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7210B1 -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210B1
KR100817210B1 KR1020060072221A KR20060072221A KR100817210B1 KR 100817210 B1 KR100817210 B1 KR 100817210B1 KR 1020060072221 A KR1020060072221 A KR 1020060072221A KR 20060072221 A KR20060072221 A KR 20060072221A KR 100817210 B1 KR100817210 B1 KR 100817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closing
opening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795A (ko
Inventor
박윤산
Original Assignee
박윤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산 filed Critical 박윤산
Priority to KR102006007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2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1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2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지정 층으로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을 개폐제어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방법의 특징으로 살펴보면, 엘리베이터 출입문개폐용 모터의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출입문이 개폐작동되는 시작시점에서 닫힘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동안에 모터의 회전수 혹은 소요시간을 측정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을 통하여 얻어진 모터의 회전수 혹은 소요시간이 설정 값보다 클때 출입문 개폐작동이 정상이라 판단하여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설정 값보다 적을때 오류신호를 출력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로 인위적 또는 누전 등으로 도어스위치가 비정상적으로 ON되더라도 외부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검출수단, 제어수단에 의해 도어스위치의 단락여부가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므로 비정상적인 도어스위치의 단락으로 승강장치가 승·하강 함으로써 승객이 문틈에 끼어 발생되는 사망사고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엘리베이터, 케이지, 출입문, 도어스위치, 승강장치, 엔코드, 계측기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Method appratus for controlling open/close of elevator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1, S1': 검출수단 S2, S2': 제어수단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로 인위적 또는 누전 등으로 도어스위치가 비정상적으로 ON되더라도 외부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검출수단과, 제어수단에 의해 도어스위치의 단락여부가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므로 비 정상적인 도어스위치의 단락으로 인해 승객이 문틈에 끼어 발생되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아파트, 빌딩 등과 같은 다층건축물 내부의 수직통로에 설치되어 안내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송되며 사람이나 운반물을 원하는 층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동시켜주는 장치이다. 근자에는 건축기술의 발달과 함께 고층건물이 주류를 이루어 엘리베이터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엘리베이터의 승하강에 따른 성능향상에만 치중할 뿐 출입문의 개폐작동에 따른 안전장치의 개발은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에 엘리베이터는 사람이나 운반물을 싣는 케이지(cage) 전방에 안내레일을 타고 개폐되는 출입문이 모터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출입문은 케이지가 지정된 층에 정지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사람이나 운반물을 싣고, 이어서 출입문이 닫히면 승강장치에 의해 원하는 층으로 이동된다.
이때, 출입문은 도어스위치에 의존하여 개폐상태가 제어부로 전송되어 이후 케이지의 승·하강지령이 내려지는 바, 여기서 도어스위치는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된 지점과 닫힌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검출함에 따라 단순히 감지센서의 오작동(예컨대, 인위적 또는 누전 등)으로 인해 승객이 문틈에 끼어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로 인위적 또는 누전 등으로 도어스위치가 비 정상적으로 ON되더라도 외부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검출수단, 제어수단에 의해 도어스위치의 단락여부가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므로 비정상적인 도어스위치의 단락으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지정 층으로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을 개폐제어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이때 엘리베이터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람이나 운반물을 싣는 케이지(cage) 전방에 출입문이 모터의 작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출입문은 케이지가 정지된 상태에서 자동으로 개방되어 승객이나 운반물을 싣고, 이어서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면 승강장치에 의해 키입력부를 통하여 승객이 입력한 층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은 검출수단(S1), 제어수단(S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검출수단(S1)은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엔코더와, 모터의 구동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트 혹은 타이머로 구성되고, 엘리베이터 출입문개폐용 모터의 엔코더 신호를 입력받아 출입문이 개폐작동되는 시작시점에서 닫힘 신호가 입력되는 시점 동안에 모터의 회전수 혹은 소요시간을 측정한다. 검출수단(S1)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사람이나 운반물의 탑승이 완료되면 출입문(예컨대, 케이지도어와 승강장도어)이 닫힌 상태로 원하는 층으로 승·하강되는 바, 이때 출입문이 개방된 시점에서 닫히는 시점동안 모터의 엔코더 신호 또는 타이머와 카운트의 현재값을 입력받아 회전수 혹은 구동시간을 카운팅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문은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는 바, 이때 도어스위치는 출입문이 개방된 지점과 닫힘 지점에 각각 구비되어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수단(S2)으로 출력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어수단(S2)은 검출수단(S1)을 통하여 얻어진 모터의 회전수 혹은 소요시간이 설정 값보다 클때 출입문 개폐작동이 정상이라 판단하여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설정 값보다 적을때 오류신호를 출력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수단(S2)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를 승·하강작동시키는 승강장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승강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신호는 검출수단(S1)을 통하여 검출된 출입문의 개폐작동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완료되는 시점까지 모터의 회전수 혹은 소요시간을 입력받아 설정값과 비교하여 오차범위를 참고하여 정상신호 혹은 오류신호를 출력하여 승강장치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2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다른 층으 로 이동하기 위해 출입문이 닫히기 시작하면 검출수단(S1)을 통하여 모터의 회전수 혹은 소요시간이 카운팅되고, 예컨대 그 카운팅된 값이 '10'이고, 제어수단(S2)에 정상 닫힘으로 입력된 설정값이 '9'일 경우 출입문 개폐작동이 정상이라 판단하고 정상신호를 출력하여 승강장치가 작동되는 반면에, 측정된 값이 '5'일 경우에는 설정값보다 작기 때문에 오류신호(예컨대, 출입문이 닫히지 않음)를 출력하여 승강장치의 승·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경보신호를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관리실로 전송하며 출입문을 개방후 다시 닫는 작동을 상기 전술한 순서대로 수회 반복수행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출입문이 개폐작동되는 주행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설되는 감지센서를 통하여 출입문의 이송위치를 구간별로 검출하는 검출수단(S1');과, 출입문의 개폐 작동이 완료된 시점에서 검출수단(S1')의 감지센서가 출입문의 주행상태를 정해진 순서대로 감지하면 정상이라 판단하여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어느 하나 감지되지 않는 감지센서가 검출되거나 센서감지순서가 뒤바뀌면 오류신호를 출력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S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검출수단(S1')은 출입문이 개폐작동되는 이송구간에 감지센서가 다수로 구비되고, 출입문이 개폐작동시 순차적으로 ON 또는 OFF되는 감지센서를 통하여 출입문의 이송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수단(S1')은 감지센서를 통하여 검출된 출입문의 이송위치를 제어수단(S2')으로 출력하여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확 인하는데, 상기한 검출수단(S1')은 기존의 승강장치에 설치된 도어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어스위치외에 센서를 더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제어수단(S2')은 도어스위치를 통하여 출입문이 닫힌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입력되면, 검출수단(S1')의 감지센서가 미리 설정된 정해진 순서대로 출입문의 이송위치를 감지하였으면 정상이라 판단하고 정상신호를 출력하여 승강장치를 작동시키고, 어느 하나 감지되지 않는 감지센서가 검출되거나 감지센서의 감지순서가 뒤바뀌면 오류신호(예컨대, 출입문이 닫히지 않음)를 출력하여 승강장치가 승하강 되지 않도록 동작을 제어한 상태로 경보신호를 음성으로 안내하거나 관리실로 전송하며 출입문을 개방후 다시 닫는 작동을 상기 전술한 순서대로 수회 반복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술하는 검출수단, 제어수단을 통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는 반도체 소자 등을 이용하여 정전 시에도 기억되는 불 휘발성(예컨대, 정전기억) 영역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에 엘리베이터 출입문이 개폐작동되는 중에 정전되더라도 검출수단, 제어수단을 통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는 별도의 불 휘발성 영역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그 값이 초기화되지 않으므로 전력복구시 출입문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출입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로 인위적 또는 누전 등으로 도어스위치가 비정상적으로 ON되더라도 외부전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검출수단, 제어수단에 의해 도어스위치의 단락여부가 정상적인지 비정상적인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므로 비정상적인 도어스위치의 단락으로 승강장치 의 승·하강으로 인한 승객이 문틈에 끼어 발생되는 사망사고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승강장치의 작동에 의해 지정 층으로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을 개폐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출입문개폐용 모터의 구동 신호를 입력받아 출입문이 개폐작동되는 시작시점에서 엘리베이터 승하강을 위한 닫힘 신호가 발생되는 시점 동안에 모터의 회전수 혹은 소요시간을 측정하는 검출단계;
    상기 검출단계를 통하여 얻어진 모터의 회전수 혹은 계측기의 소요시간이 설정 값보다 클때 출입문 개폐작동이 정상이라 판단하여 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설정 값보다 적을때 오류신호를 출력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 제어단계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는 불 휘발성 영역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 제어단계에서 출력되는 오류신호는 음성안내를 통하여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제어 방법.
KR1020060072221A 2006-07-31 2006-07-31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Active KR100817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221A KR100817210B1 (ko) 2006-07-31 2006-07-31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221A KR100817210B1 (ko) 2006-07-31 2006-07-31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795A KR20080011795A (ko) 2008-02-11
KR100817210B1 true KR100817210B1 (ko) 2008-03-27

Family

ID=3934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221A Active KR100817210B1 (ko) 2006-07-31 2006-07-31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519A (ko) 2021-10-20 2023-04-27 오근태 큐알코드 또는 바코드 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5286A (ja) * 1990-01-08 1991-09-06 Riyouden Service Kk エレベータドアー装置
JPH0432487A (ja) * 1990-05-25 1992-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JPH04260590A (ja) * 1991-02-13 1992-09-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戸制御装置
KR20000024849A (ko) * 1998-10-02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JP2005200136A (ja) * 2004-01-14 2005-07-28 Toshiba Elevator Co Ltd 群管理エレベータ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5286A (ja) * 1990-01-08 1991-09-06 Riyouden Service Kk エレベータドアー装置
JPH0432487A (ja) * 1990-05-25 1992-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JPH04260590A (ja) * 1991-02-13 1992-09-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戸制御装置
KR20000024849A (ko) * 1998-10-02 2000-05-06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JP2005200136A (ja) * 2004-01-14 2005-07-28 Toshiba Elevator Co Ltd 群管理エレベータ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519A (ko) 2021-10-20 2023-04-27 오근태 큐알코드 또는 바코드 기반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795A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467B2 (en) Elevator safety arrangement having safety spaces
JP5442679B2 (ja) エレベーター用制御装置
CN102869594B (zh) 电子安全电梯
FI121423B (fi) Hissin turvajärjestely
CN102020149B (zh) 电梯系统
KR100899935B1 (ko) 승강로 접근 탐지 시스템
EP3438033B1 (en) Elevator system
CN107555271A (zh) 电梯装置和程序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CN113716406B (zh) 电梯诊断装置以及电梯诊断方法
JP594495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46117B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5206346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保守点検方法
CN116081427A (zh) 避免滞留在电梯系统中
KR100817210B1 (ko) 엘리베이터의 출입문 개폐 제어방법
CN103863913A (zh) 电梯的控制装置
JP6231965B2 (ja) シャッター制御装置
JPH051703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15349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523934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の制御装置
JPH0521355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714558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HK1151781A (en) Elevator system
JP2006207373A (ja) シャッター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