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3730B1 - 유도 가열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730B1
KR100813730B1 KR1020060134597A KR20060134597A KR100813730B1 KR 100813730 B1 KR100813730 B1 KR 100813730B1 KR 1020060134597 A KR1020060134597 A KR 1020060134597A KR 20060134597 A KR20060134597 A KR 20060134597A KR 100813730 B1 KR100813730 B1 KR 10081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oling
induction heating
fan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태
유승희
박병욱
오두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2Cooling of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홀수 N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M(M≤N/2+1/2)번째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짝수 N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M(M≤N/2)번째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여, 유도 가열 조리기기 내부에서 냉각공기의 순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조리기기, 유도 가열 조리기기, 냉각 유닛, 팬

Description

유도 가열 조리기기{Induction coo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각유닛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각유닛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각유닛의 배치를 나타낸 배치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11:냉각공기 흡입구
12: 냉각공기 배기구 13: 좌측면
14: 우측면 100: 냉각 유닛
110: 냉각 팬 120: 히트 싱크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이 러한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부에 공급되는 에너지원에 따라 전기 조리기기와 가스 조리기기로 분류된다.
조리기기는 전기 또는 가스에 의해 발열 되는 발열부와, 발열부를 수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측에 적층 결합 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플레이트에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가 얹어진 상태에서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조리용기로 전달하여 조리용기에 담긴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한다.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고주파 교류 자계를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상면 플레이트에 얹어지는 금속재 조리용기에 가하여 금속재 조리용기 자체가 발열 되도록 하여 조리용기에 안치되는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조리기기이다.
한편,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전기소자가 포함되고, 이러한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닛이 포함된다. 상세히, 냉각유닛은 전기소자가 부착되어 방열하는 히트 싱크와 히트 싱크에 냉각공기를 제공하는 냉각팬이 포함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유닛은 그 배열에 있어서, 전기소자의 위치에 따라 배열되어 조리기기 내부에서 냉각공기가 순환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각공기가 히트 싱크로 공급되는 량이 줄어들어 히트 싱크의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냉각공기는 히트 싱크와 열교환을 행한 후에도 계속하여 조리기기 내 부에 있게 되어 조리기기의 냉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유도 가열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냉각공기의 순환을 방지하여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홀수 N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M(M≤N/2+1/2)번째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짝수 N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M(M≤N/2)번째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N(N≥1)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순번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중심방향으로 직전방에 위치되는 팬의 중심까지 거리의 비율과,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으로부터 최근접한 팬의 중심까지 거리와 상기 베이스의 우측면으로부터 최근접한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여, 유도 가열 조리기기 내부에서 냉각공기의 순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도 가열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냉각공기 순환이 방지되어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기(1)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면에 조리기구가 얹어지도록 하는 조리용기 안착부(41)가 포함되는 세라믹 플레이트(40)와,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40)에 얹어지는 조리기구에 교류 자계를 제공하는 유도 가열부(30)와, 상기 베이스(10)에 수용되어 상기 유도 가열부(30)로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 모듈(20)이 설치되는 메인 베이스(50)와, 상기 인버터 모듈(2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버터 모듈(20)의 전기부품(25)을 냉각하는 냉각 유닛(100) 및 상기 베이스(1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가열 조리기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10)는 그 상부가 개방되는 상자 형상으로 구현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냉각공기 흡입구(11)와 타 측에 상기 냉각공기 흡입구(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냉각공기 배기구(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10)를 상하로 구획하여 냉각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메인 베이스(50)가 상기 베이스(10)의 내벽에 결합 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냉각공기 흡입구(11)에서 흡입되는 냉각공기는 냉각유닛(50)을 통과한 후에 상기 냉각공기 배기구(12)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일 측에는 제어부(43)가 형성되어 상기 유도가열 조리기기(1)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베이스(50)의 상면에는 인버터 모듈(20)이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인버터 모듈(20)은 회로기판(21)과 상기 회로기판(21)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전기부품(25)가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인버터 모듈(20)은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아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높은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상기 유도 가열부(30)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기부품(25)들 중에 발열량이 많은 전기부품(25)에는 냉각 유닛(50)이 결합 된다. 상세히, 상기 냉각 유닛(100)은 상기 전기부품(25)가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전기부품(25)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히트 싱크(120)와 상기 히트 싱크(120)에 냉각공기를 제공하는 냉각 팬(110)이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히트 싱크(120)는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그 둘레에 다수의 방열 핀(111)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팬(110)은 상기 히트 싱크(12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히트 싱크(120)로 냉각공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냉각팬(110)은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하는 원심 팬이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팬(110)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흡입구는 상기 메인 베이스(50)의 공기 통과 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접하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팬(110)의 토출구(121)는 상기 히트 싱크(120)와 접하며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각 유닛(100)이 복수 개일 때에, 상기 베이스(10) 내부에서 냉각공기가 순환되는 영역이 없도록, 상기 냉각 팬(110)의 회전 방향 및 상기 공기 토출 방향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각 유닛(100)에 의하여, 상기 냉각 팬(110)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베이스(10)의 냉각공기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공기는 상기 메인 베이스(50)의 하면을 스쳐지나 상기 냉각 팬(110)의 흡입구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 팬(110)으로 흡입된 냉각공기는 상기 냉각 팬(110)의 토출 구(121)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히트 싱크(120)를 스쳐 지나간다. 한편, 냉각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120)와 열교환을 하여 상기 전기부품(25)를 냉각한다. 그리고 상기 히트 싱크(120)를 통과한 냉각공기는 상기 베이스(10)의 냉각공기 배기구(12)를 통하여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기(1) 외부로 배기 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모듈(50)의 상측에는 유도 가열부(30)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유도 가열부(30)는 코일 베이스(31) 및 인덕터 코일(32)을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인덕터 코일(32)은 다수 회 감기어 형성되고, 상기 인덕터 코일(32)의 단자(33)는 상기 인버터 모듈(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유도 가열부(30)는 상기 인버터 모듈(20)로부터 인가되는 고주파 교류 전류를 교류 자계로 변환하여,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40) 쪽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인덕터 코일(32)과 상기 코일 베이스(31) 사이에는 도면에 제시되지 않은 마이카 시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마이카 시트는 상기 유도 가열부(30)의 상측에 위치되어 발열하는 조리기구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코일 베이스(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카 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페라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인덕터 코일(32)에 의하여 생성되는 교류 자계를 확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형의 조리 기구 전체에서 발열 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도 가열부(30) 상측에는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40)가 안착되어 결합 된다. 상세히,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40)의 상면의 상기 유도 가열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리용기 안착부(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 플레이트(40)의 전방 일 측에는 조작부(4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43)는 디스플레이(44)와 조작 버튼(45)이 포함되어 상기 회로기판(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조작 버튼(45)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43)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44)는 상기 유도가열 조리기기(1)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상기 유도가열 조리기기(1)의 작동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각유닛(100)의 배치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이 짝수개 일 때의 배치를 나타낸 냉각 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100)은 상기 캐이스(10) 내부에 짝수의 N개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짝수의 N개의 냉각 유닛(100)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서 냉각공기 순환영역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면(13)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0)의 중심방향으로 순차적으로 N/2 번째까지 배열되는 각각의 냉각 유닛(100)의 냉각 팬(110) 중심까지의 거리(a)와 상기 베이스(10)의 우측면(14)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0)의 중심방향으로 순차적으로 N/2 번째까지 배열되는 각각의 냉각 유닛(100)의 냉각 팬(110) 중심까지의 거리(b)의 비율이 0.8~1.2 범위 내에 있도록 배치된다.
한편, a/b가 0.8~1.2 범위를 벗어나는 때에는, 상기 냉각유닛(100)의 냉각 팬(110)에서 배출되는 냉각공기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서 비대칭적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냉각공기 순환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기(1)의 냉각성능이 저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되, 상기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비교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각유닛의 배치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이 홀수 개일 때의 배치를 나타낸 냉각 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100)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홀수의 N개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홀수의 N개의 냉각 유닛(100)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서 냉각공기 순환영역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면(13)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0)의 중심방향으로 순차적으로 N/2+1/2번째까지 배열되는 각각의 냉각 유닛(100)의 냉각 팬(110) 중심까지의 거리(a)와 상기 베이스(10)의 우측면(14)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0)의 중심방향으로 순차적으로 N/2+1/2번째까지 배열되는 각각의 냉각 유닛의 냉각 팬 중심까지의 거리(b)의 비율이 0.8~1.2 범위 내에 있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a/b가 0.8~1.2 범위를 벗어나는 때에는 상기 냉각유닛(100)의 냉각팬(110)에서 배출되는 냉각공기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서 비대칭적으로 흐르게 되어 냉각공기 순환영역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조리기기(1)의 냉각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a/b가 0.8~1.2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냉각 유닛(100)의 상기 냉각 팬(110)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설명하되, 상기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비교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각유닛의 배치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이 복 수개 일 때의 배치를 나타낸 냉각 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냉각 유닛(100)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냉각 유닛(100)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서 냉각공기 순환영역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면(13)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냉각 팬(110)의 중심부터 상기 베이스(10)의 중심방향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냉각 팬(110)의 직 전방에 위치되는 냉각 팬(110)의 중심까지의 거리(a)와, 상기 베이스(10)의 우측면(1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냉각 팬(110) 중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면(13)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냉각 팬(110)과 동일한 순번을 가지는 상기 냉각 팬(110)의 중심부터 상기 베이스(10)의 중심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면(13)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냉각 팬(110)과 동일한 순번을 가지는 상기 냉각 팬(110) 의 직 전방에 배치되는 냉각 팬(110)의 중심까지의 거리(b)의 비율이 0.8~1.2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좌측면(13)으로부터 최 근접한 상기 냉각 팬(110)의 중심까지 거리(a)와 상기 베이스(10)의 우측면(14)으로부터 최 근접한 상기 냉각 팬(110)의 중심까지의 거리(b)의 비율이 0.8~1.2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a/b가 0.8~1.2 범위를 벗어나는 때에는 상기 냉각유닛(100)의 냉각팬(110)에서 배출되는 냉각공기가 상기 베이스(10) 내부에서 비대칭적으로 흐르게 되어, 상기 베이스(10) 내부에 냉각공기 순환영역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도 가열 조리기기(1)의 냉각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a/b가 0.8~1.2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냉각 유닛(100)들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여, 유도 가열 조리기기 내부에서 냉각공기의 순환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도 가열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냉각공기 순환이 방지되어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홀수 N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M(M≤N/2+1/2)번째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2.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짝수 N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서 각각M(M≤N/2)번째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3. 냉각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는 유도 가열부;
    상기 유도 가열부를 구동하는 전기 부품; 및
    상기 전기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팬과 히트 싱크로 이루어지는 N(N≥1)개의 냉각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순번에 해당되는 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중심방향으로 직전방에 위치되는 팬의 중심까지 거리의 비율과, 상기 베이스의 좌측면으로부터 최근접한 팬의 중심까지 거리와 상기 베이스의 우측면으로부터 최근접한 팬의 중심까지의 거리의 비율이 0.8~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팬이 복수 개일 때에, 상기 팬의 회전 방향 및 상기 공기 토출 방향이 모두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팬은 축 방향으로 냉각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
KR1020060134597A 2006-12-27 2006-12-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Active KR10081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597A KR100813730B1 (ko) 2006-12-27 2006-12-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4597A KR100813730B1 (ko) 2006-12-27 2006-12-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730B1 true KR100813730B1 (ko) 2008-03-13

Family

ID=3939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4597A Active KR100813730B1 (ko) 2006-12-27 2006-12-27 유도 가열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02B1 (ko) 2015-07-01 2017-07-20 자원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인버터의 방열 장치
EP4095442A1 (en) * 2021-05-28 2022-11-30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593A (ja) 1987-05-11 1988-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20030034484A (ko) * 2001-10-23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밥솥
KR20060015807A (ko) * 2004-08-16 2006-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593A (ja) 1987-05-11 1988-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KR20030034484A (ko) * 2001-10-23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밥솥
KR20060015807A (ko) * 2004-08-16 2006-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002B1 (ko) 2015-07-01 2017-07-20 자원전자 주식회사 유도가열 인버터의 방열 장치
EP4095442A1 (en) * 2021-05-28 2022-11-30 LG Electronics Inc. Electric ran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428B1 (ko) 조리기기
JP57127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TW201034553A (en) Electric device and circling dissipating system using the same
JP493436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30099250A (ko) 전기 레인지
JP5604384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813730B1 (ko) 유도 가열 조리기기
JP2004186002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200922416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50060228A (ko) 전자기 가열 기기
US20240263800A1 (en) Electric range
JP589661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4311391A (ja) 電磁調理器
KR20230023222A (ko) 전기 레인지
KR102064802B1 (ko) 효율적인 냉각구조를 갖는 유도가열 조리기
JP2001267054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161032A (ko) 가전 기기 및 이에 설치되는 히트 싱크
KR20220161031A (ko) 가전 기기
KR102047289B1 (ko) 고효율 인덕션 레인지
US20240255153A1 (en) Electric range
JP57694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5093154A (ja) 誘導加熱調理器
JP641926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716958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8410013U (zh) 电磁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