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655B1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Google Patents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1655B1 KR100821655B1 KR1020070010622A KR20070010622A KR100821655B1 KR 100821655 B1 KR100821655 B1 KR 100821655B1 KR 1020070010622 A KR1020070010622 A KR 1020070010622A KR 20070010622 A KR20070010622 A KR 20070010622A KR 100821655 B1 KR100821655 B1 KR 1008216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 control valve
- flow path
- valve body
- fluid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a fluid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유입포트로부터 각각의 흐름경로를 구획 형성하는 메인 유로 및 바이패스 유로 그리고 이들이 배출포트 근처에서 합쳐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통합 유로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유체제어밸브의 조립부가 구비되는 밸브바디 케이스와,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직선 변위를 갖는 스템 및 이 스템의 일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것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메인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의 각 시작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유닛를 구비하는 1차밸브와,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조립부와 마주하는 밸브바디 케이스의 일측에 일정거리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나사체결되어 메인 유로의 종료포트를 개폐하는 2차밸브와, 상기 메인 유로상의 시작포트 근처에 설치되어 유체흐름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밸브바디 케이스내에 형성되는 메인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단일의 부재로 된 1차밸브를 통해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여 신속한 제어의 실시가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ain flow passage and a bypass flow passage defining a respective flow path from the inflow port and an integrated flow path formed by merging them near the discharge port, and on one side, a valve body having an assembly portion of a fluid control valve. Optionally, the stem, the stem having a linear displacement screwed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case, and the respective start ports of the main flow passage and the bypass flow passag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by being integrally interlocked with one end of the stem and integrally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primary valve having a valve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a secondary valve for faste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case facing the assembly portion of the fluid control valve to open and close the end port of the main flow path; Installed near the start port on the main flow path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fluid flow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iner.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can be easily carried out through the primary valve made of a single member which can be lifted to selectively switch the main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formed in the valve body case, so that the operability is good and rapid control. Is possib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제어를 위한 밸브와 배관라인이 결합된 배관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iping system combined with a valve and a piping line for fluid contro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a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를 나타낸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유체의 메인 유로의 개방에 따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main flow path of the fluid in the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유체의 바이패스의 개방에 따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bypass of the fluid in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유체의 플러싱(Flushing)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ushing (Flushing) flow of the fluid in the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스트레이너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state of the strainer in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 유체제어밸브의 일종인 감압밸브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pressure reducing valve which is a kind of a fluid control valve in a complex control valve body of a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복합제어 밸브바디 10 : 밸브바디 케이스1: combined control valve body 10: valve body case
11 : 유입포트 13 : 배출포트11: inlet port 13: outlet port
15 : 메인 유로 17 : 바이패스 유로15: main euro 17: bypass euro
19 : 통합 유로 20 : 1차밸브19: integrated flow path 20: primary valve
21 : 스템 23 : 핸들21: Stem 23: Handle
25 : 밸브유닛 25a : 상 시트25:
25b : 하 시트 25c : 코일 스프링25b:
27 : 스페이서 30 : 2차밸브27: spacer 30: secondary valve
31 : 스템 33 : 핸들31
35 : 2차 밸브유닛 37 : 스페이서 35: secondary valve unit 37: spacer
40 : 스트레이너40: strainer
본 발명은 감압밸브·정수위밸브·정유량밸브·차압조절밸브 등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밸브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 동작에 의해 메인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간소한 구조이면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 는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유체제어밸브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In general, a fluid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a fluid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its use.
일예로, 사용목적보다 유체(고압증기 ·공기 ·가스)의 압력이 높을 때 감압하고, 감압 후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으로서, 사하중(死荷重) ·스프링·다이어프램 등에 의해 밸브에 힘이 가해지는 구조를 갖는 감압밸브(pressure reducing valve)와, 배관 시스템에서 압력의 변동에 상관없이 정확한 유량의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정유량조절 밸브(Auto Flow Control Valve)와, 공급관(Supply Line)과 환수관(Return Line)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의 부하변동에 따른 차압 불균형을 해소하여 차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관설비 전체의 안정화를 유도하는 차압조절 밸브(Differential Control Valves)와,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배관라인 상에 설치되어 물탱크에 항상 일정수위가 유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밸브의 닫히는 속도를 제어하여 워터해머(Water Hammer)현상을 방지하는 정수위 밸브 등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high pressure steam, air, gas) is higher than the intended use, the pressure is reduced, and the pressure is kept constant after the decompression, and the force is applied to the valve by dead weight, spring, diaphragm, or the like. Structured pressure reducing valves, Auto Flow Control Valves that enable accurate flow distribution regardless of pressure fluctuations in piping systems, Supply Lines and Return lines ( Differential control valves are installed between the return lines to solve the differential pressure imbalance caused by the fluctuations in the pipe load and to maintain the differential pressure to induce the stabilization of the entire piping facility, an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It is installed on the pipe line to control the water tank to maintain constant water level at the same time and to control the closing speed of the valve to prevent water hammer phenomenon. Above a valve or the like.
이러한 유체제어밸브들은 공통적인 배관설비 시스템을 적용 받는다.These fluid control valves are subject to a common piping system.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제어를 위한 밸브와 배관라인이 결합된 배관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iping system combined with a valve and a piping line for fluid contro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측 배관(230a)에 흐름을 차단하는 1차측 스톱밸 브(240)와 유체의 흐름상에 발생되는 미세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트레이너(250)가 각각 설치되고, 2차측 배관(230b)에는 유체제어밸브(210)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2차측 스톱밸브(260)가 구성되며, 스트레이너(250)에 걸러진 이물질 제거나 상기에서 열거한 유체제어밸브(210)의 수리 및 교환을 위해 주 배관(230a,230b)을 스톱밸브(240,260)를 통해 일시 차단함과 동시에 유체를 우회시키도록 바이패스 배관(270) 및 바이패스 밸브(271) 등을 필요로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그러나 유체제어를 위한 밸브장치, 즉 감압밸브, 정수위밸브, 정유량밸브, 차압조절밸브 등을 포함하는 각각의 배관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톱밸브, 바이패스 밸브 및 스트레이너와, 각 밸브간의 많은 연결배관(주배관, 바이패스 배관)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의 설치시 상기의 각 구성요소에 따른 자재비나 설치비용, 특히 용접비용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용접에 의한 이음매가 높은 압력에 의해 종종 파손되는 것에 의해 잦은 수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이 큰 단점이 있다. 아울러 각종 밸브와 연결배관에 의한 중량 증가에 따른 별도의 지지구조물의 설치를 수반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compose each piping system including a valve device for controlling a fluid, that is, a pressure reducing valve, a water level valve, a constant flow valve, a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and the like, the stop valve, the bypass valve and the strainer, and many connections between the valves Since the piping (main piping, bypass piping) is required, the material cost and installation cost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in particular, the welding cost is considerable, and the joints by welding are frequently damaged by high pressure. Not only does it require repair, but also takes up a lot of installation space, there is a big disadvantage of the installation space constraints.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must be accompanied by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weight increase by various valves and connecting pip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595018호를 통해 개선된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를 제안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registered by proposing an improved “complex control valve body of a fluid control valve” through Korean Patent No. 595018.
도 2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 한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를 개략적 으로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복합제어 밸브바디(100)는 크게 밸브바디 케이스(110)와 이중구조밸브(120) 그리고 개폐밸브(130)와 스트레이너(140)로 구성된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a fluid control valve, which is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the composite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110)는 그 내부에 유입포트(111)로부터 상부 흐름 경로인 메인 유로(117)와, 이와 연통하지 않는 하부 흐름 경로인 바이패스 유로(118)가 구획 형성되고, 상기 메인 유로(117)와 바이패스 유로(118)가 배출포트(113) 근처에서 합쳐지는 통합 유로(119)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유체제어밸브의 작동범위가 메인 유로(117) 상에 포함되도록 다양한 유체제어밸브의 조립부를 구비하는 구조이다.The
상기 이중구조밸브(120)는 상술한 밸브바디 케이스(110)의 하부 일측에 일정거리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직결되어 메인 유로(117)와 바이패스 유로(118)의 각 시작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118)를 개폐하기 위해 밸브바디 케이스(110)의 하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바이패스 개폐밸브(121)와, 상기 바이패스 개폐밸브(121)의 내주연과 나사결합되어 메인 유로(117)의 시작포트를 개폐하는 메인 유로 개폐밸브(123)를 구비하는 구성이다.The
상기 개폐밸브(130)는 상기 유체제어밸브 조립부(115)와 마주하는 밸브바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정거리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어 상기 메인 유로(117)의 종료포트를 개폐하는 구성이고, 상기 스트레이너(140)는 메인 유로(117)의 시작포트 근처에 설치되어 유체흐름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여과한다. The on-off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100)는 이중 구조밸브(120)를 구성하는 바이패스 개폐밸브(121)와 메인 유로 개폐밸브(123)를 선택적 또는 일체로 조작함과 동시에 개폐밸브(1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유량제어를 가능하게 한다.The composite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100)는 이중구조밸브(120)의 구조가 복잡하여 조작성 및 조립성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동작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mplex
즉, 종래의 이중구조밸브(120)는 바이패스 개폐밸브(121)와 메인 유로 개폐밸브(123)가 상호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 시키는 것에 의해 유량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량제어에 따라 각각의 개폐밸브(121,123)를 선택적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 개폐밸브(121)와 메인 유로 개폐밸브(123)가 단일의 몸체를 형성하면서 상호간에 슬라이드 끼움구조로 조립되어야 하므로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여 생산성 및 수율성이 낮으며, 사용자들이 밸브 조절시 복잡한 구조로 조작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밸브(감압밸브·정수위밸브·정유량밸브·차압조절밸브 등)와 선택적으로 접속연결되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 는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by selectively connected and connected to various control valves (pressure reducing valve, water level valve, constant flow valve,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etc.) for controlling the flui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a fluid control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구조로 제공되어 승강동작에 의해 메인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1차 밸브를 구성하여 조립성 및 조작성을 양호하게 하고 동작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gle structure to configure the primary valve to selectively switch the main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by the lifting operation to improve the assembly and operability and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fluid control valve To provide a combined control valve body.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는, 유입포트로부터 각각의 흐름경로를 구획 형성하는 메인 유로 및 바이패스 유로 그리고 이들이 배출포트 근처에서 합쳐지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통합 유로를 형성하며, 일측에는 유체제어밸브의 조립부가 구비되는 밸브바디 케이스와;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어 직선 변위를 갖는 스템 및 이 스템의 일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것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메인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의 각 시작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유닛를 구비하는 1차밸브와;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조립부와 마주하는 밸브바디 케이스의 일측에 일정거리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나사체결되어 메인 유로의 종료포트를 개폐하는 2차밸브와; 상기 메인 유로상의 시작포트 근처에 설치되어 유체흐름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by a main flow passage and a bypass flow passage which define respective flow paths from an inflow port, and are merged near the discharge port. A valve body case having an integrated flow path and having an assembly of a fluid control valve at one side thereof; A valv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each start port of the main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that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by being screwed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case and coupled to and integrally interlocked with one end of the stem having a linear displacement. A primary valve having a unit; A secondary valve which is screwed to one side of the valve body case facing the assembly portion of the fluid control valve so as to be vertically mov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pen and close the end port of the main flow pa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ainer is installed near the start port on the main flow path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fluid fl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는 상기 유입포트를 기준으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메인 유로의 시작포트와 바이패스 유로의 시작포트가 대향 배치되게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body cas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art port of the main flow path and the start port of the bypass flow path are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flow port.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1차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시작포트 개도를 조절하여 2차측으로 적정유량의 흐름을 패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valve is configured to pass the flow of the appropriate flow rate to the secondary side by adjusting the opening port opening of the bypass flow path.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스템은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의 외측으로 위치되는 일단에 회전 조작력을 받는 핸들이 결합되고,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타단은 밸브바디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관형상의 스페이서에 나사 체결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m is coupled to the handle receiving a rotational operation force at one end that is located outside of the valve body case, the other end of the valve body case is located inside one side of the valve body case It is screwed to the tubular spacer to be fix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스템은 상기 핸들과 반대되는 타측 단부의 지름을 감소되게 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행정 로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행정 로드부를 따라 직선 이동되게 슬라이드 끼움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메인 유로의 각 시작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하 시트부 및 이들 상·하 시트부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m forms a stroke ro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handle, and the valve unit slides to move linearly along the stroke rod portion. And upper and lower seat portions disposed at upper and lower intervals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respective start ports of the bypass flow passage and the main flow passage, and coil springs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eat portions to act as an elastic support force. It is comprised in includ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유체제어밸브의 조립부에 접속 설치되는 유체제어밸브는 감압밸브, 정수위밸브, 정유량밸브, 차압조절밸브 중 어느 하나인 것에 있다.As another preferabl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assembly portion of the fluid control valve is any one of a pressure reducing valve, a water level valve, a constant flow valve, and a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는 외체를 형성하면서 그 내부에 각종 구성품이 설치되는 밸브바디 케이스(10)와,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10)의 내부에 구획 형성된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의 각 시작포트(15s,17s)의 개폐를 단속하는 1차밸브(20)와, 메인 유로(15)의 종료포트(15e)의 개폐를 단속하는 2차밸브(30) 그리고 유체 흐름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트레이너(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밸브바디 케이스(10)는 유체의 유입을 위한 유입포트(11)와 유체의 배출을 위한 배출포트(13)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포트(1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 경로를 구획 형성하는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 그리고 이들이 배출포트(13) 근처에서 합쳐지는 것에 의해 구비되는 통합 유로(19)가 형성된다. The
즉, 도면에서 바라보면 상기 유입포트(11)를 기준으로 상·하로 분기되는 형태로 메인 유로(15)의 시작포트(15s)와 바이패스 유로(17)의 시작포트(17s)가 대향 배치되고, 상기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는 서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관로를 형성하며 배출포트(13)의 근처에서 바이패스 유로(17)의 일측이 메인 유로(15)와 연통되는 것에 의해 유체가 공통적으로 배출포트로 배출되는 통합 유로(19)를 형성하는 구조이다.That i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러한 밸브바디 케이스(10)는 일측에 유체제어밸브의 조립부(10a)가 형성되며, 이러한 조립부(10a)는 유체제어밸브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적용되는 유체제어밸브의 작동범위가 메인 유로(15)상에 포함되게 한다. 한편, 상기 조립부(10a)에 접속 설치되는 유체제어밸브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압밸브(R)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정수위밸브, 정유량밸브, 차압조절밸브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체제어밸브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이러한 구성의 밸브바디 케이스(10)는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의 유로 확정을 위한 1차밸브(20)가 설치되고 종료포트(15e)의 개폐를 위한 2차밸브(30)가 각각 설치되는 구조이다.The
1차밸브(20)는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10)의 일측에 나사 체결되는 구조에 의해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한 직선 변위를 갖는 부재로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17)의 시작포트(17s) 개도를 조절하여 2차 측으로 적정유량의 흐름을 패스하도록 구성된다.The
즉, 상기 1차밸브(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그 일단은 밸브바디 케이스(10)의 외부에 노출되게 구비되고 타단은 밸브바디 케이스(10)의 내부 즉,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의 각 시작포트(15s,17s)를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스템(21)과, 이 스템(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작업자로부터의 회전 조작력을 입력받기 위한 핸들(23)과, 상기 스템(21)의 타단에 구비되어 일체로 연동하는 것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의 각 시작포트(15s,17s)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유닛(25)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1차밸브(20)에서 스템(2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재로서, 도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10)의 상측으로 노출된 일단에는 작업자로부터 회전조작력을 받기 위한 핸들(23)이 결합되고, 일단은 밸브바디 케이스(10)의 내부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관형상의 스페이 서(27)와 나사 체결되면서 삽입 통과되며, 그 끝단부측 즉 핸들(23)의 타측 단부에는 지름을 감소되게 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행정 로드부(21a)가 형성된다. Here, the
한편, 상기 행정 로드부(21a)는 감소된 지름으로 구비되어 상단측은 단차를 형성하는 구조이고 하단측은 너트부재(미부호)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마련되며, 이러한 행정 로드부(21a)에는 밸브유닛(25)이 승강 가능하게 슬라이드 끼움 구조로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roke rod portion (21a) is provided with a reduced diameter, the upper side is a structure to form a step and the lower side is provided by fastening the nut member (unsigned), this
이와 같은 구성의 1차밸브(2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핸들(23)을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스템(21)이 일체로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의 상기 스템(21)은 스페이서(27)와 나사체결되어 있으므로 도면에서 바라보면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을 실시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밸브유닛(25)이 시작포트(15s,17s)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When the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유닛(2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1차밸브(20)의 스템(21) 하부에 마련되는 행정 로드부(21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움 조립되며, 스템(21)의 승강 동작에 연동하여 직선변위를 갖는 것에 의해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의 각 시작포트(15s,17s)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부재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밸브유닛(25)은 크게 메인 유로(15)와 바이패스 유로(17)의 각 시작포트(15s,17s)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각각의 차폐부재인 상 시트(25a)와 하 시트(25b)가 스템(21)의 행정 로드부(21a) 상에서 직선 변위를 갖도록 슬라이드 끼움되고, 이들 상 시트(25a)와 하 시트(25b) 사이에는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25c)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The
따라서, 상기 1차밸브(20)의 스템(21)이 상승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스템(21)의 하단에 결합된 너트부재가 밸브유닛(25)의 하 시트(25b) 하단부를 가압 지지하고, 이 하 시트(25b)는 코일 스프링(25c)을 압축시키면서 상 시트(25a)를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승 이동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상 시트(25a)가 바이패스 유로(17)의 시작포트(17s)를 차단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이와 반대로 상기 스템(21)이 하강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스템(21)의 행정 로드부(21a) 상단측에 형성되는 단차부(미부호)가 밸브유닛(25)의 상 시트(25a) 상단부를 가압 지지하고, 이 상 시트(25a)는 코일 스프링(25c)을 코일 스프링(25c)을 압축시키면서 하 시트(25b)를 탄성 가압하는 것에 의해 하강 이동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하 시트(25b)가 메인 유로(15)의 시작포트(15s)를 차단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2차밸브(30)는 상기 조립부(10a)와 마주하는 밸브바디 케이스(10)의 일측에 일정거리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나사 체결로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상기 메인 유로(15)의 종료포트(15e)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2차밸브(30)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템(31)를 구비하며, 이 스템(31)은 밸브바디 케이스(10)의 일측에 결합된 스페이서(37)의 내주면을 삽입 통과하면서 나사체결되는 것에 의해 정·역 회전시 직선 변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스 템(31)은 밸브바디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일단측에 작업자로부터 회전 조작력을 입력받기 위한 핸들(33)이 결합되고 밸브바디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되는 타단에는 2차 밸브유닛(35)이 구비된다. The
이러한 구성의 2차밸브(3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스트레이너(40)는 메인 유로(15) 상의 시작포트(15s) 근처에 설치되어 유체 흐름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세척을 위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레이너(40)는 운전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스트레이너(40)의 청소시 밸브바디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 차단 플레이트를 스트레이너(40)의 편심측단에 힌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이너(4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의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의 작동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유체의 메인 유로의 개방에 따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according to the opening of the main flow path of the fluid in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유체의 메인흐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메인 유 로(15)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1차밸브(20)의 핸들(23)을 일방향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23)이 결합된 스템(21)이 일방향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10)에 결합된 스페이서(27)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상승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밸브유닛(25)이 일체로 상승된다.As shown in this figure, in order to generate the main flow of the fluid, the
이때, 상기 밸브유닛(25)은 스템(21)이 상승 이동을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템(21)의 하단에 결합된 너트부재가 밸브유닛(25)의 하 시트(25b) 하단부를 상승 가압 지지하게 되고, 이 하 시트(25b)는 상승 지지력에 의해 그 상측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25c)을 압축시키면서 상 시트(25a)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 시트(25a)는 바이패스 유로(17)의 시작포트(17s)를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2차밸브(30)는 상술한 1차밸브(20)와 마찬가지로 2차 밸브유닛(35)이 상승 이동되도록 하여 종료포트(15e)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유체는 유입포트(11)를 통해 시작포트(15s)⇒메인 유로(15)⇒종료포트(15e)⇒통합 유로(19)를 따라 흐르면서 최종적으로 배출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 흐름을 갖는다.Accordingly, the fluid flows through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유체의 바이패스의 개방에 따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장치의 운전을 멈추지 않고서 스트레이너(40)의 세척이나 유체제어밸브의 보수를 위해 분해 및 조립시 정상의 적정압으로 감압된 유체를 2차측으로 바이패스해야 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the bypass of the fluid in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of the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유체의 바이패스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바이패스 유로(17)가 개방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As shown therein, the
이를 위해서 상기 1차밸브(20)의 핸들(23)을 역방향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23)이 결합된 스템(21)이 역방향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바디 케이스(10)에 결합된 스페이서(27)와의 나사체결에 의해 하강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밸브유닛(25)이 일체로 하강된다.To this end, when the
이때, 상기 밸브유닛(25)은 스템(21)이 하강 이동을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템(21)의 행정 로드부(21a)의 단차가 밸브유닛(25)의 상 시트(25a) 상단부를 하강 가압 지지하게 되고, 이 상 시트(25a)는 하강 지지력에 의해 그 하측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25c)을 압축시키면서 하 시트(25b)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 시트(25b)는 메인 유로(15)의 시작포트(15s)를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2차밸브(30)는 상술한 1차밸브(20)와 마찬가지로 핸들(33)을 역방향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2차 밸브유닛을 하강 이동시켜 종료포트(15e)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유체는 유입포트(11)를 통해 시작포트(17s)⇒바이패스 유로(17)⇒통합 유로(19)를 따라 흐르면서 최종적으로 배출포트(13)를 통해 배출되는 흐름을 갖는다.Therefore, the fluid flows through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유체의 플러 싱(Flushing)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ushing (Flushing) flow of the fluid in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배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한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1차밸브(20)를 작동시켜 메인 유로(15)의 시작포트(15s)는 개방되는 반면 바이패스 유로(17)의 시작포트(17s)는 닫도록 하고, 또한 종료포트(15e)를 완전히 닫히는 2차밸브(30)를 작동시킨 후 볼 밸브(bv)를 열어 고압의 1차측 유체압을 외기로 강제 배기시키면, 1차측 배관의 이물질이 외기로 빠져나가면서 자연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this figure, the flow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pipe is show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에서 스트레이너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트레이너(40)의 세척 및 교환을 위해 밸브바디 케이스(10)와 나사 결합된 커버(미부호)를 분리시켜 스트레이너(40)를 픽업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state of the strainer in the combined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shows the process of picking up the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유체제어밸브의 복합제어 밸브바디는, 밸브바디 케이스내에 형성되는 메인 유로와 바이패스 유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단일의 부재로 된 1차밸브를 통해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양호하여 신속한 제어의 실시가 가능하다. The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the fluid control valve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hrough a single member primary valve provided to be capable of lifting in selectively switching the main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formed in the valve body case. Since it can be easily performed, operability is good and quick control is possible.
특히, 기존에 비해 간소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제조 생산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as it is provided in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production, but also to provide an advantage of expecting improved assembly and productivity.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622A KR100821655B1 (en) | 2007-02-01 | 2007-02-01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0622A KR100821655B1 (en) | 2007-02-01 | 2007-02-01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1655B1 true KR100821655B1 (en) | 2008-04-14 |
Family
ID=3953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0622A Active KR100821655B1 (en) | 2007-02-01 | 2007-02-01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1655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4011B1 (en) * | 2014-09-15 | 2014-11-04 | 주식회사 산청 |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app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KR20150040187A (en) * | 2013-10-04 | 2015-04-14 | 주식회사 이지서보 | Servo Valve with Control Function Pipe-Gauge |
WO2016024708A1 (en) * | 2014-08-13 | 2016-02-18 | 주식회사 산청 | Valve assembly having provided bypass channel, and pressure regulator, for air respirator, having same |
KR102023335B1 (en) | 2019-06-25 | 2019-11-25 | 울트라밸브 주식회사 | Complex valve having modularized structure |
CN111810680A (en) * | 2020-06-28 | 2020-10-23 | 无锡市华尔泰机械制造有限公司 | A collection valve structure |
RU2756951C2 (en) * | 2019-08-01 | 2021-10-07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пыт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мени И.И. Африкантова" (АО "ОКБМ Африкантов") | Double-closure valve |
CN118423478A (en) * | 2024-07-01 | 2024-08-02 | 四川艾思瑞阀门科技有限公司 | Dual-channel valve structure with filtering function |
CN118564691A (en) * | 2024-07-26 | 2024-08-30 | 浙江坤湧兴阀门有限公司 | Integrated valve filtering unit and valv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7282Y1 (en) | 2001-01-09 | 2001-06-15 | 정학모 | Piping valve |
KR200290295Y1 (en) | 2002-05-23 | 2002-09-26 | 주식회사 원일산업 | Multi-functionated valve for constructing facilities |
KR100595018B1 (en) * | 2005-11-18 | 2006-06-30 | 신우공업 주식회사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
2007
- 2007-02-01 KR KR1020070010622A patent/KR1008216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7282Y1 (en) | 2001-01-09 | 2001-06-15 | 정학모 | Piping valve |
KR200290295Y1 (en) | 2002-05-23 | 2002-09-26 | 주식회사 원일산업 | Multi-functionated valve for constructing facilities |
KR100595018B1 (en) * | 2005-11-18 | 2006-06-30 | 신우공업 주식회사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0187A (en) * | 2013-10-04 | 2015-04-14 | 주식회사 이지서보 | Servo Valve with Control Function Pipe-Gauge |
KR101581248B1 (en) | 2013-10-04 | 2015-12-31 | 주식회사 이지서보 | Servo Valve with Control Function Pipe-Gauge |
WO2016024708A1 (en) * | 2014-08-13 | 2016-02-18 | 주식회사 산청 | Valve assembly having provided bypass channel, and pressure regulator, for air respirator, having same |
KR101454011B1 (en) * | 2014-09-15 | 2014-11-04 | 주식회사 산청 | Pressure regulator of an air supply aapp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WO2016043409A1 (en) * | 2014-09-15 | 2016-03-24 | 주식회사 산청 | Pressure regulator of air supply apparatus for respiratory protection |
KR102023335B1 (en) | 2019-06-25 | 2019-11-25 | 울트라밸브 주식회사 | Complex valve having modularized structure |
RU2756951C2 (en) * | 2019-08-01 | 2021-10-07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пыт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мени И.И. Африкантова" (АО "ОКБМ Африкантов") | Double-closure valve |
CN111810680A (en) * | 2020-06-28 | 2020-10-23 | 无锡市华尔泰机械制造有限公司 | A collection valve structure |
CN118423478A (en) * | 2024-07-01 | 2024-08-02 | 四川艾思瑞阀门科技有限公司 | Dual-channel valve structure with filtering function |
CN118564691A (en) * | 2024-07-26 | 2024-08-30 | 浙江坤湧兴阀门有限公司 | Integrated valve filtering unit and valv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1655B1 (en)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
US6920892B2 (en) | Side spray diverter valve | |
WO1998015762A1 (en) | Automatic regulating valve apparatus | |
KR101401307B1 (en) | Compound pressure reducing valve | |
US12292122B2 (en) | Bypass strainer valve assembly and method | |
RU2553053C2 (en) | Gas valve design | |
US5996606A (en) | Four-port valve and three-way valve | |
US9115821B2 (en) | Condensate valve | |
KR102206619B1 (en) | Bypass type fluid control complex valve | |
JP2012097871A (en) | Valve | |
JP3897619B2 (en) |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 |
KR100912597B1 (en) | Parallel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
KR101657619B1 (en) | Flushing unit of hydraulic actuator for power plant | |
KR100595018B1 (en) | Composite control valve body of fluid control valve | |
KR101964123B1 (en) | A pilot type booster pump control valve system | |
KR101168755B1 (en) |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 |
KR102735157B1 (en) | A pressure reducing device having a block modular type complex pressure reducing valve structure | |
RU2292514C1 (en) | Sampling device | |
US20250092884A1 (en) | Landfill pump having metered cycling | |
CN223019486U (en) | Detachable ball valve with filtering capability | |
KR200271256Y1 (en) | Complex set fluid valve | |
KR20180117881A (en) | Apparatus for filtering | |
RU2206015C1 (en) | Shut-off throttling valve and its body | |
KR100926691B1 (en) | Integrated Fluid Supply Device | |
RU2183706C2 (en) | Device for supply of fluid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0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