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7528B1 - Barn and Apartment Barn - Google Patents

Barn and Apartment Ba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528B1
KR100817528B1 KR1020050079293A KR20050079293A KR100817528B1 KR 100817528 B1 KR100817528 B1 KR 100817528B1 KR 1020050079293 A KR1020050079293 A KR 1020050079293A KR 20050079293 A KR20050079293 A KR 20050079293A KR 100817528 B1 KR100817528 B1 KR 10081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barn
livestock
discharge pipe
mov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6984A (en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인
Priority to KR1020050079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528B1/en
Publication of KR2007002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9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52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46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manure-loaders, manure-ramps or manure-elevators associated with in-house remova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축사와 외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부벽체, 상기 외부벽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 상기 외부벽체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가축의 분뇨가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격자구조로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축사 본체; 상기 축사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사 본체에서 배출된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부; 상기 분뇨 저장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분뇨 저장부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출관; 상기 바닥부의 하면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축사분체와 상기 분뇨 저장부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축사 본체에서 배출된 분뇨를 상기 분뇨 저장부로 인도하는 분뇨 이동판; 상기 분뇨 이동판의 일단부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서 하향 수직으로 형성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wall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barn and the outside, a roof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a bottom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nd having a lattice structure so that manure of livestock is discharged to the floor Barn main body comprising; A manure storage unit formed under the livestock house body to store manure discharged from the livestock house body;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nure storage part and discharging the manure of the manure storage part to a septic tank; A manure moving plate extending from one end of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formed to be inclined between the livestock powder and the manure storage part to guide the manure discharged from the livestock body to the manure storage part; And a blocking film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with one end of the manure moving plate.

축사, 돼지, 가축, 축분, 분뇨 Barn, Pig, Livestock, Animal Husbandry, Manure

Description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 {Stall and apartment type stall}Barn and Apartment Type Barn {Stall and apartment type stall}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의 세로 단면을 절단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cut in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a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의 세로 단면을 절단한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along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의 가로 단면을 절단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verse cross section of a bar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의 가로 단면을 절단한 단면도; 및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verse cross section of a bar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형 축사의 가로 단면을 절단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verse cross section of the apartment-type hous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축사 분뇨처리 장치 및 축사 분뇨처리 장치를 갖는 축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뇨의 악취 및 오염물질이 축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층형의 축사를 구성할 수 있는 축사 및 아파트형 축사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vestock barn having a livestock manure treatment device and a livestock livestock manure process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barn capable of preventing the odor and contaminants of the manure from flowing into the livestock house and forming a multi-layered livestock ho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artment house.

일반적으로 소나 돼지 등을 사육하는 축사에서는 대량의 축산 분뇨가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의 축사는 일반적으로 바닥에 철망 등으로 구성되는 격자 구조물 을 설치하고 그 위에 짚과 같은 완충층을 도포하였다. 또한, 상기 격자 구조물의 아랫부분, 즉, 지면의 아랫부분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은 약간의 경사로로 형성한 후 경사로 하단의 일단과 정화조를 연결하였다. 종래의 축사는 상기 구조에 의하여 가축이 분뇨와 같은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 그 바닥의 완충층을 통과하여 바닥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분뇨가 상기 경사로를 통하여 정화조에 제공되면, 정화조는 유입된 분뇨를 정화처리한 후 그 결과물을 하천으로 배출하는 등의 방법으로 분뇨를 처리하였다. In general, livestock manure raises large amounts of livestock manure. By the way, the conventional barn is generally installed a grid structure consisting of a wire mesh or the like on the bottom and coated with a buffer layer, such as straw thereon. In addi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d structure,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and the space is formed in a slight slope, and then one end of the slope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The conventional barn is discharged to the floor through the buffer layer of the bottom when the livestock discharges contaminants such as manure by the above structure, and when the discharged manure is provided to the septic tank through the ramp, the septic tank takes in the introduced manure. After the purification process, the manure was treated by discharging the result into a stream.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축사는 분뇨가 수직으로 바닥으로 떨어진 후 경사로를 통하여 정화조까지 흘러가는 과정에서 그 악취와 여러가지 오염물질 들이 다시 축사 내부로 흘러들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돈분과 같은 종류의 축산 분뇨는 수분함량이 높아서 악취도 심하고 여러가지 오염물질들도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바, 이러한 악취와 오염물질들은 축사 내부의 가축들의 생활환경을 나쁘게 할 뿐만 아니라 가축의 성장을 방해하고 심지어는 각종 전염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barn has a disadvantage that manure and various contaminants may flow back into the barn in the process of dropping manure vertically to the bottom and flowing through the ramp to the septic tank. In particular, livestock manure, such as pig manure, has a high moisture content, which causes severe odors an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various pollutants. These odors and pollutants not only deteriorat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livestock inside the house, It can interfere with growth and even cause various infectious diseases.

특히, 돼지의 경우 자돈과 모돈을 함께 사육하는 경우, 그 기간이 2주 정도가 경과하면 모돈이 몸속에 지니고 있는 병균이 대부분 자돈에게 옮겨지게 된다. 이때, 모돈이 지니고 있던 질병에 감염된 자돈은 일단 중체량 및 사료 섭취량이 떨어져 폐사의 우려가 크고, 다른 자돈에게도 질병을 옮기게 되는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자돈이 모돈의 질병에 감염되지 않게 사육시키기 위해서는 모돈이 사육되고 있는 돈사로 부터 격리시킨 채 사육시켜야만 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최대한 예방 할 수 있게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모돈의 돈사와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적합한 온도, 습도, 환기, 그리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돈용 돈사를 새로 축조해야 하는데, 이는 별도의 넓은 부지와 추가의 공사비용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일정기간이 지나면 다시 청결상태가 악화되어 새로운 질병발생의 장소가 되기 때문에 자돈용 돈사의 확보는 더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igs breeding piglets and sows together, most of the germs that the sows are in the body is transferred to the piglets after about two weeks. At this time, the piglets infected with the disease that the sows had once the weight and feed intake is low, there is a high risk of death, and the risk of transferring the disease to other piglets. Therefore, in order to breed pigs so as not to be infected with the disease of the sow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m so that the pigs are isolated from the pigs where the sows are raised so that the infection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However, this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new piglets that can maintain temperature, humidity, ventilation, and cleanliness for a distance away from the pigs, which requires extra large land and additional construction cost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leanliness deteriorates again and becomes a place of new disease, so it is more difficult to secure piglets.

한편, 최근 건축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이 주거하는 주거용 건물은 종종 수십층 이상의 높이로도 건축되지만, 축사는 여전히 단층 건물이외에 복층형 건물은 전무한 실정이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앞에서 말한 종래의 축사를 사용할 경우, 이층 이상의 높이에 있는 가축의 분뇨는 아래층으로 낙하하거나 윗층과 아랫층 사이에 가축의 분뇨를 저장할 별도의 큰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층형 축사의 경우 철망 등의 하부 구조물에서 바닥부 까지의 깊이가 약 2m 안팎인 점을 감안할 때 각 층의 축사 사이에 2m 안팎의 높이를 갖는 별도의 분뇨 저장시설을 설치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손실이 너무 크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residential buildings inhabited by humans are often built to a height of several tens or more floors, but there are still no single-story buildings in addition to single-story buildings.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is that, with the conventional barn mentioned above, manure at livestock levels higher than two floors may fall below or provide a separate large space to store livestock manure between the top and bottom floors.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prepared. In general, in the case of a single-story house,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manure storage facility having a height of about 2 m is required between floors of each floor, considering that the depth from the bottom structure such as wire mesh to the bottom is about 2 m. Loss is too large a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축사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가축에서 발생하는 분뇨에 의하여 발생하는 악취 및 오염물질이 분뇨 저장소에서 축사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축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arn, the object to provide a barn to prevent the odor and contaminants generated by the manure generated in the livestock to the maximum flow back to the inside of the barn in the manure storage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은 축사가 복수개 적층된 아파트형 축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artment house where a plurality of houses are stacked.

또한, 본 발명은 자돈용 축사를 새로 신축하는 경우 시간의 경과하더라도 내부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좁은 부지에서 다수의 돼지, 특히 자돈을 사육할 수 있는 자돈용 돈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glet for piglets that can prevent internal contamination as much as possible when new construction of piglets for new pigs is newly constructed and that can breed a large number of pigs, especially piglets, on a small sit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축사와 외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부벽체, 상기 외부벽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 상기 외부벽체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가축의 분뇨가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격자구조로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축사 본체; 상기 바닥부의 하면의 일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축사 본체에서 배출된 분뇨를 안내하는 분뇨 이동판; 상기 분뇨 이동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뇨 이동판에서 안내된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부; 상기 분뇨 저장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분뇨 저장부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서 하향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상기 분뇨 이동판의 일단부와 접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wall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barn and the outside, a roof formed on the outer wall, vert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nd manure of livestock is discharged to the floor. A barn body including a bottom portion formed in a lattice structure; A manure moving plate extending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to guide the manure discharged from the barn main body; A manure storage unit formed under the manure moving plate to store the manure guided by the manure moving plate;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nure storage part and discharging the manure of the manure storage part to a septic tank; And a blocking film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one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anure transfer plate.

상기 차단막은 폴리비닐 수지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폴리비닐 수지의 경우 분뇨와 같은 오염물질과 접촉하더라도 부식되는 등의 손상의 염려가 작고, 작은 양의 분뇨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설치 후 고장의 염려가 적기 때문이다.The barrier film is preferably a polyvinyl resin,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damage such as corrosion even when contacted with contaminants such as manure, and sensitively reacts to small amounts of manure. Is less.

또한, 상기 축사는 상기 배출관의 상기 분뇨 저장부와 연결되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분뇨 저장부의 분뇨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시키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arn is preferably formed at one end connected to the manure storage of the discharge pipe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plate for selectively moving the manure of the manure storage to the discharge pipe.

또한, 상기 축사는 상기 분뇨 저장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뇨 저장부에 분뇨가 소정량 이상 저장되면 상기 차단판에 개문(開門) 명령을 내리고, 상기 분뇨 저장부의 분뇨가 모두 배출되면 상기 차단판에 폐문(閉門) 명령을 내리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센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배출관을 개폐(開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r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nure storage unit, when the manure is stored in the manure storage unit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o give an opening command to the blocking plate, when the manure is discharged all the manure storage block plate The sensor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giving a closing command to the blocking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preferably opens and closes the discharg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the sensor.

또한, 상기 축사 본체 내부에는 공기정화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뇨 이동판의 상기 바닥부와 연결된 단부에 형성되는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air purifier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livestock main bod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device formed at the en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nure moving plate.

또한, 상기 축사 본체는 콘테이너 상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이와 같이 콘테이너 상자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장소에서 목적을 달성한 후 다른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축사의 설치 비용을 크게 줄이고,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e body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tainer box. Since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s a container box in this way, it can be easily moved to another place after achieving the purpose in a predetermined place can greatly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barn, i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narrow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복수개 적층되는 아파트형 축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파트형 축사는 상기 복수개의 축사에 연결된 각각의 배출관은 상기 복수개의 축사 외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주배출관에 연결되고, 상기 주배출관은 상기 아파트형 축사의 외부에 형성된 정화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파트형 축사는 상기 복수개의 축사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정화 장치의 일단부는 상기 복수개의 축사 외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artment-type barn stacked in plural.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apartment-type bar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rns is connected to the main discharge pip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barns, the main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partment-type barn.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each air purifying device formed in the plurality of barns is connected to a main exhaust pip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barns.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위와 같이 아파트형으로 구성하고, 공기정화 장치 및 분뇨의 배출관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평당 건축비 및 건물의 설치공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apartment-type as described above, and can share the ai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discharge pipe of the manure, i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building cost and installation space of the building per square.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축사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축사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vestock hou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vestock hous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IG.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는 축사와 외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부벽체(10)와 외부벽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11) 및 외부벽체(10)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가축의 분뇨가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격자구조로 형성된 두 개의 바닥부(20)를 포함하는 축사 본체가 형성된다. 또한, 격자 구조의 바닥부(20)의 사이에는 이동 통로부(21)를 형성하고, 이동통로(21)와 바닥부(20) 사이에는 수직으로 펜스(2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돼지, 소 등의 가축들은 바닥부(20)에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배설을 하게 되고, 사람은 이동통로(21)를 통하여 가축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등 가축을 돌보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바닥부(20)의 상면에는 짚과 같이 배수성이 뛰어나고 탄성이 높은 완충제(25)를 도포하여 가축이 보다 안락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ba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perpendicular to the outer wall 10 and the roof 11 and the outer wall 10 formed on the outer wall 10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barn and the outside. A barn body is formed which includes two bottom parts 2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lattice structure so that manure of livestock is discharged to the bottom.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oving passage portion 21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ortion 20 of the lattice structure, and a fence 25 is vertically provided between the moving passage 21 and the bottom portion 20.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ivestock such as pigs and cows to eat or excrete food in the bottom portion 20, the person cares for the livestock, such as providing food to the livestock through the mobile passage (2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o apply a buffer 25 having excellent drainage and elasticit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20 such as straw to enable livestock to live in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보듯이 분뇨 이동판(30)이 바닥부(20) 하부의 일단에서 아랫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분뇨 이동판(30)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바닥부(20) 하부에는 차단막(40)을 수직으로 형성한다. 차단막(40)은 바닥부(20)에 고정되고 분뇨 이동판(30)까지 고정되지 않은 채 연장되어, 분뇨 이동판(30)을 통과한 분뇨가 차단막에 충돌하면 차단막(40)이 분뇨 이동판(30)에서 분리됨으로써 차단막(40)에 충돌한 분뇨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상기 분뇨가 완전히 제거되면 분뇨 이동판(30)에서 분리된 차단막(40)은 다시 분뇨 이동판(3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막(40)의 소재는 폴리비닐 수지, 고무와 같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지만, 적은 무게에도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부식이 쉽게 되지 않고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뇨 이동판(30)의 하부에는 분뇨 저장부(50)가 형성된다. 또한, 분뇨 이동판(30)의 바닥부(20)와 연결되는 일단부에는 급수 장치(31)를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오염되지 않은 물을 분뇨 이동판(3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뇨 저장부(50)는 지면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manure moving plate 3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20, the bottom of the bottom portion 2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manure moving plate 30 In the blocking film 40 is formed vertically. The blocking film 40 is fixed to the bottom part 20 and extends unfixed to the manure moving plate 30. When the manur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anure moving plate 30 collides with the blocking film, the blocking film 40 moves into the manure moving plate. The manure that has been separated from the 30 by falling into the floor 40, the manure falling to the floor, when the manure is completely removed, the blocking membrane 40 separated from the manure moving plate 30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the manure moving plate 30 again do. The material of the barrier film 40 does not need to be particularly limited in its kind, such as polyvinyl resin and rubber,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be easily moved even at a low weight, and the material is excellent in durability without being easily corroded. In addition, the manure storage unit 50 is formed below the manure moving plate 30. In addition, a water supply device 31 is formed at one end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20 of the manure moving plate 30, so that water that is not contaminated continuously or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s transferred to the manure moving plate 30. It is desirable to provide. In addition, the manure storage unit 50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ground.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바닥부(20) 위의 가축이 분뇨를 배설하면, 배설된 분뇨는 완충제(25)와 바닥부(20)를 통과하여 아래로 배출된다. 배출된 분뇨는 분뇨 이동판(30)에 제공되는데, 분뇨 이동판(30)의 경사 구조로 인하여 분뇨는 차단막(40) 이 설치된 분뇨 이동판(30)의 일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분뇨(30)는 차단막(40)을 통과하여 하부의 분뇨 저장부로 이동된다. When the livestock on the bottom portion 20 excretes the manure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xcreted manure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buffer 25 and the bottom portion 20. The discharged manure is provided to the manure moving plate 30. Due to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manure moving plate 30, the manure is moved to one end of the manure moving plate 30 on which the blocking film 40 is installed, and the manure moved to the manure ( 30 passes through the blocking film 40 to the lower manure storage.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는 차단막(40)을 바닥부(20)에만 고정시키고 분뇨 이동판(30)에는 고정시키기 않으므로, 연장 분뇨 이동판(30)을 통과한 분뇨가 차단막에 충돌하면 차단막(40)이 분뇨 이동판(30)에서 분리됨으로써 차단막에 충돌한 분뇨는 바닥으로 떨어지고, 상기 분뇨가 완전히 제거되면 분뇨 이동판(30)에서 분리된 차단막(40)은 다시 분뇨 이동판(30)에 부착되어 축사 본체와 분뇨 저장부(50)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분뇨 저장부(50)의 냄새 및 각종 오염물질이 축사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ecause the ba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oes not fix the blocking film 40 only to the bottom portion 20 and to the manure moving plate 30, when the manure passing through the extended manure moving plate 30 collides with the blocking film. The manure colliding with the blocking film falls to the floor by separating the blocking film 40 from the manure moving plate 30, and when the manure is completely removed, the blocking film 40 separated from the manure moving plate 30 is the manure moving plate 30 again. Attached to) will block the barn body and the manure storage (50).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dor and various contaminants of the manure storage unit 5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back into the house.

또한,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분뇨 저장부(50)의 일단을 배출관(60)과 연결하고, 배출관(60)은 정화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하여, 분뇨 저장부(50)의 분뇨를 배출관(60)을 통하여 정화조로 이동시킨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분뇨 저장부(50)는 분뇨 저장부(50)의 배출관(60)과 연결된 부분이 배출관(60)이 연결되지 않은 부분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분뇨가 배출관(60)으로 용히하게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 one end of the manure storage unit 5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60, the discharge pipe 60 is connected to the septic tank (not shown), the manure of the manure storage unit 50 It moves to the septic tank through the discharge pipe (60). As shown in FIG. 3, the manure storage unit 5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60 of the manure storage unit 50 is lower than the portion to which the discharge pipe 60 is no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6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as to discharge easily.

또한, 배출판(60)의 분뇨 저장부(50)와 연결되는 일단에는 차단판(70)을 형성하고, 분뇨 저장부(50) 내부의 소정의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차단판이 형성되는 측 벽면)에 센서(71)를 형성한다. 센서(71)는 차단판(70)과 연결된다. 상기 차단판(70)을 평소에는 닫힌 상태로 유지하다가, 분뇨 저장부(50) 내에 분뇨가 소정량이상 축적되면 센서(71)는 차단판(70)에 개문(開門) 명령을 내리고, 분뇨가 모두 배출되었다고 판단되면 센서(71)는 차단판(70)에 폐문(閉門) 명령을 내린다. 그러면 차단판(70)은 센서(71)의 명령에 따라 개문 또는 폐문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센서(71)는 예를 들면 분뇨 저장부의 무게를 감지하여 그 무게를 기준으로 개문 명령을 할 수도 있고, 분뇨의 높이를 감지하여 그 높이를 기준으로 개문 명령을 할 수도 있는 등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센서(71)는 폐문 명령을 할 때도 차단판(70)이 열린 시간을 기준으로 소정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닫히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분뇨의 무게 및 높이 등을 감지하여 분뇨가 완전히 제거된 후 폐문 명령을 내리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센서(71)의 작동에 의하여 차단판(70)이 개폐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차단판(70)을 상기 차단막(40)과 유사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는 상기 차단판(70)에 의하여 소정 분량이상 축적된 분뇨를 신속하게 정화조로 이동시킬 수 있고, 반대로 정화조에 제공된 분뇨가 다시 분뇨 저장부(5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축사의 내부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In addition, at one end connected to the manure storage unit 50 of the discharge plate 60, a blocking plate 70 is formed,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manure storage unit 50 (in this embodiment, the side wall surface on which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Sensor 71 is formed. The sensor 71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plate 70. While keeping the blocking plate 70 normally closed, when the manure is accumulated in the manure storage unit 50 for a predetermined amount, the sensor 71 issues an opening command to the blocking plate 70, and the manure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m are discharged, the sensor 71 issues a closing command to the blocking plate 70. Then, the blocking plate 70 repeatedly performs the opening or closing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sensor 71. The sensor 71 may, for example, detect the weight of the manure storage unit and make an opening command based on the weight thereof, or detect the height of the manure and make an opening command based on the height thereof. It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 sensor 71 may be set to automatically close afte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opening time of the blocking plate 70 even when the closing command, and after detecting the weight and height of the manure, the manure is completely removed. It can also be set to issue a closing command. In additio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blocking plate 70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sensor 71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manure is discharged to the septic tank by forming the blocking plate 70 in a structure similar to the blocking membrane 40. You can also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quickly move the manure accumulated in the predetermined amount by the blocking plate 70 to the septic tank, on the contrary, to prevent the manure provided to the septic tank from flowing back to the manure storage unit 50. The interior environment of the house can be made more comfortable.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의 가로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는 제 1 실시예의 축사의 구성에 더하여 공기정화 장치(8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2서 공기 정화 장치는 내부에 팬(도시되지 않음)을 장착하여 축사 외부의 공기를 축사 내부로 흡입하며, 광촉매 등을 도포하여 공기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축사의 대표적인 예로 본원출원인이 2004년 10월 4일에 출원하고 2005년 4월 18일에 등록받은 특허 제485473호 "공기정화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된 공기정화 장치가 있다. 상기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전체로써 합체된다. 상기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장치는 양 단이 외부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는 축사 안으로 들어오고 축사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관을 형성하고, 또한, 외부의 맑은 공기가 축사 내부로 보다 잘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관의 양단 내측에는 각각 팬을 형성한다. 또한, 배관의 중앙에는 축사 내부의 공기를 교환하기 위한 부배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부배관의 내부에도 각각 팬을 형성하여 축사 내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배관의 팬 내측에는 공기정화기를 각각 설치한다. 하지만, 상기 발명으로 공기정화 장치(80)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공기정화의 수준 및 비용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bar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bar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ir purifying device 8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arn of the first embodiment. In FIG. 2, the air purifier may be equipped with a fan (not shown)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arn into the house, and may apply a photocatalyst to improv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barn that can be used in this embodiment is the air purify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485473, "Air Purifying Apparatus and Method," filed on October 4, 2004, and filed on April 18, 2005. . The invention is incorporated herein in its entirety. Th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ipe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outside air enters the house and the air inside the hous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Fa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ipe so as to be introduced. In the center of the pipe, a sub pipe for exchanging air inside the house is form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fan in each of the sub-pipes so that the air inside the livestock house can be easily entered. In addition, an air purifier is installed inside the fan of the sub pi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specifically limit the type of air purifying device 8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selects appropriately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and cost of air purifying.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형 축사의 가로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 3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5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partment-type bar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형 축사는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가 2열로 배치되고, 상기 2열로 배치된 축사가 2층으로 적층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복수개의 축사 각각은 배출관(61 내지 64)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관(61 내지 64)은 각각 큰 주배출관(65)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복수개의 축사 각각은 공기정화 장치(81 내지 84)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배기관(81 내지 84)은 각각 큰 주배기관(85)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주배기관(85)의 외부 벽면에는 스프링쿨러와 같은 급수장치(8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장치(86)에서 분사되는 주배기관(85)에서 암모니아 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용해시켜서 축사의 외부로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한번 더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apartment-type bar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rn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is arranged in two rows, and the barn arranged in the two rows is stacked in two layers.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barns includes discharge pipes 61 to 64, and the discharge pipes 61 to 64 each have a configuration extending to a large main discharge pipe 65. Fur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barns includes air purifying devices 81 to 84, and the exhaust pipes 81 to 84 each have a configuration extending to the large main exhaust pipe 85.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wall of the main exhaust pipe 85 further includes a water supply device 86 such as a sprinkler. By dissolving contaminants such as ammonia gas in the main exhaust pipe (85) injected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86) serves to prevent the discharge of contaminants to the outside of the house once mor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복수개의 축사를 적층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최대한 다수의 축사를 건축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주배출관(65) 및 주배기관(85)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등 단층인 구조에 비하여 건축비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uilt and maintained as many as possible in a narrow space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rn in this way, the construction cost is maximized as compared to the single-layer structure, such as using the main exhaust pipe 65 and the main exhaust pipe 85 jointly Can be sav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콘크리트 구조물, 콘테이너 박스 등과 같이 종래에 축사를 형성하는 재료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축사의 콘크리트 및/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내부 벽면은, 예를 들면, 내황산 시멘트와 같은 재료를 추가로 도포함으로서 가축들이 생활하는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 및 실시예에서는 축사에서 생활하는 가축이 돼지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축사에서 생활하는 가축은 돼지 외에도 소, 닭, 말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f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erial that forms the barn conventionally, such as a concrete structure, container box, etc. does not limit its kind. In addition, the inner wall surface formed of concrete and / or metal of the barn may further include a material such as sulfuric acid resistant cement, for example, to make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livestock lives more comfortable. In addition,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estock living in the bar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livestock living in the barn is a livestock such as cattle, chickens, horses, etc., in addition to the pigs. It does not limit kind.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상기 구성에 의하여, 가축에서 발생하는 분뇨에 의하여 발생하는 악취 및 오염물질이 분뇨 저장부에서 축사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자돈용 축사를 새로 신축하는 경우 시간의 경과하더라도 내부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좁은 부지에서 다수의 돼지, 특히 자돈을 사육할 수 있는 자돈용 돈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ba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odor and contaminants generated by the manure generated in the livestock from flowing back into the barn from the manure storage un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to provide a piglet for piglets that can prevent internal pollution as much as possible over time and newly breeding piglets for breeding pigs can breed a large number of pigs, especially piglets in a narrow site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는 복수개 적층이 가능하므로 축사가 복수개 적층된 아파트형 축사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건축비 및 유지관리비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plurality of bar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ck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apartment-type barns with a plurality of barns, whereby the spac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nd construction costs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minimized.

Claims (12)

축사와 외부의 경계를 형성하는 외부벽체, 상기 외부벽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붕, 상기 외부벽체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가축의 분뇨가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격자구조로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축사 본체;A barn main body including an outer wall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barn and the outside, a roof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a bottom portion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wall, and having a lattice structure to discharge the manure of livestock to the floor; 상기 바닥부의 하면의 일단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축사 본체에서 배출된 분뇨를 안내하는 분뇨 이동판; A manure moving plate extending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art to guide the manure discharged from the barn main body; 상기 분뇨 이동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뇨 이동판에서 안내된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부;A manure storage unit formed under the manure moving plate to store the manure guided by the manure moving plate; 상기 분뇨 저장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분뇨 저장부의 분뇨를 정화조로 배출하는 배출관; 및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anure storage part and discharging the manure of the manure storage part to a septic tank; And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서 하향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상기 분뇨 이동판의 일단부와 접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It is form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the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rrier film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anure moving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상기 분뇨 저장부와 연결되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분뇨 저장부의 분뇨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출관으로 이동시키는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The livestock bar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plate formed at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manure storage part and selectively moving manure of the manure storage part to the discharge pip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 저장부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뇨 저장부에 분뇨가 소정량 이상 저장되면 상기 차단판에 개문(開門) 명령을 내리고, 상기 분뇨 저장부의 분뇨가 모두 배출되면 상기 차단판에 폐문(閉門) 명령을 내리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은 상기 센서의 명령에 따라 상기 배출관을 개폐(開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nure storage unit is formed on one surface, when the manure is stored in the manure storage unit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opening command to the blocking plate, when the manure is discharged all the manure storage block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giving a closing command to the plate, the block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charge pipe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the sensor. 제 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본체 내부에는 공기정화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The livestock bar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air purifier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barn main body. 제 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 이동판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급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The livestock bar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med at one end of the manure moving plate. 제 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폴리비닐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The livestock bar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rrier film is a polyvinyl resin. 제 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 본체는 콘테이너 상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The livestock hous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ivestock house body is formed of a container box. 제 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축사의 내부 벽면에는 내황산 시멘트가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The bar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sulfuric acid resistant cement is further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barn. 상하로 적층된 제 1 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개의 축사와,A plurality of barn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stacked up and down, 상기 복수의 축사의 배출관과 각각 연결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분뇨를 정화조로 안내하는 주배출관을 포함하고,It is disposed vertically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discharge pipe of the plurality of livestock, and includes a main discharge pipe for guiding the manu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to the septic tank, 상기 분뇨 저장부는 상기 배출관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형 축사.The manure stor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downwar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ipe. 삭제delet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축사에는 각각 공기 정화 장치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축사 외부에는 주배기관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정화 장치의 일단부는 상기 주배기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형 축사.10. The air purifier of claim 9, wherein an air purifier is further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vestock houses, a main exhaust pipe is formed vertically outside the plurality of livestock houses, and one end of the air purifier is connected to the main exhaust pipe. Apartment hous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기관의 외부에는 급수장치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형 축사.12. The apartment type barn of claim 11, wherein a water supply device is further formed outside the main exhaust pipe.
KR1020050079293A 2005-08-29 2005-08-29 Barn and Apartment Barn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5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293A KR100817528B1 (en) 2005-08-29 2005-08-29 Barn and Apartment Ba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293A KR100817528B1 (en) 2005-08-29 2005-08-29 Barn and Apartment Ba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984A KR20070026984A (en) 2007-03-09
KR100817528B1 true KR100817528B1 (en) 2008-03-27

Family

ID=3810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2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7528B1 (en) 2005-08-29 2005-08-29 Barn and Apartment Ba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52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64B1 (en) * 2011-07-21 2013-09-04 이길우 Farms of apartment type
KR101816517B1 (en) 2017-07-11 2018-02-21 (주)미환 cattle shed
KR20190108694A (en)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Cattle shed bottom frame for sewage disposal
KR102760168B1 (en) * 2023-10-26 2025-01-23 박계영 Multi-storey barn with vertical ventilation ro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700B1 (en) * 2007-04-06 2008-10-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Integrated livestock production and manure processing facility
WO2011004926A1 (en) * 2009-07-10 2011-01-13 Kim Soon Yeong Poultry-rearing coop
KR101105529B1 (en) * 2011-04-27 2012-01-13 오영열 Electricity and compost production equipment and production method by fertilizing pig manure
KR101385845B1 (en) * 2012-06-01 2014-04-24 합천축산업협동조합 Structure for cattle shed
CN110972958A (en) * 2019-12-11 2020-04-10 华北水利水电大学 Closed type safe epidemic prevention breeding system based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detection
KR102556633B1 (en) * 2021-01-18 2023-07-18 박호인 Stable for pig farming with ventilation system
KR102728984B1 (en) 2021-12-14 2024-11-13 대한민국 Stable equipped with a nozzle cover module
KR102802677B1 (en) * 2024-08-23 2025-04-29 (주) 쓰리샤인 Energy-saving positive pressure biosecure livestock bar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14A (en) * 1991-05-01 1992-12-18 이대희 Construction method of livestock manure storage
KR19980061909U (en) * 1997-03-28 1998-11-16 임경식 Pig manure gas blocking structure
KR200195538Y1 (en) 2000-04-20 2000-09-01 정용병 A mobile pig house
KR20010114060A (en) * 2000-06-20 2001-12-29 정병현 Breeding cages for animal mooring
KR200325510Y1 (en) 2003-06-19 2003-09-03 주식회사 우주테크 Wean pigpen
KR20060007883A (en) * 2004-07-22 2006-01-26 최병권 Eco-friendly barn structu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14A (en) * 1991-05-01 1992-12-18 이대희 Construction method of livestock manure storage
KR19980061909U (en) * 1997-03-28 1998-11-16 임경식 Pig manure gas blocking structure
KR200195538Y1 (en) 2000-04-20 2000-09-01 정용병 A mobile pig house
KR20010114060A (en) * 2000-06-20 2001-12-29 정병현 Breeding cages for animal mooring
KR200325510Y1 (en) 2003-06-19 2003-09-03 주식회사 우주테크 Wean pigpen
KR20060007883A (en) * 2004-07-22 2006-01-26 최병권 Eco-friendly barn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64B1 (en) * 2011-07-21 2013-09-04 이길우 Farms of apartment type
KR101816517B1 (en) 2017-07-11 2018-02-21 (주)미환 cattle shed
KR20190108694A (en)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케이에스씨 Cattle shed bottom frame for sewage disposal
KR102760168B1 (en) * 2023-10-26 2025-01-23 박계영 Multi-storey barn with vertical ventilation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984A (en)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528B1 (en) Barn and Apartment Barn
US8550034B2 (en) Poultry coop
CA2504651C (en) Hog farrowing system for use in a cold environment and method of use
RU2524240C2 (en) System of ventilation passages for replacement of at least some part of air in section of cubicles or in system of cubicles with sections of cubicles, and ventilation method of sections of cubicles or system of cubicles
KR20060086648A (en) Eco-friendly pig house where the sows and piglets can be separated
Anderson Biosecurity—a new term for an old concept: how to apply it
CN107466900A (en) A kind of three-dimensional henroost free-ranging hen house
CN113016627A (en) Pig raising system for multi-storey buildings
KR20020012085A (en) Breeding cages for small animals
CN203120660U (en) Hog house with toilets
Singh et al. Basic considerations for engineered livestock housing
Polat Effects of poultry building design on indoor air quality in humid climates.
JP2010029118A (en) Livestock barn and method for rearing livestock
KR200211811Y1 (en) Breeding cages for small animals
CN103141398B (en) a pigsty with a toilet
AU2008200203B2 (en) Hog farrowing box
CN215223768U (en) Multilayer pig raising system
KR200208352Y1 (en) Stink exhaust equipment within breeding cage for animals
Valli et al. Odour emissions from livestock production facilities
KR20020064728A (en) High Pressure Air Purifier and High Pressure Barn
Thakur et al. Housing requirements, layout, and designs for the construction of different sized farms
JPH0984480A (en) Barn
SHINDE Dairy animal shelter in tropics with special reference to space requirement and air quality
Casebolt Facilities for dogs, swine, sheep, goats and miscellaneous species
CN113040053A (en) Pig raising system for multi-storey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