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2243B1 -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243B1
KR100812243B1 KR1020060121602A KR20060121602A KR100812243B1 KR 100812243 B1 KR100812243 B1 KR 100812243B1 KR 1020060121602 A KR1020060121602 A KR 1020060121602A KR 20060121602 A KR20060121602 A KR 20060121602A KR 100812243 B1 KR100812243 B1 KR 10081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rmwork
basement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용
이종학
Original Assignee
송기용
이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용, 이종학 filed Critical 송기용
Priority to KR102006012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24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거푸집을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매달아 지지함으로 벽체거푸집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별도 가설 지지대 없이도 측압에 저항하면서 벽체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게 된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거푸집을 단위크기의 거푸집패널로 구성하면서 거푸집패널 상호 간의 긴결에 지하 흙막이벽에 고정 정착되는 매입형 연결지지체를 이용함으로 매입형 연결지지체가 패스너로서 역할하게 하여 벽체거푸집을 커튼월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벽체거푸집의 연결부위는 콘크리트 측압에 가장 취약할 것인데 이러한 취약부분을 매입형 연결지지체를 통해 지하 흙막이벽과 연결 구속하도록 함으로 연결부분에 가해지는 측압이 매입형 연결지지체를 통해 지하 흙막이벽으로 전달되는 바, 거푸집패널의 연결부분은 측압에 대한 저항력을 오히려 강화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별도의 가설 지지대 설치 없이도 벽체거푸집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을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합벽, 거푸집, 커튼월, 지지

Description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Self-surporting form system for constructing concrete walls}
도 1은 종래의 거푸집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지하 흙막이벽 110: 필러
200: 벽체거푸집 230: 긴결핀
300: 매입형 연결지지체 310: 앵커
320: 타이볼트 330: 수평프레임
340: 타이프레임 350: 연결프레임
360: 타이핀 400: 보강지지바
본 발명은 지하 흙막이벽과 지하 외벽이 일체화되는 지하 합벽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함에 벽체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거푸집을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매달아 지지함으로 벽체거푸집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별도 가설 지지대 없이도 측압에 저항하면서 벽체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게 된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건축물은 H-Beam+토류판, CIP(Cast in-Place Pile), SCW(Soil Cement Wall) 등과 같은 주열식 흙막이벽을 시공한 후 흙막이벽 내측을 터파기하여 구조체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데, 도심지 공사에서는 터파기 여유공간이 없기 때문에 지하 외벽을 지하 흙막이벽에 일체화시키는 합벽 시공이 많이 이루어진다.
합벽 시공은 지하 흙막이벽에 대향하도록 벽체거푸집을 설치한 후 벽체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되기 마련이다. 이 경우 벽체거푸집은 콘크리트의 측압을 저항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벽체거푸집의 지지를 별도 지지대를 마련하여 콘크리트 측압을 저항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거푸집 지지대는 추가적인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을 요구하므로 전체 공사에서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지하 흙막이벽과 지하 외벽이 일체화되는 지하 합벽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함에 벽체거푸집을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매달아 지지함으로 벽체거푸집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별도 가설 지지대 없이도 측압에 저항하면서 벽체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게 된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 흙막이벽이 균일하게 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지하 합벽 시공시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벽체면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한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 기존의 유로폼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한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지하 흙막이벽과 지하 외벽이 일체화되는 지하 합벽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함에 벽체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로서,
지하 흙막이벽; 거푸집널부와 테두리부로 구분되는 단위크기의 거푸집패널 다수개를 수직수평으로 테두리부를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호 연결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지하 흙막이벽에 이격하여 대향 설치되는 벽체거푸집; 및,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에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거푸집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긴결되도록 설치되는 매입형 연결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입형 연결지지체가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상기 벽체거푸집을 매달아 지지함으로 벽체거푸집의 하중이 지하 흙막이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는 지하 흙막이벽(100)에 이격하여 대향 설치되는 벽체거푸집(200)을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매달아 지지함으로 벽체거푸집(200)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100)으로 전달케 하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하 흙막이벽(100); 거푸집널부와 테두리부로 구분되는 단위크기의 거푸집패널 다수개를 수직수평으로 테두리부를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호 연결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이격하여 대향 설치되는 벽체거푸집(200); 및,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긴결되도록 설치되는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를 포함하여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즉, 벽체거푸집(200)을 단위크기의 거푸집패널로 구성하면서 거푸집패널 상 호 간의 긴결에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는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를 이용함으로 매입형 연결지지체(300)가 패스너로서 역할하게 하여 벽체거푸집(200)을 커튼월로 설치한 것이다. 다시 말해, 벽체거푸집(200)의 연결부위는 콘크리트 측압에 가장 취약할 것인데 이러한 취약부분을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를 통해 지하 흙막이벽(100)과 연결 구속하도록 함으로 연결부분에 가해지는 측압이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를 통해 지하 흙막이벽(100)으로 전달되는 바, 거푸집패널의 연결부분은 측압에 대한 저항력이 오히려 강화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별도의 가설 지지대 설치 없이도 벽체거푸집(200)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측압을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는 구조계산을 통해 콘크리트 측압을 저항할 수 있도록 단면크기 및 두께를 결정하게 되며, 이때 재료로는 강재 또는 FRP소재를 채택함이 바람직하겠다.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는 벽체거푸집(2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압 및 측압을 저감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후에는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지하 합벽의 내력을 보강하는 보강재로서 역할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실시예들은 매입형 연결지지체(300)의 구체적인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데, 각 실시예에 따라 균일하지 못한 지하 흙막이벽(100)의 시공오차를 흡수하는 방법을 달리한다. 다만, 각 실시예들은 벽체거푸집(200) 의 거푸집패널 테두리부에 결합구멍이 형성되면서 매입형 연결지지체(300)에서 거푸집패널 테두리부에 긴결되는 긴결부에 결합구멍이 형성되도록 마련하고, 이들 결합구멍에 동시에 긴결핀(230)을 꽂음으로 매입형 연결지지체(300)와 벽체거푸집(200)을 긴결시킨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도 2 및 도 3의 거푸집 지지구조는 앵커(310)와 타이볼트(320)로 구성된 매입형 연결지지체(300)가 적용된 예로서, 지하 흙막이벽(100)의 시공오차를 앵커(310)와 타이볼트(320)의 나사결합정도로서 흡수하도록 한 경우이다.
앵커(310)는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는 구성이며, 도 2(a)에서는 양쪽으로 고정날개(311)를 구비하면서 중앙에 암나사(312)가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고정핀으로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하도록 한 예를 보여준다. 타이볼트(320)는 상기 앵커(310)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결합부(322)와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긴결되는 긴결부(321)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도 2(a)에서는 나사결합부(322)가 수나사로 형성되면서 긴결부(321)가 결합구멍이 마련된 얇은 평판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특히, 긴결부(321)는 거푸집 해체시 제거되므로, 긴결부(321)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긴결부(321) 선단에 제거홈을 마련하고 있다.
도 2에서는 타이볼트(320)에 수직으로 세워진 보강지지바(400)가 더 긴결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보강지지바(400)는 타이볼트(32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합벽 내부에 배근되는 주철근을 보 강지지바(400)로 하여 긴결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도 4의 거푸집 지지구조는 수평프레임(330)과 타이프레임(340)으로 구성된 매입형 연결지지체(300)가 적용된 예로서, 지하 흙막이벽(100)의 시공오차를 수평프레임(330)의 설치로서 흡수하도록 한 경우이다.
수평프레임(330)은 지하 흙막이벽(100)에 나란하게 고정 정착되는 수평부재로 상기 벽체거푸집(200)과의 수평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되며, 도 4(a)에서는 고정핀으로 수평프레임(330)을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하면서 필러(110)를 적절하게 이용하여 벽체거푸집(200)과의 수평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예를 보여준다. 타이프레임(340)은 수평프레임(330)에 고정되는 고정부(342)와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긴결되는 긴결부(341)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도 4(a)에서는 고정부(342)가 수평프레임(330)에 맞닿도록 고정날개로 형성되면서 긴결부(341)가 결합구멍이 마련된 얇은 평판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4의 실시예에서도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타이프레임(340)에 보강지지바(400)를 더 긴결 설치할 수 있다.
도 5의 거푸집 지지구조는 연결프레임(350)과 타이핀(360)으로 구성된 매입형 연결지지체(300)가 적용된 예로서, 지하 흙막이벽(100)의 시공오차를 연결프레임(350)과 타이핀(360)의 결합정도로서 흡수하도록 한 경우이다.
연결프레임(350)은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면서 타단이 벽체거푸집(200)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 슬롯홀(352)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5에서는 연결프레임(350)이 고정날개(351)를 구비하도록 마련되어 고정핀으로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는 예를 보여준다. 타이핀(360)은 슬롯홀(36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350)의 타단에 핀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긴결되는 긴결부(361)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도 5(a)에서는 타이핀(360)으로 얇을 띠형상의 부재를 마련하여 후단에 결합구멍을 형성시켜 긴결부(361)를 형성시킨 예를 보여준다. 특히, 타이핀(360)은 도 5(a)에서와 같이 연장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프레임(350)과 타이핀(360)은 그 핀결합위치를 적절히 조절함으로 타이핀(360)과 긴결하는 벽체거푸집(200)을 균일하게 설치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의 실시예에서도 도 2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타이프레임(340)에 보강지지바(400)를 더 긴결 설치할 수 있다.
도 6의 거푸집 지지구조는 연결프레임(350), 수평프레임(330) 및 타이핀(360)으로 구성된 매입형 연결지지체(300)가 적용된 예로서, 지하 흙막이벽(100)의 시공오차를 수평프레임(330)과 타이핀(360)의 결합정도로서 흡수하도록 한 경우이다. 도 6의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수평프레임(33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수평프레임(330)은 연결프레임(350)의 사용개수를 줄이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즉, 도 5의 실시예는 타이핀(360)을 연결프레 임(350)에 직접 결합하므로 타이핀(360)의 수만큼 연결프레임(350)을 구비해야 할 것이데 반해 도 6의 실시예는 타이핀(360)을 수평프레임(330)을 매개로 연결프레임(350)에 결합하게 되므로 타이핀(360)의 수와 무관하게 연결프레임(350)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결프레임(350)은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면서 타단이 벽체거푸집(200)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수평프레임(330)을 상기 연결프레임(350)에 고정 정착되는 수평부재로 상기 벽체거푸집(200)과의 수평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벽체거푸집(200)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타이핀(360)은 상기 수평프레임(330)에 결합하면서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 긴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지하 흙막이벽과 지하 외벽이 일체화되는 지하 합벽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함에 벽체거푸집을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매달아 지지함으로 벽체거푸집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어 별도 가설 지지대 없이도 측압에 저항하면서 벽체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이 기대된다.
둘째, 지하 흙막이벽이 균일하게 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지하 합벽 시공시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시공오차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벽체면을 균일하게 완성할 수 있다.
셋째, 일정 규격으로 제작된 기존의 유로폼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자재 활용도면에서 유리하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지하 흙막이벽(100)과 지하 외벽이 일체화되는 지하 합벽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함에 벽체거푸집(200)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로서,
    지하 흙막이벽(100);
    거푸집널부와 테두리부로 구분되는 단위크기의 거푸집패널 다수개를 수직수평으로 테두리부를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호 연결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이격하여 대향 설치되는 벽체거푸집(200); 및,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긴결되도록 설치되는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는,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상기 벽체거푸집(200)을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벽체거푸집(200)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1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나란하게 고정 정착되는 수평부재로 상기 벽체거푸집(200)과의 수평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프레임(330);과, 상기 수평프레임(330)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긴결되는 긴결부를 가지는 타이프레임(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4. 지하 흙막이벽(100)과 지하 외벽이 일체화되는 지하 합벽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함에 벽체거푸집(200)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로서,
    지하 흙막이벽(100);
    거푸집널부와 테두리부로 구분되는 단위크기의 거푸집패널 다수개를 수직수평으로 테두리부를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호 연결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이격하여 대향 설치되는 벽체거푸집(200); 및,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긴결되도록 설치되는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는,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상기 벽체거푸집(200)을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벽체거푸집(200)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1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면서 타단이 벽체거푸집(200)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 슬롯홀이 형성된 연결프레임(350);과, 슬롯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350)의 타단에 핀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긴결되는 긴결부를 가지는 타이핀(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5. 지하 흙막이벽(100)과 지하 외벽이 일체화되는 지하 합벽을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시공함에 벽체거푸집(200)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지지구조로서,
    지하 흙막이벽(100);
    거푸집널부와 테두리부로 구분되는 단위크기의 거푸집패널 다수개를 수직수평으로 테두리부를 겹치도록 배치하여 상호 연결 설치된 것으로,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이격하여 대향 설치되는 벽체거푸집(200); 및,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거푸집패널 상호 간을 연결하면서 긴결되도록 설치되는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매입형 연결지지체(300)는 커튼월 지지방식으로 상기 벽체거푸집(200)을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벽체거푸집(200)의 하중을 지하 흙막이벽(1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지하 흙막이벽(100)에 고정 정착되면서 타단이 벽체거푸집(200)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프레임(350); 상기 연결프레임(350)에 고정 정착되는 수평부재로 상기 벽체거푸집(200)과의 수평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벽체거푸집(200)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330); 및, 상기 수평프레임(330)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벽체거푸집(200)의 거푸집패널에서 겹쳐진 테두리부 사이에 배치되어 긴결되는 긴결부를 가지는 타이핀(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타이프레임(340) 또는 연결프레임(350)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보강지지바(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KR1020060121602A 2006-12-04 2006-12-04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81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02A KR100812243B1 (ko) 2006-12-04 2006-12-04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602A KR100812243B1 (ko) 2006-12-04 2006-12-04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243B1 true KR100812243B1 (ko) 2008-03-10

Family

ID=3939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6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2243B1 (ko) 2006-12-04 2006-12-04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2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6995A (zh) * 2015-09-02 2016-01-20 山东科技大学 一种剪力墙结构变形缝内侧模板加固装置及施工方法
CN107893529A (zh) * 2017-11-28 2018-04-10 中建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适用于深基坑地下室外墙pc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KR20200031790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알지엘텍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시공방법
KR20200040518A (ko)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알지엘텍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자립형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시공방법
CN113605447A (zh) * 2021-08-26 2021-11-05 陕西建工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一种下穿地道钢木组合式单边支模体系结构及其施工方法
CN116104304A (zh) * 2022-12-19 2023-05-12 中国建筑工程(澳门)有限公司 一种外墙单侧模板支护结构及支模方法
CN117328663A (zh) * 2023-08-31 2024-01-02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单侧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14U (ko) * 1996-09-06 1998-06-25 김형수 거푸집고정용 앵커(An ANCHER FOR FIXING FLASH BOARD)
KR200320198Y1 (ko) 2003-04-04 2003-07-16 배용웅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339367Y1 (ko) 2003-09-16 2004-01-31 박대수 토류벽막이용 거푸집고정구
KR200342710Y1 (ko) 2003-11-05 2004-02-21 심정란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체결부재
KR200402917Y1 (ko) 2005-09-05 2005-12-08 윤안구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14U (ko) * 1996-09-06 1998-06-25 김형수 거푸집고정용 앵커(An ANCHER FOR FIXING FLASH BOARD)
KR200320198Y1 (ko) 2003-04-04 2003-07-16 배용웅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339367Y1 (ko) 2003-09-16 2004-01-31 박대수 토류벽막이용 거푸집고정구
KR200342710Y1 (ko) 2003-11-05 2004-02-21 심정란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체결부재
KR200402917Y1 (ko) 2005-09-05 2005-12-08 윤안구 거푸집용 간격유지 타이볼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56995A (zh) * 2015-09-02 2016-01-20 山东科技大学 一种剪力墙结构变形缝内侧模板加固装置及施工方法
CN105256995B (zh) * 2015-09-02 2017-03-08 山东科技大学 一种剪力墙结构变形缝内侧模板加固装置及施工方法
CN107893529A (zh) * 2017-11-28 2018-04-10 中建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适用于深基坑地下室外墙pc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CN107893529B (zh) * 2017-11-28 2023-03-28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适用于深基坑地下室外墙pc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KR20200031790A (ko) 2018-09-17 2020-03-25 주식회사 알지엘텍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시공방법
KR20200040518A (ko)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알지엘텍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자립형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지반보강 합벽식 rc옹벽의 시공방법
CN113605447A (zh) * 2021-08-26 2021-11-05 陕西建工机械施工集团有限公司 一种下穿地道钢木组合式单边支模体系结构及其施工方法
CN116104304A (zh) * 2022-12-19 2023-05-12 中国建筑工程(澳门)有限公司 一种外墙单侧模板支护结构及支模方法
CN117328663A (zh) * 2023-08-31 2024-01-02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单侧支模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243B1 (ko)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WO2010134731A9 (ko)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을 위해 채널에 의한 나뭇가지형 스틸프레임을 이용한 역타공법
CN101839061A (zh) 现浇混凝土圆弧外墙体单侧支模体系及其施工方法
US20130333318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CN204376349U (zh) 一种预制装配式转角井装置
KR101221970B1 (ko)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N114856181A (zh) 一种建筑浇筑模板支架及其施工方法
WO2015186969A1 (ko) 편평율이 작은 대단면 터널의 선형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20080100740A (ko)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CN208917848U (zh) 基坑支护结构
JP201816860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00113957A (ko)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0912574B1 (ko) 조립식 버팀보를 이용한 흙막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터파기 방법
CN217630116U (zh) 一种前置组装式止水后浇带
KR100462236B1 (ko) 구조물 외벽용 패널, 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외벽조립구조 및 구조물지하외벽 시공공법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CN214460446U (zh) 用于smw工法桩支护体系的加固结构
KR20160125671A (ko) 흙막이용 강관을 이용한 pc 벽체, 그 pc 벽체가 적용된 모듈식 지하구조물 및 그 pc 벽체의 연결방법
KR20090022451A (ko) 지하 벽체용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벽체의 건축 공법
KR102568888B1 (ko)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CN204570725U (zh) 装配叠合整体式管沟及其预制构件
KR102582018B1 (ko) 철골보 단부 매립형 테두리보를 이용한 철골보 역타공법
KR102682632B1 (ko) 기초 공사용 영구 거푸집
KR100485480B1 (ko) 다이아프램 벽 커넥팅 시스템
KR102482691B1 (ko) 스트럿 타이 보강재를 이용한 하부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