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225B1 - Liquid container and ink cartridge - Google Patents
Liquid container and ink cartri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9225B1 KR100819225B1 KR1020040109788A KR20040109788A KR100819225B1 KR 100819225 B1 KR100819225 B1 KR 100819225B1 KR 1020040109788 A KR1020040109788 A KR 1020040109788A KR 20040109788 A KR20040109788 A KR 20040109788A KR 100819225 B1 KR100819225 B1 KR 1008192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cartridge
- ink
- liquid container
- delete delete
- cartri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0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77 targe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18 DNA micro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액체 분사 장치용 액체 용기는 내부에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제 1 측벽상에 형성된 공급부로서 이를 통해 상기 액체 수용부내의 액체가 외부로 유동할 수 있는 상기 공급부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의 슬라이더의 일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액체 용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접촉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의 제 2 측벽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측벽은 상기 제 1 측벽과 교차한다.The liquid container for a liquid ejection apparatus includes a case having a liquid container therein; A supply formed on the first sidewall of the case, through which the liquid in the liquid receiving portion can flow out;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a portion of the slider of the liquid ejecting device to move the slid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And an engaging portion formed to engage the lock portion of the slider.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are formed on the second sidewall of the case, and the second sidewall intersects the first sidewall.
Description
도 1은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er,
도 2는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전의 부착/탈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before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도 3은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전의 부착/탈착 장치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before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도 4는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전의 부착/탈착 장치의 저면도,4 is a bottom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before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도 5는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전의 카트리지 유지 유닛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the cartridge holding unit before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도 6은 카트리지 유지 유닛의 확대 분해 사시도,6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rtridge holding unit;
도 7a 및 도 7b는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이 시작된 때의 카트리지 유지 유닛의 측면도 및 저면도,7A and 7B are side and bottom views of the cartridge holding unit when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is started;
도 8a 및 도 8b는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이 완료된 때의 카트리지 유지의 측면도 및 저면도,8A and 8B are side and bottom views of the cartridge holding when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is completed;
도 9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때의 부착/탈착 장치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when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도 10a 및 도 10b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때의 카트리지 유지 유닛의 측면도 및 저면도,10A and 10B are side and bottom views of the cartridge holding unit when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도 11은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의 완료된 때의 부착/탈착 장치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when the mounting of the ink cartridge is completed;
도 12a 및 도 12b는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이 완료된 때의 카트리지 유지 유닛의 측면도 및 저면도,12A and 12B are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cartridge holding unit when the mounting of the ink cartridge is completed,
도 13은 잉크 카트리지가 적출된 때의 부착/탈착 장치의 평면도,13 is a plan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apparatus when the ink cartridge is taken out,
도 14a 및 도 14b는 잉크 카트리지가 적출된 때의 카트리지 유지 유닛의 측면도 및 저면도,14A and 14B are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cartridge holding unit when the ink cartridge is taken out,
도 15는 레버 아암의 기단부의 확대 사시도,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ximal end of the lever arm;
도 16은 리드 부재가 폐쇄된 잉크젯 프린터의 배면도,16 is a rear view of the inkjet printer with the lid member closed;
도 17은 리드 부재가 개방되어 있고 레버 아암이 설치 위치에 위치한 잉크젯 프린터의 배면도,17 is a rear view of the inkjet printer with the lid member open and the lever arm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도 18은 리드 부재가 개방되어 있고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한 잉크젯 프린터의 배면도,18 is a rear view of the inkjet printer with the lid member open and the lever arm in the reinstalled position;
도 19는 잉크 카트리지 삽입 방지 유닛의 저면 사시도,19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insertion preventing unit,
도 20a 내지 도 20c는 정상 삽입시의 잉크 카트리지 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20A to 20C are bottom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insertion preventing unit at the time of normal insertion;
도 21a 및 도 21b는 오삽입시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21A and 21B are bottom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at the time of misinsertion;
도 22는 일 측만의 카트리지 유지 유닛이 조작되는 때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Fig. 22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cartridge holding unit only on one side is operated;
도 23은 충돌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 삽입 방지 유닛의 사시 도,2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cartridge insertion prevention unit having an anti-collision unit;
도 24a 내지 도 24c는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서 오삽입이 수행되는 때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24A to 24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misinsertion is perform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도 25a 내지 도 25c는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면서 정상 삽입이 수행되는 때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25A to 25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normal insertion is perform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reinstallation position;
도 26a 내지 도 26c는 충돌 유지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26A to 26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that is not provided with a collision holding unit;
도 27a 내지 도 27c는 정상 삽입이 수행되는 때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27A to 27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peration states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normal insertion is performed;
도 28은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는 때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도 29는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때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reinstalled position;
도 30은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도 31은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는 때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배면도,31 is a rear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도 32a 및 도 32b는 레버 아암이 해제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 및 레버 아암이 해제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평면도,32A and 32B are plan views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in a state wher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lease position and in a state wher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release position;
도 33a 및 도 33b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저면 사시도,33A and 33B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도 34는 크리프 하중 저감 유닛을 포함하는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의 사시도,3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including a creep load reducing unit;
도 35a 및 도 35b는 각각 레버 아암이 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 및 상기 레버 아암이 설치 대기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의 배면도,35A and 35B are rear views of a state in which the lever arm is locat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lever arm is located in the installation standby position, respectively;
도 36은 유로 부재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에 인가된 반력의 변동을 도시하는 그래프,36 is a graph showing variation in reaction force applied to an ink cartridge by a flow path member;
도 37은 크리프가 발생한 후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위한 힘이 감소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37 is a 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force for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is reduced after creep has occurred;
도 38은 프린터내로 장착되는 잉크 카트리지의 사시도,3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cartridge mounted in a printer;
도 39는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도,39 is a side view of the ink cartridge,
도 40은 잉크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4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도 41은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유닛 및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이 제공된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를 도시하는 배면도,41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ink cartridge insertion state determination unit and the ink cartridge misalignment warning unit;
도 42는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때의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를 도시하는 배면도,42 is a rear view showing the lever arm rotation restriction mechanism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reinstalled position;
도 43a 및 도 43b는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의 조작 모드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43A and 43B are partial sid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ink cartridge misalignment warning uni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1: Ink cartridge attachment / removal device
4 : 유로 부재 31 : 레버 아암4: flow path member 31: lever arm
32 : 회전 슬라이드 기구 36 : 로크 슬라이더32: rotary slide mechanism 36: lock slider
37 : 슬라이더 홀더 43 : 결합 폴37: Slider Holder 43: Combined Pole
48 : 슬라이드 로크 피스 58 : 이동 프레임48: slide lock piece 58: moving frame
59 : 결합 리브 60 : 서브 프레임59: combined rib 60: subframe
61 : 고정 프레임 62 : 메인 프레임61: fixed frame 62: main frame
본 발명은 잉크 카트리지를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기록 장치의 본체내로 장착하는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 및 상기 부착/탈착 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와 같은 액체를 방출(분사)하고 기록 재료(분사된 액체의 대상 재료)상에 기록하는(액체를 부착시키는) 잉크젯 기록 장치와 같은 액체 분사 장치(liquid ejection apparatus) 및 상기 액체 분사 장치용으로 제공된 액체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잉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액체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an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for attaching the ink cartridge into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by sliding the ink cartridg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ejection apparatus such as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hich ejects (sprays) a liquid such as ink from a recording head and records (attaches a liquid) onto a recording material (a material of the ejected liquid). And a liquid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provided for the liquid ejec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iquid container (liquid cartridge) having an ink cartridge.
이 경우, 이러한 액체 분사 장치는, 잉크젯 기록 헤드를 채용하여 잉크를 분사함으로써 기록 재료상에 이미지를 기록하는 프린터,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머신과 같은 기록 장치 뿐만 아니라, 잉크 대신 의도된 목적에 일치하는 액체가 기록 헤드에 대응하는 액체 분사 헤드에 의해 기록 재료에 대응하는 분사된 액체의 대상 재료상에 분사되고 상기 액체가 상기 분사된 액체의 대상 재료상에 부착되는 장치를 포함한다.In this case, such a liquid ejecting apparatus employs an inkjet recording head to eject an ink, as well as a record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a copier or a facsimile machine, which records an image on the recording material, as well as a liquid which matches the intended purpose instead of the ink. And an apparatus in which the liquid ejecting head corresponding to the head is ejected onto the object material of the ejected liquid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material and the liquid is attached onto the object material of the ejected liquid.
기록 헤드 뿐만 아니라, 상기 액체 분사 헤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용 컬러 필터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안료 재료 분사 헤드,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 display) 또는 평면형 전계방출 표시 장치(plane light-emitting display, FED)용 전극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재료(도전성 페이스트) 분사 헤드, 바이오칩 제조에 사용되는 바이오오거닉(bio-organic) 분사 헤드, 또는 정밀 피펫으로서 사용되는 시료 분사 헤드일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recording head, the liquid ejection head may be a pigment material ejection hea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r a planar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used to manufacture a color filter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may be an electrode material (conductive paste) spray head used to form an electrode for a -emitting display (FED), a bio-organic spray head used for manufacturing a biochip, or a sample spray head used as a precision pipette. .
잉크젯 기록 장치 또는 액체 분사 장치의 일 예로서 잉크젯 프린터에 대해 설명한다. 잉크 카트리지를 잉크젯 프린터내로 장착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압입력이 요구된다. 개별 컬러에 대하여 별도의 잉크 카트리지가 제공되는 경우, 약 4.9N 내지 6.9N의 압입력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복수의 컬러용의 잉크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패키지형의 잉크 카트리지 유닛에 있어서는, 복수의 니들(needle)이 제공되므로, 4.9N 내지 6.9N의 몇 배의 매우 큰 압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큰 압입력은 잉크 카트리지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기만 하면 인가될 수 있지만, 장착 프로세스 도중 수직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잉크 카트리지가 슬라이드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부자연적인 힘(unnatural force)이 또한 잉크젯 프린터상에 가해져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큰 압입력을 인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An ink jet prin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ink jet recording apparatus or the liquid ejecting apparatus. In order to mount an ink cartridge into an inkjet printer, a relatively large pushing force is required. When separate ink cartridges are provided for individual colors, a pushing force of about 4.9 N to 6.9 N is sufficient. However, in a single packaged ink cartrid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 ink cartridges are formed integrally, a plurality of needles are provided, so that a very large indentation of several times from 4.9 N to 6.9 N is required. Such large pushing force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ink cartridge is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if the ink cartridge should slide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the mounting process, an unnatural force may also be applied on the inkjet printer. Should be added. Therefor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apply such a large pressing force.
큰 압입력을 얻기 위해 지렛대 원리를 채용한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15709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에 따르면, 카트리지 부착/탈착 레버의 회전이 링크 플레이트에 전달되어 링크 레버의 로크해제와 홀더내로의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장치는 개별 컬러용의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을 위해 개발된 것이며, 복수 컬러용의 잉크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패키지형의 잉크 카트리지 유닛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큰 압입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또한, 컬러 잉크 카트리지의 각각에 카트리지 부착/탈착 레버 및 링크 플레이트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부품들의 수가 증가할 것이고, 따라서 부품들의 원가가 높아질 것이다.An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employing the lever principle to obtain a large pressing forc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9-157094. According to this apparatus, the rotation of the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lever is transmitted to the link plate, thereby unlocking the link lever and mounting of the ink cartridge into the holder. However, this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for the mounting of ink cartridges for individual colors, and does not provide a large pressing force necessary to cope with a single packaged ink cartridge unit in which ink cartridges for multiple colors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if each of the color ink cartridges is provided with a cartridge attach / detach lever and a link plate, the number of parts will increase, and thus the cost of the parts will be high.
또한, 장착 중이거나 장착된 카트리지는 잉크 카트리지에 접속된 유로 부재로부터 잉크 카트리지를 복귀시키는 또 다른 힘을 항상 받는다. 그러므로,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압입력은 이러한 다른 힘보다 커야만 한다. 그렇지 않다면, 잉크 카트리지와 유로 부재 사이에 갭이 나타나게 되고, 잉크 카트리지와 유로 부재에 제공된 접촉점이 이동하게 되어, 잉크 잔류량을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접촉점의 위치 변동이 또한 부품들의 크기 공차에서의 불일치로 인해 일어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큰 압입력을 제공하고 폐쇄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157094 호에 개시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the cartridge being loaded or mounted is always subjected to another force for returning the ink cartridge from the flow path member connected to the ink cartridge.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mounting state, the pushing force for mounting the ink cartridge must be greater than this other force. Otherwise, a gap appears between the ink cartridge and the flow path member, and the contact point provided to the ink cartridge and the flow path member is moved, making it impossible to detect the ink remaining amount. Moreover,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contact point may also occur due to a mismatch in the size tolerances of the parts. However, a form for providing such a large pressing force and maintaining a closed contact state is no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9-15709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컬러 잉크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패키지형의 잉크 카트리지가 채용된 경우에도(즉, 다른 종류의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카트리지가 채용된 경우에도)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확실히 장착하기 위한 큰 압입력을 발생시키고 인가하는데 극히 작은 힘이 필요하여, 잉크 카트리지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면서도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지 않는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상기 부착/탈착 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ven when a single packaged ink cartridge is formed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 ink cartridges are integrally formed (that is, even when an ink cartridge for accommodating different types of ink is employed). An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that requires a very small force to generate and apply a large pressing force to reliably mount the ink cartridge, can easily remove the ink cartridge and does not cause a change in position of the mounted ink cartridge. To provide and to provide a recording device including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을 위해 큰 압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도 부착/탈착 장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fixed to an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even when a large pressing force is required for moun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을 위해 큰 압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도 부착/탈착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액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even when a large pressing force is required for mounting.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기록 장치의 본체내로 장착하는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는 소정 행정(stroke)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유지 수단; 및 레버 아암의 회전운동과 지렛대 원리를 사용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압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운동을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또 하나의 소정 행정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for mounting the ink cartridge into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by sliding the ink cartridge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troke of the ink cartridge. Cartridge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ink cartridge upon insertion; And a rotary slide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necessary for mounting the ink cartridge us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arm and the lever principle and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arm to another predetermined stroke movement required for mounting the ink cartridge. Includes an appliance.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작용점과 지점 사이에 비교적 긴 거리가 얻어질 수 있는 레버 아암이 채용되므로, 비교적 큰 지레의 비(lever ratio)가 얻어질 수 있 다. 그러므로, 지렛대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큰 압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극히 작은 힘이 요구되므로 단일 패키지형 잉크 카트리지 유닛은 용이하게 장착 또는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a lever arm is employed in which a relatively long distance can be obtained between the operating point and the point, a relatively large lever ratio can be obtained. Therefore, a single packaged ink cartridge unit can be easily mounted or removed because an extremely small force is required to generate a large pressing force by applying the lever principle.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은 단순히 레버 아암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로부터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할 수 있는 로크해제 기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cartridge holding means is unlocked, which can remove the ink cartridge from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device by simply rotating the lever arm. A mechanism is provided.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단 하나의 접촉(single-touch)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즉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로부터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 조작이 원활하게 실행될 수 있고 간단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ink cartridge can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by simply performing a single-touch operation, that is, by rotating the lever arm, thereby removing the ink cartridge. The operations performed to do so can be executed smoothly and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로크해제 기구는 상기 레버 아암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잉크 카트리지와 함께 이동되는 로크해제 핀과, 상기 로크해제 핀의 이동 궤적을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과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되는 방향으로 구별시킴으로써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탄성 로크해제 피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로크해제 핀의 이동 궤적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로크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되는 방향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로크해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지 단 하나의 접촉 조작만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unlocking mechanism includes a unlocking pin which is moved together with the ink cartridge as the lever arm rotates, and a movement trajectory of the unlocking pin. And an elastic unlocking piece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ink cartridge by distinguishing the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remov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ement trace of the unlocking pin is set such that the ink cartridge is lock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and the ink cartridge is unlock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removed. . Therefore, only one contact operation is necessary to remove the ink cartridge.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대향된 두 측면 중의 하나로부터 돌출하는 구동 리브와 접촉하게 되고 적출 스프링에 의해 인가된 가압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드되는 로크 슬라이더와, 상기 로크 슬라이더를 유지하면서 이동 프레임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로크 슬라이더가 슬라이드될 수 있는 슬라이더 홀더와, 상기 로크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 홀더상에 형성된 결합 리브와 결합하여 상기 로크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홀더를 함께 결합시키는 결합 폴과, 상기 결합 폴을 상기 결합 리브 쪽으로 가압하는 로크 스프링과,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 홀더에 대하여 슬라이드하며 상기 슬라이더 홀더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와 결합하는 가이드 돌출부를 갖는 슬라이드 로크 피스를 구비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해 소정 행정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확실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상기 이동 프레임, 상기 슬라이더 홀더 및 상기 로크 슬라이더는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지 극히 단순한 조작만이 요구된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cartridge holding means is a drive rib protruding from one of two opposite sides of the ink cartridge. A lock slider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slides against a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extraction spring, a slider holder which is moved with the moving frame while holding the lock slider, and which the lock slider can slide, rotatable to the lock slider A coupling pawl coupled to the coupling ribs formed on the slider holder to engage the lock slider and the slider holder together, a lock spring for urging the coupling pawl toward the coupling rib, and the ink cartridge mounted thereto.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unting direction And a slide lock piece that slides with respect to the slider holder and has a guide protrusion that engages with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slider hold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by employing a predetermined stroke for inserting the ink cartridge, the ink cartridge, the moving frame, the slider holder, and the lock slider are combined into one unit while the ink cartridge is securely held. To form. Therefore, only an extremely simple operation is required to securely hold the ink cartridge.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은 고정 프레임상에 제공된 수직 회전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기단부;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의 후면 쪽으로 연장되는 아암 본체; 및 상기 아암 본체의 말단에 부착 되어 있는 노브(knob)를 구비하며, 쌍안정 스프링(bi-stable spring)이 상기 기단부와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에 걸려있어 상기 레버 아암을 좌측 및 우측 회전 단부중의 어느 하나에 위치시키도록 가압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lever arm is proximal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vertical rotation pin provided on a fixed frame. ; An arm body extending from the proximal en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And a knob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arm body, wherein a bi-stable spring is hung between the proximal end and the fixed frame such that the lever arm is rotated between any of the left and right rotating ends. Press to position one.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쌍안정 스프링에 의해 인가된 힘에 의해 상기 레버 아암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로 회전되면, 상기 레버 아암은 자동으로 이동되어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회전 단부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정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정지되었을 때 불완전하지 않게 위치되지만,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로 완전히 장착되는 위치 또는 삽입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대기 위치 중의 하나에 정지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 비교적 큰 선직경과 큰 가압력을 갖는 쌍안정 스프링이 채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쌍안정 스프링은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위치시키는 기능을 가지므로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의 후면 쪽으로 약간 돌출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hen the lever arm is rotated to either the left or the right by the force applied by the bistable spring, the lever arm is automatically moved to stop at either the left or the right rotating end. do. Therefore, the ink cartridge is not incompletely positioned when it is stopped, but is stopped either at a position where the ink cartridge is fully moun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or at a standby position where the inserted ink cartridge is accommodated. In addition, in order to obtain such an effect, a bistable spring having a relatively large linear diameter and a large pressing force is employed. Therefore, the bistable spring also has a function of positioning the ink cartridge, so that it slightly protrude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and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ink cartridge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과 함께 회전되는 전달 부재는 증압 스프링을 통해 상기 레버 아암의 기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도록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증압 스프링에 의해 인가된 가압력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가압하고 유지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유로 부재에 밀접하게 접촉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 부재와 부품 공차에서의 불일치에 의해 인가된 복귀력에 의해 상기 잉크 카트리지와 유로 부재 사이에 갭이 개방될 때에도, 상기 증압 스프링에 의해 인가된 가압력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와 유로 부재에 인가되어, 이들 두 부재는 서로 항상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유지된다.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fifth embodiment, the transfer member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arm is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ever arm via a pressure spring, and the lever arm is When the ink cartridge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mount the ink cartridge,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boosting spring presses and holds the ink cartridge so that the ink cartridge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ow path membe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even when the gap is opened between the ink cartridge and the flow path member due to the return force applied by the discrepancy in the flow path member and the part tolerance, the pressing force applied by the boost spring is applied to the ink cartridge. And flow path members, these two members are kept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at all times.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는 래크 피니언 기구로 구성된다. 제 7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운동을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소정 행정의 상기 이동 프레임의 운동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크를 채용함으로써 전달 경로 또는 작용 길이가 상당히 증가될 수 있으므로, 전달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기어열(gear train)이 채용되는 경우에 비해 부품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rotary slide mechanism is constituted by a rack pin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re i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arm in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of a predetermined stroke necessary for mounting the ink cartridge or the movement of the ink cartridge held by the moving fram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transfer path or length of action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mploying the rack,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a large number of gear trains are employed to provide the transfer path.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르면, 제 7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레버 아암의 기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레버 아암과 함께 회전하는 제 1 피니언과, 상기 제 1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 1 래크 및 상기 제 1 래크의 운동은 전달 경로를 따라서 하류로 전달하는 제 2 래크를 갖는 슬라이드 바와, 상기 제 2 래크와 맞물리는 제 2 피니언 및 상기 제 2 피니언의 회전을 상기 전달 경로를 따라서 하류로 전달하는 제 3 피니언을 가지는 결합 피니언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이동 프레임상에 제공되어 상기 제 3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 3 래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of the seventh embodiment, the rotary slide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lever arm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lever arm; The motion of the first rack engaging the first pinion and the first rack includes a slide bar having a second rack that transmits downstream along a delivery pa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pinion and the second pinion that engages the second rack. A coupling pinion having a third pinion for transmitting downstream along the delivery path, and a third rack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slidably attached to the fixed frame to engage the third pinion.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제 6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크, 상기 제 2 피니언, 상기 제 3 피니언 및 상기 제 3 래크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전달 경로는 상기 레버 아암의 우측 및 좌측의 각각에 배치된다.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sixth embodiment, the delivery path provided by the second rack, the second pinion, the third pinion and the third rack is Disposed on each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lever arm.
본 발명의 제 8 및 제 9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 지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이동 프레임을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최적점이 힘을 전달하는 최종 작용점으로서 상기 이동 프레임에 지시될 수 있다. 양측에 전달 경로가 배치되면,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부착 및 탈착될 때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원활하고 확실하게 장착 및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ighth and ni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um point for smoothly sliding the movable fram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rotational point of the lever arm, can be directed to the movable frame as the final operating point for transmitting force. . If the delivery paths are arranged on both sides, the moving frame can be prevented from tilting when the ink cartridge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ink cartridge can be smoothly and securely mounted and removed.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이 완료될 때 상기 레버 아암이 위치하기로 되어있는 설치 위치(set position)에 상기 레버 아암이 위치되는 경우 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이 가능한 재설치 위치(reset position) 이외의 위치에 상기 레버 아암이 위치되는 경우 또는 일 측만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이 조작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방지하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ninth embodiments has an installation position in which the lever arm is supposed to be positioned when the ink cartridge is completely mounted. position or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a reset position at which the ink cartridge can be mounted, or the cartridge holding means of only one side is operated to operate the ink cartridge. It further comprises an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the insertion of said ink cartridge when it is inserted.
오프-캐리지(off-carriage) 잉크 카트리지용의 주된 통상의 오삽입 방지 수단에는 전기 전도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있고, 다른 하나로는 카트리지 홀더 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하지 않는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물리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 수단은 개별 컬러용으로 제공된 잉크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컬러 잉크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패키지형의 잉크 카 트리지 유닛의 경우에는 항상 만족스럽지는 않다.The main common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for off-carriage ink cartridges is the electrical detection of electrical conduction, and the other physically prevents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which does not engage with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cartridge holder side. There is something to prevent. However, these means can be applied to ink cartridges provided for individual colors, and are not always satisfactory in the case of a single packaged ink cartridg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 ink cartridges are integrally formed.
반면에,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어서는 안 되는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상기 레버 아암이 위치되는 경우 또한 이 때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의 조작이 수행되지 않아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일 측만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유지 수단이 조작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기울어지게 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은 불완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 10 실시예에서 제공된 수단은 단일 패키지형의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에 대한 방지 수단으로서 효과적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at which the ink cartridge should not be inserted, and when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cartridge holding means Operation of the ink cartridge is prevented from being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while the ink cartridge holding means of only one side is operated, the ink cartridge is inclined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is incomplete. Therefore, the means provided in the tenth embodiment is effective as a prevention means against mis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of the single package type.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0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의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로크 슬라이더 쪽으로 돌출된 오삽입 방지 돌출부와, 상기 로크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로크 피스와, 상기 기록 장치의 이동 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슬라이더 홀더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상에 제공된 가이드 돌출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상기 레버 아암이 설치 위치에 위치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될 때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가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와 접촉하게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방지하게 되는 이동 궤적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가 상기 고 정 프레임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형상이 고안되어 있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이 방지된다.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apparatus of the tenth embodiment,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includes: a mis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projecting from the fixing frame of the recording apparatus toward the lock slider; A slide lock piece that sl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with respect to the lock slider,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slider holder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frame of the recording apparatus and provided on the slide lock piece. And the guide groove is positioned so that the slide lock piece contacts the mis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and prevents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when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Moving trajectories That is formed.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mis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xing frame and the structure of the guide groove is relatively simple. Incorrect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is prevented.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0 또는 제 11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은 상기 기록 장치의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로크 슬라이더 쪽으로 돌출된 오삽입 방지 돌출부와, 상기 로크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로크 피스와, 상기 기록 장치의 이동 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슬라이더 홀더내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상에 제공된 가이드 돌출부와 결합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일 측만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만이 조작되면서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재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설치 위치까지 회전되는 경우 조작되지 않는 다른 측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 부근에 위치되는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가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을 방지하게 되는 이동 궤적을 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가 상기 고정 프레임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가 고안되어 있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서, 일 측만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만이 조작되면서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재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설치 위치까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tenth or eleventh embodiment,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is a misinsertion preven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xing frame of the recording apparatus toward the lock slider. And a slide lock piece that sli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with respect to the lock slider, 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in the slider holder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frame of the recording apparatus and provided on the slide lock piece. And a guide groove engaged with the cartridge, wherein the guide groove is adjacent to the cartridge holding means on the other side that is not operated when the lever arm is rotated from the reinstallation position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while only the cartridge holding means is operated on one side. Located at It is formed to assume a movement path the slide lock piece group the O into contact with insertion-proof projection i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insertion preven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xing frame and the guide groove is designed in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herein only one side of the cartridge holding means is operated so that the lever arm is operated. When the ink cartridge is rotated from the reinstallation position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mis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1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은,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경우 결합 폴상에 제공된 로크해제 핀으로의 충돌에 의해 일어나는 탄성 로크해제 피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충돌 회피 유닛을 구비한다. 제 13 실시예에 따르면, 충돌 회피 유닛이 제공되므로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로크해제 핀의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로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고 충돌로 인한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의 변형이 사전에 방지된다.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twelfth embodiments,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is such that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And a collision avoidance unit which prevents deformation of the resilient unlocking piece caused by a collision with the unlocking pin provided on the engagement pawl when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a collision avoidance unit is provided so that even when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collision of the unlocking pin to the flexible unlocking piece is prevented. And deformation of the flexible unlocking piece due to the collision is prevented in advance.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제 13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 회피 수단은 상기 결합 폴과 함께 회전하는 충돌 회피 볼록부; 및 상기 충돌 회피 볼록부와 접촉하고 결합 리브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폴과 결합되는 슬라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 폴의 회전 궤적은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로크해제 핀이 상기 탄성 로크해제 피스와 충돌하게 되는 결합 폴의 정상 회전 궤적이 정정되어 상기 로크해제 핀이 상기 탄성 로크해제 피스와 충돌하지 않게 되는 회피 회전 궤적이 선택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돌 회피 볼록부와 상기 슬라이드면이 제공되어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상기 결합 폴의 정상 회전 궤적이 정정될 수 있고 상기 회피 회전 궤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로크해제 핀의 상기 탄성 로크해제 피스로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wherein the collision avoidance means comprises: a collision avoidance protrusion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engagement pawl; And a sl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llision avoiding convex portion and integrally formed in the engagement rib to engage the engagement pawl, wherei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engagement pawl is such that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so that the ink Set the avoidance rotational trajectory so that the unlocking pin does not collide with the elastic unlocking piece by correcting the normal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engaging pawl that causes the unlocking pin to collide with the elastic unlocking piece when the cartridge is inserted. It is.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collision avoidance protrusion and the slide surface are provided, the normal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coupling pawl can be corrected and the avoidance rotational trajectory can be changed. Collision of the unlocking pin to the elastic unlocking piec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제 10 내지 제 1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은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면 후퇴 자세를 채택하고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 돌출 자세를 채택하는 오삽입 방지 플랩; 및 상기 레버 아암의 운동을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방향 변경 기구를 구비한다. 제 1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이 돌출하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돌출 자세의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삽입하려고 시도하는 사용자에게 보이게 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이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any one of the tenth to fourteenth embodiments,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is arranged in a retracted position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reinstallation position. A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that adopts a protruding position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And a rotation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lever arm into the movement of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According to the fifteenth embodiment,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protrudes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so that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becomes physically im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of the protruding posture is visible to the user attempting to insert the ink cartridge,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at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is prohibited.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따르면, 제 15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 단부면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플랩 본체와, 축방향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설정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샤프트와, 상기 회전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랩 본체에 대향된 단부면에 제공된 변환캠 팔로우어를 구비하며,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은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플랩 사이에 배치된 가압 수단으로부터의 가압력을 수용함으로써 항상 돌출 자세를 채택한다. 제 1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은 비교적 간단하고 기능적인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을 물리적으로, 시각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According to a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fifteenth embodiment,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sertion end surface of the ink cartridge to prevent the mis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A main body, a rotary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such that an axial direction is se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frame, and a conversion cam follower provided on an end face opposite the flap body with the rotary shaft interposed therebetween.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always adopts a protruding posture by receiving the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ing mean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frame and the flap. According to a sixteenth embodiment,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has a relatively simple and functional structure and is positioned to physically, visually and effectively prevent mis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따르면, 제 15 또는 제 16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향 변경 기구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면상에 수직하게 제공된 회전 핀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레버 아암의 운동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는 트리거와,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에 제공된 변환캠 팔로우어와, 상기 트리거를 상기 레버 아암 쪽으로 항상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seven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fifteenth or sixteenth embodiment, the rotation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ver is centered on a rotation pin provided perpendicularly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A trigger tha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rm, a conversion cam follower provided in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and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trigger to always rotate toward the lever arm.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에 따르면, 제 17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상기 회전 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레버 아암 및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 쪽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변환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환 조작부는 그 입력측에 상기 레버 아암과 직접 접촉하는 입력 접촉부를 가지고, 그 출력 측에 슬라이드하여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의 변환캠 팔로우어와 접촉하는 변환캠 면을 가진다.According to an eigh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removing device of the seventeenth embodiment, the trigg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ry pin and extends radially from an arm end portion; A conversion operation portion circumferentially extending toward the lever arm and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the conversion operation portion having an input contact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lever arm on an input side thereof, and sliding on the output side to prevent the misinsertion; It has a conversion cam face in contact with the conversion cam follower of the flap.
본 발명의 제 17 및 제 18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 형상의 트리거만이 배치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 운동이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n which only a trigger of a predetermined shape is arrange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arm can be converted in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misinsertion prevention flap. Therefore, the ink cartridge can be inserted only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reinstallation position.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18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이 완료될 때 상기 레버 아암이 위치하기로 되어있는 설치 위치에 상기 레버 아암이 계속해서 체류하는 경우 발생되고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의 개별 섹션상에 가해는 크리프 하중(creep load)을 저감하는 크리프 하중 저감 수단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nine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removing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eenth embodiments is provided at an installation position where the lever arm is to be positioned when the mounting of the ink cartridge is completed. And further comprising creep load reducing means which is generated when the lever arm continues to stay and reduces creep loads applied to individual sections in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설치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의 개별 섹션상에 상당히 큰 하중이 가해진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의 섹션에 크리프가 발생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와 상기 유로 부재와 접촉시키는데 필요한 압입력은 얻어질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따르면, 크리프 하중 저감 수단이 제공되므로,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의 개별 섹션은 크리프 하중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약간 후퇴될지라도,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에 필요한 압입력이 얻어진다. 그러므로, 크리프를 발생시키는 큰 하중이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의 개별 섹션상에 가해지지 않으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에 필요한 압입력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부착/탈착 빈도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얻어진다.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a fairly large load is applied on the individual sections in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If this condition persists, creep is generated in the section in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and a pressing force necessary for contacting the ink cartridge and the flow path member cannot be obtained. According to a nine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reep load reducing means is provided, the individual sections in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are kept without creep loads. Further, even if the ink cartridge is slightly retracted, the pushing force necessary for mounting the ink cartridge is obtained. Therefore, since a large load for generating creep is not applied to the individual sections in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the pushing force required for mounting the ink cartridge is continuously obtained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f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ink cartridge.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르면, 제 19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리프 하중 저감 수단은, 상기 설치 위치에 위치한 상기 레버 아암을 상기 재설치 위치쪽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재설치 위치 쪽으로 소정의 피치만큼 후방에 위치되는 설치 대기 위치에 상기 레버 아암을 정지시키는 레버 아암 정지 기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twen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nineteenth embodiment, the creep load reducing means includes pressurizing means for pressing the lever arm position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to rotate toward the reinstallation position; And a lever arm stop mechanism for stopping the lever arm at an installation standby position located rearward by a predetermined pitch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toward the reinstallation position.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르면, 설치 위치의 상기 레버 아암이 상기 가압 수단의 힘에 의해 상기 재설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어 상기 레버 아암 정지 기구의 작용에 의해 소정의 설치 대기 위치에 정지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특별한 주의 없이도 상기 레버 아암이 자동으로 상기 설치 대기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되어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의 개별 섹션상에 가해진 하중이 감소되므로,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의 서비스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wen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arm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reinstallation position by the force of the urging means and stopped at the predetermined installation standby position by the action of the lever arm stop mechanism. Therefore, the lever arm can automatically reach the installation standby position without special atten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Further,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individual sections in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is reduced, the service life of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can be extended.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20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를 초과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삽입하려고 시도할 때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전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게 하는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수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twen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removing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twentieth embodiments, the ink cartridge when the user attempts to insert the ink cartridg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k cartridge insertion state determination means is provided for stopping the ink cartridg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mounting of the ink cartridge and allowing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inser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is normal or abnormal.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은 사용자의 행동에 의존하므로, 단지 일 측만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수단이 조작되는 상태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기울어진 삽입과 같은 오삽입(비정상 삽입 상태)의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오삽입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정정 없이 장착(이하, 오장착이라고 함)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Since the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depends on the action of the user, there is a possibility of misinsertion (abnormal insertion state) such as tilted inser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in the state where only one side of the cartridge holding means is operated, and th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k cartridge which has been incorrectly inserted may be mounted without a cor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correct mounting).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소정의 거리를 초과하여 삽입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수단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전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후방 단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용이하게 판단하게 된다. 그 결과, 삽입 상태가 비정상이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 지를 다시 바르게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정상 삽입 상태에서 정정 없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에 의해 오장착되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 twenty-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attempts to insert the ink cartridge beyon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nk cartridge insertion state determining means stops the ink cartridg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mounting the ink cartridge. Thus,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rear end of the ink cartridg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inser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is normal or abnormal. As a result, if the insertion state is abnormal, the user can correctly insert the ink cartridge aga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ink cartridge being incorrectly mount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in the abnormal insertion state without correction.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르면, 제 21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수단은 상기 재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설치 위치 쪽으로의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을 제한하여 삽입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twen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twenty-first embodiment, the ink cartridge insertion state determining means is inserted by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from the reinstallation position toward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 lever arm rotation limiting mechanism for stopping the ink cartridg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를 초과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삽입하려고 시도할지라도, 상기 재설치 위치로부터 설치 위치 쪽으로의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의 운동이 또한 제한된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소정의 위치에 정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만을 제한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wen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user attempts to insert the ink cartridg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from the reinstallation position toward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limited. Thus, the movement of the rotary slide mechanism is also limited. Therefore, the ink cartridge can be stopp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s a result, by restricting only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inser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is normal or abnormal.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르면, 제 22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는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상에 상기 재설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을 상기 설치 위치 쪽으로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 twenty-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removing device of the twenty-second embodiment, the lever arm rotation limiting mechanism is disposed at the reinstallation position on a guide for guiding rotation of the lever arm and the lever arm It is provided with a limi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toward the installation position.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한부가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상에 재설치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는 구성 부품의 증가 없이 낮은 원가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twenty-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tricting portion is formed at the reinstallation position on the guide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the lever arm rotation limiting mechanism is easily constructed at low cost without increasing component parts. Can be.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2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비정상 삽입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장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장착을 통지하는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According to a twenty-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any one of the first to twenty-third embodiments, when the ink cartridge in an abnormally inserted state is incorrectly mounted,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ink cartridge. Ink cartridge erroneous warning means for informing mounting is provided.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을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구조가 채택될 지라도, 삽입 조작은 사용자의 행동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삽입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Although a structure is adopt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perform the wrong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move the wrong insertion of the ink cartridge because the insertion operation depends on the action of the user.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상 삽입 상태(오삽입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장착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오장착을 통지할 수 있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수단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통지시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다시 바르게 삽입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정되지 않은 비정상 삽입 상태(오삽입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에 의해 오장착 되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오장착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그대로 두어지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잉크 공급 니들과 밀봉 고부 사이의 불완전한 밀봉 상태에서 기인하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잉크가 누출되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twenty-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k cartridge misfitting warning that can notify the user of the misfit of the ink cartridge when the ink cartridge in the abnormally inserted state (misinserted state) is misfitted. Means are provided. Therefore, upon notification, the user can mount the ink cartridge by correctly inserting the ink cartridge aga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ink cartridge in an uncorrected abnormal insertion state (misinsertion state) is incorrectly mounted by the rotation of the lever ar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leaving the misplaced ink cartridge intact, thus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ink leaking by capillary action resulting from an incomplete sealing state between the ink supply needle and the sealing height. It is possible to let.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르면, 제 24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수단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위한 삽입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리드 부재와, 상기 리드 부재의 내 측면 상에 형성된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장착되는 경우 상기 리브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접하고 상기 리드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리드 부재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a twenty-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twenty-fourth embodiment, the ink cartridge misalignment warning means comprises: a rotatable lead member capable of closing an insertion opening for the ink cartridge; And a rib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lead member, wherein when the ink cartridge is incorrectly mounted, the rib contacts the ink cartridge and restricts rotation of the lead member to prevent the lid member from closing.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장착되는 경우 상기 리드 부재의 내측면상의 상기 리브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접하고 상기 리드 부재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리드 부재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오장착이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즉, 통지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재삽입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다시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wenty-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k cartridge is incorrectly mounted, the rib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ad member contacts the ink cartridge and restricts rotation of the lead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lid member from closing. . In this way, misfit can be notified to the user. That is, upon notification, the user can reinsert the ink cartridge to remount the ink cartridge.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에 따르면, 제 25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수단은 상기 리드 부재의 개폐를 검출하는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를 더 구비한다.According to a twenty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of the twenty-fifth embodiment, the ink cartridge misalignment warning means further includes a lid member opening and closing detector for detec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member.
제 26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가 상기 리드 부재의 개폐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리드 부재가 폐쇄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이 경고 표시 장치 등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wenty-sixth embodiment, since the lid member opening and closing detector can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member, the fact that the lid member is not close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can be notified to the user by a warning display device or the like. Can be.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르면, 제 26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수단은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가 상기 리드 부재의 폐쇄를 검출할 때까지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상태 컨트롤러를 더 구비한다.According to a twenty-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of the twenty-sixth embodiment, the ink cartridge misalignment warning means is arranged until the lid member opening / closing detector detects the closing of the lid member.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nk cartridge misfit state controller for preventing the main body of the apparatus from operating.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상태 컨트롤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리드 부재의 폐쇄가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상기 기록 장치 본체가 작동되는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장착되는 경우 상기 기록 장치 본체가 상기 기록 헤드내에 제공된 유로내로 잉크를 충전하는 최초 충전 단계 등을 수행하는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장착 될지라도, 최초 충전 단계 등에 기인하는 폐잉크가 외부로 누출되는 가능성은 전혀 없게 된다.According to a twenty-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ink cartridge misloading state controller,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is operated until the closing of the lid member is detected by the lid member opening and closing detector. . Therefore, when the ink cartridge is incorrectly mounte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recording apparatus main body performs an initial filling step or the like to fill ink into the flow path provided in the recording head. Therefore, even if the ink cartridge is incorrectly mounted, there is no possibility of waste ink leaking out due to the initial filling step or the like outwardly.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장치는, 잉크 카트리지를 슬라이드시켜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내로 장착하는 제 1 내지 제 27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에 따르면, 극히 작은 힘으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는 상기 기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wenty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apparatus includes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wenty-seventh embodiments, which slides the ink cartridge and mounts it into the main body of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wenty-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apparatus in which the ink cartridge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 an extremely small forc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분사 장치(liquid ejection apparatus)는 액체 카트리지를 슬라이드하여 상기 액체 카트리지를 상기 액체 분사 장치의 본체내로 장착하는 액체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와, 소정 행정(stroke)의 상기 액체 카트리지의 삽입시 상기 액체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유지 수단과, 레버 아암의 회전운동과 지렛대 원리를 사용하여 상기 액체 카트리지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압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레버 아암의 회전운동을 상기 액체 카트리지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또 하나의 소정 행정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슬라이드 기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wenty-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ejection apparatus comprises: a liquid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for sliding a liquid cartridge to mount the liquid cartridge into a body of the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a predetermined stroke; Cartridge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liquid cartridge upon insertion of the liquid cartridge of the liquid cartridge, and generating a pushing force necessary for mounting the liquid cartridge using the lever arm rotational and lever principle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ever arm to the liquid. And a rotary slide mechanism for converting to another predetermined stroke of movement required to mount the cartridge.
본 발명의 제 30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가 수용되는 액체 용기 수용부 및 상기 액체 용기 수용부내에 상기 액체 용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액체 용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용으로 채용되는 상기 액체 용기는, 내부에 액체 수용부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 측벽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 수용부내의 액체를 외부로 도입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액체 용기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 부분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슬라이더상에 제공된 로크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상기 공급부가 형성된 측벽과 교차하는 측벽상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thirtie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ontainer containing portion for containing a liquid container and a slider for sli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while holding the liquid container in the liquid container containing portion. The liquid container, which is adopted as a liquid container, includes a case having a liquid container therein, and a supply unit formed on one sidewall of the case and introducing a liquid into the liquid container to the outside.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lider and a coupling portion engaged with the lock portion provided on the slider are formed on the sidewall crossing the sidewall on which the supply portion is formed so as to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제 3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의 일 부분과 접촉하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액체 용기의 상기 케이스의 측벽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로크부와 결합하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케이스상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액체 용기가 상기 부착/탈착 장치내로 삽입되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밀어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액체 용기가 삽입되면 상기 케이스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로크부와 결합하게 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액체 용기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유지되면서 커넥터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액체 용기는 안정된 조작을 통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tieth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lider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case of the liquid container. In this case, the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lock portion of the slider is provided on the case.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the contact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lider to push the slider. In addition,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ase is engaged with the lock portion of the slider, so that the case is fixed to the slider. Therefore, since the liquid container can be moved to the connector side while being held by the slider, the liquid container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rough a stable operation.
본 발명의 제 31 실시예에 따르면, 제 30 실시예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According to a thirty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ontainer of the thirtieth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projects out of the case.
이러한 배치로, 상기 접촉부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체 용기가 상기 부착/탈착 장치내로 삽입되면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슬라이더상에 제공된 로크부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In this arrangement, since the contact portion projects out of the case, the contact portion can be easily contacted with the lock portion provided on the slider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본 발명의 제 32 실시예에 따르면, 제 30 또는 제 31 실시예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 면내에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상기 로크부가 상기 결합부로 진입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와 상기 로크부가 함께 결합된다.According to a thirty-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ontainer of the thirty or thirty-first embodiment, the engagement portion is recessed i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as the lock portion enters the engagement portion. The lock parts are joined together.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 면내에 오목하게 들어가 있으므로, 상기 로크부는 이들 부분과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부로 진입될 필요만 있다. 그 결과, 상기 케이스는 상기 슬라이더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since the engaging portion is recessed in one surface of the case, the lock portion only needs to enter the engaging portion in order to engage with these portions. As a result, the case can be more securely fixed to the slider.
본 발명의 제 33 실시예에 따르면, 제 30 내지 제 3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 부분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상기 결합부의 일 면에 연결된다.According to a thirty-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one of the thirtieth to thirty-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surface formed on the contact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slid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ngagement portion. do.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의 접촉면에 상기 결합부의 일 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크부는 상기 접촉면을 이용하여 위치설정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since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the lock portion may be positioned using the contact surface and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제 34 실시예에 따르면, 제 30 내지 제 3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상기 케이스의 일 면상에 제공되어 있다.According to a thirty-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ontainer of any one of the thirtieth to thirty-third embodiments, a reinforcing portion for reinforcing th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를 보강하는 상기 보강부가 상기 케이스상에 제공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더의 일 부분이 상기 접촉부와 접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 또는 상기 접촉부가 형성된 부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since the reinforcing part for reinforcing the contact part is provided on the case, damage to the contact part or the part in which the contact part is formed when one part of the slider contacts the contact par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제 35 실시예에 따르면, 제 30 내지 제 3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저장 장치를 갖는 회로기판, 위치설정부 및 상기 액체 용기 수용부에 접하는 인접부내로 액체를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입부가 상기 케이스내에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 thirty-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liquid container of any one of the thirtieth to thirty-fourth embodiments, wherein the case, the circuit board having the storage device, the positioning portion and the adjacent portion abutting the liquid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t least one introduction portion for introducing the liquid is formed in the case.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저장 장치를 갖는 회로기판, 위치설정부 및 상기 액체 용기 수용부에 접하는 인접부내로 액체를 도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입부가 상기 케이스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액체 용기의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since the case, the circuit board having the storage device, the positioning portion, and at least one introduction portion for introducing the liquid into the adjacen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iquid container containing portion are formed in the case, the function of the liquid container is achieved. This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제 36 실시예에 따르면, 제 30 내지 제 35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저장 장치를 갖는 회로기판 및 상기 액체 용기 수용부에 접하는 인접부가 상기 케이스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인접부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높이 쪽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두고 열거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a thirty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iquid container of any one of the thirtieth to thirty-fifth embodiments, a circuit board having a storage device and an adjacen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liquid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re formed in the case; The coupling portion, the circuit board and the adjacent portion are arranged in the order listed at a relativ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case toward the height of the case.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 뿐만 아니라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인접부가 상기 케이스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인접부가 상기 케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높이 쪽으로 상대적인 거리를 두고 열거된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로크부와 결합하고 상기 인접부가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접함으로써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액체 분사 장치의 단자 배치부에 대하여 가압되는 방향으로 힘의 모멘트(moment of force)가 발생되어,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단자 배 치부 사이의 연결이 안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not only the coupling portion but also the circuit board and the adjacent portion are formed in the case, and the coupling portion, the circuit board and the adjacent portion are enumerated with a relativ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case toward the height of the case. Are arranged in the same order. That is, the case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portion engaging the lock portion and the adjacent portion contacting the liquid ejecting device. Therefore, a moment of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pressed against the terminal arrangement portion of the liquid injector,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terminal arrangement portion can be stabilized.
본 발명의 제 37 실시예에 따르면, 제 30 내지 제 36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액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액체 용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면상에 위치되어 있다.According to a thirty-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ontainer of any one of the thirtieth to thirty-sixth embodiments, wherei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and opposite the slider. It is located on the face of the case.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액체 용기가 삽입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면상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액체 용기가 삽입되면 상기 접촉부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the contact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which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and opposite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is easy to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liquid container is inserted. Can be contacted.
본 개시내용은, 일본 특허 출원 제 2003-424832 호(출원일: 2003.12.22), 제 2004-031295 호(출원일: 2004.02.06), 제 2004-032152 호(출원일: 2004.02.09) 및 제 2004-244780 호(출원일: 2004.08.25)에 포함된 기술적 내용과 관련되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인용 합체되어 있다.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s. 2003-424832 (filed December 12, 2003), 2004-031295 (filed 2004.02.06), 2004-032152 (filed 2004.02.09) and 2004- 244780 (filed August 25, 2004), each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 및 잉크 카트리지와, 액체 분사 장치의 예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록 장치를 실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best mode)로서 잉크젯 프린터가 채용되어 있으며, 개략적인 형태에 대한 개관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의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Hereinafter, a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and the ink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as an example of the liquid ejec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n inkjet printer is employed as the best mode for executing the recording apparatus, and an overview of the schematic for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kjet printer when an ink cartridge is mounted.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
잉크젯 프린터(100)내에는, 캐리지(10)가 캐리지 가이드 샤프트(12)에 의해 지지되어 주 주사방향(main scanning direction)(도 1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상기 캐리지(10)는 액체 분사의 대상 재료의 일 예인 기록 재료(P)(이하 단순히 시트(P)라고 함)에 기록하는 액체 분사 수단의 일 예인 기록 수단의 주된 구성요소이다. 기록 헤드(13)가 상기 캐리지(10)상에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기록 헤드(13)는 상기 시트(P)에 액체의 일 예인 잉크를 방출(분사)하는 액체 분사 헤드의 일 예이다. 상기 캐리지(10) 아래의 상기 기록 장치 본체(3)의 공간내에, 액체 카트리지(액체 용기)의 일 예인 단일 패키지형 잉크 카트리지(611)가 후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1)를 통해 장착된다.In the
잉크 공급 기구(미도시)가 상기 부착/탈착 장치(1)에 연결되어 있다. 이 잉크 공급 기구는, 예컨대 밸브 기구 및 튜브를 구비하며, 이들에 의해 상기 부착/탈착 장치(1)가 상기 기록 헤드(13)에 연통된다. 상기 잉크 공급 기구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로부터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기록 헤드(13)로 잉크를 공급한다.An ink supply mechanism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attachment /
플래튼(platen)(28)이 상기 기록 헤드(13)의 아래에 이에 대향되게 위치되어 상기 기록 헤드(13)의 헤드 표면과 상기 시트(P) 사이의 갭(PG)을 규정한다. 상기 시트(P)는 시트 이송 조작, 즉 상기 캐리지(10) 및 상기 플래튼(28) 사이에서 상기 시트(P)를 상기 주 주사방향에 수직한 부 주사방향(sub-scanning direction)(도 1의 지면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이송시키는 조작 및 잉크 분사 조작, 즉 상기 기록 헤드(13)가 상기 주 주사방향으로 1회 왕복하는 기간 동안 상기 기록 헤드(13)로부터 상기 시트(P)로 잉크를 분사하는 조작을 교대로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기록된다.A
상기 잉크젯 프린터(100)의 형태를 상기 시트(P)의 이송 경로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시트(P)를 쌓아놓기 위한 대상 재료 적층부의 일 예인 피드 트레이(feed tray)(5)가 이송 방향에서 가장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P)의 측면 에지와 접촉하고 상기 시트(P)를 부 주사방향으로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에지 가이드(15)가 상기 피드 트레이(5)에 제공되어 있다. 피드 롤러(14)의 회전 샤프트(17)가 회전함에 따라, 소정 시기에 호퍼(16)가 상승되어 상기 피드 트레이(5)상의 상기 시트(P)를 상기 피드 롤러(14) 쪽으로 밀어 올린다.The form of the said
상기 피드 트레이(5), 상기 피드 롤러(14) 및 상기 호퍼(16)를 구비하는 섹션은 자동 시트 피더(2)이다. 상기 피드 롤러(1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피드 롤러(14) 부근에 제공된 분리부의 일 예인 분리 패드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최상측 시트(P)로부터 시작하여 소정 단위 수의 상기 시트(P)가 순차적으로 집어 올려진다. 이렇게 집어 올려진 시트(P)는 이송 방향으로 하류로 이송된다.The section with the
상기 시트(P)가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대상 재료 검출 수단의 일 예인 기록 재료 검출기(미도시)(이하 단순히 검출 레버라고 함)가 상기 피드 롤러(14)의 하류에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이송에 사용되고 구동 롤러(19a)와 이와 쌍으로 형성된 롤러(19b)를 구비하는 이송 롤러쌍(19)이 상기 검출 레버 하류에 제공되어 있다. 쌍으로 형성된 롤러(19b)는 회전 샤프트(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helical torsion spring)(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롤러 홀더(18)의 하류에 지지되어 쌍으로 형성된 롤러(19b)는 항상 압력하게 구동 롤러(19a)와 접촉하여 닙(nip)을 형성한다.A recording material detector (not show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detection lever), which is an example of a target material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assage of the sheet P,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상기 이송 롤러쌍(19)에 의해 협지되어 이송되는 상기 시트(P)는 상기 기록 헤드(13) 아래의 기록 위치(26)로 안내되어, 상기 캐리지(10)와 상기 시트(P)가 상술된 방식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시트(P)의 실질적인 전체 기록면에 대하여 소망의 기록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상기 기록 헤드(13) 아래에 이에 대향되게 위치한 상기 플래튼(28)과 상기 기록 헤드(13) 사이에 규정되는 갭(GP)은 정확한 기록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필요한 경우 상기 시트(P)의 두께에 따라서 조정된다.The sheet P sandwiched and conveyed by the conveying
대상 재료 방출 수단의 일 예인 구동 롤러(20a)와 치형이 형성된 방출 롤러(20b)를 구비하는 방출 롤러쌍(20)이 기록 헤드(13) 하류에 위치한다. 상기 시트(P)는 상기 방출 롤러쌍(20)에 의해 방출되어, 대상 재료 수용부의 일 예인 하류에 위치한 방출 스태커(50)의 탑재면(51)상에 놓인다.A
치형이 형성된 롤러(20b)는 외측 에지를 따라서 다수의 치형을 가지며, 치형 롤러에 제공된 롤러 홀더(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조 치형 롤러(22)가 상기 치형 방출 롤러(20b)의 상류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P)는 상기 보조 치형 롤러(22)에 의해 하류 쪽으로 약간 밀려진다. 상기 쌍으로 형성된 롤러(19b)의 축은 상기 구동 롤러(19a)의 축보다 약간 하류에 위치하며, 상기 치형 방출 롤러(20b)의 축은 상기 구동 롤러(20a)의 축보다 약간 상류에 위치한다.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송 롤러쌍(19)과 방출 롤러쌍(20) 사이에서, 상기 시트(P)는 약간 만곡되어 하방으로 볼록하게 되며, 즉 이른바 “역 휨(reverse warped)”상태로 놓이게 된다. 또한, 상기 기록 헤드(13)에 대향되어 위치한 상기 시트(P)는 상기 시트(P)의 상승을 방지하는 상기 플래튼(28)에 가압되어 올바른 기록이 수행된다. 상기 보조 치형 롤러(22)는 상기 치형 방출 롤러(20b)에 상응하는 다수의 치형을 가지며, 상기 보조 치형 롤러에 제공된 롤러 홀더(미도시)에 의해 지지됨에 주의해야 한다.With this arrangement, between the conveying
본 모드에서의 상기 잉크젯 프린터(100)는 복수의 잉크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단일 패키지형 잉크 카트리지를 채용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상기 피드 트레이(5) 아래의 상기 본체(3)의 후방 부분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프린터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부재(29)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위한 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본체(3)의 후방 단부면상에 제공되어 있다.The
(잉크 카트리지)(Ink cartrid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잉크젯 프린터(100)용으로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6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8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측면도이고, 도 40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케이스(612)를 구비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잉크팩(613)이 상기 케이스(612)내에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종류의 잉크가 수용된 6개의 잉크팩(613)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잉크팩(613)의 각각은 액체 수용부로서 기능하는 백(613a)과, 공급부로서 기능하는 도입부(613b)를 가진다. 상기 백(613a)은 필름 부재 또는 필름 부재들을 백 형상으로 열밀봉(heat-sealing) 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도입부(613b)는 그 기단부가 상기 백(613a)내로 삽입되면서 상기 필름 부재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상기 도입부(613b)는 상기 백(613a)내에 수용된 잉크가 외부로 도입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유로(flow path)(미도시)를 가진다.Preferably, the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612)는 수용부(614)와 리드(615)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614)는 상자 형상을 가지며, 6개의 하측 지지부(614b)가 전면(614a)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팩(613)을 상기 수용부(614)내에 탑재하기 위해, 상기 잉크팩(613)의 도입부(613b)가 상기 하측 지지부(614b)에 고정된다. 상측 지지부(615b)가 상기 리드(615)의 전면(615a)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615)를 상기 수용부(614)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상측 지지부(615b)는 상기 도입부(613b)가 고정되는 상기 하측 지지부(614b)에 끼워진다. 그 결과,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를 구성하는 지지부(616)가 상기 케이스(612)의 전면(612a)상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616a)이 상기 지지부(616)의 각각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될 경우, 상기 전면(612a)은 상기 부착/탈착 장치(1) 쪽을 향하게 되고, 상면(612b)과 저면(612c)이 수평으로 놓이게 된다.As shown in FIG. 40, the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부인 제 1 끼워맞춤홀(617)과 제 2 끼워맞춤홀(618)이 상기 케이스(612)[수용부(614)]의 전면(612a)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이 링 형상인 인접부(617a, 618a)가 상기 전면(前面)(612a)으로부터 하나의 단 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끼워맞춤홀(617, 618)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 인접부(617a, 618a)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후술되는 유로 부재(4)(도 3 참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유로 부재(4)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작용한다. 기판 부착부인 기판 리세스부(619)가 상기 제 2 끼워맞춤홀(618) 아래의 상기 케이스(612)[수용부(614)]의 저면(612c)내에 형성되어 있다. 저장 장치(미도시)를 가지는 회로기판이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입부로서 사용되는 도입 지지부(620)가 상기 케이스(612)의 전면(612a)상에 또한 도 38의 우측 단부상에 제 1 끼워맞춤홀(617)과 지지부(61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유로(620a)는 상기 도입부(620)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615)가 상기 수용부(614)에 고정될 때, 상기 유로(620a)는 상기 리드(615)의 전면(615a)에 형성되어 있는 도입로(615c)(도 40 참조)와 연통하게 된다. 상기 도입로(615c)는 상기 리드(615)의 배면상에 제공되어 있는 폐잉크 수용부(미도시)와 연통된다.As shown in Fig. 38, the first
상기 폐잉크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필름 부재(미도시)의 에지를 상기 리드(615)의 배면에 용착(열밀봉)함으로써 규정된다. 상기 폐잉크 수용부는 상기 필름 부재와 상기 리드(615)의 배면 사이에 흡수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젯 프린터(100)내에 제공되어 있는 소제 기구(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제 기구는 상기 기록 헤드(13)내의 잉크를 강제적으로 빨아올려 상기 기록 헤드(13)의 노즐의 막힘(clogging)을 방지하도록 캡, 진공 펌프 등을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소제 기구로부터 방출된 폐잉크는 상기 도입 지지부(620)로부터 상기 유로(620a)를 통해 상기 폐잉크 수용부로 전달된다.The waste ink container is preferably defined by welding (hot sealing) the edge of one film member (not shown) to the back surface of the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인 결합 리세스부(621)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한 면내에, 즉 상기 케이스(612)[수용부(614)]의 측면(측벽)(612d, 612e)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는 상기 측면(612d, 612e)내에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는 상기 케이스(612)의 저면(612c)에서 개방되어 있고,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612a) 및 배면(612f) 사이의 중간 위치보다 상기 케이스(612)의 배면(612f)에 약간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의 상면(기판 부착면) 및 상기 인접부(618a)는 이들 모두 상기 케이스(612)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612)의 저면(612c)으로부터 높이방향(H)으로 상대적 거리를 두고 순서대로 위치되어 있다. 즉, 높이방향(H)으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는 상기 인접부(618a)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의 기판 부착면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8, the engaging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리브(구동 리브)(622)가 상기 수용부(614)의 측면(612d, 612e)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압 리브(622)의 각각은 접촉부인 제 1 리브(623) 및 보강수단인 제 2 리브(624)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39, pressure ribs (drive ribs) 62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612d and 612e of the receiving
상기 제 1 리브(623)는 스트립(strip)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종방향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수용부(614)]의 높이(H)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리브(623)의 전면은 후술될 로크 슬라이더(36)와 접촉하는 접촉면(625)으로서 사용된다. 즉,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면(625)은 상기 케이스(612)의 측면(612d, 612e)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 1 리브(623)는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에 인접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612)의 배면(612f)에 가까운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의 면은 상기 제 1 리브(623)의 접촉면(전면)(625)에 연속(바람직하게는 동일 평면이 되도록 연속)된다.The
상기 제 2 리브(624)는 상기 제 1 리브(623)에 연속되어 있다. 상기 제 2 리브(624)는 스트립 형상으로 돌출되며, 그 종방향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수용부(614)]의 깊이방향(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리브(624)는 상기 제 1 리브(623)를 보강한다. 즉, 다른 부재가 상기 제 1 리브(623)의 접촉면(625)에 접할 때 상기 접촉면(625) 또는 상기 제 1 리브(623)의 손상이 방지된다.The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Ink Cartridge Attachment / Removal Device)
이하에서는, 상기 잉크젯 프린터(100)에 적용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부착/탈착하는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상기 프린터내로 삽입되기 전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이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5는 이 상태의 카트리지 유지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잉크 카트리지 삽입 개시 위치에서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잉크 카트리지 삽입 종료 위치에서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Hereinafter, an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apparatus applied to the
도 9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현재 장착되고 있는 상태의 상기 부착/탈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이 상태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완전히 장착된 상태의 상기 부착/탈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이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유지 기구의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로크해제 순간 상태의 상기 부착/탈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이 상태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의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5는 레버 아암의 기단부의 확대 사시도이다.9 is a plan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in a state where the ink cartridge is currently mounted. 10A and 10B are side and bottom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artridge holding mechanism in this state.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with the ink cartridge completely attached. 12A and 12B are side cross-sectional and bottom views of the ink cartridge holding mechanism in this state. Fig. 13 is a plan view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in an unlocked instant state for removing the ink cartridge. 14A and 14B are side and bottom views of the cartridge holding mechanism in this state.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proximal end of the lever ar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 수용부(액체 용기 수용부)를 구비하는 상기 부착/탈착 장치(1)는, 커넥터인 유로 부재(4)와, 유지 유닛인 카트리지 유지 기구(30)와, 슬라이드 기구인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 부재(4)는 메인 프레임(6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 및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하측 부분과 상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는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각각의 하측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62)과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내에, 상기 유로 부재(4)가 부착되는 측면에 대향되는 측면(도 2의 좌측)상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착/탈착 장치(1)는 상기 프린터(100)의 외측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이 개구는 상기 외측 케이스내에 형성된 삽입 포트를 향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삽입 포트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좌측 단부상에 위치한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에 대하여 단지 일 부분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As shown in Fig. 2, the attachment /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소정 행정(stroke) 삽입할 때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장착하기에 충분한 압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레버 아암(31)의 회전운동과 지렛대 원리를 사용한다.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는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운동을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장착하는데 필요한 또 하나의 소정 행정의 수평방향 이동으로 변환한다.In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이들 구성요소 중,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의 각각은, 본 발명의 특징 구성요소 중의 하나로서 제공되어 있고 단지 상기 레버 아암(31)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본체(3)로부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적출시킬 수 있는 로크해제 기구(33)를 가진다. 상기 로크해제 기구(33)는 상기 레버 아암(3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와 함께 이동되는 로크해제 핀(34) 및 상기 로크해제 핀(34)의 이동 궤적을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 방향과 그 제거 방향으로 구별시킴으로써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로크를 해제하는 가요성(탄성) 로크해제 피스(35)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해제 기구(33)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후술한다.Of these components, each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직접 지지하는 로크 슬라이더(36)와,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홀더(37)와, 로크해제 기구(33)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측면(612d, 612e)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도 2 및 도 38에 도시된 구동 리브(가압 리브)(622)의 접촉면(625)과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하는 블록 부재이다.As shown in FIG. 6, the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슬라이더 홀더(37)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중간 플레이트(37b)상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리브(38)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상측 및 하측 플레이트(37a, 37c)의 내벽을 따라서 슬라이드된다.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38)와 끼워지는 결합 그루브(39)가 형성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tension coil spring)과 같은 적출 스프링(42)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 후크(40, 41) 사이에 걸려있다.The
상기 결합 그루브(39)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가이드 리브(38)는 상기 결합 그루브(39)내에 끼워진다. 또한, 가이드 리세스부(47)가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로크부인 슬라이드 로크 피스(48)가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에 끼워진다. 이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테이퍼가 형성된 말단부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이다. 또한,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가이드 그루브(54)에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하면상에 형성되어 있다.The
따라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에 끼워진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에 끼워지고 상기 가이드 리브(38)가 상기 결합 그루브(39)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 홀더(37) 내부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의해 지지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부착/탈착 장치(1)내로 삽입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각각의 측면(612d, 612e)을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경사부(55)를 따라서 상기 수평부(56)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로부터 내부로[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이동 궤적 쪽으로] 점차 돌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수평부(56)에 위치되면,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일 부분이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로부터 돌출되는 상태가 유지된다.Accordingly, the
상기 결합 후크(40)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후크(40)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상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결합 후크(40)가 상기 결합 후크(4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가 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결합 후크(40)는 후크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그 말단부는 상기 유로 부재(4)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적출 스프링(42)의 종단부는 상기 각각의 결합 후크(40, 41)상에 보유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출 스프링(42)은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적출 스프링(42)이 상기 결합 후크(40, 41) 사이에 걸려있으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부착/탈착 장치(1)의 개구 쪽으로[측면 플레이트(37d)쪽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외력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적출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구 쪽으로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경사부(55)의 개시단부에 위치된다.The
지지부(44)가 또한 결합 폴(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상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4)는 상기 결합 폴(43)의 기단부에 배치되는 회전 샤프트(45)를 수용하는 홀을 가진다. 또한, 상기 결합 폴(43)을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상측 플레이트 내벽(37a)을 향해 가압하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같은 로크 스프링(46)이 상기 회전 샤프트(45)에 부착되어 있다.A
상기 결합 폴(43)은 그 말단부에 후크 형상의 폴을 갖는 부재이다. 상기 로크해제 기구(33)의 일 부분인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결합 폴(43)이 회전 가능한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상기 폴의 외측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세스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에 끼워진다.The engaging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평판 부재이며, 그 말단부는 끼워지는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크레스트(crest) 형상으로 절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그 단부면상에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하측 플레이트(37c)에 대향되는 가이드 돌출부(53)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하측 플레이트(37c)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54)에 끼워진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형상을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 방향으로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The
즉, 도 4, 도 7, 도 8, 도 10,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그루브(54)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개시단부 측에 상기 경사부(55)를, 그 종단단부 측에 상기 수평부(56)를 가진다. 또한, 상기 경사부(55)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으며, 상기 수평부(56)는 상기 경사부(55)의 가장 내측 단부로부터 연속되어 이러한 가장 안쪽 위치를 유지하면서 장착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종단단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7, 8, 10, 12 and 14, the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에 끼워진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개시단부에 위치되는 경우 가장 바깥쪽 위치를 차지한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삽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경사부(55)의 종단부에 위치되는 경우 가장 안쪽 위치를 차지하여,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슬라이드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측면(612d, 612e)에 형성되어 있는 도 2 및 도 38의 각각의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양측면으로부터 유지된다.The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를 수용하는 공간을 내부 에 갖는 상자 형상 부재이다.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예컨대 문 형상의 단면을 갖는 이동 프레임(58)상에 유지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58)과 함께 슬라이드될 수 있다. 후크 형상의 결합 리브(59)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상측 플레이트(37a)의 내벽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상기 결합 폴(43)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상측 플레이트(37a), 중간 플레이트(37b), 하측 플레이트(37c) 및 이들 플레이트들에 연결되어 있는 측면 플레이트(37d)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 리브(59)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37a)의 말단부의 내측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리브(59)의 말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 플레이트(37b)는 외측으로[상기 결합 리브(59) 측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가이드 리브(38)를 갖는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37d)는 상기 가이드 리브(38)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결합 후크(41)를 갖는다. 상기 결합 후크(41)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말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그루브(54)는 상기 하측 플레이트(37c)의 수평면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가이드 그루브(54)는 경사부(55)와 수평부(56)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55)는 상기 부착/탈착 장치(1)의 개구 측에 상기 수평부(56)보다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55)는 상기 개구측에서 상기 유로 부재(4) 측으로 진행하면서 내측으로[상기 결합 리브(59)가 형성되어 있는 쪽에 대향된 쪽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다. 상기 수평부(56)는 상기 경사부(55)로부터 연속되어 상기 경사부(55)로부터 상기 유로 부재(4)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평판(58a)(도 4 참조)을 구비하는 이동 프레임(58)(도 4 및 도 6 참조)상에서 보유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하측면에 위치되어 있는 평판(58a) 및 상기 평판(58a)의 각각의 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만곡부(58b)(도 6 참조)를 구비하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곡부(58b)는 상기 평판(58a)의 양 측면상에 제공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 프레임(58)과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함께 확실히 유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로,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대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58)과 함께 슬라이드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The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외측면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상기 적출 스프링(42)이 수용된 후, 상기 개방된 영역을 외부에서 차단하도록 서브 프레임(60)이 사용된다. 상기 서브 프레임(60)의 각각은 고정 프레임(61)의 일부분이며, 나사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61)의 메인 프레임(62)에 부착되어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서브 프레임(60)은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를 유지하는 상기 슬라이더 홀더(37) 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60)은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대하여 고정된다. 로크해제 피스(35)가 상기 서브 프레임(60)의 실질적인 중앙 부분에 확실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로크해제 피스(35)는 상기 유로 부재(4)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판 스프링(leaf spring)인 탄성 텅 피스(63)를 구비한다.The
상기 유로 부재(4)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에 연결되도록 상기 서브 프레임(60)의 후방 단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유로 부재(4)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니들 개구내로 삽입되는 니들(4a), 잉크 공급로 및 잉크 잔류량을 검출하는 접촉점을 구비한다.The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니들(4a)이 상기 유로 부재(4)내에 형성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홀(616a)내로 삽입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삽입 니들(4b, 4c)이 상기 유로 부재(4)내에 형성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제 1 및 제 2 끼워맞춤홀(617, 618)에 끼워진다. 도입 니들(4d)이 또한 상기 유로 부재(4)내에 형성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도입 지지부(620)내로 삽입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배치부(4e)가 상기 유로 부재(4)의 하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미도시)가 상기 단자 배치부(4e)에 제공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유로 부재(4)에 고정될 때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기판 리세스부(619)에 부착되는 회로기판에 연결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3, six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는 상기 로크해제 기구(33)의 일부분이며, 상기 서브프레임(60)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는 판 스프링 부재와 같은 부재이며, 상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탄성 텅 피스(63)를 갖는다.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탄성 변형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장착되는 방향 및 제거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로크해제 핀(34)의 이동 궤적을 구별시키도록 사용된다.The flexible unlocking
즉, 상기 탄성 텅 피스(63)가 하방으로 만곡됨에 따라,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핀(34)의 높이가 유지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로크해제 핀(34)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제거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탄성 텅 피스(63)는 상기 탄성 텅 피스(63)가 기울어져 있는 방향 때문에 상방으로 만곡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하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로크해제 핀(34)의 이동 궤적은 변경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해제 핀(34)과 일체로 형성된 결합 폴(43)이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 리브(59)와 분리된다.That is, as the
상기 메인 프레임(62)은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3)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구조는 상기 이동 프레임(5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되는 평판을 사용함으로써 또한 상기 평판의 외측 에지 부분을 상방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보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있어서, 회전핀(64)이 상기 후방 부분에 중앙에 배치되어 있고 후술되는 레버 아암(31)의 회전 지점(fulcrum)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관통된 보유홀(66)이 쌍안정 스프링(65)의 일 단부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핀(64) 옆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핀(64)의 전방 부근에, 가이드 리브(67)가 상기 본체(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67)는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부분들을 수직으로 직립시킴으로써 얻어진다.The
또한, 상기 회전핀(64)의 전방에, 기다란 가이드 슬릿(68)이 상기 가이드 리브(67)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부착/탈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이동 프레임(58)상에 수직으로 제공되어 있는 결합 핀(69)이 상기 가이드 슬릿(68)내로 끼워진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기울어짐 없이 상기 서브 프레임(60)의 내측벽과 상기 메인 프레임(62)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 슬릿(68)을 따라서 평행하게 안내 및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68)의 좌측 및 우측에, 회전핀(71)이 수직하게 제공되어 있고 후술될 결합 피니언(70)을 위한 회전 지점으로서 작용한다.In addition, in front of the
상기 레버 아암(31)은 상기 메인 프레임(62)상에 제공된 상기 회전핀(6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기단부(72)와, 상기 기단부(72)로부터 상기 본체(3)의 배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 본체(73)와, 상기 아암 본체(73)의 말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노브(knob)(74)를 구비한다. 보유홀(85)이 상기 기단부(7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외측 에지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유홀(85)은 비교적 큰 선직경을 가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레버 아암(31)을 가압하여 우측 및 좌측 단부 중의 하나에 위치시키는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의 일 단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The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내의 전달 부재의 일 예인 팬(fan) 형상을 가지는 제 1 피니언(75)이 상기 기단부(72)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니언(75)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증압 스프링(87)(도 15 참조)을 통해 상기 레버 아암(31)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레버 아암(31)의 지점 및 작용점 사이의 거리 대 상기 제 1 피니언(75)의 피치원 반경(R)의 비율이 실질적으로 지레의 비(lever ratio)로서 채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점과 상기 작용점 사이의 거리(S)가 상기 레버 아암(31)을 채용함으로써 상당히 증가되므로, S:R = 1:0.12의 큰 지레의 비가 얻어진다.A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에 필요한 구동력이 34.0N일 경우, 마찰 손실과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상에 인가된 하중을 고려하지 않을 때, 상기 레버 아암(31)에 인가되는 조작력은 단지 약 4.1N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각은 약 55°로 설정되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얻어진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이동 스트로크는 약 12㎜로 설정된다.Therefore, when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mounting of th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결합홀(89)과 기다란 정지홀(90)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기단부(72)내에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호형인 2개의 결합 리브(88)가 상기 제 1 피니언의 상면상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89)내에 끼워진다. 상기 기다란 정지홀(90)은 증압 스프링(87)의 일 단부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결합 리브(88)와 유사하게, 상기 결합홀(89)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각각의 결합홀(89)의 원주방향 길이는 각각의 결합 리브(88)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약간 길어서 이들 사이에 간극부(91)를 제공한다. 상기 증압 스프링(87)은 상기 레버 아암(31)의 기단부(72)와 상기 제 1 피니언(75) 사이에 협지되어 압축되며, 상기 증압 스프링(87)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 1 피니언(75)의 외측 에지내에 형성되어 있는 노치(92)에서 유지된다.As shown in FIG. 15, two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의 일 예로서 래크 피니언 기구가 채용될 수 있 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는, 상기 레버 아암(31)과 함께 회전되는 제 1 피니언(75); 상기 제 1 피니언(75)과 맞물리는 제 1 래크(76) 및 상기 제 1 래크(76)의 운동을 각각의 전달 경로를 따라서 하류로 전달하는 제 2 래크(77)를 가지는 슬라이드 바(78); 및 상기 결합 피니언(70)과 맞물리는 제 3 래크(81)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 피니언(70)의 각각은, 상기 제 2 래크(77)와 맞물리는 제 2 피니언(79)과 상기 제 2 피니언(79)의 회전을 상기 각각의 전달 경로를 따라서 하류로 전달하는 제 3 피니언(8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As an example of the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전달 경로는 상기 제 2 래크(77), 상기 제 2 피니언(79), 상기 제 3 피니언(80) 및 상기 제 3 래크(81)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레버 아암(31)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와 일치하게,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상기 회전핀(64) 부근에서 중앙에 위치한 제 1 래크(76)와, 대향된 우측 및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래크(77)를 가진다.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가이드 리브(67)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본체(3)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 함에 주의해야 한다.In this embodiment, each transmission path is formed by the
상기 제 1 피니언(75)과 유사하게, 상기 제 2 피니언(79)과 상기 제 3 피니언(80)은 팬(fan) 형상의 기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위상이 약 90°로 전위된 채로 결합되어 상기 결합 피니언(70)을 형성한다. 상기 제 3 피니언(80)은 상기 메인 프레임(62)내에 형성된 반원의 환상 개구를 통과하고 아래에 위치한 상기 이동 프레임(58)내에 개구되어 있는 윈도우(83)에 도달하여, 상기 윈도우(83)의 측면 에지에 형성된 제 3 래크(81)와 맞물린다. 또한, 상기 우측 및 좌측 결합 피니 언(70)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상기 제 2 피니언(79), 상기 제 3 피니언(80) 및 상기 제 3 래크(81)는 동일 배향으로 배열된다.Similar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72), 상기 아암 본체(73) 및 노브(74)를 갖는 상기 레버 아암(31)을 구비한다. 상기 기단부(7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핀(64)은 실질적으로 상기 기단부(72)의 중앙에 보유된다. 상기 레버 아암(31)은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핀(6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보유홀(85)은 상기 기단부(72)의 단부면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의 일 단부는 상기 보유홀(85)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65)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있어서, 관통된 보유홀(66)이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의 다른 단부를 고정하도록 상기 레버 아암(31)의 상기 기단부(72)의 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유홀(66, 8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이며, 상기 레버 아암(31)을 상기 우측 및 좌측 단부 중의 하나에 가압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아암 본체(73)는 상기 기단부(72)로부터 상기 개구 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74)는 상기 아암 본체(73)의 말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피니언(75)은 상기 기단부(72)의 하면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레버 아암(31)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 아암(3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한다.The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바(78)는 상기 제 1 피니언(75)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상 기 메인 프레임(62)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리브(67)의 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상기 레버 아암(31)의 상기 기단부(72) 부근에 제공되어 있는 제 1 래크(76)를 갖는다. 상기 제 1 래크(76)는 상기 제 1 피니언(75)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상기 레버 아암(31)이 우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 피니언(75)은 도 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상기 제 1 피니언(75)과 상기 제 1 래크(76)의 맞물림에 의해 도 3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in the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또한 상기 제 1 래크(76)가 형성되어 있는 면으로부터 대향된 면상에 2곳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제 2 래크(77)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피니언(70)은 상기 제 2 래크(77)와 각각 맞물리도록 제공되어 있다. 상기 결합 피니언(70)의 각각은 커버(70a), 제 2 피니언(79) 및 제 3 피니언(80)을 구비하며, 이들 모두는 상기 회전핀(7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The
제 2 및 제 3 피니언(79, 80)은 팬(fan) 형상의 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핀(71)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79, 80)의 위상은 약 90°로 상이하다. 상기 제 2 피니언(79)은 상응하는 상기 제 2 래크(77)와 맞물리는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피니언(79)의 회전이 상기 제 3 피니언(80)에 전달되어 상기 제 3 피니언(8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피니언(80)은 상기 메인 프레임(62) 아래에 제공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58)의 상응하는 제 3 래크(81)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3 피니언(80)이 도 4에서 반시계방향으로(도 3에서는 시계방향) 회전될 때, 상기 제 3 피니언(80)이 상기 제 3 래크(81)와 맞물리기 때문에 상기 이동 프레임(58)이 상기 유로 부재(4) 쪽으로 슬라이드한다.The second and
도 3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슬릿(68)은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58)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결합 핀(69)은 상기 가이드 슬릿(6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상기 이동 프레임(62)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는 서브 프레임(60)의 내측면상에 유지되며, 상기 결합 핀(69)이 상기 가이드 슬릿(68)에 끼워짐에 따라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하게 이동된다.As shown in FIG. 3 and described above, the guide slit 68 is formed substantially in the center of the
이하에서는 이러한 배치의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1)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1) 삽입 전(도 2 내지 도 5 참조)(1) before insertion (see FIGS. 2-5)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3)내로 삽입되기 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가장 왼쪽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개시단부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며, 상기 결합 폴(43)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상측 플레이트(37a)의 내측벽과 접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경사부(55)에서 가장 외측 위치인 개시단부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내에 수용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 (611)의 삽입이 허용된다.Before the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 전에,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아직 상기 부착/탈착 장치(1)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의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적출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부착/탈착 장치(1)의 개구 쪽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개시단부[경사부(55)]에 위치된다. 상기 결합 폴(43)은 상기 로크 스프링(46)에 의해 상측 플레이트(37a) 쪽으로 가압되어, 상기 결합 폴(43)의 말단부는 상기 상측 플레이트(37a)의 하면과 접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의 상기 레버 아암(31)은 가장 왼쪽 위치에 위치한다.That is, the
(2) 삽입 개시(도 7 참조)(2) Start of insertion (see FIG. 7)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3)의 배면내의 개구로부터 수동으로 삽입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두 측면(612d, 612e)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 리브(622)의 말단부의 접촉면(625)이 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의 단부면과 접촉하게 되고,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를 상기 적출 스프링(4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서서히 전방으로 밀어넣는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본체(3)내에서 전방으로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경사부(55)와 수평부(56)를 따라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가 점차 내측으로 이동되어 돌출된다.When the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잉크젯 프린터(100)의 삽입 포트를 통해 수동으로 삽입되어 소정 거리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케이스(612)의 접촉면(625)과 부분적으로 접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 부근의 상기 케이스(612)의 접촉면(625)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의 부분[상기 가이드 리세스부(47)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접촉면(625)이 상기 케이스(612)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촉면(625)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접촉되기 위해서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부착/탈착 장치(1) 내부로 밀려지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이 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적출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부착/탈착 장치(1)의 개구 쪽으로 가압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경사부(55)의 개시단부에 위치된다.That is, when the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적출 스프링(4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더 밀려지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경사부(55)를 따라서 도 7b의 우측으로 슬라이드한다. 이 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폴(43)의 말단부는 상기 슬라이드 홀더(37)의 상측 플레이트(37a)의 하면을 따라서 슬라이드한다.When the
(3) 삽입의 완료(도 8a 및 도 8b 참조)(3) completion of insertion (see FIGS. 8A and 8B)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완전히 안으로 밀려지면, "클릭" 소리가 발생하고, 상기 결합 폴(43)은 상기 결합 리브(59)의 외측 리지 위로 이동되어 상기 결합 리브(59)와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수평부(56)의 종단부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내측으로 완전히 돌출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양 측면(612d, 612e)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내로 진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의해 로크되어 유지된다.When the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도 7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더 밀려지면, 상기 가이드 돌출부(53)는 상기 수평부(56)를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56)의 종단부에 도달한다. 그 결과,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 쪽으로 돌출된다. 이 때, 상기 접촉면(625)과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서로 접촉되므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와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설정되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로 부분적으로 진입한다(결합상태).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수평부(56)의 종단부에 도달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폴(43)은 상기 슬라이드 홀더(37)의 상측 플레이트(37a)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 리브(59)의 배면 위로 통과되어, 상기 결합 리브(59)와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가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와 결합되고 상기 결합 폴(43)이 상기 결합 리브(59)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대하여 고정되며,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고정된다.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 상기 로크 슬라이더(36) 및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는 서로 고정된다. 이 때,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의 상태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기 전과 비교할 때 바뀌지 않는다.That is, if the
(4) 장착(도 9 및 도 10 참조)(4) Mounting (see FIGS. 9 and 1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레버 아암(31)의 노브(74)를 사용함으로써 우측으로 점차 회전되면, 상기 제 1 피니언(75)이 회전되고, 회전력이 상기 제 1 래크(76)에 전달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78)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힘이 상기 제 2 래크(77)로부터 상기 제 2 피니언(79)과 상기 제 3 피니언(80)에 전달되어, 이들 피니언(79, 80)이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피니언(80)과 맞물리는 상기 제 3 래크(81)와, 상기 제 3 래크(81)를 구비하는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후방을 향해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의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측 이동 궤적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현재 돌출되어 있고,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의해 로크되어 유지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장착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의 노브(74)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레버 아암(31)은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우측(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피니언(75)은 도 9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피니언(75)과 맞물리는 제 1 래크(76)를 갖는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도 9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That is, in order to mount the
상기 슬라이드 바(78)가 이동됨에 따라, 회전력이 상기 제 2 피니언(70)과 상기 제 3 피니언(80)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피니언(79)과 상기 제 3 피니언(80)은 도 9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상기 제 3 피니언(80)과 맞물리는 상기 제 3 래크(81)를 갖는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상기 유로 부재(4)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58)상에 보유된 상기 슬라이더 홀더(37)가 또한 상기 유로 부재(4) 쪽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와 상기 로크 슬라이드(36)에 의해 로크되어 있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또한 상기 유로 부재(4) 쪽으로 이동된다.As the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유지 기구(30)의 상기 결합 폴(43)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로크해제 핀(34)이 상기 로크해제 피스(35)의 탄성 텅 피스(63)를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탄성 텅 피스(63)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상방 부분 쪽으로 점차 이동된다.As shown in FIG. 10A, as the
(5) 장착의 완료(도 11, 도 12 및 도 15 참조)(5) completion of mounting (see FIGS. 11, 12 and 15)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가장 오른쪽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후방으로 더 이동되고, 상기 유로 부재(4)상에 형성된 상기 니들(4a)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니들 개구내로 삽입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레버 아암(31)이 도 11에서 우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그 우측 단부 약간 앞의 위치에서 상기 유로 부재(4)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제 1 피니언(75)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레버 아암(31)이 우측으로 더 회전되면, 상기 증압 스프링(87)이 압축되고, 이 스프링(87)의 반력에 의해 상기 결합홀(89)에서 회전 방향 하류에 나타나는 갭(91)이 제거된다. 이와 동시에, 부품들의 크기의 공차에서 기인하는 불안정성이 제거된다. 또한, 상기 증압 스프링(87)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강하게 밀려져 상기 유로 부재(4)와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고,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와 상기 유로 부재(4)의 밀접한 접촉이 유지된다. 그 결과,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탄성 텅 피스(63) 위로 통과되어 이들 피스(63)의 후방에 위치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가 돌출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의해 유지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가장 오른쪽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이동 프레임(58)과 함께 상기 유로 부재(4)내로 진입하도록 이동된다. 상기 유로 부재(4)의 니들(4a)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지지부(616)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616a)내로 삽입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가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와 결합되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인접부(617a, 618a)가 상기 유로 부재(4)와 접촉하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유로 부재(4)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와 결합되는 상기 리세스부(621)와 상기 유로 부재(4)와 접촉하는 상기 인접부(617a, 618a)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 상기 인접부(618a) 및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높이방향(H)으로 상대적 거리를 두고 순서대로 위치되어 있으므로, 힘의 모멘트가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가 상기 단자 배치부(4e)에 가압되는 방향으로 발생된다. 그 결과,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 배치부(4e)의 연결이 안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때,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해제 핀(34)이 상기 탄성 텅 피스(63) 위로 통과되어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배면에 도달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1, when the
(6) 제거(도 13 및 도 14 참조)(6) Removal (see FIGS. 13 and 14)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가장 오른쪽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이동되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경사부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되고, 하측 이동 궤적을 따라서 상기 피스(63) 아래로 통과되어, 상기 피스(63)의 전방에 도달한다. 이 때, 상기 로크해제 핀(3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결합 폴(43)은 상기 로크 스프링(4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결합 리브(59)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면, 상기 레버 아암(31)이 도 3에 도시된 가장 왼쪽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적출 스프링(42) 및 쌍안정 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3)의 후방 단부로부터 22㎜ 이상의 거리로 적출된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제거된다.When the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적출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가장 오른쪽 위치에 위치한 상기 레버 아암(31)은 왼쪽(도 11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피니언(75)은 도 1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슬라이드 바(78)는 도 13에서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78)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 및 제 3 피니언(79, 80)은 도 13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상기 제 3 피니언(80)과 맞물리는 상기 제 3 래크(81)를 갖는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상기 유로 부재(4)에 대향된 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를 통해 상기 이동 프레임(58)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유로 부재(4)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니들(4a)은 상기 삽입홀(616a)로부터 제거된다.That is, in the extraction of the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상기 유로 부재(4)로부터 소정 거리로 분리되면,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배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상기 유로 부재(4)로부터 점차 분리됨에 따라,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배면을 따라서 슬라이드되어, 상기 탄성 텅 피스(63)의 하측 단부에 도달한다. 그 결과, 상기 결합 폴(43)은 상기 로크 스프링(46)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된다.As shown in FIG. 14A, when the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가장 왼쪽 위치로 회전되면, 상기 결합 폴(43)은 상기 결합 리브(59)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적출 스프링(42)에 의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부착/탈착 장치의 개구 쪽으로[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측면 플레이트(37d)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접촉면(625)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상기 개구 쪽으로 밀어낸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상기 가이드 돌출부(53)가 상기 수평부(56)로부터 상기 경사부(55)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로부터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로 된다.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상기 쌍안정 스프링(65)의 가압력을 다시 사용함으로써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유로 부재(4)에 대향되는 쪽으로 적출된다.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 및 상기 가압 리브(622)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상기 케이스(612)[수용부(614)]의 측면(612d, 612e)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리브(622)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리브(623)의 전면은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접촉하는 접촉면(625)으로서 규정되어 있다.(1) In this embodiment, the engaging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부착/탈착 장치(1)내로 삽입되면, 상기 접촉면(625)은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슬라이더 홀더(37)내에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이동됨 에 따라,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이동 궤적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와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612)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단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상기 부착/탈착 장치(1)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상기 결합 폴(43)과 상기 결합 리브(59)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고정되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로크 슬라이더(36) 및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를 구동함으로써 이동되어 상기 유로 부재(4)에 고정되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안정된 조작으로 상기 유로 부재(4)에 용이하게 접속(고정)될 수 있다.When the
(2)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12)의 상기 접촉면(625)은 상기 케이스(6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부착/탈착 장치(1)내로 삽입되면 상기 접촉면(625)은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접촉될 수 있다.(2)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3)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는 리세스의 형태로 상기 케이스(612)의 측면(612d, 612e)내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는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를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내로 진입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케이스(612)는 비교적 확실하게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고정될 수 있다.(3) In this embodiment, the engaging
(4)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면(612f) 부근의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의 측면은 상기 제 1 리브(623)의 접촉면(전면)(625)에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면, 상기 접촉면(625)은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와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를 비교적 정확하게 위치설정하도록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접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와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정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내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4) In this embodiment, the side surface of the
(5)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624)는 상기 접촉면(625)을 갖는 상기 제 1 리브(623)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상기 접촉면(625)과 접촉하면, 상기 제 2 리브(624)는 상기 접촉면(625) 또는 상기 제 1 리브(623)상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리브(623)를 보강할 수 있다.(5) In this embodiment, the
(6)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폐잉크를 도입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도입 지지부(620), 상기 회로기판을 부착하는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 상기 제 1 및 제 2 끼워맞춤홀(617, 618) 및 상기 지지부(616)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상기 케이스(612)상에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로, 상기 도입 지지부(620)는 폐액체 흡수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폐잉크가 보유되는 폐잉크 저장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에 부착되면, 잉크 속성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끼워맞춤홀(617, 618)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위치설정을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인접부(617a, 618a)가 상기 유로 부재(4)와 접촉되면, 삽입 방향에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입 지지부(620),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 상기 제 1 및 제 2 끼워맞춤홀(617, 618) 및 상기 인접부(617a, 618a)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6) In this embodiment, the
(7)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의 부착면 및 상기 인접부(618a)는 높이방향으로 상기 케이스(612)의 저면(612c)으로부터 상대적 거리를 두고 열거된 순서로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유로 부재(4)에 연결되면, 힘의 모멘트가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가 상기 단자 배치부(4e)에 대하여 가압되는 방향으로 인가되어, 상기 기판 리세스부(619)에 부착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단자 배치부(4)의 접속이 안정될 수 있다.(7)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8)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12)에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 및 상기 접촉면(625)은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에 인접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한 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는 상기 접촉면(625)과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8)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9)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가 상기 이동 프레임(58)을 상기 유로 부재(4)에 대향된 쪽으로[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제거되 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레버 아암(31)이 회전되면, 상기 가요성 피스(63)는 상기 결합 폴(43)을 상기 결합 리브(59)로부터 결합을 해제하도록 사용되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와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킨다. 또한, 상기 로크 슬라이더(36)가 적출 스프링(42)에 의해 상기 부착/탈착 장치(1)의 개구 쪽으로 가압되면, 상기 로크 슬라이더(36)의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러한 배치로, 장착 도중 고정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부착/탈착 장치(1)로부터 용이하게 적출될 수 있다.(9)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may be modified as follows.
(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는 상기 케이스(612)내에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그루브가 상기 케이스(612)의 측면(612d, 612e)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요컨대, 적어도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의 일 부분이 결합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1) In this embodiment, the engaging
(2)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 리브(622)는 상기 케이스(612)내에 실질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형상이 채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단순한 정방형의 돌출부가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624)는 단지 상기 제 1 리브(623)에 의해서 필요한 강도가 얻어질 수 있으면 생략될 수도 있다.(2) In this embodiment, the
(3)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로서 6개의 잉크팩(613)이 상기 케이스(612)내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배치는 이에 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유형 또는 둘 이상의 유형의 잉크가 상기 케이스내에 수용될 수 있는 한 임의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잉크팩(613) 대신 필름 또는 필름들을 상기 케이스(612)에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잉크 수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3) In this embodiment, six ink packs 613 are provided in the
(4)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분사 프린터가 액체 분사 장치로서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액체 분사 장치, 즉, 팩시밀리 머신 또는 복사기와 같은 인쇄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계발광 표시 장치 또는 평판 전계방출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데 채용되는 전극 물질 또는 컬러 물질과 같은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바이오칩 제조에 사용되는 바이오오거닉 물질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또는 정밀 피펫과 같은 시료 분사 장치와 같은 다른 유형의 액체 분사 장치가 채용될 수도 있다. 채용된 유체(액체)는 잉크에 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유체가 채용될 수도 있다.(4) In this embodiment, an ink jet printer is employed as the liquid jet device. However, other types of liquid ejecting devices, ie printing devices such as facsimile machines or copiers; A liquid jet device for injecting a liquid such as an electrode material or a color material which is employed to manufacture a liquid crystal display,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or a flat panel field emission display; A liquid spray device for spraying a bioorganic material used for manufacturing a biochip; Alternatively, other types of liquid injection devices, such as sample injection devices such as precision pipettes, may be employed. The fluid (liquid) employed is not defined in the ink, and other fluids may be employed.
(변형예)(Variation)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 및 상기 부착/탈착 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장치는 기본적으로 상술된 구성을 채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제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기 구성은 변형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첫째로,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3가지의 변형예(제 1 내지 제 3 변형예), 둘째로, 크리프 하중 저감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다른 변형예(제 4 변형예) 및 셋째로, 부품들이 약간 변형되어 있는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The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apparatus and the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attachment /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dopt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owever, the configuration may be modified or partially omit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Firstly, three modifications (first to third modifications) provided with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secondly, another modification (fourth modification) provided with creep load reducing means, and thirdly The modification example in which the parts are slightly deformed will be described.
또한,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변형예(제 5 변 형예)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변형예(제 6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 후, 부품들이 약간 변형되어 있는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Further, after explaining the modification (fifth modifica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insertion state determination means is provided, and after that, the modification (fifth modification) in which the ink cartridge misalignment warning means is provided, The variation in which the parts are slightly deformed will be described.
(제 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도 16은 리드 부재가 폐쇄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의 배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리드 부재가 개방되어 있고 레버 아암이 설치 위치(set position)에 위치되어 있는 상기 잉크젯 프린터의 배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리드 부재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reset position)에 위치되어 있는 잉크젯 프린터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 주변의 확대 저면 사시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잉크 카트리지가 정상 삽입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의 조작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2b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삽입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2는 일 측만의 카트리지 유지 수단이 조작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경우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수단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16 is a rear view of the inkjet printer with the lid member closed. 17 is a rear view of the inkjet printer with the lid member open and the lever arm positioned at a set position. 18 is a rear view of the inkjet printer with the lid member open and the lever arm positioned in a reset position. 19 is an enlarged bottom perspective view around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20A to 20C are bottom views of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when the ink cartridge is normally inserted. 21A and 22B are bottom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when the ink cartridge is misinserted. Fig. 22 is a bottom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means when the ink cartridge is inserted while the cartridge holding means of only one side is operated.
본 변형예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101)이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1)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101)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이 완료된 때 레버 아암(31)이 위치하기로 되어 있는 도 17에 도시된 설치 위치에 상기 레버 아암(31)이 위치되는 경우 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이 허용되는 도 18에 도시된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 치에 상기 레버 아암(31)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10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 측만의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방지한다.In this modification, the ink cartridge
상세하게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101)의 각각은, 오삽입 방지 돌출부(102); 및 상술된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와 상기 가이드 그루브(54)를 구비한다.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102)는 고정 프레임(61)의 서브 프레임의 일 부분을 사용하여 형성되며, 로크 슬라이더(36)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전 실시예와는 달리,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03)가 상기 가이드 그루부(54)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전방 단부 부근의 상기 수평부(103)는 긴 반면, 상기 후방 단부 부근의 수평부(103)는 짧다. 또한, 경사부(104)가 상기 전방 및 후방 수평부(103)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104)의 길이는 이전 실시예에 비해 상당히 짧다.In detail, each of the ink cartridge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형상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 그루브(54)의 경사부(104)의 위치 및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102)의 위치가 매우 중요하다. 즉,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설치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가 이동 궤적을 취하여,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102)와 접촉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을 방지한다.In addition to the shape of the
일 측만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조작되고[도 22에서는, 단지 좌측 카트리지 유지 유닛(30)만이 조작됨],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재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설치 위치로 회전되면, 조작되지 않는 다른 쪽의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도 22에서는 우측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의 슬라이드 로크 피스(48)가 이동 궤적을 취하여,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102)와 접촉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방지한다.When the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불완전한 상태에서 삽입되므로, 카트리지 센서(105)가 잘못됨을 검출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이 일어나서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레버 아암(31)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올바른 상태에서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드 로크 피스(48)는 상기 오삽입 방지 돌출부(102)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결합 리세스부(621)에 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이러한 형태로, 상기 레버 아암(31)의 위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장착은 본 변형예의 잉크 부착/탈착 장치에서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 홀더(37)의 크기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도록 엄격하고 정밀하게 설계될 필요는 없으며, 복잡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는 필요하지 않다. 단지 비교적 간단한 캠 그루브 구조로 인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이 방지될 수 있으며, 사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this form, erroneous mounting of the
(제 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도 23은 충돌 회피 유닛을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서 잉크 카트리지가 오삽입되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c는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면서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오삽입되는, 충돌 회피 유닛을 구비하지 않는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7a 내지 도 27c는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면서 잉크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조작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2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including a collision avoidance unit. 24A to 24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misinsert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25A to 25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n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into which an ink cartridge is insert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reinstallation position. 26A to 26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n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having no collision avoidance unit in which the ink cartridge is misinsert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27A to 27C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into which an ink cartridge is inserted while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reinstallation position.
본 변형예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201)이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1)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201)은 충돌 회피 유닛(202)이 더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변형예에서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10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In this modification, an ink cartridge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서 삽입되면, 상기 충돌 회피 유닛(202)이 상기 로크해제 핀(34)과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 사이의 충돌을 회피하고, 상기 로크해제 피스(35)가 충돌에 의해 만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돌 회피 유닛(202)은, 상기 결합 폴(43)과 함께 회전되는 충돌 회피 볼록부(203); 및 상기 결합 폴 (43)과 결합하는 상기 결합 리브(5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돌 회피 볼록부(203)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204)을 구비한다.When the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돌 회피 볼록부(203)는 상기 회전 샤프트(45) 부근의 상기 결합 폴(43)에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타원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충돌 회피 볼록부(203)가 상기 접촉면(204)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로크해제 핀(34)의 높이는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4)의 높이보다 작다. 이러한 배치로, 도 24a 내지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면, 상기 로크해제 핀(34)이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와 충돌하게 되는 상기 결합 폴(43)의 정상 회전 궤적이 정정되어, 예컨대 상기 로크해제 핀(34)은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 아래를 통과하는 회피 회전 궤적을 취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23 to 25, the
도 25a 내지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충돌 회피 볼록부(203)가 상기 접촉면(204)과 접촉되는 상태가 초기 단계에서 종결된다. 그러나, 상기 로크해제 핀(34)이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와 충돌하기 전의 단계에서, 상기 결합 폴(43)은 이미 상기 결합 리브(59)와 결합되어, 상기 로크해제 핀(34)과 상기 가요성 로크해제 피스(35) 사이의 충돌이 회피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5A to 25C, when the
이러한 구성으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충돌 회피 유닛(202)이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도 27에서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한, 상기 로크해제 핀(34)과 상기 로크해제 피스(35) 사이의 충돌이 회피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6에서 상기 레버 아암(31)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 이들 로크해제 핀 및 로크해제 피스(34, 35)는 서로 충돌하게 되어 상기 로크해제 피스(35)가 변형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following defects can be eliminated. It is assumed that the
(제 3 변형예)(Third modification)
도 28은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의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배면도이다. 도 32a는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32b는 상기 레버 아암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33a 및 도 33b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의 저면 사시도이다.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lever arm is loca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the reinstallation position.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31 is a rear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when the lever ar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32A is a plan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arm is loca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and FIG. 32B is a view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arm is located in the reinstallation position. Top view. 33A and 33B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ink cartridge misinsertion prevention unit.
본 변형예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301)이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1)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301)의 각각은, 상기 레버 아암(31)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허용하는 후퇴 자세 또는 상기 레버 아암(31)이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금지하는 돌출 자세 를 채택하는 오삽입 방지 플랩(30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301)의 각각은 상기 레버 아암(31)의 수평방향 운동을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의 수직방향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회전 방향 변경 기구(303)를 구비한다.In this modification, an ink cartridge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은 플랩 본체(304), 회전 샤프트(305) 및 변환캠 팔로우어(conversion cam follower)(306)를 구비하며, 가압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07)의 가압력에 의해 항상 돌출 자세를 채택한다. 상기 플랩 본체(304)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 단부면에 직접 접촉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윙플레이트(wing plate) 부재이다.The
상기 회전 샤프트(305)는 상기 플랩 본체(304)의 기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회전 샤프트(305)는 상기 고정 프레임(61)의 메인 프레임(62)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30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 샤프트(305)의 축방향은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변환캠 팔로우어(306)는 후술될 상기 회전 방향 변경 기구(303)의 출력측상에 위치되고 상기 플랩 본체(304)에 대향된 단부에 그 사이에 상기 회전 샤프트(305)를 두고 제공되어 있다.The
상기 회전 방향 변경 기구(303)는 상기 메인 프레임(62)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제공되어 있는 회전핀(39)에서 소정 각도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트리거(310);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에 대하여 제공되어 있는 상술된 상기 변환캠 팔로우어(306); 및 상기 트리거(310)를 상기 레버 아암(301) 쪽으로 계속해서 회전 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311)(도 29에 도시됨)을 구비한다.The rotation
상기 트리거(310)는 상기 회전핀(30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312); 및 상기 아암(312)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레버 아암(31) 및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 쪽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변환 조작부(313)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 아암(31)에 직접 접촉하는 입력 접촉부(314)가 상기 변환 조작부(313)의 입력측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의 상기 변환캠 팔로우어(306)에 접촉하는 변환캠 면(315)이 상기 출력측에 제공되어 있다.The
상기 변환캠 면(315)은 상기 변환캠 팔로우어(306)에 접촉하여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을 돌출 자세로부터 후퇴 자세로 변위시킨다. 또한, 상기 변환캠 면(315)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돌출 자세에서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의 돌출 자세를 유지하는 회전 스토퍼로서 작용한다.The
이러한 배치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301)은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도 31, 도 32a 및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재설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307)의 가압력을 수용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수직한 돌출 자세를 채택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이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310)가 상기 변환 캠 면(315)의 회전 스토퍼 작용에 의해 유지되므로,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은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물리적으로 허용하지 않는다.The ink cartridge
도 32b 및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재설치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트리거(310)는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311)의 가압력에 대항하면서 도 32b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환캠 면(315)과 상기 변환캠 팔로우어(306)의 회전 방향 변경 작용에 의해, 상기 오삽입 방지 플랩(302)은 전방으로 수직하게 이동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62)에 평행한 후퇴 자세를 채택한다.As shown in FIGS. 32B and 33B, when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에 대하여 어떠한 장애물도 시각적 및 물리적으로 발견되지 않으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레버 아암의 위치 차이로 인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이 시각적 실시예 및 물리적 관점에 기초하여 방지될 수 있다.In this state, since no obstacle is visually and physically found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of the
(제 4 변형예)(Fourth modification)
도 34는 크리프 하중 저감 유닛을 가지는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5a는 레버 아암이 설치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35b는 상기 레버 아암이 설치 대기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36은 유로 부재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에 인가되는 반력의 변동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7은 크리프가 발생한 후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력이 저감된 상태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3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having a creep load reducing unit. 35A is a back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arm is located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FIG. 35B is a back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lever arm is located in the installation standby position. 36 is a graph showing variation in reaction force applied to the ink cartridge by the flow path member. FIG. 37 is a 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insertion force of the ink cartridge is reduced after creep has occurred. FIG.
본 변형예에 있어서, 크리프 하중 저감 유닛(401)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 부 착/탈착 장치(1)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크리프 하중 저감 유닛(401)은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설치 위치에 계속해서 체류하는 경우 발생되어 상기 기록 장치의 본체(3)의 개별 섹션에 가해지는 크리프 하중을 저감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리프 하중 저감 유닛(401)은 상기 레버 아암을 설치 위치로부터 재설치 위치까지 회전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402); 및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재설치 위치 쪽으로 소정 피치만큼 후방으로 위치되어 있는 설치 대기 위치에서 상기 레버 아암(31)을 정지시키는 레버 아암 정지 기구(403)를 구비한다.In this modification, a creep
상세하게는, 상기 레버 아암(31)의 아암 본체(73)가 노브(74)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면, 도 35a 및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74)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설치 위치에 도달한 상기 레버 아암(31)은 상기 아암 본체(73)의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 자동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방으로 회전된 상기 레버 아암(31)은 결합 노치(48')의 상측 코너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경사부(409)를 따라서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402)의 가압력에 의해 설치 위치 쪽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레버 아암(31)은 정지되어 결합 폴(410)이 상기 결합 노치(48')에 끼워지는 설치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In detail, the arm
그러므로,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설치 위치에 계속해서 체류하는 경우 큰 하중이 상기 본체(3)의 개별 섹션상에 가해져 크리프를 발생시키는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설치 대기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유로 부재(4)로부터 약간 후퇴되지만,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장착에 필요한 소정 구동력이 얻어진다.Therefore, when the
도 36 및 도 3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상기 유로 부재(4)에 의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에 인가되는 반력의 변동과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에 대한 삽입력이 감소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36에는 상기 유로 부재(4)에 의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에 인가되는 반력의 변동이 도시되어 있다. 횡축은 상기 레버 아암(31)의 설치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나타내며, 종축은 상기 유로 부재(4)에 의해 인가된 반력의 크기를 나타내다. 상기 그래프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반력은 상기 설치 위치에서 최대치가 되고,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점차 저감된다.Referring to the graphs of FIGS. 36 and 37, a brief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variation in reaction force applied to the
도 37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삽입하기 위한 힘이 크리프 발생 후 저감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횡축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력의 저감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추가 구동력을 나타내고, 종축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 삽입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A, B 및 C는 크리프 발생 전 상태를 표시하고, a, b 및 c는 크리프 발생 후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그래프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력은 크리프 발생 후 저감된다. 크리프가 발생한 후 원래의 삽입력을 얻기 위해, 원래의 힘보다 상당히 큰 구동력이 얻어져야 함을 또한 알 수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크리프 하중이 상당히 저감되므로, 크리프가 상기 본체(3)의 개별 섹션내에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반복적으로 탈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위한 만족스러운 힘이 얻어짐에 주의해야 한다.FIG. 37 shows a state where the force for inserting the
(제 5 변형예)(Fifth modification)
도 41은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유닛(501) 및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을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611)용 부착/탈착 장치(1)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2는 레버 아암이 휴지 위치에 위치되는 때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502)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FIG. 41 is a rear view showing the attachment /
본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유닛(501)이 잉크 카트리지(611)용 부착/탈착 장치(1)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유닛(501)은 사용자가 소정 거리를 초과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 잉크 카트리지 장착 전에 상기 유닛(501)이 소정 위치(500)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정지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가져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In this modification, the ink cartridge insertion
본 변형예에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삽입 상태 판단 유닛(501)은 상기 재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설치 위치 쪽으로의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502)를 구비함으로써 삽입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소정 위치(500)에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k cartridge insertion
상기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502)는 상기 가이드 슬릿(407), 즉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상의 휴지 위치의 설치 위치 쪽 부근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을 상기 설치 위치 쪽으로 제한하는 제한부(503)를 가진다.The lever arm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깊게(소정 거리를 초과하여) 삽입하려고 한다. 이러한 삽입 도중,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먼저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에 의해 유지된다.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슬라이드 홀더(37) 및 상기 이동 프레임(58)과 일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 사용자의 삽입력에 의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더 깊게 삽입되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소정 위치(500)를 초과하여 진행한다. 그러므로, 이 때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와 일체인 상기 이동 프레임(58)은 상기 결합 피니언(70) 및 상기 슬라이드 바(78)를 매개로 상기 설치 위치 쪽으로 상기 레버 아암(31)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상기 쌍안정 스프링(65) 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402)이 상기 레버 아암(31)을 바이어스 시키기 때문에,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이 억제된다. 즉, 상기 쌍안정 스프링(65) 또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402)의 바이어스 힘이 상기 이동 프레임(58)을 통해 사용자의 잉크 카트리지 삽입력에 대항한다. 결과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설치 위치 쪽으로 회전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장착되기 전의 위치에 정지된다.In general, a user tries to insert the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이 방식으로 삽입되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어떠한 접촉감도 받지 않으며 상기 레버 아암(611)은 상기 설치 위치 쪽으로 약간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배면 또는 후방 단부(612f)가 상기 기록 장치 본체(3)의 내부내로 삽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후방 단부(612f)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When the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오삽입 했을 때에도 사용자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며, 사용자가 상기 레버 아암(31)을 정정 없이 설치 위치 쪽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으로 인해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의 일 측만이 조작(이하 이 상태를 오장착이라고 함)되는 상태(잉크 카트리지의 비정상 삽입 상태)에서 장착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determine whether the insertion state of the
따라서, 본 변형예에는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407)상의 재설치 위치의 설치 위치 부근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을 설치 위치 쪽으로 제한하는 제한부(503)가 제공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레버 아암(31)의 상기 아암 본체(73)는 상기 노브(74) 측이 바이어스 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상기 제 4 변형예와 유사함) 만곡되므로, 상기 가이드 슬릿(407)상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한부(503)는 상기 재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설치 위치로의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도 42 참조). 따라서,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과 연동되는 상기 회전 슬라이드 기구(32)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잉크 카트리지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장착되기 전에 상기 소정 위치(500)에서 접촉감으로 인해 정지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restricting portion is located abov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positioning position on the guide slit 407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이 때, 상기 소정 위치(500)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에 의해 장착되기 전의 위치이다. 따라서, 상기 소정 위치(500)는 상기 잉크 카 트리지(611)의 후방 단부(612f)가 상기 기록 장치 본체(3)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를 확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후방 단부(612f)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 상태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position 500 is a position before the
삽입 상태가 비정상인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는 다시 올바르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정상 삽입 상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오장착되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insertion state is abnormal, the
삽입 상태가 정상인 경우, 상기 레버 아암(31)의 노브(74)는 일단 하강되어 상기 제한부(503)의 제한을 해제하고, 그 후 설치 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정확하고 확실하게 장착시킨다.When the insertion state is normal, the
상기 제한부(503)는 상기 레버 아암(31)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 도중 설치 위치 쪽으로 약간 회전되는 경우 상기 레버 아암(31)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 아암(31)의 설치 위치 쪽으로의 회전 제한에 유극(play)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삽입되고 접촉이 발생되면, 상기 레버 아암(31)은 상기 유격에 대응하는 정도로 회전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 도중 접촉이 제한부(503)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제한부(503)에 의해 발생된 제한으로부터 상기 레버 아암(31)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The restricting
상술된 바와 같이, 제한부(503)만이 상기 레버 아암(31)의 회전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 슬릿(407)상의 휴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 아암 회전 제한 기구(502)는 저원가로 구성요소 부품수를 늘리지 않고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ly the limiting
(제 6 변형예)(Sixth modification)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비정상 삽입 상태를 회피하도록 이러한 구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채용될지라도, 삽입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비정상 삽입 상태를 완전히 회피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상기 레버(31)의 회전에 의해 장착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고 오장착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그대로 두어질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상기 잉크 공급 니들과 상기 밀봉 고무 사이의 불완전한 밀봉 상태가 모세관 작용으로 인해 잉크 누출을 일으킬 수도 있는 가능성이 있다. 도 22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오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Although such a structure is employed as described above to avoid the abnormal insertion state of the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의 단지 일 측만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으로 인해 조작되는 상태(잉크 카트리지의 비정상 삽입 상태)에서 오장착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후방 단부(612f)가 기울어지게 된다. 즉,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올바르게 조작되지 않는 측에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후방 단부(612fb)는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올바르게 조작되는 측에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후방 단부(612fa)와 비교해 후방 표면 측에(도 22에서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적절하게 조작되는 측면에서의 후방 단부(612fa)와 적절하게 조작되는 않는 측면에서의 후방 단부(612fb) 사이의 위치 차이는 4㎜이다.As shown in Fig. 22, when only one side of the
본 변형예에는 상기 후방 단부(612fa)와 상기 후방 단부(612fb) 사이의 위치차를 사용하여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장착을 경고하는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이 제공되어 있다. 이하,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에 대해 설명한다.This modification is provided with an ink cartridge
도 43a 및 도 43b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의 조작 모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43A and 43B are parti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ink cartridge
본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이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용 부착/탈착 장치(1)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오장착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를 위한 삽입 개구부(505)를 폐쇄하도록 리드 개폐 지점(5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리드 부재(29) 및 상기 리드 부재(29)의 내측면상에 형성된 리브(506)를 구비한다.In this modification, the ink cartridge
상기 리브(506)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오장착되는 경우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에 접촉하고 상기 리드 부재(29)의 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리드 부재(29)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리드 부재(29)의 좌측 및 우측 단부 부근에 후방 단부(612fa, 612fb)에 면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경고 유닛(504)은 상기 리드 부재(29)의 개폐를 검출하는 리드 개폐 검출기(507) 및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상태 컨트롤러(520)를 더 구비한다.The ink cartridge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507)는 상기 리드 부재(29)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리드 부재(29)의 내측면상에 제공된 돌출부(509)에 접촉하여 상기 리드 부재(29)의 폐쇄를 검출하는 레버 돌출 피스(508)를 가진다. 본 변형예에서의 상기 리드 개폐 검출기(507)는 상기 리드 부재(29)의 개폐를 확실히 검출하도록 상기 리드 부재(29)의 선단 측(도면의 상측)에 면하는 삽입 개구부(505)내에 배치되어 있다.The lid member opening /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상태 컨트롤러(520)는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507)가 상기 리드 부재(29)의 폐쇄를 검출할 때까지 상기 기록 장치 본체가 작동되지 않는 제어 기능을 가진다.The ink cartridge
도 43a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양측(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정상 삽입 상태)에서 올바르게 조작되고 그 후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올바르게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개방 상태의 상기 리드 부재(29c)가 상기 삽입 개구부(50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드 개폐 지점(5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후방 단부(612f)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즉, 상기 후방 단부(612f)는 상기 후방 단부(612fa)의 위치에만 위치되므로, 상기 리브(506)가 상기 후방 단부(612fa)에 접촉하는 가능성은 없다. 상기 리드 부재는 상기 리드 부재(29)의 내측면상에 제공된 돌출부(509)가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507)의 상기 레버 돌출 피스(508)를 밀어 넣도록 동일 방향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507)는 상기 리드 부재(29a)의 폐쇄를 검출할 수 있다.Fig. 4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k
도 43b는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올바르게 조작되지 않아(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비정상 삽입 상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정정 없이 오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0b에 있어서, 참조부호(612fa, 612fb)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올바르게 조작되는 측에서의 상기 후방 단부(612fa)와 상기 카트리지 유지 유닛(30)이 올바르게 조작되지 않는 측에서의 상기 후방 단부(612fb)에 각각 대응된다.Fig. 4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먼저, 개방 상태의 상기 리드 부재(29c)는 상기 삽입 개구부(50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드 개폐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506)는 좌측 및 우측 단부(상기 후방 단부(612fa, 612fb)에 면하는 단부)의 부근에 상기 리드 부재(29)의 내측면상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2개의 리브(506) 중 하나가 상기 리드 부재(29)가 회전하는 중에 상기 후방 단부(612fb)에 접촉하므로, 상기 리브(506)는 상기 리드 부재(29)의 회전을 방해하여 이 위치에서 상기 리드 부재(29b)를 정지시킨다. 그 결과, 상기 돌출부(509)는 상기 레버 돌출 피스(508)를 누를 수 없다. 즉,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507)는 상기 리드 부재(29)의 폐쇄를 검출한다.First, the
또한,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507)는 상기 리드 부재(29)가 폐쇄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조작 패널(미도시) 등에 표시되는 경고를 통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id member opening and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장착 상태 컨트롤러(520)(도 43a 및 도 43b 참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기록 장치 본체(3)는 상기 리드 부재 개폐 검출기(507) 가 상기 리드 부재(29)의 폐쇄를 검출할 때까지 작동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기록 장치 본체(3)가 잉크를 상기 기록 헤드(13)내에 제공된 잉크 공급로내로 충전시키는 최초 충전 단계가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오장착되는 경우 실행되는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가 오장착될지라도, 폐잉크가 상기 최초 충전 단계 등에 의해 장치 외부로 누출되는 가능성은 없다.Further, by using the ink cartridge misloading state controller 520 (see FIGS. 43A and 43B), the recording device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 복수의 컬러 잉크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단일 패키지형의 잉크 카트리지(611)가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개별 컬러별로 각각 제공된 잉크 카트리지가 채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2색 또는 3색의 잉크 카트리지 패키지가 각각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 single packaged
또한, 상기 제 2 피니언(79), 상기 제 3 피니언(80) 및 상기 제 3 래크(81)의 2개의 세트가 상기 레버 아암(31)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78) 대신에, 상기 제 1 피니언(75)의 회전을 상기 제 2 피니언(79)에 전달하도록 적절한 기어열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버 아암(31)이 도 3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삽입을 허용하는 스토퍼가 제공될 수도 있다.Also, two sets of the
상기 스토퍼는 상술된 상기 잉크 카트리지 오삽입 방지 유닛(101, 201 또는 301)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삽입을 금지하도록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유닛, 또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 및 상기 고정 프레임(61) 양자에 형성된 결합 구조체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잉크 카트리지(611)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유닛을 포함한다.The stopper includes the ink cartridg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컬러 잉크 카트리지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패키지형의 잉크 카트리지가 채용된 경우에도 극히 작은 힘으로 잉크 카트리지를 확실히 장착하기 위한 큰 압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잉크 카트리지가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면서도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의 위치 변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잉크 카트리지의 오장착이 방지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가 제공되며, 또한 잉크 카트리지 부착/탈착 장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는 잉크 카트리지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single packaged ink cartridge in which a plurality of color ink cartridges are integrally employed, a large pressing force for reliably mounting the ink cartridge can be generated with extremely small force and ink There is provided an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that can be easily removed and that the position of the mounted ink cartridge does not occur, and that the ink cartrid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correctly mounted. There is provided an ink cartridge that can be removed and removed.
Claims (1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424832 | 2003-12-22 | ||
JP2003424832 | 2003-12-22 | ||
JP2004031295A JP4442240B2 (en) | 2004-02-06 | 2004-02-06 | Liquid ejector |
JPJP-P-2004-00031295 | 2004-02-06 | ||
JP2004032152 | 2004-02-09 | ||
JPJP-P-2004-00032152 | 2004-02-09 | ||
JP2004244780A JP4656289B2 (en) | 2003-12-22 | 2004-08-25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JPJP-P-2004-00244780 | 2004-08-25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381A Division KR20050063755A (en) | 2003-12-22 | 2005-02-24 | Ink cartridg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3722A KR20050063722A (en) | 2005-06-28 |
KR100819225B1 true KR100819225B1 (en) | 2008-04-02 |
Family
ID=341199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97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9225B1 (en) | 2003-12-22 | 2004-12-21 | Liquid container and ink cartridge |
KR1020050015381A Withdrawn KR20050063755A (en) | 2003-12-22 | 2005-02-24 | Ink cartridg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381A Withdrawn KR20050063755A (en) | 2003-12-22 | 2005-02-24 | Ink cartridg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9)
Country | Link |
---|---|
US (3) | US7455397B2 (en) |
EP (4) | EP1733888A3 (en) |
KR (2) | KR100819225B1 (en) |
CN (2) | CN100548695C (en) |
AR (2) | AR046990A1 (en) |
AT (2) | ATE444858T1 (en) |
AU (1) | AU2004244657B2 (en) |
BR (1) | BRPI0405743A (en) |
CA (2) | CA2490569A1 (en) |
DE (3) | DE102004061829B4 (en) |
DK (1) | DK1547785T3 (en) |
ES (1) | ES2294423T3 (en) |
GB (4) | GB2420741B (en) |
MX (1) | MXPA04012988A (en) |
MY (4) | MY147738A (en) |
NZ (2) | NZ549184A (en) |
SG (2) | SG113023A1 (en) |
SI (1) | SI1547785T1 (en) |
TW (2) | TWI295637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78220B2 (en) * | 2005-03-28 | 2011-04-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ES2409120T3 (en) | 2005-03-28 | 2013-06-25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artridge, liquid cartridge loading / unloading device, recording device, and liquid ejection device |
JP4941633B2 (en) * | 2005-05-11 | 2012-05-3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recording device |
US7837311B2 (en) | 2005-09-29 | 2010-11-23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s |
US8025376B2 (en) | 2005-09-29 | 2011-09-27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s |
US7682004B2 (en) | 2005-09-29 | 2010-03-23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s |
US7775645B2 (en) | 2005-09-29 | 2010-08-17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Methods of forming cartridges, such as ink cartridges |
US7810916B2 (en) | 2005-09-29 | 2010-10-12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s |
US7828421B2 (en) | 2005-09-29 | 2010-11-09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 arrangements |
US7553007B2 (en) | 2005-09-29 | 2009-06-30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cartridges |
CN100436141C (en) * | 2005-11-04 | 2008-11-26 |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 Ink box bearing mechanism and combined structure with ink box and bearing mechanism |
JP4277850B2 (en) * | 2005-11-30 | 2009-06-1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Refill unit |
JP4835128B2 (en) * | 2005-11-30 | 2011-12-1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Refill unit |
JP4770430B2 (en) * | 2005-11-30 | 2011-09-1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Refill unit |
JP4857740B2 (en) * | 2005-11-30 | 2012-01-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Refill unit |
JP4466872B2 (en) * | 2006-01-11 | 2010-05-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JP4466873B2 (en) * | 2006-01-11 | 2010-05-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JP4595870B2 (en) * | 2006-03-31 | 2010-12-0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Ink cartridge holding member |
JP4697453B2 (en) * | 2006-06-29 | 2011-06-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US20080309739A1 (en) * | 2007-06-14 | 2008-12-18 | Seiko Epson Corporation | Fluid supplying apparatus, fluid ejecting apparatus, and fluid supplying method |
JP4766011B2 (en) | 2007-06-20 | 2011-09-0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Fluid ejec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8136929B2 (en) * | 2007-06-20 | 2012-03-20 | Seiko Epson Corporation | Installing fluid container in fluid ejection device |
WO2008156209A1 (en) * | 2007-06-20 | 2008-12-24 | Seiko Epson Corporation | Fluid inject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TW200918337A (en) | 2007-06-20 | 2009-05-01 | Seiko Epson Corp | Fluid jett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US8439488B2 (en) * | 2007-11-28 | 2013-05-14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nk supply device |
JP4952551B2 (en) * | 2007-11-30 | 2012-06-13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Recording device |
CN102026816B (en) * | 2008-05-12 | 2014-03-12 | 惠普开发有限公司 | Fluid container |
JP5188269B2 (en) | 2008-05-30 | 2013-04-24 | Hoya株式会社 | Optical glass, glass material for press molding, optical element blank, optical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CN101491975B (en) * | 2009-02-20 | 2011-12-28 | 珠海纳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 Ink box for ink jet printer |
JP5397153B2 (en) * | 2009-10-23 | 2014-01-2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Liquid supply device |
JP2011131514A (en) * | 2009-12-25 | 2011-07-07 | Brother Industries Ltd | Liquid supply device |
CN102815093B (en) * | 2010-10-29 | 2016-01-27 | 船井电机株式会社 | A kind of consumptive material delivery member |
US8567932B2 (en) * | 2010-11-17 | 2013-10-29 | Funai Electric Co., Ltd. | Fluid container having fluid interface for micro-fluid applications |
US8752941B2 (en) * | 2010-11-17 | 2014-06-17 | Funai Electric Company Ltd. | Fluid container having latching interface for micro-fluid applications |
JP2012210729A (en) * | 2011-03-30 | 2012-11-01 | Brother Industries Ltd | Ink cartridge |
JP2012210726A (en) | 2011-03-30 | 2012-11-01 | Brother Industries Ltd | Ink cartridge |
US8523010B2 (en) | 2011-05-31 | 2013-09-0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Bistable cover assemblies |
JP6210268B2 (en) * | 2013-03-27 | 2017-10-1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Printing device |
JP6311252B2 (en) * | 2013-09-20 | 2018-04-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Liquid container, liquid container, substrate support member and unit |
JP6323091B2 (en) | 2014-03-14 | 2018-05-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Recording device |
JP2015205437A (en) * | 2014-04-18 | 2015-11-19 | 船井電機株式会社 | printer |
CN105573092B (en) * | 2015-12-18 | 2022-03-01 |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 Processing box |
US11348815B2 (en) * | 2017-04-06 | 2022-05-31 | Miraial Co., Ltd. | Board storing container |
CN109203709A (en) * | 2017-07-05 | 2019-01-15 | 亿码(厦门)标识科技有限公司 | It is a kind of to automate more ink road ink-providing control systems and method |
CN108819489B (en) * | 2018-07-27 | 2024-03-22 | 上海汉图科技有限公司 | Connection structure, ink supply system and printer |
JP7257856B2 (en) * | 2019-04-05 | 2023-04-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recording device |
JP7298318B2 (en) * | 2019-06-11 | 2023-06-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printer system |
CN113318896B (en) * | 2020-02-28 | 2024-02-13 | 厦门松霖科技股份有限公司 | Wall base device |
CN114654419B (en) * | 2022-04-14 | 2024-08-09 | 浙江百世技术有限公司 | Dismounting device of portable commodity circulation tray |
CN117621673B (en) * | 2024-02-01 | 2024-05-24 | 广州市品格新材料股份有限公司 | Plate UV digital printing equipment and plate digital print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2355A (en) * | 1994-09-09 | 1996-03-19 | Hitachi Ltd | Printing method and printer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5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01682A (en) | 1981-06-08 | 1982-12-10 | Canon Inc | Ink cassette |
JP2639947B2 (en) | 1987-11-30 | 1997-08-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holding device |
JPH03108557A (en) * | 1989-09-22 | 1991-05-08 | Canon Inc | Ink jet recorder |
JPH03184873A (en) | 1989-12-15 | 1991-08-12 | Canon Inc | Recorder |
JP4193719B2 (en) | 2003-03-05 | 2008-12-1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Liquid container,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case |
JPH04214360A (en) | 1990-12-10 | 1992-08-05 | Canon Inc | Ink jet recording device, ink tank cartridge for said device and manufacture of said cartridge |
JP3029126B2 (en) | 1991-01-11 | 2000-04-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Ink jet recording device |
CA2085550C (en) * | 1991-12-19 | 1999-07-06 | Kentaro Yano | Method of controlling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recording head information,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 which the method is implemented |
EP0577390B1 (en) | 1992-06-30 | 2000-05-24 | Canon Kabushiki Kaisha |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JPH0615835A (en) | 1992-07-01 | 1994-01-25 | Seiko Epson Corp | Inkjet printer |
JP3428003B2 (en) | 1994-03-10 | 2003-07-22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carriage |
JP3307107B2 (en) | 1994-10-13 | 2002-07-24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Ink jet recording device |
US5777646A (en) | 1995-12-04 | 1998-07-07 | Hewlett-Packard Company | Self-sealing fluid inerconnect with double sealing septum |
JPH09123479A (en) | 1995-10-26 | 1997-05-13 | Brother Ind Ltd | Inkjet printer |
GB2323817B (en) | 1996-07-05 | 1998-11-25 | Seiko Epson Corp | Ink cartridge and loading mechanism for the ink cartridge |
CA2209866C (en) * | 1996-07-05 | 2003-12-09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 cartridge and loading mechanism for the ink cartridge |
EP0863014B1 (en) | 1997-03-03 | 2008-02-13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jet printer |
JP3697054B2 (en) | 1997-04-02 | 2005-09-21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Printer ink cartridge mounting mechanism |
CN1094427C (en) | 1997-04-02 | 2002-11-20 | 精工爱普生株式会社 | Ink cartridge loading mechanism for printer and printer having loading machanism |
JP3493964B2 (en) | 1997-08-28 | 2004-02-0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insertion mechanism for inkjet printer |
JP3627790B2 (en) | 1997-09-25 | 2005-03-0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in recording apparatus |
JPH11277763A (en) | 1998-03-30 | 1999-10-12 | Brother Ind Ltd | Printing device |
DE69942728D1 (en) | 1998-05-18 | 2010-10-14 | Seiko Epson Corp | Inkjet printing device and ink cartridge therefor |
JPH11348303A (en) | 1998-06-09 | 1999-12-21 | Seiko Epson Corp | Printer ink cartridge mounting mechanism |
US6264318B1 (en) | 1999-02-10 | 2001-07-24 | Fuji Xerox Co., Ltd. |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storing device |
AU5452700A (en) | 1999-06-08 | 2000-12-28 | Pitney-Bowes Inc. | Disposable ink cartridge |
KR100583290B1 (en) | 2000-01-21 | 2006-05-25 |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 Ink Cartridges for Recording Devices |
JP2002001979A (en) | 2000-06-20 | 2002-01-08 | Seiko Epson Corp | Ink cartridge for recording device |
US6908182B2 (en) * | 2000-01-31 | 2005-06-21 | Seiko Epson Corporation | Ink cartridge and ink jet printer |
ES2275603T5 (en) | 2000-10-20 | 2010-07-07 | Seiko Epson Corporation | INJECTION RECORD DEVICE FOR INK AND INK CARTRIDGE. |
JP3649123B2 (en) | 2000-12-26 | 2005-05-1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Circuit board terminals |
JP2002283583A (en) | 2001-03-22 | 2002-10-03 | Seiko Epson Corp | Ink jet recording device |
JP2002370373A (en) | 2001-06-18 | 2002-12-24 | Canon Inc | Ink-jet recording apparatus |
JP3885872B2 (en) | 2001-10-09 | 2007-02-2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Ink storage devic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JP2004031295A (en) | 2001-11-05 | 2004-01-29 | Shin Etsu Polymer Co Ltd | Button battery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
MXPA03002490A (en) * | 2002-03-20 | 2004-10-15 | Seiko Epson Corp | Ink cartridge and ink cartridge holder. |
JP2003341100A (en) | 2002-03-20 | 2003-12-03 | Seiko Epson Corp | Ink cartridge and ink cartridge holder |
DE60202127T2 (en) | 2002-03-28 | 2005-10-27 | Brother Kogyo K.K., Nagoya | ink cartridge |
JP3830852B2 (en) * | 2002-04-15 | 2006-10-1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Card connector device |
JP4631253B2 (en) | 2002-06-17 | 2011-02-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
JP3626943B2 (en) | 2002-06-24 | 2005-03-09 | ニスカ株式会社 | Automatic document feeder |
JP3891150B2 (en) | 2002-07-09 | 2007-03-14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Liquid cartridge and liquid container |
JP2004244780A (en) | 2003-02-17 | 2004-09-02 | Toyobo Co Ltd | Method for producing porous, resin-processed fibrous structural material excellent in shape stability |
US6779880B1 (en) * | 2003-02-19 | 2004-08-24 | Pitney Bowes Inc. | Insertion/extraction mechanism for an ink cartridge |
US7452062B2 (en) | 2003-07-18 | 2008-11-18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tainer with structure for controlling leaked liquid |
EP1815994B1 (en) | 2003-08-08 | 2013-04-24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ontainer |
ES2409120T3 (en) * | 2005-03-28 | 2013-06-25 | Seiko Epson Corporation | Liquid cartridge, liquid cartridge loading / unloading device, recording device, and liquid ejection device |
JP4678220B2 (en) * | 2005-03-28 | 2011-04-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JP4941633B2 (en) * | 2005-05-11 | 2012-05-30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recording device |
JP4466873B2 (en) * | 2006-01-11 | 2010-05-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JP4466872B2 (en) * | 2006-01-11 | 2010-05-2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JP4697453B2 (en) * | 2006-06-29 | 2011-06-08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Cartridge attachment / detachment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
2004
- 2004-12-17 MX MXPA04012988A patent/MXPA04012988A/en active IP Right Grant
- 2004-12-21 US US11/019,510 patent/US7455397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21 NZ NZ549184A patent/NZ549184A/en unknown
- 2004-12-21 TW TW095133662A patent/TWI295637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1 CA CA002490569A patent/CA249056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12-21 CA CA002649610A patent/CA264961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12-21 NZ NZ537335A patent/NZ537335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1 TW TW093139842A patent/TWI301801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1 KR KR1020040109788A patent/KR1008192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GB GB0526510A patent/GB242074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CN CNB2006101411694A patent/CN10054869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MY MYPI20082885A patent/MY147738A/en unknown
- 2004-12-22 AU AU2004244657A patent/AU2004244657B2/en not_active Ceased
- 2004-12-22 SI SI200430571T patent/SI1547785T1/en unknown
- 2004-12-22 EP EP06020834A patent/EP1733888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12-22 MY MYPI20045317A patent/MY138013A/en unknown
- 2004-12-22 CN CNB2004101024086A patent/CN10043910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EP EP04030484A patent/EP154778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22 AR ARP040104874A patent/AR046990A1/en active IP Right Grant
- 2004-12-22 GB GB0624989A patent/GB243323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SG SG200407756A patent/SG113023A1/en unknown
- 2004-12-22 SG SG200804044-6A patent/SG143277A1/en unknown
- 2004-12-22 AT AT07016751T patent/ATE444858T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2-22 EP EP07016751A patent/EP185226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22 EP EP07016755A patent/EP1852262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12-22 DE DE102004061829A patent/DE102004061829B4/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AT AT04030484T patent/ATE375868T1/en active
- 2004-12-22 ES ES04030484T patent/ES2294423T3/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22 GB GB0517438A patent/GB241496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DE DE602004009521T patent/DE602004009521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22 DE DE602004023549T patent/DE602004023549D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2-22 GB GB0428071A patent/GB240943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22 DK DK04030484T patent/DK1547785T3/en active
- 2004-12-22 MY MYPI20082884A patent/MY140646A/en unknown
- 2004-12-22 BR BR0405743-0A patent/BRPI0405743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2-24 KR KR1020050015381A patent/KR20050063755A/en not_active Withdrawn
-
2006
- 2006-08-29 AR ARP060103766A patent/AR057102A2/en unknown
-
2008
- 2008-01-02 US US11/968,265 patent/US804290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7-03 MY MYPI20082451A patent/MY141188A/en unknown
- 2008-07-17 US US12/175,087 patent/US20080291252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72355A (en) * | 1994-09-09 | 1996-03-19 | Hitachi Ltd | Printing method and printer system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9225B1 (en) | Liquid container and ink cartridge | |
US8944576B2 (en) | Inkjet recording apparatus | |
TWI440563B (en) | Liquid container | |
KR101005361B1 (en) | Liquid cartridge, liquid cartridge detachment device, recording device and liquid ejection device | |
US8002397B2 (en) | Ink container, ink container se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US20170087863A1 (en) |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 |
JP4656289B2 (en)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
US7959254B2 (en) | Liquid ejection apparatus, capping device, and installation device for liquid absorber | |
RU2336176C2 (en) | Liquid container for jet device and ink cartridge (versions) | |
US7819398B2 (en) |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 |
JP5182466B2 (en) | Liquid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device and liquid ejecting device | |
JP4868157B2 (en) | Ink cartridge attaching / detach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 |
HK1078296A (en) | Ink cartridg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recording apparatus,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 |
JP2005088575A (en) | Liquid container | |
AU2007200296A1 (en) | Ink cartridge attachment/detachment device, recording apparatus,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 |
HK1123015A (en) | Ink container, ink container se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 |
DE202004021023U1 (en) | Attachment/detachment device for ink cartridge in printer, has rotation-sliding mechanism for applying press-force for loading cartridge, by using leverage principle, and converting rotation of lever arm for moving to specific stro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1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2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