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9390B1 -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 Google Patents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390B1
KR100819390B1 KR1020060091730A KR20060091730A KR100819390B1 KR 100819390 B1 KR100819390 B1 KR 100819390B1 KR 1020060091730 A KR1020060091730 A KR 1020060091730A KR 20060091730 A KR20060091730 A KR 20060091730A KR 100819390 B1 KR100819390 B1 KR 100819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output
output frequency
ph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이도
이정우
박준배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6009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390B1/ko
Priority to US11/902,358 priority patent/US7560960B2/en
Priority to TW096135570A priority patent/TWI423590B/zh
Priority to PCT/US2007/020450 priority patent/WO2008036389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3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22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more than one loop
    • H03L7/23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more than one loop with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 H03L7/183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a time difference being used for locking the loop, the counter counting between fixed numbers or the frequency divider dividing by a fixed numb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 H03L7/197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a time difference being used for locking the loop, the counter counting between numbers which are variable in time or the frequency divider dividing by a factor variable in time, e.g. for obtaining fractional frequency division
    • H03L7/1974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a time difference being used for locking the loop, the counter counting between numbers which are variable in time or the frequency divider dividing by a factor variable in time, e.g. for obtaining fractional frequency division for fractional frequency division
    • H03L7/197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a time difference being used for locking the loop, the counter counting between numbers which are variable in time or the frequency divider dividing by a factor variable in time, e.g. for obtaining fractional frequency division for fractional frequency division using a phase accumulator for controlling the counter or frequency divider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합성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줄임과 동시에 채널 간격을 좁힐 수 있는 주파수 합성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분수-N 위상 동기 루프; 및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출력 주파수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가산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FREQUENCY SYNTHESIZER USING TWO PHASE LOCKED LOOP}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1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주파수 합성기에 채용된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주파수 합성기에 채용된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주파수 합성기에 채용된 주파수 가산기(50)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필터를 이용한 주파수 가산기(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이미지 제거(image rejection)을 이용한 주파수 가산기(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1, 20: 기준 주파수 발진기 12, 31, 41: 위상 검출기
13, 32, 42: 저대역 통과 필터 14, 33, 43: 전압 제어 발진기
15, 34: 주파수 분주기 30: 정수-N 위상 동기 루프
40, 40': 분수-N 위상 동기 루프 44: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링러
45: 시그마-델타 변조기 50, 50I, 50Q: 주파수 가산기
51, 53, 54: 믹서 52: 필터
55: 가산기 60I, 60Q: L 분주기
본 발명은 주파수 합성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하여 위상 잡음(phase noise)을 줄임과 동시에 채널 간격(channel space)을 좁힐 수 있는 주파수 합성기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1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파수 합성기 즉 1개의 위상 동기 루프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11), 위상 검출기(phase detector, 12), 저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13),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4) 및 주파수 분주기(frequency divier, 15)를 포함한다. 도면에 표현된 주파수 합성기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합성된 주파수(Fout)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11)에서 출력되는 기준 주파수(reference frequency, Fref)의 N배가 된다. 이와 같이, 출력 주파수(Fout)가 기준 주파수(Fref)의 정수 배인 주파수 합성기를 정수-N(integer-N) 주파수 합성기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는 채널 간격을 줄이면 위상 잡음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서 채널 간격이라 함은 주파수 합성기를 사용하여서 얻을 수 있는 여러 주파수들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도면에 표현된 정수-N 위상 동기 루프의 경우, 출력 주파수(Fout)가 기준 주파수(Fref)의 정수 배이므로, 즉 출력 주파수(Fout)가 기준 주파수(Fref) 단위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채널 간격은 기준 주파수(Fref)와 동일하다. 따라서, 채널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즉 더욱 촘촘한 주파수들을 얻기 위해서는 기준 주파수(Fref)를 낮추어야 한다. 그런데, 위상 동기 루프의 안정성(stability)를 고려하면, 위상 동기 루프의 대역폭은 기준 주파수(Fref)의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채널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준 주파수(Fref)를 줄여야 하며, 기준 주파수(Fref)를 줄이면 대역폭 또한 줄어야 한다. 또한, VCO(14)의 위상 잡음에 대한 영향 등으로 인하여, 위상 동기 루프의 대역폭이 감소할수록 위상 작음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채널 간격을 줄이면 위상 잡음이 증가하게 된다.
일례로, 출력 주파수(Fout)가 2.0GHz 내지 2.1GHz의 범위 내에서 100KHz의 채널 간격을 가지며 가변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기준 주파수(Fref)는 100KHz이여야 하고, N은 20000 내지 21000의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위상 동기 루프의 대역폭은 10KHz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존의 시그마-델타 변조 방식의 분수-N 주파수 합성기 역시 스퍼(spur)나 양자화 잡음(quantization noise)을 줄이기 위해서는 위상 동기 루프의 대역폭을 제한하여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마-델타 주파수 합성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준 주파수가 수십 MHz 이상에서도 수 Hz 단위의 미세한 주파수 조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시그마-델타 주파수 변환기의 특성인 양자화 잡음으로 인하여 위상 동기 루프의 대역폭을 무조건 넓힐 수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기준 주파수의 1/1000 정도로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기준 주파수가 수십 MHz인 경우에 위상 동기 루프는 수십 KHz의 대역폭을 가지게 되며, 이는 위상 동기 루프의 위상 잡음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시그마-델타 변조 방식의 분수-N 주파수 합성기의 위상 잡음은 동작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시그마-델타 주파수 합성기를 이용하여 수백 MHz 또는 수 GHz의 높은 주파수를 얻을 경우, 많은 위상 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채널 간격과 위상 잡음과의 상관관계를 극복하여 좁은 채널 간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낮은 위상 잡음 특성을 보유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분수-N 위상 동기 루프; 및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출력 주파수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가산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분수-N 위상 동기 루프;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출력 주파수의 1/L배(L은 2의 배수)에 해당하는 제3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분주기;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3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분주기;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출력 주파수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 가산기; 및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출력 주파수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출력 하는 제2 주파수 가산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합성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파수 합성기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20),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 분수-N(fractional-N) 위상 동기 루프(40) 및 주파수 가산기(frequency adder, 50)를 포함한다.
기준 주파수 발진기(20)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 및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에 기준 주파수(Fref)를 가진 신호를 공급한다. 기준 주파수 발진기(20)는 일례로 수정 발진기(crystal oscillator)일 수 있다.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는 기준 주파수(Fref)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기준 주파수(Fref)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로서 직접 분주방식, 프리스케일러(prescaler) 방식 및 펄스 스웰로우(pulse swallow)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가 사용될 수 있다.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는 기준 주파수(Fref)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기준 주파수(Fref)의 분수배에 해당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로 전류 주입 방식 및 시그마-델타 변조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가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가산기(50)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의 출력 신호 및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Fout1) 및 제2 출력 주파수(Fout2)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 즉 출력 주파수(Fout)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최종 출력 신호 즉 출력 주파수(Fout)를 가진 신호의 위상 잡음은 제1 출력 주파수(Fout1)를 가진 신호의 위상 잡음과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가진 신호의 위상 잡음의 합에 해당하므로 채널 간격을 줄이면서 위상 잡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계 방식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첫째, 주파수 가산기(50)로 공급되는 고주파의 신호 발생을 위해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는 최대한 높은 주파수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높은 주파수로 인한 위상 잡음의 열화는 넓은 대역폭으로 해결된다. 좁은 채널 간격을 위해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는 상대적으로 좁은 대역폭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생기는 위상 잡음의 열화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낮춤으로서 해결된다.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절반이 되면, RMS(root mean square) 위상 잡음이 절반이 된다.
도 3은 도 2의 주파수 합성기에 채용된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직접 분주 방식의 정수-N 위상 동기 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는 위상 검출기(31), 저대역 통과 필터(32), 전압 제어 발진기(33) 및 주파수 분주기(34)를 포함한다.
위상 검출기(31)는 기준 주파수(Fref)를 가진 신호와 주파수 분주기(3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저대역 통과 필터(32)는 위상 검출기(31)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33)는 저대역 통과 필터(3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 즉 제1 출력 주파수(Fout1)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 분주기(34)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의 1/N배에 해당하는 주파수(Fout/N)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기는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짐으로써, 입력되는 기준 주파수(Fref)의 N배의 주파수를 가진 제1 출력 주파수(Fout1)를 출력한다.
도 4는 도 2의 주파수 합성기에 채용된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그마-델타 변조 방식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는 위상 검출기(41), 저대역 통과 필터(42), 전압 제어 발진기(43),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dual-modulus prescaler, 44) 및 시그마-델타 변조기(45)를 포함한다.
위상 검출기(41)는 기준 주파수(Fref)를 가진 신호와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저대역 통과 필터(42)는 위상 검출기(41)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고주파 성분 을 제거한 전압을 출력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43)는 저대역 통과 필터(42)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 즉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M으로 나누는 동작을 L1회 수행하고, 제2 출력 주파수(Fout2)을 (M+1)로 나누는 동작을 L2회 수행한다.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가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계속적으로 M으로 나누는 경우 제2 출력주파수(Fout2)는 Fref×M의 값을 가지고,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가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계속적으로 (M+1)으로 나누는 경우 제2 출력주파수(Fout2)는 Fref×(M+1)의 값을 가지므로,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가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M으로 나누는 동작을 L1회 수행하고, 제2 출력 주파수(Fout2)을 (M+1)로 나누는 동작을 L2회 수행하면, 제2 출력주파수(Fout2)는 Fref×M 과 Fref×(M+1)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된다. 제2 출력 주파수(Fout2)는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가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M으로 나누는 동작 및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M+1)으로 나누는 동작을 수행하는 비율(L1:L2)에 의하여 결정된다. 가령, 기준 주파수(Fref)가 10MHz이고 M이 10이라 가정하면, (L1, L2)를 (100, 0)으로 설정하면 제2 출력주파수(Fout2)는 100.0MHz가 되고, (L1, L2)를 (99, 1)로 설정하면 제2 출력주파수(Fout2)는 100.1MHz가 되고, (L1, L2)를 (98, 2)로 설정하면 제2 출력주파수(Fout2)는 100.2MHz가 되고, (L1, L2)를 (0, 100)로 설정하면 제2 출력주파수(Fout2)는 110.0MHz가 된다.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켈일러(44)는 출력 주파수에서 주기(L1+L2)적인 위상 오차가 발생하는 분수 스퍼(fractional spurs)라는 치명적이 약점이 존재한다.
시그마-델타 변조기(45)는 상술한 분수 스퍼를 제거하기 위하여, 의사적인 난수(pseudorandom number, b(t))를 발생시켜 이를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로 전달한다.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44)는 M 또는 (M+1) 중 어느 하나를 b(t)에 따라 선택하고, 따라서, 분수 스퍼가 감소된다.
도 5는 도 2의 주파수 합성기에 채용된 주파수 가산기(5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필터를 이용한 주파수 가산기(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이미지 제거(image rejection)를 이용한 주파수 가산기(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에서 주파수 가산기(50)는 믹서(51) 및 필터(52)를 포함한다. 믹서(51)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를 가진 신호 및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가진 신호를 곱한 신호를 출력한다. 믹서(51)의 출력은 원하는 주파수인 (Fout1+Fout2)뿐만 아니라, 원하지 않는 주파수인 (Fout1-Fout2)도 포함되어 있다. 필터(52)는 믹서(51)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들 중에서 원하지 않는 주파수인 (Fout1-Fout2)을 제거하고, 원하는 주파수인(Fout1+Fout2) 즉 출력 주파수(Fout)를 출력한다.
도 5의 (b)에서 주파수 가산기(50)는 제1 믹서(53), 제2 믹서(54) 및 가산기(55)를 포함한다. 제1 믹서(53)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를 가진 동상(in-phase) 신호(Fout1(I))와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가진 동상 신호(Fout2(I))를 곱한 신호를 출력한다. 제2 믹서(54)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를 가진 직 교(quadrature) 신호(Fout1(Q))와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가진 직교 신호(Fout2(Q))를 곱한 신호를 출력한다. 가산기(55)는 제1 믹서(53)의 출력과 제2 믹서(54)의 출력의 합을 출력한다. 제1 믹서(53)의 출력의 이미지 성분과 제2 믹서(54)의 출력의 이미지 성분은 서로 그 크기가 동일하고, 그 위상은 반전되어 있다. 따라서, 가산기(55)에서 이미지 성분이 제거되어, 가산기(55)의 출력은 이미지 성분이 없이 순수히 (Fout1+Fout2) 즉 출력 주파수(Fout)만을 출력한다.
이하, 출력 주파수(Fout)가 2.0GHz 내지 2.1GHz의 범위 내에서 100KHz의 채널간격을 가지며 가변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의 장점들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기준 주파수(Fref)를 10MHz로 설정하고, N을 190 내지 200로 설정하고, M을 10으로 설정하고, L1을 0 내지 100, L2를 (100-L1)으로 설정하면, 2.0GHz 내지 2.1GHz의 범위 내에서 100KHz의 채널간격을 가지며 가변될 수 있는 출력 주파수(Fout)를 얻을 수 있음을 설명하겠다.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는 (Fref×N)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므로, 1.90GHz에서 2.00GHz의 범위 내에서 10MHz 단위로 가변되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을 출력한다.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는 (Fref×M) 내지 (Fref×(M+1))의 범위내에서 Fref/(L1+L2)의 단위로 가변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출력한다. 즉,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는 100MHz 내지 110MHz의 범위내에서 100KHz의 단위로 가변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출력한다. 따라서, (Fout1+Fout2)에 해당하는 주파수(Fout)를 출력하 는 주파수 가산기(50)는 2.0GHz 내지 2.1GHz의 범위 내에서 100KHz의 단위로 가변되는 출력 주파수(Fout)를 가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로 입력되는 기준 주파수(Fref)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100배나 높은 10MHz이므로,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의 대역폭은 종래 기술보다 100배 넓은 1MHz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N 위상 동기 루프의 위상 잡음은 종래 기술보다 훨씬 더 감소될 수 있다. 비록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는 10MHz의 채널 간격을 가지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는 100KHz의 채널 간격을 가지므로, 주파수 합성기 출력 주파수(Fout)은 100KHz의 채널 간격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낮은 위상 잡음을 가짐과 동시에 좁은 채널 간격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의 출력이 분수 스퍼에 의한 위상 잡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이는 도 4에 표현된 시그마-델타 변조 방식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하면 많이 억제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충분히 예측될 수 있듯이, N, M, L1, L2가 가변(programmable)이여야만 좁은 채널 간격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히 넓은 영역의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N, M, L1, L2는 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수-N 주파수 합성기(40)는 미세 주파수 조절이 가능하므로, 분수-N 주파수 합성기(40)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의 채널 간격이 정수-N 주파수 합성기(30)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의 채널 간격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정수-N 주파수 합성기(30)는 비교적 간단히 높은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정수-N 주파수 합성기(30)에서 출력되는 제1 출력 주파수(Fout1)가 분수-N 주파수 합성기(40)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파수 합성기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20),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 제1 L 분주기(60I), 제2 L 분주기(60Q), 제1 주파수 가산기(50I) 및 제2 주파수 가산기(50Q)를 포함한다.
기준 주파수 발진기(20) 및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는 도 2의 기준 주파수 발진기(20) 및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는 기준 주파수(Fref)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기준 주파수(Fref)의 분수배에 해당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로 전류 주입 방식 및 시그마-델타 변조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는 도 2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에 비하여 L배 높은 주파수(Fout2')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고, 이 주파수(Fout2')는 L 분주기(60I, 60Q)에 의하여 L배 만큼 낮아져 주파수 가산기(50I, 50Q)로 입력된다.
제1 L 분주기(60I) 및 제2 L 분주기(60Q)는 분수-N 위상 동기 루프(40')에서 출력되는 제2 출력 주파수(Fout2')의 1/L배에 해당하는 주파수(Fout3)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L은 2, 4, 또는 6 등 2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값을 가진다. 도면에서 Fout3의 뒤에 _I 또는 _Q를 붙인 이유는 위상차가 있음을 표시하기 위함이다. 즉, _I는 인페이즈(in-phase)의 신호임을 표시하고 있으며, _Q는 직교(quadrature) 신호임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1 L 분주기(60I)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제2 L 분주기(60Q)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서로 주파수는 동일하며, 위상이 90도 차이가 난다. 위상 차이는 한 주기의 시작 시점을 다르게 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즉, 제2 L 분주기(60Q)의 한 주기의 시작 시점은 제1 L 분주기의 한 주기의 시작 시점보다 L/2만큼 늦어지면 된다.
제1 주파수 가산기(50I)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의 출력 신호 및 제1 L 분주기(60I)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Fout1) 및 제3 출력 주파수(Fout3)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 즉 출력 주파수(Fout)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주파수 가산기(50Q)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30)의 출력 신호 및 제2 L 분주기(60Q)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Fout1) 및 제3 출력 주파수(Fout3)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 즉 출력 주파수(Fout)를 가진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주파수 가산기(50I)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제2 주파수 가산기(50Q)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서로 90도의 위상 차가 있으므로, 도면부호 Fout의 뒤에 이를 나타내기 위한 _I와 _Q가 표시되어 있다. 제1 주파수 가산기(50I) 및 제2 주파수 가산기(50Q)는 일례로 도 5의 (a)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는 동시에 I 및 Q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는 채널 간격과 위상 잡음과의 상관관계를 극복하여 좁은 채널 간격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낮은 위상 잡음 특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정수-N 주파수 합성기를 사용하여 높은 주파수와 좁은 채널 간격을 출력 주파수를 얻으려 하는 경우에는, 높은 동작 주파수에 의한 위상 잡음의 악화 및 좁은 대역폭에 의한 위상 잡음의 악화의 이중의 위상 잡음 악화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의 분수-N 주파수 합성기를 사용하여 높은 주파수와 좁은 채널 간격을 출력 주파수를 얻으려 하는 경우에도 역시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에 있어서, 정수-N 위상 동기 루프는 넓은 대역폭을 가지므로 높은 동작 주파수에 의한 위상 잡음의 악화만이 발생하고, 분수-N 위상 동기 루프는 낮은 동작 주파수를 가지므로 좁은 대역폭에 의한 위상 잡음의 악화만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합성기의 위상 잡음은 종래의 정수-N 주파수 합성기 및 종래의 분수-N 주파수 합성기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2)

  1.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분수-N 위상 동기 루프; 및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출력 주파수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가산기
    를 포함하는 주파수 합성기.
  2.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 주파수 발진기;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정수-N 위상 동기 루프;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분수-N 위상 동기 루프;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 출력 주파수의 1/L배(L은 2의 배수)에 해당하는 제3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분주기;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3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분주기;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출력 주파수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 가산기; 및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출력 주파수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의 합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주파수 가산기
    를 포함하는 주파수 합성기.
  3. 제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는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합성기.
  4. 제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 주파수의 채널 간격은 상기 제1 출력 주파수의 채널 간격보다 좁은 주파수 합성기.
  5. 제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N 위상 동기 루프는 위상 검출기, 저대역 통과 필터,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주파수 분주기를 구비하며,
    상기 위상 검출기는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와 상기 주파수 분주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위상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인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주파수 분주기는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N(N은 정수)으로 나눈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합성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가변인(programmable) 주파수 합성기.
  7. 제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N 위상 동기 루프는 시그마-델타 변조 방식의 분수-N 위상 동기 루프인 주파수 합성기.
  8. 제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N 위상 동기 루프는 위상 검출기, 저대역 통과 필터, 전압 제어 발진기,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 및 시그마-델타 변조기를 구비하며,
    상기 위상 검출기는 상기 기준 주파수를 가진 신호와 상기 듀얼-모듈러스 프 리스케일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는 상기 위상 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한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는 상기 저대역 통과 필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주파수인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듀얼-모듈러스 프리스케일러는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M(M은 정수)으로 나누는 동작 및 제2 출력 주파수을 (M+1)로 나누는 동작을 소정 비율로 수행하여 얻어진 신호를 출력하되, 어느 순간에 상기 M 및 상기 (M+1)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는 상기 시스마-델타 변조기에서 출력되는 의사적인 난수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시그마-델타 변조기는 상기 의사적인 난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합성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M 및 상기 소정 비율은 가변인(programmable) 주파수 합성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가산기는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및
    상기 믹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원하는 소정 대역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필 터를 구비하는 주파수 합성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는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 및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는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가산기는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믹서;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 및 상기 제2 출력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믹서; 및
    상기 제1 믹서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믹서의 출력 신호를 합한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주파수 합성기.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가산기는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를 가진 동상 신호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믹서; 및 상기 제1 믹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원하는 소정 대역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제1 필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주파수 가산기는 상기 제1 출력 주파수를 가진 신호 및 상기 제3 출력 주파수를 가진 직교 신호를 곱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믹서; 및 상기 제2 믹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중 상기 소정 대역의 신호만을 출력하는 제2 필터를 구비하는 주파수 합성기.
KR1020060091730A 2006-09-21 2006-09-21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Active KR100819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730A KR100819390B1 (ko) 2006-09-21 2006-09-21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US11/902,358 US7560960B2 (en) 2006-09-21 2007-09-20 Frequency synthesizer using two phase locked loops
TW096135570A TWI423590B (zh) 2006-09-21 2007-09-21 使用兩鎖相迴路之頻率合成器
PCT/US2007/020450 WO2008036389A2 (en) 2006-09-21 2007-09-21 Frequency synthesizer using two phase locked loop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730A KR100819390B1 (ko) 2006-09-21 2006-09-21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390B1 true KR100819390B1 (ko) 2008-04-04

Family

ID=3920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730A Active KR100819390B1 (ko) 2006-09-21 2006-09-21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60960B2 (ko)
KR (1) KR100819390B1 (ko)
TW (1) TWI423590B (ko)
WO (1) WO20080363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390B1 (ko) * 2006-09-21 2008-04-04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WO2009043017A1 (en) * 2007-09-27 2009-04-02 Nanoamp Solutions, Inc. (Cayman) A transmitter for multiple standards
EP2237423A1 (fr) 2009-03-24 2010-10-06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 Recherche et Développement Synthétiseur de fréquence
US9490826B1 (en) * 2015-08-19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frequency dividers using a pulse swallowing technique
TWI552531B (zh) 2015-12-24 2016-10-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頻率合成器及頻率合成方法
US10897260B2 (en) * 2016-09-27 2021-01-19 Marvell Asia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phase error correction
US10291386B2 (en) 2017-09-29 2019-05-14 Cavium, Llc Serializer/deserializer (SerDes) lanes with lane-by-lane datarate independence
US11082051B2 (en) * 2018-05-11 2021-08-03 Analog Devices Global Unlimite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for timing offset compensation in frequency synthesizers
KR102337541B1 (ko) 2018-06-07 2021-1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위상 고정 루프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943A (ja) * 1995-08-09 1997-07-31 At & T Ipm Corp 周波数合成器
JP2000332605A (ja) 1999-05-25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lシンセサイザ回路
JP2003324365A (ja) 2002-04-26 2003-11-14 Sharp Corp 高周波受信用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高周波受信装置
JP2006191372A (ja) 2005-01-06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ュアルループpllおよび逓倍クロック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6787A (en) * 1985-03-06 1986-12-02 Harris Corporation Application of the phaselock loop to frequency synthesis
FI951918A7 (fi) * 1995-04-21 1996-10-22 Nokia Mobile Phones Ltd Lähetin-vastaanotinlaite ja menetelmä kompleksien I/Q-signaalin synnyttämiseksi ja käsittelemiseksi
US5839052A (en) * 1996-02-08 1998-11-17 Qualco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a cable television system
US7130595B1 (en) * 1999-12-22 2006-10-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tter power amplifier ramping method
US6384677B2 (en) * 2000-01-28 2002-05-0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Power amplifier having negative feedback circuit for transmitter
JP2002033675A (ja) * 2000-07-13 2002-01-31 Sony Corp マルチバンド送受信用信号発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マルチバンド無線信号送受信装置
JP2002076889A (ja) * 2000-08-31 2002-03-15 Alps Electric Co Ltd 周波数シンセサイザ
US6973145B1 (en) * 2000-09-01 2005-12-06 Ut-Battelle, Llc Digital-data receiver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509800B2 (en) * 2001-04-03 2003-01-21 Agilent Technologies, Inc. Polyphase noise-shaping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JP2003018057A (ja) * 2001-07-05 2003-01-17 Alps Electric Co Ltd アンテナ受信装置
EP1318641A3 (en) * 2001-12-10 2006-10-04 Alps Electric Co., Ltd. Carrier recovery with antenna diversity
EP1320189B1 (en) * 2001-12-12 2007-07-11 Sony Deutschland GmbH Multi-band frequency synthesiser for mobile terminals
US6788157B2 (en) * 2002-10-28 2004-09-07 Analog Devices, Inc. Programmable frequency synthesizer
KR100498463B1 (ko) * 2002-11-22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랙셔널-n 주파수 합성기 및 이를 구성하는 시그마-델타변조기
DE60313945T2 (de) * 2003-03-11 2008-03-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hrband-Frequenzsynthetisierer
KR100532476B1 (ko) * 2003-10-18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전압 제어발진기 및 빠른 적응 주파수 보정기법을이용한 주파수 합성기
KR100990484B1 (ko) * 2004-03-29 201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렬 버스 통신을 위한 송신 클럭 신호 발생기
US7019571B2 (en) * 2004-03-31 2006-03-28 Silicon Laboratories, Inc. Frequency synthesiz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155406B2 (ja) * 2004-04-01 2008-09-2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デルタシグマ変調型分数分周pll周波数シンセサイザ、及び、無線通信装置
US7324789B2 (en) * 2005-01-20 2008-01-29 Broadcom Corporation PLL frequency synthesizer architecture for low phase noise and reference spurs
US7362835B2 (en) * 2005-02-04 2008-04-22 Mediatek Incorporation Clock generator circuit and related method for generating output clock signal
US7482885B2 (en) * 2005-12-29 2009-01-27 Orca Systems, Inc. Method of frequency synthesis for fast switching
US7508278B2 (en) * 2006-09-07 2009-03-24 Via Technologies, Inc. Asymmetry triangular frequency modulation profiles for spread spectrum clock generations
KR100819390B1 (ko) * 2006-09-21 2008-04-04 지씨티 세미컨덕터 인코포레이티드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943A (ja) * 1995-08-09 1997-07-31 At & T Ipm Corp 周波数合成器
JP2000332605A (ja) 1999-05-25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llシンセサイザ回路
JP2003324365A (ja) 2002-04-26 2003-11-14 Sharp Corp 高周波受信用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高周波受信装置
JP2006191372A (ja) 2005-01-06 2006-07-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ュアルループpllおよび逓倍クロック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6389A3 (en) 2008-06-26
TW200830722A (en) 2008-07-16
TWI423590B (zh) 2014-01-11
WO2008036389A2 (en) 2008-03-27
US20080197891A1 (en) 2008-08-21
US7560960B2 (en)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390B1 (ko) 2개의 위상 동기 루프를 사용한 주파수 합성기
US950310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phase-locked loops
US69521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ressing noise in a phase-locked loop circuit
US20090146747A1 (en) Novel method of frequency synthesis for fast switching
US7605665B2 (en) Fractional-N phase locked loop
US6873213B2 (en) Fractional N frequency synthesizer
US7973606B2 (en)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and method thereof
JP2007053770A (ja) ジッタを減少させた半導体装置、分散スペクトルクロック発生器、及び信号出力方法
CN112042125A (zh) 用于锁相环路中精细控制相位/频率偏移的方法和电路
US20140320173A1 (en) Fractional phase locked loop having an exact output frequency and phas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00073052A1 (en) Fractional resolution integer-n frequency synthesizer
US9628066B1 (en) Fast switching, low phase noise frequency synthesizer
US9019016B2 (en) Accumulator-type fractional N-PLL synthesiz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943598B2 (en) Reduced-size integrated phase-locked loop
EP1729432B1 (en) Generation of a phase locked loop output signal having reduced spurious spectral components
US11909409B1 (en) Low jitter PLL
US75741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ase-locked output signal
JP2003179490A (ja) フラクショナルn周波数シンセサイザ
US10484027B2 (en) Glitch free phase selection multiplexer enabling fractional feedback ratios in phase locked loops
Guo et al. A DLL fractional M/N frequency synthesizer
Hung et al. A 0.06-ps RMS SSC-induced jitter, ΔΣ-dithering-free, 6-GHz spread-spectrum clock generator for serial-ATA generation
KR20130052467A (ko) 주파수 분주기, 이를 포함하는 위상 동기 루프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93540A (ko) 출력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위상동기루프 회로
JP2003283334A (ja) 周波数シンセサイ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307

Appeal identifier: 2008101000777

Request date: 2008020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803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30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