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282B1 - Slim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m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9282B1 KR100819282B1 KR1020060105687A KR20060105687A KR100819282B1 KR 100819282 B1 KR100819282 B1 KR 100819282B1 KR 1020060105687 A KR1020060105687 A KR 1020060105687A KR 20060105687 A KR20060105687 A KR 20060105687A KR 100819282 B1 KR100819282 B1 KR 100819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portable terminal
- microphone device
- slim portable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없이 마이크 장치를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키패드 및 마이크 장치를 구성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를 일체로 구비하는 연성 회로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장치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와, 상기 마이크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이크 장치를 보호함과 아울러 성능향상을 위해 지지하는 마이크 커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하여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구비한 연성 회로에 마이크 장치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수의 줄여 단말기의 조립공정을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mount a microphone device without a front and rear case. In the slim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with a keypad and a microphone device,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re provided. A flexible circuit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a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microphone device, and a microphone cover coupled to the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to protect the microphone device and to improve performance. In this way, th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by slimming down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In the slim portable terminal, the microphone unit is integrated into a flexible circuit including a keypa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thereby assembling the terminal. To save time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Th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에서 바-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r-type portable terminal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도 1의 마이크 장치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crophone device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lim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마이크 장치의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of the configuration of a slim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마이크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crophone device is mounted in the configuration of a slim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 도면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 중 마이크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icrophone cover is mounted in the configuration of a slim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없이 마이크 장치를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m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m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mount a microphone device without a front and rear case.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the term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mobile terminals are referred to as HHP, CT-2 cellular phones, digital phones, PCS phones and PDAs, and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wireless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wireless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essentially have an antenna device, a data input / output device,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Of course, the data input device is commonly used as a keypad for inputting data mainly by finger pressing.
데이터를 입력을 위해 사용되는 키패드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The keypad used for entering data consists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여기서, 키패드 및 액정표시부를 구비한 바-형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단일 하우징(1)에 키패드(2) 및 액정표시부(3)를 구비하고, 액정표시부(3)의 상부에 스피커 장치(4)가 구비되고, 키패드(2)의 하부에 마이크 장치(5)가 구비된다.Herein, the structure of a bar-typ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keypa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a
상기 단일 하우징(1)은 프론트 케이스(1a)와 리어 케이스(1b)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 장치(5)는 상기 단일 하우징(1)내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6)에 납땜 되어 구비된다.The single housing 1 is composed of a
상기 프론트 케이스(1a)와 리어 케이스(1b)에는 상기 마이크 장치(5)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7)이 구비된다.The
그러나, 종래의 바-형 휴대 단말기는 프론트 커버와 리어 케이스를 서로 결합해야 마이크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공간이 제공됨으로 단말기의 두께 및 크기가 커져 슬림화 및 소형화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ar-type portable terminal,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ase hav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provide a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microphone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terminal, thereby having a problem in that it is slim and compact.
또한, 상기 마이크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에 납땜하여 부착하는 구조이므로. 단말기의 조립공정 시간이 증가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device is a structure that is attached by solder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The assembly process time of the terminal has been increased, manufacturing costs have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서 기존의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없이 마이크 장치를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하여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microphone device to be mounted in the slim portable terminal without the existing front and rear case,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m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miniaturizing a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구비한 연성 회로에 마이크 장치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수의 줄여 키패드의 조립공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microphone device is integrally formed in a flexible circuit having a keypad in a slim portable terminal,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of the keypad,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패드 및 마이크 장치를 구성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m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keypad and a microphone device,
다수의 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 장치를 일체로 구비하는 연성 회로;A flexible circuit having a plurality of dome switches and having the microphone device integrally therewith;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장치를 수용하는 마이크 수용부; 및A microphone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the microphone device; And
상기 마이크 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마이크 장치를 보호함과 아울러 성능향상을 위해 지지하는 마이크 커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upled to the microphone receiving portion,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microphone cover for supporting for improving performance as well as protecting the microphone devic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4 및 도 7과 같이, 슬림형 휴대 단말기(10)는 키패드(20)와, 마이크 장치(30)를 일체로 구비한 연성 회로(40)와, 마이크 수용부(50)와, 마이크 커버(6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성 회로(40)는 다수의 돔 스위치(4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마이크 장치(30)를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 수용부(50)는 상기 마이크 장치(30)를 수용하도록 상기 단말기의 본체(1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 커버(60)는 상기 마이크 장치(30)를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 장치(3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마이크 수용부(50)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 수용부(50)는 상기 마이크 장치(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수용홈(5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용홈(50)내에는 상기 마이크 장치(30)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 장치(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51)가 구비되어 있다.3, 4 and 7, the slim
상기 고정부재(51)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다.The
도 4와 같이, 상기 마이크 커버(60)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0)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마이크 장치(30)의 음향을 발산할 수 있도록 공명공간(61)이 제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도 3,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마이크 커버(60)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0)에 형성된 결합홈(52)에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되도록 고정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 커버(60)에는 상기 마이크 수용부(50)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된 홈(53)에 결합됨과 아울러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3, 5, and 6,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3 to 7 attached to the operation of the slim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여기서, 슬림형 휴대 단말기 중에서 바-형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 the bar-typ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lim portable terminal.
도 3 및 도 4와 같이, 바-형 슬림 휴대 단말기(10)는 키패드(20), 마이크 장치(30), 다수의 돔 스위치(41)를 구비한 연성 회로(40), 마이크 수용부(50), 마이크 커버(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성 회로(40)는 상기 단말기의 본체(10)에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마이크 장치(30)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연성 회로(40)를 상기 단말기의 본체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 장치(30)를 상기 본체(10) 에 형성된 마이크 수용부(50)에 수용한다.3 and 4, the bar-shaped slim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마이크 수용부(50)는 수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50)내에는 상기 마이크 장치(3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51)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이크 장치(30)가 수용홈(50)내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51)에 의해 고정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이 상태에서, 도 3, 도 4 및 도 7과 같이, 상기 수용홈(50)의 상부에 상기 마이크 커버(6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용홈(50)에는 상기 마이크 커버(60)에 형성된 고정부(62)와 결합되는 결합홈(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이크 커버(60)를 상기 수용홈(50)에 결합하면, 상기 마이크 커버(60)의 고정부(62)가 상기 결합홈(52)에 결합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3, 4 and 7, the
이때, 상기 마이크 커버(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6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 돌기(63)가 상기 수용홈(50)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된 홈(53)에 결합되어 결합력을 증진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at least one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마이크 장치(30)와 상기 마이크 커버(60) 사이에는 상기 마이크 장치(30)의 음향을 외부로 발산하도록 공명공간(61)이 제공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a
상기와 같이, 마이크 수용부에 마이크 커버를 결합하여 기존의 마이크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구비되던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가 필요없이 단일 케이스만으로 단말기의 조립이 가능하여 단말기의 조립 공정을 향상시키고,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ssembling the microphone cover to the microphone housing, the terminal can be assembled with only a single case without the front case and the rear case provided for mounting the existing microphone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terminal,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cos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슬림형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slim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Esau.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lim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서 기존의 프론트 및 리어 케이스 없이 마이크 장치를 실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하여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슬림형 휴대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구비한 연성 회로에 마이크 장치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수의 줄여 단말기의 조립공정을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configuring the slim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microphone unit can be mounted without the existing front and rear cases, the terminal can be miniaturiz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lim portable terminal, the microphone unit is integrated in a flexible circuit having a keypad. By constitution,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thereby shortening the assembly time of the terminal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5687A KR100819282B1 (en) | 2006-10-30 | 2006-10-30 | Slim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05687A KR100819282B1 (en) | 2006-10-30 | 2006-10-30 | Slim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9282B1 true KR100819282B1 (en) | 2008-04-02 |
Family
ID=3953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05687A Active KR100819282B1 (en) | 2006-10-30 | 2006-10-30 | Slim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9282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4072A (en) * | 2000-05-12 | 2001-11-24 | 송문섭 | Union apparatus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for foider type handphone |
-
2006
- 2006-10-30 KR KR1020060105687A patent/KR1008192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104072A (en) * | 2000-05-12 | 2001-11-24 | 송문섭 | Union apparatus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for foider type handp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4633B1 (en) | Keypad combination structure of mobile terminal | |
KR100810314B1 (en) | Key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 |
KR100313144B1 (en) | Watch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 |
JP3718137B2 (en) | Slide type mobile phone with slide module | |
KR100703317B1 (en) | Antenna device of mobile terminal | |
US8301212B2 (en) | Portable wireless apparatus and antenna structure | |
GB2388965A (en) | Built-in antenna for radiotelephone adjacent microphone | |
US20110237314A1 (en) | Mobile terminal apparatus | |
US20090270135A1 (en) | Handheld device | |
KR20100135356A (en) | Speaker device for mobile terminal | |
US8599073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0819282B1 (en) | Slim portable terminal | |
JP2007116550A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0810375B1 (en) | Reinforcement device of slim mobile terminal | |
KR100834640B1 (en) | Speaker device of slim portable terminal providing resonance space | |
JP4705527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JP5313767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0810295B1 (en) | LCD module of mobile terminal | |
KR101126380B1 (en) |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100325246B1 (en) | Hing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ing unit in flip-type portable telephone | |
KR100834641B1 (en) | Insert reinforcement device of slim portable terminal | |
JP4436292B2 (en) | Electronics | |
JP2009290600A (en) | Antenna element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
KR20040110827A (en) | Key buttom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JP4545693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