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8789B1 -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 Google Patents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789B1
KR100818789B1 KR1020070054681A KR20070054681A KR100818789B1 KR 100818789 B1 KR100818789 B1 KR 100818789B1 KR 1020070054681 A KR1020070054681 A KR 1020070054681A KR 20070054681 A KR20070054681 A KR 20070054681A KR 100818789 B1 KR100818789 B1 KR 100818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midsole
point
foot
sole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7005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7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78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외피와 밑창의 구성을 포함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밑창은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된 깔창; 상기 외피의 하측 테두리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상창; 일정한 탄성을 가지면서 그 바닥이 후단의 일 지점으로부터 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궁형의 곡선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궁형 곡선상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다른 지점 상에 상측으로 유선형의 요입된 공간이 형성된 중창; 상기 중창의 요입된 공간에 긴밀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그 바닥은 상기 중창의 바닥이 형성하는 궁형의 곡선과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발 바닥의 외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각 홀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결합 형성된 보조창; 및 상기 중창과 보조창이 형성하는 궁형의 바닥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하창; 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행시 발을 디딜 때 발뒤꿈치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발을 구를 때 체중의 이동이 발뒤꿈치와 발바닥의 바깥 부분으로부터 발 안쪽과 엄지발가락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으로써, 보행시 건강하고 올바른 자세의 교정이 이루어지는 효과는 물론이고 그로 인해 발, 무릎, 허리 및 어깨 등의 피로와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shell and the sole to be worn on the foot, specifically the sole is insole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An upper window formed to fix the lower edge of the shell; It has a constant elasticity and its bottom is formed to have an arcuate curve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rear end to one point of the front end, and streamlined indents upward on another point from the middle point of the arch curve to the one point of the rear end. Midsole with formed spaces; In the state closely fitt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midsole, the bottom is formed to match the arch curv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midsole, the inside of which formed at least one hol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ole bottom Auxiliary window sprin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each hole in the state; And a lower sole formed to cover an arch bottom formed by the midsole and the auxiliary window; When walking, the movement of weight naturally occurs from the outside of the heel and the sole to the inside of the foot and the big toe, while cushioning the shock acting on the heel when walking the foo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correcting a healthy and correct posture, thereby provid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hat can alleviate fatigue and pain, such as feet, knees, waist and shoulders.

Description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Footwear having functional base piece}Footwear having functional sole structure {Footwear having functional base pie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측단면도.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A-A선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측면 작용도.Figure 4 is a side action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평면 작용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밀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정면 작용도.Figure 6 is a front functional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wheat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의 다른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ain portion of the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도 7의 작용도.8 is a functional diagram of FIG.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도 시한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외피100: shell

200: 밑창200: outsole

210: 깔창 212: 에어펌프210: insole 212: air pump

214: 에어튜브 216: 공기분출구214: air tube 216: air outlet

218: 자석218: magnet

220: 상창220: Changchang

230: 중창230: midsole

240, 240': 보조창 242: 홀240, 240 ': Auxiliary window 242: Hole

244: 스프링244: spring

250: 하창250: changchang

본 발명은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면서 자세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보행시 발을 디딜 때 발뒤꿈치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발을 구를 때 체중의 이동이 발뒤꿈치와 발바닥의 바깥 부분으로부터 발 안쪽과 엄지발가락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to correct the posture while absorbing the impact when walking, specifically, the movement of weight when rolling the foot while buffering the shock acting on the heel when walking the foot during walking And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which is naturally made from the outer part of the sole to the inner part of the foot and the big toe part.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충격 흡수와 발의 변형을 방지하고 올바른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밑창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Shoes are generally used to protect the feet, and in particula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oles to prevent shock absorption and deformation of the feet and to allow correct walking.

이에, 상기 밑창은 통상 상측으로부터 깔창 상창 중창 하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 그 기능이 다르게 작용한다. 우선, 상기 깔창은 신발을 착용한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충격을 완충하면서 착용감이 편안하도록 스펀지나 연성고무와 같은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상창은 발을 덮는 외피의 하측 테두리를 봉제 또는 접착 고정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잘 찢어지거나 뜯어지지 않도록 단단한 가죽이나 펄프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중창은 보행시 체중에 의해 특히 척추, 관절, 발 등의 신체 각 부분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발이 접히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와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 상기 하창은 보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중창이 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단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Thus, the outsole can be divided into the insole upper sole midsole insole from the upper side, each of which functions differently. First, the insole is made of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such as a sponge or soft rubber to be comfortable to wear while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shoe to cushion the impact. The upper window is to maintain the shape by sewing or adhesively fixing the lower edge of the outer covering covering the foot is formed of a hard leather or pulp material so as not to tear or tear. The midsole is formed of a rubber or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elasticity to prevent the foot from being folded or bent while buffering the shock transmitted to each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spine, joint, foot, etc. by weight when walking. The sole is made of hard rubber or synthetic resin as preventing the midsole from being worn while preventing slipping while walking.

따라서 종래 신발의 밑창구조는 발뒤꿈치 부분이 발가락 부분에 비해 다소 높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완만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전후좌우에 작용하는 완충이 균일하게 형성된다.Therefore, the shoe sol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hoe is slightly higher than the toe portion, but the cushioning acting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gentle height is formed uniformly.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밑창구조는 보행시 발을 디딜 때 최초 뒤꿈치로 전달되는 충격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발을 구를 때에도 통상 발 바닥의 바깥 날 부분만 국부적으로 사용하면서 옳지않은 보행자세에 익숙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ole structure of this configuration has a very large impact transmitted to the first heel when walking the foot, and even when the foot is rolled, it is usually used locally for only the outer edge of the foot, so that it becomes accustomed to the wrong gait. There is a problem.

다시 말해서 보행시에는 발을 디디고 구르는 동작이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반하여, 종래 밑창구조는 디디고 구르는 동작이 연속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그만큼 디딤 과정에서 뒤꿈치에 작용하는 충격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ile walking while stepping and rolling the foot continuously, the conventional sole structure does not have a continuous stepping and rolling motion, so the impact acting on the heel in the stepping step is inevitably increased.

또한, 발을 구르는 과정에서 발뒤꿈치와 바닥의 바깥 부분으로부터 발 안쪽과 엄지발가락 쪽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것이 바른 자세인데, 종래 밑창구조는 전후좌우가 모두 균일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발을 구를 때 밑창의 바깥 날 부분에만 국부적으로 완충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더구나 이와 같이 밑창의 바깥 날 부분만을 사용할 경우 그 부분만 닳으면서 발의 변형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rolling the foot, it is a proper posture to naturally connect from the outer part of the heel and the floor to the inside of the foot and the big toe. In the conventional sole structure, sinc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have uniform elastic force, Only the outer blades can be buffered locally. Moreover, using only the outer blade portion of the sole like this can cause serious problems that cause the foot to deform while wearing only that portion.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으로는 보행시 발을 디딜 때 발뒤꿈치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발을 구를 때 체중의 이동이 발뒤꿈치와 발바닥의 바깥 부분으로부터 발 안쪽과 엄지발가락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and shortcom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ift the weight when rolling the foot while buffering the shock acting on the heel when walking the foot inside the foot from the outside of the heel and the sole of the foot And to provide a shoe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hat is made naturally to the big toe pa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발뒤꿈치에 대한 충격을 더욱 완충하면서 동시에 발바닥의 전방으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hat further cushions the impact on the heel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ventilation to the front of the so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발바닥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facilitate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so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외피와 밑창의 구성을 포함한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된 깔창; 상기 외피의 하측 테두리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상창; 일정한 탄성을 가지면서 그 바닥이 후단의 일 지점으로부터 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궁형의 곡선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궁형 곡선상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다른 지점 상에 상측으로 유선형의 요입된 공간이 형성된 중창; 상기 중창의 요입된 공간에 긴밀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그 바닥은 상기 중창의 바닥이 형성하는 궁형의 곡선과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발 바닥의 외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각 홀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결합 형성된 보조창; 및 상기 중창과 보조창이 형성하는 궁형의 바닥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하창; 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hoe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shell and the sole to be worn on the foot, the sole is insole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An upper window formed to fix the lower edge of the shell; It has a constant elasticity and its bottom is formed to have an arcuate curve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rear end to one point of the front end, and streamlined indents upward on another point from the middle point of the arch curve to the one point of the rear end. Midsole with formed spaces; In the state closely fitt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midsole, the bottom is formed to match the arch curv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midsole, the inside of which formed at least one hol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ole bottom Auxiliary window sprin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each hole in the state; And a lower sole formed to cover an arch bottom formed by the midsole and the auxiliary window; Is done.

이때, 상기 보조창은 내측과 외측을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재질로 하되, 상기 외측이 내측보다 단단한 경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window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different elasticity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outside is made of harder than the inside.

또한, 상기 깔창의 내부에 대하여 발뒤꿈치 부분에는 에어펌프가 형성되고 발바닥 부분에는 에어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분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공기분출구를 갖는 에어튜브가 형성된다.In addition, an air pump is formed at the hee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insole, and an air tube having a plurality of air ejecting ports is formed at the sole portion to extend from the air pump to blow air upward.

이때, 상기 깔창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부착 형성하여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insole is formed by attaching at least one magne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측면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평면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밀창 구조를 갖는 신발을 도시한 정면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의 다른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작용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shoe having,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front functional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functional window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ain portion of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8 is a functional view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외피(100)와 다층의 밑창(200)으로 구성함으로써, 보행시 발을 디딜 때 발뒤꿈치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발을 구를 때 체중의 이동이 발뒤꿈치와 발바닥의 바깥 부분으로부터 발바닥의 안쪽과 엄지발가락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한다.Footwear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hell 100 and a multi-layered sole 200 as shown in Figures 1 to 9, thereby cushioning the impact acting on the heel when walking the foot during walking As you roll the foot, the weight shifts naturally from the heel and the outside of the sole to the inside of the sole and the big toe.

이에, 상기 외피(100)는 발을 덮을 수 있도록 가죽이나 천을 붙여 봉제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외피(100)의 바닥은 뚫린 상태에서 그 하측 테두리를 일정 폭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앞서 설명된 상창(220)을 통해 봉제 또는 접착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피(100)는 전면을 절개하여 끈으로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Thus, the outer shell 100 is stitched to form a leather or cloth so as to cover the foot, such as the bottom of the outer shell 100, the upper edge 220 described above by folding the lower edge in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drilled state Through sewing or adhesive fixation.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hell 100 may be cut to the front to form a knot with a string.

상기 밑창(200)은 크게 깔창(210), 상창(220), 중창(230), 보조창(240) 및 하창(250)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The sole 200 is composed of a large insole 210, upper sole 220, midsole 230, auxiliary window 240 and the lower sole 250.

이에, 상기 깔창(210)은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충격을 완충하면서 착용감이 편안하도록 스펀지나 연성고무와 같은 부드럽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하는 한편, 그 상측면에는 얇은 직물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깔창(210)은 외피(100)의 내측에서 상창(220) 위에 위치되는데, 상기 상창(220)과 함께 접착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Thus, the insole 210 is made of a soft and flexible material such as sponge or soft rubber to comfort the shock while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 and to cushion the impact, while attaching a thin fabric to the upper side. At this time, the insole 210 is located on the upper window 220 i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hell 100, it is possible to adhesively fixed with the upper window 220.

특히, 본 발명의 깔창(210)은 내부에 에어펌프(212)와 에어튜브(214)를 형성하여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발바닥으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깔창(210)의 발뒤꿈치 부분에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에어펌프(212)를 형성하고, 발바닥 부분에는 에어펌프(212)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분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공기분출구(216)를 갖는 에어튜브(214)를 형성한다.In particular, the insol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ir pump 212 and the air tube 214 therein to cushion the shock and at the same time form the air to be ejected to the sole. That is, the heel portion of the insole 210 forms an air pump 212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he sole portion is a plurality of air outlets 216 to extend from the air pump 212 to eject the air upwards To form an air tube (214).

또한, 상기 깔창(210)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218)을 부착 형성하는데, 특히 상기 발바닥의 용천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magnet 218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nsole 210, particularly preferab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ring portion of the sole.

상기 상창(220)은 외피(100)의 하측 테두리를 고정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상창(220)은 발을 덮는 외피(100)의 하측 테두리를 봉제 또는 접착 고정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잘 찢어지거나 뜯어지지 않도록 단단한 가죽이나 펄프재질로 형성한다.The upper window 220 is formed to fix the lower edge of the shell (100). That is, the upper window 220 is to maintain the shape by sewing or adhesively fixing the lower edge of the outer shell 100 covering the foot and is formed of hard leather or pulp material so as not to be torn or torn.

상기 중창(230)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면서 그 바닥이 후단의 일 지점으로부터 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궁형의 곡선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궁형 곡선상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다른 지점 상에 상측으 로 유선형의 요입된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중창(230)은 전체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면서 발뒤꿈치로부터 발가락까지 궁형으로 둥글게 형성함으로써, 보행시 발의 디딤과 구름 작용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 상측에는 앞서 설명된 외피(100)와 상창(220)이 접착 고정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고 하측 후방에는 앞서 설명된 보조창(24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요입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중창(230)은 보행시 충격을 완충하면서 발이 접히거나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탄성을 갖는 비교적 경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The midsole 230 has a constant elasticity and its bottom is formed to have an arcuate curve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rear end to one point of the front end, and on another point extending from the middle point of the arch curve to the one point of the rear end. A streamlined recessed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hat is, the midsole 230 is formed as a whole, while forming a thick rounded arch from the heel to the toe, so that the stepping and cloud action of the foot when walking naturally, and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hell 100 and the upper surface described above An edge is formed so that the 220 is adhesively fixed, and a recessed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rear thereof to allow the auxiliary window 240 described above to be coupled thereto. At this time, the midsole 230 is formed of a relatively hard rubber or synthetic resin having a certain elasticity to prevent the foot from being folded or folded while buffering the impact when walking.

상기 보조창(240)은 중창(230)의 요입된 공간에 긴밀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그 바닥은 상기 중창(230)의 바닥이 형성하는 궁형의 곡선과 일치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보조창(240)은 보행시 발의 디딤과 구름 작용에 대하여 체중이 이동을 따라 자연스럽게 변형되면서 충격을 충분히 완충할 수 있도록 상기 중창(230)보다 연질인 스펀지 또는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window 240 is formed so as to match the arcuate curv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midsole 230 in a state that is tightly fitt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midsole (230). At this time, the auxiliary window 240 is preferably formed of a softer sponge or rubber material than the midsole 230 so as to fully cushion the impact while the weight is naturally deformed along the movement of the foot step and cloud when walking. .

또한, 상기 보조창(240)의 내부에는 발 바닥의 외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42)을 형성하면서 상기 홀(242)의 내부에는 각각 스프링(244)을 결합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244)은 보조창(240) 자체의 탄성보다 큰 탄성력으로써 발을 구를 때 무게 중심이 발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한다. 즉, 발을 구를 때 탄성을 갖는 스프링(244)이 구른 발의 외측을 밀어냄으로써 상대적으로 탄성이 작은 내측으로 균형이 기울어지면서 무게 중심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을 구르는 과정에서 체중의 이동이 발뒤꿈치와 발바닥의 바깥 부분으로부터 발바닥의 안쪽과 엄지발가락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사이 족과 같은 올바른 보행자세가 이루어진다.In addition, at least one hole 24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foot bottom in the auxiliary window 240, and a spring 244 is formed in the hole 24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pring 244 is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natur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foot when the foot is rolled with an elastic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ity of the auxiliary window 240 itself. That is, when the foot is rolled, the spring 244 having elasticity pushes the outer side of the rolled foot so that the balance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latively low elasticity, thereb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Therefore, in the process of rolling the foot, the movement of weight naturally occurs from the heel and the outer part of the sole to the inner side of the sole and the big toe.

이때, 상기 마사이족은 아프리카의 넓은 대지에서 맨발로 걷는 민족으로써, 많은 보행과 올바른 보행의 습득을 통해 다리와 허리 및 척추가 곧고 건강한 것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At this time, the Maasai people are barefoot on a large land in Africa,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 legs, waist and spine are straight and healthy through the acquisition of many walking and correct walking.

한편, 상기 보조창(240)을 형성함에 있어서 그 내측 보조창(240')과 외측(240)을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앞서 설명된 체중의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보조창(240)이 내측 보조창(240')보다 단단한 경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forming the auxiliary window 240, the inner auxiliary window 240 ′ and the outer 240 may be formed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elasticities, so that the aforementioned weight movement may be more smoothly perform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auxiliary window 240 is formed to be harder than the inner auxiliary window 240 '.

상기 하창(250)은 중창(230)과 보조창(240)이 형성하는 궁형의 바닥을 커버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창(250)의 바닥에는 보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면서 중창(230)이 닳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많은 요철을 형성하면서 단단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한다.The lower sole 250 is formed to cover the bottom of the arch formed by the midsole 230 and the auxiliary window 240. 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sole 250 is formed of a hard rubber or synthetic resin while forming a lot of irregularities to prevent the midsole 230 to wear while preventing slipping when walking.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신발에 의하면 보행시 충격을 완충하면서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ture while buffering the impact when walking.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에 의하면 보행시 발을 디딜 때 발뒤꿈치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발을 구를 때 체중의 이동이 발뒤꿈치와 발바닥의 바깥 부분으로부터 발 안쪽과 엄지발가락 부분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에 따라, 보행시 건강하고 올바른 자세의 교정이 이루어지는 효과는 물론이고 그로 인해 발, 무릎, 허리 및 어깨 등의 피로와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According to the shoe having the functional so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movement when rolling the foot while buffering the shock acting on the heel when walking the foot from walking to the inside of the foot and the big toe to the part of the foot As it is made naturally, the effect of correcting a healthy and correct posture during walking, as well as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alleviate fatigue and pain, such as feet, knees, waist and shoulders.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에 의하면 발뒤꿈치에 대한 충격을 더욱 완충하면서 동시에 발바닥의 전방으로 통풍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의 땀과 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having the functional so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urther cushioning the impact on the heel and at the same time the ventilation of the front of the sole, the very useful effect that can remove the sweat and odor of the foot is exerted.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에 의하면 발바닥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sole is made smoothly, a very useful effect that can reduce the fatigue of the foot is exerted.

Claims (4)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외피와 밑창의 구성을 포함한 신발에 있어서,In shoes, includ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uter shell and soles to be worn on the feet,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된 깔창;Insole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soles of the feet; 상기 외피의 하측 테두리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상창;An upper window formed to fix the lower edge of the shell; 일정한 탄성을 가지면서 그 바닥이 후단의 일 지점으로부터 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궁형의 곡선을 갖도록 형성하되, 상기 궁형 곡선상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기 후단의 일 지점으로 이어지는 다른 지점 상에 상측으로 유선형의 요입된 공간이 형성된 중창;It has a constant elasticity and its bottom is formed to have an arcuate curve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rear end to one point of the front end, and streamlined indents upward on another point from the middle point of the arch curve to the one point of the rear end. Midsole with formed spaces; 상기 중창의 요입된 공간에 긴밀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그 바닥은 상기 중창의 바닥이 형성하는 궁형의 곡선과 일치되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발 바닥의 외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각 홀의 내부에는 스프링이 결합 형성된 보조창; 및In the state closely fitted in the recessed space of the midsole, the bottom is formed to match the arch curve formed by the bottom of the midsole, the inside of which formed at least one hol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ole bottom Auxiliary window sprin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each hole in the state; And 상기 중창과 보조창이 형성하는 궁형의 바닥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하창; 으로 이루어진 밑창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A lower sole formed to cover the bottom of the arch formed by the midsole and the auxiliary window; Shoes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 structure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은 내측과 외측을 서로 다른 탄성을 갖는 재질로 하되, 상기 외측이 내측보다 단단한 경질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The shoe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window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different elasticity from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and the outer side is formed of a harder body than the inner sid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의 내부에 대하여 발뒤꿈치 부분에는 에어펌프가 형성되고 발바닥 부분에는 에어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상측으로 공기를 분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공기분출구를 갖는 에어튜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The air inlet of claim 1 or 2, wherein an air pump is formed at the hee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insole, and an air tube having a plurality of air outlets is formed at the sole portion to extend from the air pump to blow air upward. Shoes having a functional sol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의 바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을 부착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4. The sho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magne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nsole.
KR1020070054681A 2007-06-04 2007-06-04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Expired - Fee Related KR100818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681A KR100818789B1 (en) 2007-06-04 2007-06-04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681A KR100818789B1 (en) 2007-06-04 2007-06-04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789B1 true KR100818789B1 (en) 2008-04-02

Family

ID=3953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6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8789B1 (en) 2007-06-04 2007-06-04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78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66B1 (en) 2008-07-22 2009-02-25 이원석 Shoes with honeycomb shock absorbers in midsole
KR101128295B1 (en) 2009-04-15 2012-03-23 김대석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015Y1 (en) 2005-12-20 2006-03-22 김미향 Functional shoe sole
KR200428437Y1 (en) 2006-07-14 2006-10-12 이태성 Shoe sole with removable heel
KR100638398B1 (en) 2006-06-21 2006-10-27 삼덕통상 주식회사 Sole
KR20070061600A (en) * 2005-12-10 2007-06-14 (주)알와이엔코리아 Rolling exercise health shoes equipped with a tunnel formed midso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1600A (en) * 2005-12-10 2007-06-14 (주)알와이엔코리아 Rolling exercise health shoes equipped with a tunnel formed midso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12015Y1 (en) 2005-12-20 2006-03-22 김미향 Functional shoe sole
KR100638398B1 (en) 2006-06-21 2006-10-27 삼덕통상 주식회사 Sole
KR200428437Y1 (en) 2006-07-14 2006-10-12 이태성 Shoe sole with removable he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66B1 (en) 2008-07-22 2009-02-25 이원석 Shoes with honeycomb shock absorbers in midsole
KR101128295B1 (en) 2009-04-15 2012-03-23 김대석 The shock absorber for using sho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069C2 (en) Sole for low shoe, in particular - training shoe
US7143530B2 (en) Soccer shoe having independently supported lateral and medial sides
US8732982B2 (en) Footwear
US8099880B2 (en) Athletic shoe with cushion structures
US8250784B2 (en) Shoe insole
TWI531326B (en) Interchangeable midsole system
EP2549898B1 (en) Dance shoes with improved heel and arch sections
US9943132B1 (en) Support insole for shoes
US20180140040A1 (en) Shoe Insole
US20160219970A1 (en) Triathlon Insole
US20100212185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structure
EP1806062A1 (en) Footwear of shoe structure
JPH01268502A (en) Shoes
KR20190017668A (en) Shoes
US20120124860A1 (en) Training sandal and method of use
KR100731793B1 (en) Shoe undercarriage
US20200163407A1 (en)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KR100818789B1 (en) Shoes with a functional sole structure
CN102573554A (en) Health shoe and method
KR20190016498A (en) Personalized shoes
JP5458257B2 (en) Insole and method for producing insole
KR101693773B1 (en) The shoes considering the peculiarity of walking
KR200461631Y1 (en) Shoes having selectable shock-absorber at arch portion of sole
WO2012171901A1 (en) An adjustable-fit motorcycle boot
KR101130975B1 (en) A footwear slip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