어 위상값을 추출하고, 상기 위상값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63
    로 나누어 상기 주파수 옵셋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관값과 상기 제2상관값이 기준 이상일 경우, 피크가 검출된 시간 인덱스를 이용해서 시간 옵셋을 추정하는 시간옵셋 추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관값과 상기 제2상관값이 제1기준 이상이고, 상기 제2상관값과 상기 제1상관값의 비가 제2기준보다 작을 경우, 피크가 검출된 시간 인덱스를 이용해서 시간 옵셋을 추정하는 시간옵셋 추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옵셋을 해당 단말기로 피드백하기 위한 피드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는 특정 PN시퀀스를 한번 반복하고, 상기 반복된 신호의 앞과 뒤에 보호구간을 추가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처리기와,
    상기 RF처리기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부터의 샘플데이터에서 상기 2개의 시퀀스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샘플추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 특정 시퀀스를 발생하는 코드 발생기와,
    상기 코드 발생기로부터의 시퀀스를 한번 반복하여 출력하는 반복기와,
    상기 반복기로부터의 샘플데이터의 앞과 뒤에 보호구간을 추가하여 기저대역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발생하는 보호구간 추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간 추가기로부터의 기저대역 샘플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처리하여 송신하기 위한 RF처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동일한 2개의 시퀀스들로 구성되는 랜덤억세스채널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랜덤억세스채널 신호에서 상기 2개의 시퀀스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샘플들중 앞구간 샘플들과 뒷구간 샘플들을 미리 알고 있는 시퀀스와 상관하여 제1 및 제2상관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2상관값과 상기 제1상관값의 비를 이용해서 주파수 옵셋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상관값 계산 과정은,
    상기 미리 알고 있는 시퀀스를 공액복소수화하는 과정과,
    상기 앞구간 샘플들과 상기 공액복소수화된 시퀀스를 곱하여 상기 제1상관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뒷구간 샘플들과 상기 공액복소수화된 시퀀스를 곱하여 상기 제2상관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옵셋 추정 과정은,
    상기 제2상관값을 상기 제1상관값으로 나누어 위상값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위상값을
    Figure 112006025902019-pat00064
    로 나누어 상기 주파수 옵셋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관값과 상기 제2상관값이 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 이상일 경우, 피크가 검출된 시간 인덱스를 이용해서 시간 옵셋을 추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관값과 상기 제2상관값이 제1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기준 이상일 경우, 상기 제2상관값과 상기 제1상관값의 비가 제2기준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2기준보다 작을 경우, 피크가 검출된 시간 인덱스를 이용해서 시간 옵셋을 추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주파수 옵셋을 해당 단말기로 피드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는 특정 PN시퀀스를 한번 반복하고, 상기 반복된 신호의 앞과 뒤에 보호구간을 추가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추출 과정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디지털 샘플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데이터에서 상기 2개의 시퀀스들에 해당하는 샘플들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는 특정 시퀀스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시퀀스를 한번 반복하는 과정과,
    상기 반복된 샘플데이터의 앞과 뒤에 보호구간을 추가하여 기저대역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랜덤억세스채널 신호를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기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0033844A 2006-04-14 2006-04-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21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44A KR100821938B1 (ko) 2006-04-14 2006-04-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방법
US11/787,410 US7949034B2 (en) 2006-04-14 2007-04-16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uplink frequency offse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44A KR100821938B1 (ko) 2006-04-14 2006-04-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121A KR20070102121A (ko) 2007-10-18
KR100821938B1 true KR100821938B1 (ko) 2008-04-15

Family

ID=3881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8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1938B1 (ko) 2006-04-14 2006-04-14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49034B2 (ko)
KR (1) KR1008219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033A (ko) 2006-09-05 2008-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코딩 정보 피드백 방법 및 프리코딩 방법
WO2008051033A2 (en) * 2006-10-25 2008-05-02 Lg Electronics Inc. Methods for adjusting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against frequency offset
ES2686302T3 (es) 2007-01-05 2018-10-17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para establecer el desplazamiento cíclico considerando el desplazamiento de la frecuencia
EP2458805B1 (en) 2007-01-05 2018-06-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cyclic shift considering frequency offset
KR101315383B1 (ko) * 2007-08-10 2013-10-07 한국과학기술원 Gps 수신기를 사용하지 않는 와이브로 시스템의 소수배주파수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US8270540B2 (en) * 2008-09-30 2012-09-18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code detection and DC offset-interference correction
CN101511130B (zh) * 2009-02-25 201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覆盖场景下的频偏获取方法和系统
KR101445947B1 (ko) * 2009-11-13 2014-09-2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방법과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120069174A (ko) * 2010-12-20 2012-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임의 접근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US8836163B2 (en) 2012-02-14 2014-09-16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Adaptive controller for STATCOM to enhance voltage stability
EP3069515B1 (en) 2013-11-11 2020-07-1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20160147920A (ko) * 2014-04-29 2016-12-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랜덤 액세스 장치 및 방법
DE102016119750B4 (de) * 2015-10-26 2022-01-13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en und Verfahren zur Mehrkanalabtastung
CN106375257B (zh) * 2016-08-29 2019-03-29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fft的多级频偏估计方法
CN111654349B (zh) * 2020-06-24 2022-01-14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帧同步方法及系统
CN114610707B (zh) * 2022-03-24 2025-02-07 国网上海市电力公司 基于用户量化评价的电力采集系统缺失数据多重插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150A (ko) * 1998-03-25 1999-10-25 밀러 제리 에이 주파수 오프셋 및 잡음을 보상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및 분산 스펙트럼 시스템을 위한 적응 획득 시스템
KR20010028672A (ko) * 1999-09-22 2001-04-06 윤종용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화 신호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42706A (ko) * 1998-04-14 2001-05-25 슈베르트 헬무트 멀티캐리어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동기화
KR20060071072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타이밍 에러와 주파수오프셋을 추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0291B1 (en) * 1996-03-29 2001-12-11 Qualcomm Inc. Frequency tracking for communication signals using M-ary orthogonal walsh modulation
EP1499081A3 (en) * 2003-07-18 2007-01-03 Broadcom Corporation Multicarrier signal structure
KR100640581B1 (ko) * 2004-07-02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 링크 통신시 엑세스 사용자의 주파수 옵셋을제어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및 주파수옵셋 제어 방법
EP1776796B1 (en) * 2004-08-13 2012-04-1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frequency offset
US7675888B2 (en) * 2005-09-14 2010-03-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OFDMA) rang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150A (ko) * 1998-03-25 1999-10-25 밀러 제리 에이 주파수 오프셋 및 잡음을 보상하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및 분산 스펙트럼 시스템을 위한 적응 획득 시스템
KR20010042706A (ko) * 1998-04-14 2001-05-25 슈베르트 헬무트 멀티캐리어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조와 프레임 동기화
KR20010028672A (ko) * 1999-09-22 2001-04-06 윤종용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화 신호의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71072A (ko)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타이밍 에러와 주파수오프셋을 추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49034B2 (en) 2011-05-24
US20080232343A1 (en) 2008-09-25
KR20070102121A (ko)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938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방법
CN101536336B (zh) 用于快速小区搜索的方法和装置
US761310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synchronization for OFDMA downlink signal
US20080043858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Frame Preamble in Ofd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Frame Synchronization and Searching Cells Using Preamble
US7957361B2 (en) Transmitter, transmitting method,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for MC-CDMA communication system
US75649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ranging signal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0084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레인징 장치 및 방법
JP4569929B2 (ja) 通信装置
JP5497800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キャリア周波数オフセットを補償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663489B1 (ko) 직교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셀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742128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방식의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0722184B1 (ko) 정확한 tof 측정을 위해 ofdm 모뎀들의 동기화시점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70824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917377A (zh) 多载波码分多址系统中的同步
WO200602342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cell search
US201003292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non-synchronous signal in ofdma system
KR101421406B1 (ko)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동기를 위한 상관장치 및 방법
JP2013251902A (ja) 受信機を同期させるデバイス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20050092063A (ko) 직교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파일럿 신호 생성 방법및 장치
US10148413B2 (en) Method for synchronising an FBMC system using a RACH channel
TW201021483A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ference signal (RS) timing loop for OFDM symbol synchronization and tracking
KR101110312B1 (ko)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265619B1 (ko) 복합 동기 채널 구조, 이를 이용한 신호 전송, 시퀀스적용, 시퀀스 분석 방법 및 장치
KR20050011292A (ko) 다수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 통신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CN102325116B (zh) 通信系统中的同步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4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