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6574B1 -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574B1
KR100816574B1 KR1020060009240A KR20060009240A KR100816574B1 KR 100816574 B1 KR100816574 B1 KR 100816574B1 KR 1020060009240 A KR1020060009240 A KR 1020060009240A KR 20060009240 A KR20060009240 A KR 20060009240A KR 100816574 B1 KR100816574 B1 KR 100816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absorbent
tissue
forming
absorbent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867A (ko
Inventor
진구환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574B1/ko
Publication of KR2007007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5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8Vertical or inclined screw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등과 같은 흡수 용품의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수 패드 내의 흡수층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막을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용품은 라이너, 흡수 패드 및 배킹으로 이루어진다. 흡수 패드는 흡수층과, 흡수층의 제1 표면 상에 위치하는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와, 흡수층의 제2 표면 상에 위치하는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를 가지며, 제1 표면은 기저귀의 라이너 측에 배치되고 제2 표면은 기저귀의 배킹 측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 패드에는 흡수층의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막이 형성된다.
흡수 패드,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 지지막, 흡수층, 주름 형성 장치

Description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Absorbent Pad With an Improved Suppor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1은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 패드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에 지지막이 형성된 흡수 패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에 지지막이 형성된 흡수 패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4은 도3에 도시된 흡수 패드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6는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에 지지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름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7은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에 형성된 지지막의 형상에 대응되는 표면 구조를 갖는 포밍 드럼의 사시도 및 단면도, 그리고
도8은 본 발명의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등과 같은 흡수 용품의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수 패드 내의 흡수층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막을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는 다수의 웹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신체 표면(주로, 엉덩이 부분)과 접촉하는 라이너는 유체 투과성 재질로 형성되고, 신체 표면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배킹은 유체 불투과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흡수 패드는 라이너와 배킹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유아가 소변을 배설하는 경우에, 이는 일회용 기저귀의 유체 투과성 라이너를 통과하여 흡수 패드에 흡수된다. 배킹은 유체 불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 패드로 흡수된 배설물은 배킹에 의해 기저귀 바깥으로 누출되지 않고 흡수 패드에 유지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 패드는 일반적으로 고흡수성 고분자 수지와 분쇄 펄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설물이 흡수층으로 전달되었을 때 흡수층의 고흡수성 고분자 수지와 분쇄 펄프가 이를 흡수하여 흡수 패드 외부로 다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흡수층 재료는 흡수층의 제1 표면(착용자의 신체측 표면)에 형성된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barrier tissue)와 흡수층의 제2 표면(착용자의 의복측 표면)에 형성된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forming tissue)에 의해 둘러싸여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 패드 내의 흡수층 재료(고흡수성 고분자 수지, 분쇄 펄프 등)는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와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에 의해 외부에서만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양 티슈 또는 부직포 사이에서 흡수층 재료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자가 바닥에 앉아 있는 경우에 흡수 패드는 착용자의 신체와 바닥 사이에서 가압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움직이게 되면 흡수층 재료는 원래 배치된 위치를 벗어나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수 패드의 제조시 흡수층 재료를 흡수패드 내에 균일하게 분포시킨다고 하더라도,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층 재료가 한쪽으로 뭉쳐 배설물의 흡수 기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즉, 흡수층 재료가 한쪽으로 뭉치게 되면, 흡수층 재료가 뭉친 쪽의 흡수층 밀도가 증가하여 배설물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을 뿐 아니라, 흡수층 재료가 이동하여 밀도가 감소한 곳에서도 마찬가지로 배설물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배설물이 흡수 패드에 원활히 흡수되지 못할 뿐 아니라, 배설물의 흡수 속도도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특히, 흡수층 재료의 이동에 따른 흡수층의 밀도 변화로 인한 문제는 착용자의 생식기 부근의 흡수층(흡수 패드의 중앙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착용자의 배설물이 1차적으로 착용자의 생식기 부근의 흡수층, 다시 말해 흡수 패드의 중앙부로 흡수되기 때문이다. 즉, 착용자의 생식기 부근에 있는 흡수 패드의 흡수층이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이동하게 되면, 배설물은 흡수 패드로 바로 흡수되지 않아서 과도한 양의 배설물이 착용자의 신체와 오랫동안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생식기 부근에 피부병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 패드에 흡수층 재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막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흡수층 재료가 이동하지 않고 본래의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는 흡수 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생식기 부근의 흡수 패드의 흡수층 재료가 이동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흡수 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친수성질을 갖는 지지막을 통해 액상 배설물의 확산을 유도함으로써, 흡수 패드의 흡수 가용 면적을 확대시켜 주는데 있다. 이러한 효과는 배설물이 한쪽으로 과다하게 치우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소변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용품은 라이너, 흡수 패드 및 배킹으로 이루어진다. 흡수 패드는 흡수층과, 흡수층의 제1 표면 상에 위치하는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와, 흡수층의 제2 표면 상에 위치하는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를 가지며, 제1 표면은 흡수 용품의 라이너 측에 배치되고 제2 표면은 흡수 용품의 배킹 측에 배치된다. 또한, 흡수 패드에는 흡수층의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르면, 지지막은 흡수 패드의 길이방향으로 착용자의 생식기 근방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패드의 길이방향으로 그 중앙부에 제1 지지막이 형성되고, 제1 지지막과 흡수 패드의 양 측면 사이에 제2 지지막 및 제3 지지막이 흡수패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수층의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막은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의해 흡수 용품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막은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에 의해 흡수 용품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용품의 폭방향으로 추가의 지지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용품에 사용되는,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 및 흡수층을 포함하는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흡수층을 인가하는 단계와, 흡수층의 일면에 형성된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의 대향측에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를 인가하고 상기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와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패드의 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가 요철이 형성된 주름 형성 장치(wrinkle shaper)를 통과하면서, 주름 형성 장치의 요철에 대응되는 지지막이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수 패드의 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가 요철이 형성된 포밍 드럼(forming drum)과 이에 맞물린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요철에 대응하는 지지막이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형 성된다.
흡수 패드가 디벌커(debulker)를 통과하면서 접착재가 인가된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가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와 접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지지막이 형성된 흡수 패드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은 도3에 도시된 흡수 패드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일회용 기저귀(1)는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라이너(2)와, 그 대향면에 형성된 배킹(3)과, 라이너(2)와 배킹(3) 사이에 배치된 흡수 패드(10)를 포함한다. 라이너(2)는 착용자의 배설물이 라이너(2)를 통과하여 흡수 패드(10)로 흡수될 수 있도록 유체 투과성 재질로 형성된다. 배킹(3)은 흡수 패드(10)로 흡수된 배설물이 착용자의 의복 등에 묻지 않도록 유체 불투과성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흡수 패드(10)의 제1 표면(착용자의 신체측 표면)에는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가 형성되고 제2 표면(착용자의 의복측 표면)에는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가 형성된다.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와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 사이에는 고흡수성 고분자 수지, 분쇄펄프 등으로 이루어진 흡수층(13)이 형성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패드(10)의 제2 표면에 형성된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에는 일회용 기저귀(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지지막(15)이 형성된다.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의 지지막(15)이 흡수 패드(10)를 길 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구획함으로써, 흡수층(13)은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의 지지막(15)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위 지지막(15)은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를 소정 간격마다 절곡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흡수 패드(10)의 흡수층(13)을 지지막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나누어 지지함으로써,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이더라도 흡수층(13)은 한쪽으로 밀리지 않고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설물의 흡수 기능 및 흡수 속도 등이 저하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이 흡수 패드(1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막(15)을 형성할 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위와 같은 지지막(15)에 의해 착용자의 생식기 근방에 있는 흡수층(13) 재료가 이동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즉, 도2를 참조하면, 지지막(15)은 흡수 패드(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는 착용자의 생식기 근방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막(15) 사이의 간격은 전체 흡수 패드(10)의 폭에 비해 매우 좁다.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자가 배설을 하게 되면, 배설물은 1차적으로 흡수 패드(10)의 중앙부로 흡수된다. 이 경우, 착용자의 생식기 근방에 형성된 지지막(15)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기 때문에, 착용자가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이더라도 생식기 근방의 흡수 패드(10)의 흡수층(13)은 이동하지 않는다. 착용자의 생식기 근방에 위치하는 지지막(15) 사이의 가장 적절한 간격과 관련하여, 중앙의 두 지지막(15) 사이의 간격이 흡수 패드(10) 전체 폭의 1/3 이하이면 생식기 근방 흡수층(13) 재료의 이동이 충분히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3을 참조하면, 흡수 패드(10)의 길이방향으로 그 중앙부에 제1 지지막(15')이 형성하고, 제1 지지막과 흡수 패드의 양 측면 사이에 제2 지지막(15'') 및 제3 지지막(15''')이 형성된다. 착용자의 생식기와 주로 접촉하는 부위인 흡수 패드의 중앙부에는 제1 지지막(15')이 형성되고 그 양 옆으로 제2 및 제3 지지막(15'', 15''')이 형성되기 때문에, 도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특히 착용자 생식기 부근에서의 흡수층(13) 재료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흡수 패드(10)의 제2 표면에 형성된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 또는 부직포(12)에 지지막(15)이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 대신 흡수 패드(10)의 제1 표면에 형성된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에 지지막(15)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와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에 모두 지지막(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는 지지막(15)이 기저귀(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나, 이와 달리 지지막(15)은 기저귀(1)의 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흡수 패드(10)에 바둑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는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에 지지막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름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7은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에 형성된 지지막의 형상에 대응되는 표면 구조를 갖는 포밍 드럼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는 주름 형성 장치(21, 22, 23)를 통과하면서 요철을 갖도록 절곡된다. 이 때,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의 절곡은 주름 형성 장치(21, 22, 23) 에서 단계적으로 일어나게 된다(도6 참조). 즉,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가 제1 주름 형성 장치(21)를 통과하면서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가 절곡되어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에는 주름이 형성되고, 제2 및 제3 주름 형성 장치(21)를 지나면서 위 주름은 점차 커지게 되어 제3 주름 형성 장치(21)를 통과하면서 지지부(15)가 완성된다. 도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가 3 세트의 주름 형성 장치를 통과하나, 주름 형성 장치는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 재질의 강도나 두께 등에 따라 그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주름 형성 장치(21, 22, 23)를 통과하면서 지지막(15)이 형성된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는 포밍 드럼(2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밍 드럼(20)의 표면은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의 지지막(15)의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의 지지막(15)은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가 포밍 드럼(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섬유화기(fiberizer; 25)에서 섬유화된 흡수층 재료(고흡수성 고분자 수지 및 분쇄 펄프)는 포밍 드럼(20)을 따라 이동하는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 또는 부직포(12) 상에 뿌려진다.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가 이송 컨베이어(27)를 따라 이동하면서 접착재 분무 노즐(26)을 통해 접착재가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에 인가된다. 포밍 드럼(20) 하단에서 고흡수성 고분자 수지 및 분쇄 펄프를 포함하는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는 접착재가 인가된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와 만나게 되고,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와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는 디벌커(28)를 통과하면서 접착 된다. 즉,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의 폭 방향 양 끝단 및 지지막(15)의 상단은 각각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에 인가된 접착재에 의해 차단 티슈 또는 부직포(11)의 대응하는 면과 결합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에 형성된 지지막(15)에 의해 흡수층(13)이 소정의 간격으로 분할된 흡수 패드(10)가 제조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8에 도시된 제조 방법에 관한 구성 중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도5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도시된다. 도8에 도시된 흡수 패드의 제조 방법에서는, 요철 구조를 갖는 주름 형성 장치(21, 22, 23)가 아닌 평탄한 표면 구조를 갖는 이송 롤러(21')를 채용하고, 대신에 포밍 드럼(20)에 형성된 요철 구조에 대응하는 표면 구조를 갖는 롤러(20')를 포밍 드럼(20)에 맞물리게 설치한다.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는 이송 롤러(21')를 통해 포밍 드럼(20)으로 이송되어 포밍 드럼(20)과 롤러(20') 사이를 통과한다. 이 때,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에는 포밍 드럼(20)과 이에 대응하는 표면 구조를 갖는 롤러(20')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는 지지막이 형성되고,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공정을 거쳐 흡수 패드(10)가 제조된다. 도8에는 포밍 드럼(20)의 요철 형상에 대응하는 표면 구조를 갖는 하나의 롤러(2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에 절곡이 단계적으로 일어나도록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요철 표면을 갖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밍 드럼(20)에 맞물려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흡수층(13)을 지지막(15)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나누어 지지하는 흡수 패드(10)를 제조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흡수 패드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기존에 채용된 흡수 패드의 제조 공정을 전면적으로 재설정할 필요가 없다. 즉, 포밍 드럼(20)을 요철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것으로 교체하고, 형성 티슈 또는 부직포(12)를 포밍 드럼으로 이송하는 평평한 면을 갖는 이송 롤러를 요철이 형성된 주름 형성 롤러(21, 22, 23)로 교체하기만 하면 된다. 또는, 포밍 드럼(20) 표면의 요철 구조에 대응하는 표면을 갖는 롤러(20')를 포밍 드럼(20)에 맞물리도록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지지막(15)이 형성된 흡수 패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 등과 같은 흡수 용품에 사용되는 흡수 패드는 흡수층을 지지막에 의해 소정의 간격으로 나누어 지지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움직이는 경우에도 흡수층은 흡수 패드의 한쪽으로 밀리지 않고 제 위치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층이 뭉치지 않아서 흡수 패드의 배설물 흡수 기능 및 흡수 속도가 그대로 유지된다. 특히, 지지막을 흡수 패드의 길이방향으로 착용자의 생식기 근방에 형성하거나, 흡수 패드의 중앙부에 지지막을 형성하고 그 양 옆에 추가적인 지지막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 생식기 부근에서의 흡수층 재료의 이동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막을 통한 배설물의 확산을 유도하여, 흡수 패드의 가용 흡수 면적을 확산시킴으로써, 배설물이 한쪽으로 과다하게 치우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소변샘과 같은 문제를 감 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 패드 제조 방법에 따라 흡수 패드를 제조함으로써, 기존 흡수 패드 제조 공정을 전면적으로 재설정하거나 별도의 제조 단계를 추가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흡수 패드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라이너, 흡수 패드 및 배킹으로 이루어진 흡수 용품이며,
    상기 흡수 패드는 흡수층과, 흡수층의 제1 표면 상에 위치하는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와, 흡수층의 제2 표면 상에 위치하는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를 가지며, 상기 제1 표면은 흡수 용품의 라이너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면은 흡수 용품의 배킹 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 패드에는 흡수층의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막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막은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흡수 용품.
  5. 라이너, 흡수 패드 및 배킹으로 이루어진 흡수 용품이며,
    상기 흡수 패드는 흡수층과, 흡수층의 제1 표면 상에 위치하는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와, 흡수층의 제2 표면 상에 위치하는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를 가지며, 상기 제1 표면은 흡수 용품의 라이너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면은 흡수 용품의 배킹 측에 배치되며,
    상기 흡수 패드에는 흡수층의 이동을 방지하는 지지막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막은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는 흡수 용품.
  6. 삭제
  7. 흡수 용품에 사용되는,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 및 흡수층을 포함하는 흡수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흡수층을 인가하는 단계와,
    흡수층의 일면에 형성된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의 대향측에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를 인가하고 상기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와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를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패드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가 요철이 형성된 주름 형성 장치를 통과하면서 상기 요철에 대응되는 지지막이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형성되는 흡수패드 제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가 요철이 형성된 포밍 드럼과 이에 맞물린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요철 에 대응하는 지지막이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에 형성되는 흡수패드 제조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패드는 디벌커를 통과하면서 접착재가 인가된 차단티슈 또는 부직포가 형성티슈 또는 부직포와 접착되는 흡수 패드 제조 방법.
KR1020060009240A 2006-01-31 2006-01-31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ctive KR100816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40A KR100816574B1 (ko) 2006-01-31 2006-01-31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240A KR100816574B1 (ko) 2006-01-31 2006-01-31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867A KR20070078867A (ko) 2007-08-03
KR100816574B1 true KR100816574B1 (ko) 2008-03-24

Family

ID=3859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40A Active KR100816574B1 (ko) 2006-01-31 2006-01-31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5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50A (ko) * 1999-09-15 2002-04-13 로날드 디. 맥크레이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KR20050005693A (ko) * 2003-07-07 2005-01-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650A (ko) * 1999-09-15 2002-04-13 로날드 디. 맥크레이 수직 배향된 흡수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 방법
KR20050005693A (ko) * 2003-07-07 2005-01-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뭉침방지 특성이 향상된 일회용 흡수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867A (ko) 200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7290B2 (ja) 吸収性物品
JP5148182B2 (ja) 吸収性物品
JP5939773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吸収層
JP5652260B2 (ja)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CN104349759B (zh) 吸收性物品
CN102481215A (zh) 吸收性物品
JP2002516715A (ja) 糞便管理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製品
JPH11514054A (ja) 低粘度及び中間低粘度の糞便のための改善された使用時蓄積容量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CN102348436A (zh) 吸收性物品
JP2001276121A (ja) 体液吸収性着用物品
WO2008056675A1 (fr) Article absorbant
JP4531257B2 (ja) 糞便管理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体
JP2005006954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601819B2 (ja) 改良トップシート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体
TW201244703A (en)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wearing article using the same
JP600472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3070842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吸収用積層体および該吸収用積層体を備え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236122B1 (ja) 体液受容キャナルを備えた吸収体物品
WO2019152005A1 (en) Absorbent body including x-shaped reduced absorbent section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3744768B2 (ja) 排泄物処理用の使い捨て着用物品
RU2357715C2 (ru)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добного изделия
JP5148200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0816574B1 (ko) 개선된 지지구조를 갖는 흡수 패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20048828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3615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1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