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834B1 - Beverage transporters in beverage dispensers - Google Patents
Beverage transporters in beverage dispens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7834B1 KR100817834B1 KR1020070020464A KR20070020464A KR100817834B1 KR 100817834 B1 KR100817834 B1 KR 100817834B1 KR 1020070020464 A KR1020070020464 A KR 1020070020464A KR 20070020464 A KR20070020464 A KR 20070020464A KR 100817834 B1 KR100817834 B1 KR 1008178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main body
- container
- body portion
- transport apparat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for examp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의 음료수 공급기와 연계되는 음료수 운송장치가 제공된다. A beverage transportation device associated with a beverage supply,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is provided.
상기 음료수 운송장치는, 음료수 공급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에 진입되되 자체 구동형으로 제공되는 장치 본체부;와, 상기 장치 본체부의 내측에 수납되되 상기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배출 위치에 맞추어 위치 조정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수 수용부; 및, 상기 장치 본체부에 구비되면서 장치 본체부의 구동과 상기 용기의 위치 조정 및,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배출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the apparatus main body portion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everage feeder support, the beverage feeder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in a self-driven type; 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adapted to be positioned; And devic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evice main bod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discharging the drink of the beverage feed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에서 배출되는 정수 또는 커피 등의 음료수를 수용한 후 사용자에게 운송시키어 음료수 공급기와 함께 매우 실용적인 음료수 운송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receiving a beverage such as purified water or coffee discharged from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and transported to the user to provide a very practical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with a beverage supply.
Description
도 1은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의 음료수 공급기와 연계되는 본 발명의 음료수 운송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sociated with a beverage supply device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도 2는 본 발명 음료수 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음료수 운송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 음료수 운송장치를 이용한 음료수 수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verage receiving state using 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음료수 운송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1 .... Beverage transporter for beverage dispensers
10.... 음료수 공급기 20....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10 ....
30.... 장치 본체부 32,34.... 모터30 ....
36.... 이동바퀴 38.... 구동축36 ....
50.... 음료수 수용부 52.... 승강 블록50 .... Drinking
54.... 용기 70.... 장치 제어수단54 ....
72,74,76.... 센서 78.... 제어부72,74,76 ...
본 발명은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의 음료수 공급기와 연계되는 음료수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에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수를 수납하여 사용자에게 운송시키도록 한 매우 실용적인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associated with a beverage supply device,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ry practical beverage supply device for stor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discharged from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and transporting it to a user. It relates to a beverage transportation device.
정수(이온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이온수기) 또는 커피를 제공하는 자판기 특히, 소형 자판기는 알려져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 water purifier (ion water dispenser)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ion water) or a vending machine for providing coffee, in particular a small vending machine, is known.
이와 같은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를 이하에서는 간단하게 '음료수 공급기'라 총칭한다.Such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is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drink water supply machine'.
알려진 음료수 공급기는 통상 본체에 배출 코크(미도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코크 조작시 본체로 부터 정수 또는 커피 등의 음료수가 배출되어 컵으로 이를 받아서 음용하게 된다..Known beverage supply is usual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discharge coke (not shown) so that the user is drinking water, such as purified water or coffee is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when operating the coke is received by the cup.
또는, 통상 자판기는 코크 대신에 기기의 조작으로 커피 등을 일정량 배출하므로 파이프 형태의 배출(도 1의 '1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Or, since the vending machine usually discharges a certain amount of coffee or the like by operating the device instead of the coke, a pipe-type discharge (see '12' in FIG. 1) is installed.
그런데, 이와 같은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는 정수기 등에서도 설치되어 있다.By the way, such a pipe outlet is provided also in a water purifier.
즉, 기기 조작(버튼 조작 등)시 일정 량의 음료수를 배출시키는 경우에는 파이프 형태의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button operation, etc.) it may be provided with a pipe-shaped discharge port.
단,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조작(컵을 대고서 밀거나 손으로 누르는 조작이 필요한 조작)이 필요한 배출구를 '코크' 라 하고, 별도의 조작 없이 기기 작동에 따라 컵을 하부에 두면 정수나 커피 등의 음료수가 일정량 자동 배출되는 파이프 형태의 코크를 '배출구' 라 구분하여 설명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outlet for which the user requires manual operation (operation requiring pushing or pressing the cup) is referred to as 'coke'. The coke in the form of pipes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beverag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will be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outlet'.
그런데, 이와 같은 정수기(이온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의 경우에는 통상 본체가 지지체 위에 놓여 사용되거나, 본체 자체가 길게 신장한 형태로서, 특히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의 음료수 공급기와 연계되어 음료수를 자동으로 받아서(수용하여) 원하는 사용자에게 운송시키는 음료수 공급기와 연계된 음료수 운송장치가 제안된 바는 없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the main body is usually placed on a support, or the main body itself is elongated, and in particular, the drink is automatically received in connection with a water supply device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There is no suggestion for a beverage transportation device in connection with a beverage supplier which accepts and delivers it to a desired user.
즉,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배출위치에 대기하고 있다가 음료수가 배출되면 이를 수용하는 컵을 수납하고, 자체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호 발신위치(리모트 콘크롤 조작시 발생하는 신호 또는 별도의 신호발생센서)까지 운송하는 음료수 운송장치는 사용자가 굳이 음료수 공급기까지 이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실용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That is, after waiting at the beverage dispensing position of the beverage feeder, when the beverage is discharged, the cup for accommodating the water is stored and moved to the signal transmitting position of the user (a signal generated during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or a separate signal generating sensor). A beverage transporter to transport would be desirable because it is very practical because the user does not have to travel to the beverage supp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에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수를 받아서 사용자에게 운송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실용적인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a practical beverage feeder that enables the user to receive a beverage such as coffee discharged from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and transport it to a user. It's the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정수기 또는 자판기 등의 음료수 공급기에서 배출되는 음료수를 받아서 운송하기 위한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로서, As a technical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a beverage supply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beverages discharged from a beverage supply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 vending machine,
상기 음료수 공급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의 내측 공간에 진입되되 자체 이동형으로 제공되는 장치 본체부; An apparatus main body part which enters an inner space of a beverage feeder support on which the beverage feeder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s provided as a self-moving type;
상기 장치 본체부의 내측에 수납되되 상기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배출 위치에 맞추어 위치 조정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음료수 수용부; 및,A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housed inside the apparatus main unit and positioned to be aligned with a beverage discharge position of the beverage supplier; And,
상기 장치 본체부에 구비되면서 장치 본체부의 이동과 상기 용기의 위치 조정 및,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배출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수단;An apparatus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o control movement of the apparatus main body, position adjustment of the container, and discharge of the beverage of the beverage feeder;
을 포함하여 구성된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the beverage supply configured to include.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공급기(10)의 음료수 운송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수 공급기는 정수기(이온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와 같이 음용 가능한 유체 즉, 정수 또는 커피 등을 제공하는 기기를 총칭한 것이고, 이하의 도면에서는 음료수 공급기의 일예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사용되는 소형 자판기를 도시하였다.First, FIG. 1 and FIG. 2 show a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1 of the
이와 같은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의 음료수 공급기(10)에서 배출되는 음료수를 받아서 운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1)는, 크게 상기 음료수 공급기(10)가 상부에 안착되는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2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되 자체 구동형으로 제공되는 장치 본체부(30)와, 상기 장치 본체부(30)의 내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블록(52)과 상기 승강블록에 수납되어 음료수 공급기에서 배출되는 음료수를 수용하는 용기(54)를 포함하는 음료수 수용부(50) 및, 상기 장치 본체부(30)에 구비되면서 외부 신호를 받아서 장치 본체부의 구동작동과 상기 승강블록의 승강 작동 및, 연계된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배출작동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1 of the beverage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예컨대,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장치 본체부(30)는 음료수 공급기(10)의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 음료수를 수용하는 용기(54) 예를 들어, 컵을 수용하는 음료수 수용부(50)를 포함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자체 구동되어 사용자에게 음료수를 운송하도록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For example,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이때, 상기 각 구성부(30)(50)(7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is case, the
먼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수 운송장치(1)에서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20)는, 상부에 상기 음료수 공급기(10)가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 예컨대, 본 발명 운송장치의 상기 장치 본체부(30)가 진입되는 장치 진입부(22)를 형성하는 절곡된 지지대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컨대,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지지대는 목재, 수지 성형체 또는 금속 판금 등으로 제작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상기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20)에 안착되는 음료수 공급기(10)는 통상의 음료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2)를 구비하되,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승강블록의 용기를 감지하는 센서(14) 예컨대, 자외선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And, the
특히, 본 발명의 운송장치와 연계되는 음료수 공급기(10)는, 통상 컵을 놓을 수 있는 컵 안착대가 없이 배출구(12) 하부는 개구(10a)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이는 본 발명 운송장치의 승강블록과 함께 용기(54)가 상승하여 음료수 배출위치 즉, 배출구 직 하부까지의 상승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allow the
다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수 운송장치(1)에서 상기 장치 본체부(30)는 상기 지지대의 장치 진입부(22)에 진입되는 크기로 형성된 사각 박스체로 제공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n 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각 박스체의 장치 본체부(30)는 바람직하게는 중량이 가벼우면서 강도는 유지되는 고강도 합성수지 예를 들어, FRP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Such a
또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 본체부(30)에는 장치 온/오프 등을 위한 여러 조작버튼(80)이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장치 구동용 건전지팩(도 3의 35)의 충전을 위한 플러그 잭(35a)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제어수단(70) 외에 기판(미도시) 구비됨은 당연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apparatus
특히, 본 발명의 운송장치에서 상기 장치 본체부(30)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이동시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할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aratus
다음,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음료수 운송장치(1)의 이동 구성을 도시하고 있 다.Next, Figure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movement of 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2 및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운송장치에서 장치 본체부(30)의 하측에는 복수의 모터(32)(34)가 내장되는데, 이와 같은 모터(32)(34)들은 상기 장치 본체부(30)의 하부 사방에 베어링블록(44)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바퀴(36)의 구동축(38) 중 전방 또는 후방측 구동축(38a)에 설치된 스프로켓(42)을 통하여 구동체인 또는 밴드(40)로 개별 연결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and 3, in th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따라서, 도 3을 기준으로 할 때, 운송장치의 장치 본체부(30)에서 후방측 구동축(38)은 일체로 되어 구동바퀴(36)들이 베어링블록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측 구동축(38a)에는 좌우에 각각 개별적으로 모터(32)(34)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예컨대 개별 모터들의 제어 구동에 따라 정치 본체의 직선 또는 곡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3, the
이때, 도면에서는 전방측 구동축(38a)에만 각각의 개별 모터(32)(34)들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전,후방측 구동축에 모두 개별 모터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although 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구동바퀴(36)들이 장치 본체부 사방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구동축(38a)의 구동바퀴(36)는 양측에 설치하고, 후방에 공회전하는 구동바퀴(36)는 중앙에 하나만을 배치하는 3개의 구동바퀴 구비형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료수 운송장치에서, 상기 음료수 수용부(50)의 승강블록(52)은 상기 장치 본체부(30)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 홈 형태의 안착부(56)에 안착된다.Next, as shown in Figure 2, in the present invention drink water transportation device, the lifting
이때, 상기 장치본체 안착부(56)의 바닥과 상기 승강블록(52)의 저면 사이에는 액츄에이터(58)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58)가 구동되는 것에 따라 상기 승강블록(52)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블록(52)에는 장치 본체부의 안착부(56)에 구비된 가이드봉(56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56b)들이 사방에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lifting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58)에 의한 승강블록 상승 및 하강시, 상기 승강블록은 가이드봉으로 일정하게 수직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levating block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블록(52)에는 용기(54)즉, 컵 등이 수용되는 용기 수용튜브(60)가 삽입되는데, 상기 용기 수용튜브(60)는 승강블록(52)의 내부 공간(52a)삽입되되 상단부는 상기 승강블록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판(60a)의 구멍에 맞추에 고정되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lifting
바람직하게는, 도 5와 같이, 상기 용기(54)의 컵은 상기 용기 수용튜브(60)에 수납될 때 컵 상단이 돌출(도 5의 'D'만큼) 수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5, the cup of the
즉, 상기 컵이 튜브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컵을 잡는 것이 불편하게 되므로, 상기 컵은 용기 수용튜브(60)에 삽입될 때 그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cup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ub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grasp the cup. Therefore, when the cup is inserted into the
따라서, 도 1,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수 공급기(10)가 안착된 지지대(20)의 장치 진입공간(22)에 진입된 본 발명의 음료수 운송장치(1)의 사용시, 먼저 승강블록(52)이 액츄에이터(58)의 작동으로 상승하다가 음료수 공급 기(10)의 배출구(12) 측 센서(14)에 도달하면 센서가 작동되어 승강블록의 상승이 중단되고, 다음 음료수 공급기(10)의 내부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정해진 양만큼 음료수 즉, 정수 또는 커피 등을 배출구(12)를 통하여 직하부에 상승 대기중인 용기(54) 즉, 컵에 수용시킨다.Thus, as shown in Figs. 1, 2 and 5, in the use of 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ed into the
다음, 용기 수용튜브(60)가 복수개여서 복수의 용기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전방측 컵에 음료수가 담아지면 장치 본체부(3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모터(32)(34)들의 구동으로 약간 전진하고, 배출구(12)를 통하여 음료수가 후방측 컵에 담기게 된다.Next, when a plurality of
그 다음, 음료수 공급이 완료되면 장치 본체부(30)는 모터 구동에 따라 이동되어 음료수 공급기 지지대(20)에 빠져 나온다.Then, when the beverage supply is completed, the apparatus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수 운송장치(1)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transport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장치제어수단(70)은, 장치 이동시 간섭물체를 인지하는 감지센서(72)와 외부 신호방출센서(76)의 신호를 감지하는 외부 신호수신용 센서(74)와 연계되는 제어부(78)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s 4 and 5,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ntrol means 70, the signal of the
이때, 상기 제어부(78)에는 상기 음료수 공급기(10)의 배출구(12) 주변에 구비된 용기 감지센서(14)와 연계될 수 있다.예컨대, 상기 용기 감지센서(14)가 용기나 승강블록을 감지하면 제어부에서 센서신호를 받아서 승강을 멈추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또한, 용기 감지센서가 작동되면 승강이 중단되고 몇 초후에 음료수 배출이 수행되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vessel sensor is activated, the lift is stopped and a few seconds after the discharge of the beverage.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수 공급기(10)에서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76)이나 미리 준비된 신호발생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장치 본체부(30)의 전면에 외부 노출토록 구비된 외부 신호수신용 센서(74)가 이를 감지하여 앞에서 설명한 음료수 운송장치의 가동을 시작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user away from the
다음, 도 4와 같이, 상기 제어부(78)에 연결된 액츄에이터(58)가 제어부의 구동제어로 승강하다가 음료수 공급기(10)의 센서(14) 즉, 자외선센서 등의 거리센서가 승강블록이나 컵을 인지하면, 제어부(78)는 액츄에이터의 가동을 중단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4, the
다음, 음료수 공급기(10) 즉, 자판기는 상기 센서 작동후 타이머로 제어되는 시간이 지나면, 음료수 공급기의 자체 가동으로 배출구(12)를 통하여 커피를 승강블록으로 상승된 위치의 용기(54) 즉, 컵에 배출시킨다.Next, when the
그 다음, 승강블록은 액츄에이터의 제어 작동으로 하강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제어부(78)는 도 3과 같이 구동부의 모터(32)(34)들을 구동 제어하여 장치 본체부(30)는 이동하게 된다.Then, when the lifting block descends to the control position of the actuator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이때, 도 1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부(30)에 구비된 간섭물체 감지센서(72) 즉, 자외선센서는 장치 이동시 실내 벽 등을 감지하여 장치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부(78)와 연결되어 모터 구동을 제어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1 and 5, the interference
한편, 이와 같은 모터(32)(34)는 양 방향 구동모터로서 정,역 작동이 가능하여 장치의 전진 및 후진을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such a
다음, 도 1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78)는, 장치 본체 부(30)에 외부 노출토록 구비된 신호 수신센서(74)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 또는 신호발생기(76)를 작동시키면 이 신호를 감지하고, 제어부에는 미리 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있어 신호발생기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로가 인식되어 장치의 이동이 신호발생 위치까지 구현될 수 있다.1 and 4, the
즉, 가정에서 정수기 등의 음료수 공급기(10)가 배치된 장소에서 거실, 침실, 방 등의 신호발생기(76) 까지 장치의 이동 경로를 미리 제어부에 입력하여 두면, 신호발생기(76)의 작동시 이 신호를 센서(74)가 수신하는 동시에, 음료수 수용 작동과 이동 작동이 제어 구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ovement path of the device is input to the controller in advance from the place where the
물론, 이동 경로를 미리 제어부에 입력하지 않고 신호발생기(76)의 신호를 센서(74)가 수신하면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ove while the
한편, 앞에서 설명한 각종 센서 즉, 신호발생센서(76)와 이동을 위한 자외선센서(72) 및 신호수신용 센서(74) 등은 알려진 센서를 사용하면 되고, 제어부는 PLC 등의 알려진 제어부로 구현한다.On the other hand, the various sensor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음료수 공급기의 음료수 운송장치에 의하면, 정수기 또는 소형 자판기 등에서 배출되는 커피 등의 음료수를 수납하여 사용자에게 운송시키도록 하고, 따라서 매우 실용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everage transpor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upply apparatus accommodates beverages such as coffee discharged from a water purifier or a small vending machine and transports them to the user, thus providing a very practical apparatus.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 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 fa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0464A KR100817834B1 (en) | 2007-02-28 | 2007-02-28 | Beverage transporters in beverage dispens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20464A KR100817834B1 (en) | 2007-02-28 | 2007-02-28 | Beverage transporters in beverage dispens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7834B1 true KR100817834B1 (en) | 2008-03-31 |
Family
ID=3941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04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834B1 (en) | 2007-02-28 | 2007-02-28 | Beverage transporters in beverage dispens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783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2994B1 (en) | 2011-03-09 | 2012-01-05 |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 Medical transport robot |
CN106957073A (en) * | 2017-04-27 | 2017-07-18 |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 Accompany and attend to the purifying drinking water system of monitoring |
CN107053206A (en) * | 2017-04-27 | 2017-08-18 |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 Purifying drinking water machine people for health monitoring |
CN107186723A (en) * | 2017-04-27 | 2017-09-22 |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 Drinking-water robot for information exchang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8825A (en) * | 1992-10-26 | 1994-05-16 | 윤종용 | Obstacle Sensing Device for Mobile Surveillance Robot |
KR100538037B1 (en) | 1997-12-22 | 2005-12-21 | 레스토랑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 Automated beverage system |
KR20060009058A (en) * | 2004-07-20 | 2006-0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KR100772963B1 (en) | 2006-03-22 | 2007-11-02 | 주식회사 유진로봇 | Robot with refrigerator |
-
2007
- 2007-02-28 KR KR1020070020464A patent/KR10081783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8825A (en) * | 1992-10-26 | 1994-05-16 | 윤종용 | Obstacle Sensing Device for Mobile Surveillance Robot |
KR100538037B1 (en) | 1997-12-22 | 2005-12-21 | 레스토랑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 Automated beverage system |
KR20060009058A (en) * | 2004-07-20 | 2006-01-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KR100772963B1 (en) | 2006-03-22 | 2007-11-02 | 주식회사 유진로봇 | Robot with refrigera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2994B1 (en) | 2011-03-09 | 2012-01-05 | 주식회사 엔티리서치 | Medical transport robot |
CN106957073A (en) * | 2017-04-27 | 2017-07-18 |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 Accompany and attend to the purifying drinking water system of monitoring |
CN107053206A (en) * | 2017-04-27 | 2017-08-18 |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 Purifying drinking water machine people for health monitoring |
CN107186723A (en) * | 2017-04-27 | 2017-09-22 |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 Drinking-water robot for information exchang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7834B1 (en) | Beverage transporters in beverage dispensers | |
US11447383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US11518666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CN208270590U (en) | A kind of reaction cup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 |
CN111179504A (en) | Intelligent beverage vend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 |
US20210024342A1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US11230468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KR102118202B1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cups | |
KR101404524B1 (en) | Pet care system | |
US11523705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US11273463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US11717844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US11904339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WO2007081208A1 (en) | Device for tapping a drink from a container such as a can | |
KR101612776B1 (en) | Pet care system for animal companion | |
KR101510871B1 (en) | Dispenser for spout pouch | |
US11389756B2 (en) | Water ejecting apparatus | |
KR100856952B1 (en) | Automatic Rice Cooker with Rice Refrigerator | |
CN217852649U (en) | Throw material device and cooking equipment | |
JP2010052788A (en) | Chemical-solution feeder | |
US2860819A (en) | Beverage dispensers | |
KR20130074186A (en) | Rise and fall type apparatus for taking out goods | |
CN220181758U (en) | Automatic bowl discharging machine | |
CN217535462U (en) | Wine outlet mechanism of automatic wine vending machine | |
CN217852648U (en) | Feeding device and cook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