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1487B1 - 덕트리스 건조기 - Google Patents

덕트리스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487B1
KR100811487B1 KR1020070015003A KR20070015003A KR100811487B1 KR 100811487 B1 KR100811487 B1 KR 100811487B1 KR 1020070015003 A KR1020070015003 A KR 1020070015003A KR 20070015003 A KR20070015003 A KR 20070015003A KR 100811487 B1 KR100811487 B1 KR 10081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rum
air
hot a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조
안승표
송성호
위재혁
김양호
엄윤섭
정한용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1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8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DE112008000374T priority patent/DE112008000374T5/de
Priority to AU2008213226A priority patent/AU2008213226B2/en
Priority to PCT/KR2008/000712 priority patent/WO2008097017A1/en
Priority to US12/526,405 priority patent/US20100319213A1/en
Priority to AU2008215295A priority patent/AU2008215295B2/en
Priority to US12/526,884 priority patent/US20100126032A1/en
Priority to CN2008800049788A priority patent/CN101627156B/zh
Priority to DE112008000412.9T priority patent/DE112008000412B4/de
Priority to PCT/KR2008/000849 priority patent/WO20081000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덕트리스 건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며 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풍량에 따라 조절하는 열풍공급부와,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한다.
덕트리스 건조기, 히터용량, 노점온도, 물사용량

Description

덕트리스 건조기{DUCTLESS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덕트리스 건조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열풍공급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열풍공급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히터용량이 5400W인 경우 드럼입구에서의 공기온도 및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히터용량이 4600W인 경우 드럼입구에서의 공기온도 및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히터용량이 4150W인 경우 드럼입구에서의 공기온도 및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히터용량에 따른 건조성능을 비교한 도표,
도 9는 도 2의 열교환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제1지점과 제3지점에서의 습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도 9의 제1지점에서의 습공기의 노점온도와 제1열교환기를 빠져나가는 물의 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11: 도어
113: 푸트 114: 순환덕트
120: 드럼 131: 벨트
133: 팬 140, 170, 180: 열풍공급부
141: 가스밸브 143: 가스연소기
145: 열풍공급덕트 147: 열풍온도센서
171: 고정히터 173: 가변히터
181: 제1고정히터 183: 제2고정히터
185: 제3고정히터 200: 열교환부
210; 케이스 220: 제1열교환기
230: 제2열교환기 253, 255, 247: 공기온도센서
254, 256, 258: 습도센서
본 발명은 덕트리스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고 배기되는 습공기의 제습시 사용되는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건조기 내 풍량이 줄어들 경우 빈번하게 가스의 연소를 중단 또는 히터를 온 오프(on/off)시키는 것을 방지한 덕트리스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해서 건조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는 기기로서,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로 분류된다.
배기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드럼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를 필요로 하며, 특히 연소 생성물인 일산화탄소 등이 함께 배기되기 때문에 배기덕트를 실외까지 길게 연장하여 설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응축식 의류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부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다시 드럼으로 보내서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건조유동이 폐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기식 의류건조기와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단점을 극복한 것이 덕트리스 건조기인데, 덕트리스 건조기는 드럼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를 실외까지 길게 연장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부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다시 드럼으로 보내서 재순환시키지 않아도 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덕트리스 건조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스의 연소 또는 전기식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고온 건조한 상태로 드럼 내로 유입시키는데, 이때, 옷감 손상이나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이유로 건조기 내 풍량이 줄 어드는 경우, 빈번하게 가스의 연소를 중단하고 또는 히터를 온 오프(on/off)시키게 된다. 이럴 경우 옷감이나 건조기의 안전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덕트리스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고 배기되는 습공기속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열교환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열교환부는 핀과 이 핀 사이를 지나가는 튜브를 구비하며, 튜브에 습공기의 노점온도를 밑도는 물을 흘려 핀과 접촉하는 습공기를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다. 그러나, 물을 튜브에 공급할 때 습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물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더 이상 튜브로 물을 흘려보낼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특별한 제어 없이 튜브로 물을 계속 흘려 보내고 있어 물이 낭비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기 내 풍량이 줄어드는 경우 빈번하게 가스의 연소를 중단시키거나 또는 히터를 온 오프(on/off)시키는 것을 방지한 덕트리스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열교환부에 제습을 위해 사용되는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덕트리스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며, 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풍량에 따라 조절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며, 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풍량에 따라 조절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덕트리스 건조기의 평면도이다.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는 본체(110);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20); 드럼(120)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며, 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풍량에 따라 조절하는 열풍공급부(140); 및 드럼(120)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열교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의류를 드럼(120)으로 투입하기 위한 도어(111)가 설치되고, 하측에는 본체(110)를 지지하는 푸트(113)가 설치된다. 본체(110) 내부에는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벨트(131)와 덕트리스 건조기 내 공기의 송풍력을 제공하는 순환덕트(114) 내 설치된 팬(133)과 이러한 벨트(131)와 팬(13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5)가 설치된다. 모터(135)의 회전축에는 벨트(131)가 걸리는 풀리(137)가 설치된다. 여기서, 모터(135)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벨트(131)와 팬(133)에 각각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순환덕트(114)에는 드럼(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고온 고습의 공기 중 포함된 보풀이나 실밥 등과 같은 린트(Lint)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120)은 건조대상물인 의류 등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한 통으로 내부에는 의류를 들어올릴 수 있는 복수개의 리프터(121)가 설치된다.
상기 열풍공급부(140)는 가스를 공급 및 차단하는 가스밸브(141)와 가스밸브(141)에서 배기 된 가스를 외부로부터 제공된 공기와 혼합한 후 점화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스연소기(143)와, 발생 된 열풍이 드럼(120)에 공급되도록 가스연소기(143)와 드럼(120)을 연결하는 열풍공급덕트(145)와 드럼(120)으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풍온도센서(147);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풍공급부(140)에는 화염전류를 검출하여 이 화염전류의 수치를 통해 일산화탄소(CO)의 발생량을 간접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화염의 가장자리로 연장 설치되는 플레임로드(flame rod)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스연소기(143)는 가스밸브(141)에 연결되어 가스밸브(141)에서 배기된 가스와 외부공기를 혼합시켜 연소시킨 후 이때 발생하는 열로 공기를 가열한다. 이렇게 가열되어 발생된 열풍은 열풍공급덕트(145)를 통해 드럼(120)에 제공된다.
상기 열풍온도센서(147)는 열풍공급덕트(145)와 드럼(120)의 연결부(145a)에 설치된다. 물론, 열풍온도센서(147)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열풍공급덕트(145) 내에 설치할 수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열풍온도센서(147)로부터 측정되는 온도 값은 건조기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풍량이 줄어드는 경우, 예를 들어 필터에 Lint가 끼어 공기의 흐름을 막는 경우, 드럼 내 포가 너무 많아 공기의 흐름이 원할 하지 못한 경우, 외부로 연결되는 덕트의 막힘으로 건조기 내 풍량이 줄어드는 경우에는 드럼(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적정 온도 대(옷감 손상이나 화재를 위해 관리되는 온도)를 넘게 되어 옷감에 손상을 주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풍공급부(140)는 공기의 풍량에 따라 가스밸브(141)를 조절하여 가스연소기(143)에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한다. 즉, 풍량이 줄어들어 열풍온도센서(147)로부터 측정되는 온도 값이 적정 온도 대를 넘게 되면, 가스밸브(141)를 일부 또는 전부를 잠궈서 가스연소기(143)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이거나 차단한다. 이를 위해 가스밸브(141)는 가스 분사량을 민감하게 조절가능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빈번하게 가스의 연소를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드럼(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의 공급량을 줄여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로 인해, 옷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3은 도 2의 열풍공급부의 제1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열풍공급부의 제2변형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변형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70)는 고정히터(171)와 가 변히터(17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히터(171)는 히터용량의 50%를 차지하고 가변히터(173)는 히터용량의 0~50%까지를 차지하도록 조절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풍량에 아무런 문제가 없어 열풍온도센서(147, 도 1참조)에 의해 측정되는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정상범위에 있을 경우 히터용량이 100%가 되도록 한다. 즉, 히터용량이 50%인 고정히터(171)를 켜고, 가변히터(173)의 히터용량이 50%가 되도록 가변히터(173)를 풀(full)로 가동한다.
그러나, 풍량이 줄어들어 열풍온도센서(147, 도 1참조)에 의해 측정되는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정상범위를 넘을 경우 히터용량을 줄인다. 즉, 히터용량이 50%인 고정히터(171)를 켜고, 가변히터(173)의 히터용량이 50% 미만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로 인해,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의 공급량이 줄어들어 공기의 온도가 낮아져 옷감의 손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풍량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판단은 열풍온도센서(147, 도 1참조)에 의해 측정되는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건조를 시작한 후 기 설정된 최대 온도 값에 도달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가지고 판단한다. 즉, 그 시간이 짧아질수록 풍량이 줄어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변형예에 따른 열풍공급부(180)는 복수개의 고정히터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히터들은 히터용량이 50%인 제1고정히터(181)와 히 터용량이 30%인 제2고정히터(183)와, 히터용량이 20%인 제3고정히터(185)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풍량에 아무런 문제가 없어 열풍온도센서(147, 도 1참조)에 의해 측정되는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정상범위에 있을 경우에는 히터용량이 100%가 되도록 한다. 즉, 제1고정히터(181), 제2고정히터(183), 제3고정히터(185)를 모두 켠다.
그러나, 풍량이 줄어들어 열풍온도센서(147, 도 1참조)에 의해 측정되는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정상범위를 넘을 경우 히터용량을 줄인다. 즉, 제1고정히터(181), 제2고정히터(183), 제3고정히터(185)를 모두 끄던지 일부를 켜서 히터용량을 조절한다. 이로 인해,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의 공급량이 줄어들어 공기의 온도가 낮아져 옷감의 손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풍량이 줄어드는 것에 대한 판단은 제1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열풍온도센서(147, 도 1참조)로부터 측정되는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건조를 시작한 후 기 설정된 최대 온도 값에 이르는 시간을 가지고 한다. 즉, 그 시간이 짧아질수록 풍량이 줄어듦을 의미한다.
이하, 상술한 제1변형예와 제2변형예와 같이 히터용량을 가변할 수 있을 경우에 히터용량에 따른 히터의 온오프주기와 건조성능을 살펴보기로 하자.
도 5는 히터용량이 5400W인 경우 드럼입구에서의 공기온도 및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히터용량이 4600W인 경우 드럼입구에서의 공기 온도 및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히터용량이 4150W인 경우 드럼입구에서의 공기온도 및 히터의 온오프 주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히터용량에 따른 건조성능을 비교한 도표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히터용량이 5400W에서 대략 온오프 주기는 3분이고 공기의 온도는 225℃이나, 히터용량이 4150W에서 대략 온오프 주기는 대략 10분이고 공기의 온도는 215℃이다. 따라서, 히터용량이 작을수록 열풍온도센서(147, 도 1참조)로부터 측정되는 드럼(120, 도 1참조)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최고 온도대가 10~20℃ 이상 떨어지게 되고, 히터의 온오프 주기(ΔT)가 길어져 온오프 횟수가 줄어듬을 알 수 있다. 다만, 히터의 용량이 클수록 건조 초기 최고 온도에 이르는 시간(옷감의 건조가 실질적으로 활발히 일어나는 시간)이 줄어들어 건조시간을 줄이는 데에는 더욱 유리하다.
도 8을 참조하면, 건조기 내 풍량이 부족할 시, 히터의 용량을 줄이더라도 건조 성능의 주요 지표인 건조시간과 소비전력에 있어서는 성능 저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히터용량이 5400W에서 건조시간은 92.48분이고 소비전력은 5.398kwh인 반면, 히터용량이 4150W에서 건조시간은 90.78분이고 소비전력은 5.404kwh로 나타내므로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빈번하게 히터를 온오프시키지 않으면서 드럼(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의 공급량을 줄여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로 인해, 옷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도 2의 열교환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제1지 점(①)과 제3지점(③)에서의 습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도 9의 제1지점(①)에서의 습공기의 노점온도와 제1열교환기를 빠져나가는 물의 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굵은 화살표는 열교환부를 통과하는 습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얇은 화살표는 튜브를 지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부(200)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10); 케이스(210)내에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습공기의 노점온도를 계산하기 위한 공기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열교환기내를 흐르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센서(251); 및 열교환기내를 흐르는 물의 양을 계산된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수량밸브(2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응축과정에서 생성되어 낙하된 응축수를 채집하는 물받이(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를 포함한다. 물론, 열교환기는 필요에 따라 1개의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열교환기(220)는 핀(221)과 튜브(223)로 구성되며, 공기 대 물의 열교환방식으로 드럼(120)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습공기를 저온의 물에 의해 응축시켜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제1열교환기(220)는 드럼(120)과 연결된 순환덕트(114, 도 2참조)의 출구단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0, 도 1참조)의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핀(221)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박판으로 복수개의 박판이 서로 미세 간격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수직으로 접촉, 통과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튜브(223)는 내부에 저온(22℃)의 물이 순환하며, 핀(221)을 왕복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230)는 제1열교환기(220)와 마찬가지로 핀(231)과 튜브(233)로 구성되며, 공기 대 물의 열교환방식으로 제1열교환기(220)를 빠져나온 제습된 공기를 다시 한번 저온의 물에 의해 응축시켜 건조한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제2열교환기(230)는 배기덕트(161, 도 1참조)의 입구단에 위치하도록 케이스(210)의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핀(231)은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박판으로 복수개의 박판이 서로 미세 간격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수직으로 접촉, 통과하도록 적층된다.
상기 튜브(233)는 내부에 저온(22℃)의 물이 순환하며, 핀(231)을 왕복으로 관통한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220)의 튜브(223)과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는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의 중간지점에서 연결된다.
그리고,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의 입구(233a)와 제1열교환기(220)의 튜브(223)의 출구(223a)는 외부의 물 공급원과 연결된 물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물호스를 통해 제2열교환기(230)의 튜브(233)의 입구(233a)로 유입된 물은 수량밸브(240)와 튜브(233, 223)을 거쳐 제2열교환기(230)의 핀(231)과 제1열교환기(220)의 핀(221)을 냉각시킨 후, 제1열교환기(220)의 튜브(223)의 출구(223a)를 통해 물호스로 빠져나간다.
한편, 열교환부(200)에서 습공기를 제습하기 위해서는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를 지나가는 습공기의 상태량을 파악해야 한다.
즉, 습공기의 상태량을 파악해야만 제1열교환기(220)의 핀(221)과 제2열교환기(230)의 핀(221) 표면에서 수분이 응축될 수 있는 적절한 노점온도와 이에 상응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습공기의 상태량을 결정하는 인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자로는 계절에 따라 히터나 가스버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습도, 또한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수도물의 온도, 더불어 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드럼 내 옷감의 수분 함유량이 변화, 그리고 건조기가 설치되어 있는 주변 공기의 온습도라 하겠다.
따라서, 이 모든 것이 고려되는 제1열교환기(220)의 입구(이하, 제1지점(①))와 제1열교환기(220)와 제2열교환기(230)의 사이(이하, 제2지점(②))와, 제2열교환기(230)의 출구(이하, 제3지점(③))에서 습공기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면 능동적인 제어를 통해 수량을 조절하여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지점(①)에 공기온도센서(253)와 습도센서(254)가 설치되고, 제2지점(②)에 공기온도센서(255)와 습도센서(256)가 설치되고, 제3지점(③)에 공기온도센서(257)와 습도센서(258)이 설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RH_air_outlet은 제3지점(③)에서 습도센서(258)에 의해 측정된 습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내고, RH_air_inlet은 제1지점(①)에서 습도센 서(254)에 의해 측정된 습공기의 상대습도를 나타내고, T_air_inlet은 제1지점(①)에서 공기온도센서(253)에 의해 측정된 습공기의 온도를 나타내고, T_air_outlet은 제3지점(③)에서 공기온도센서(257)에 의해 측정된 습공기의 온도를 나타낸다.
이렇게 공기온도센서(253, 255, 257)와 습도센서(254, 256, 258)에 의해 측정된 습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볼트값으로 출력되며, 출력된 값은 미리 마이컴(미도시)에 내장되어 있는 연산식을 통해 제1지점(①), 제2지점(②), 제3지점(③)에서의 노점온도로 계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온도센서(253, 255, 257)와 습도센서(254, 256, 258)는 공기의 상태량을 알기 위해서 제1,2,3 지점에서의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또는 상대습도)에 관한 데이타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타로부터 마이컴(미도시)은 제1,2,3지점에서의 노점온도를 계산해 낸다.
상기 물온도센서(251)는 제1열교환기(220)를 빠져나와 제2열교환기(230)로 유입되는 튜브(223, 233)상에 설치되어 튜브(223, 233)를 흐르는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수량밸브(240)는 제2열교환기(230)를 지나는 튜브(233)의 입구(233a)에 설치되어 튜브(233)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열교환기(220)를 지나는 튜브(223)의 출구(223a)에도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이때, 수량밸브(240)는 개폐를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아나로그밸브인 것과 온오프(On/Off) 두개의 신호로 수량밸브(240)를 개폐하는 비교적 가격이 싼 디지털밸브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는 수량밸브(240)를 복수개로 사 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지점(①)에서 습공기의 노점온도(T_Dew_In_Hex1)보다 튜브(223)를 흐르는 물의 온도(T_Hex1_Out_Surf)가 낮기 때문에 제1교환기(220)의 핀(221) 전체에서 골고루 응축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럴 경우는 수량밸브(240)를 닫아 물이 더 이상 튜브(223)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물의 사용량을 절감한다.
만약, 물온도센서(251)에 의해 측정된 물의 온도가 계산된 노점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수량밸브(240)를 열어 물의 공급량을 늘려주어 제1열교환기(220)핀(221) 표면의 온도와 제2열교환기(230) 핀(221) 표면의 온도를 응축온도 이하로 낮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물의 사용량을 조절해 가면서 제1지점(①)에서 습공기의 노점온도 이하로 제1열교환기(220)의 핀(221) 표면의 온도를 유지시키고, 제2지점(②)에서의 습공기의 노점온도 이하로 제2열교환기(230)의 핀 표면의 온도를 유지시켜서 열교환기의 효율을 최대한 사용하면서 물의 사용량을 절감한다.
한편,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보다 간단하고 적은 비용으로 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도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아무런 제어 없이 건조기가 냉각상태일 때는, 수량밸브(240)를 완전히 닫아버려 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교환부(20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직접 받아, 몇 가지 기 계산된(제품 개발 시, 실험 등으로 산정되어 있는) 온도 범위별로 수개의 단계별로 밸브를 조절하여 물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기존 건조기의 건조도 판단을 위해 쓰이는 전극센서 또는 습도센서의 신호를 분석해 건조 말기 즈음, 즉, 그래프가 급격히 꺽이기 시작하는 때를 기점으로 수량을 의도적으로 줄이거나 중단함으로써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는 습기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덕트리스 건조기에 의하면,
첫째, 풍량이 줄어들어 열풍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 값이 적정 온도 대를 넘게 되면 가스밸브를 일부 또는 전부를 잠궈서 가스연소기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줄이거나 차단한다. 이로 인해, 빈번하게 가스의 연소를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의 공급량을 줄여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옷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둘째, 풍량이 줄어들어 열풍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 값이 적정 온도 대를 넘게 되면 히터용량을 가변한다. 이로 인해, 빈번하게 히터를 온오프시키지 않으면서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열의 공급량을 줄여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옷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건조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셋째, 물의 사용량을 조절해 가면서 습공기의 노점온도 이하로 열교환기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어, 열교환기의 효율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물의 사용량이 절감된다.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며, 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풍량에 따라 조절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2.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3.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제공하며, 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풍량에 따라 조절하는 열풍공급부; 및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습공기를 제습하며, 이를 제습하기 위한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공기와 가스를 혼합한 후 점화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스연소기;
    상기 가스연소기에 가스를 공급 및 차단하는 가스밸브;
    상기 가스연소기에 의해 발생 된 열풍을 상기 드럼으로 유도하는 열풍공급덕트; 및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풍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덕트리스 건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복수개의 고정히터들
    상기 고정히터들에 의해 발생 된 열풍을 상기 드럼으로 유도하는 열풍공급덕트; 및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풍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고정히터;
    적어도 하나의 가변히터;
    상기 고정히터 및 가변히터로 인해 발생 된 열풍을 상기 드럼으로 유도하는 열풍공급덕트; 및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풍온도센서;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온도센서는,
    상기 열풍공급덕트와 상기 드럼의 연결부에 설치된 덕트리스 건조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가는 습공기의 노점온도를 계산하기 위한 공기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상기 열교환기내를 흐르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센서; 및
    상기 열교환기내를 흐르는 물의 양을 습공기의 노점온도와 물의 온도에 따라 조절하는 수량밸브;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빠져나온 공기가 유입되게 배치된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온도센서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입구,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사이,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된 덕트리스 건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센서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입구,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의 사이, 상기 제2열교환기의 출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된 덕트리스 건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는 복수개의 핀과 이를 통과하는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물온도센서는 상기 튜브를 흐르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덕트리스 건조기.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밸브는 아나로그밸브 또는 디지털밸브인 덕트리스 건조기.
  15.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밸브는 복수개인 덕트리스 건조기.
KR1020070015003A 2007-02-08 2007-02-13 덕트리스 건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003A KR100811487B1 (ko) 2007-02-13 2007-02-13 덕트리스 건조기
AU2008213226A AU2008213226B2 (en) 2007-02-08 2008-02-05 Hot air generating apparatus and dryer having the same
PCT/KR2008/000712 WO2008097017A1 (en) 2007-02-08 2008-02-05 Hot air generating apparatus and dryer having the same
US12/526,405 US20100319213A1 (en) 2007-02-08 2008-02-05 Hot air generating apparatus and dryer having the same
DE112008000374T DE112008000374T5 (de) 2007-02-08 2008-02-05 Heißluft-Erzeugungsvorrichtung und Trockner mit dieser
AU2008215295A AU2008215295B2 (en) 2007-02-13 2008-02-13 Ductless dryer
US12/526,884 US20100126032A1 (en) 2007-02-13 2008-02-13 Ductless dryer
CN2008800049788A CN101627156B (zh) 2007-02-13 2008-02-13 无管道烘干机
DE112008000412.9T DE112008000412B4 (de) 2007-02-13 2008-02-13 Traktfreier Trockner
PCT/KR2008/000849 WO2008100079A1 (en) 2007-02-13 2008-02-13 Ductless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003A KR100811487B1 (ko) 2007-02-13 2007-02-13 덕트리스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487B1 true KR100811487B1 (ko) 2008-03-07

Family

ID=39398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0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487B1 (ko) 2007-02-08 2007-02-13 덕트리스 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26032A1 (ko)
KR (1) KR100811487B1 (ko)
CN (1) CN101627156B (ko)
AU (1) AU2008215295B2 (ko)
DE (1) DE112008000412B4 (ko)
WO (1) WO200810007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698A3 (ko) * 2008-06-27 2010-03-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건조기의 가스밸브 제어방법
KR101513626B1 (ko) * 2008-09-17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49860B1 (ko) 2008-09-1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US11060226B2 (en) 2019-01-10 2021-07-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03B1 (ko) * 2002-11-26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건조 시간제어 방법
KR100925734B1 (ko) * 2007-08-06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0894471B1 (ko) * 2007-08-06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20110080620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277713A (zh) * 2010-06-10 2011-12-14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空气加热通道以及包含该通道的织物烘干设备
KR20120080947A (ko) * 2011-01-10 201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운전방법
CN102758343B (zh) * 2011-04-29 2016-08-03 林内株式会社 衣物干燥机
CN102829532B (zh) * 2012-07-13 2014-11-05 中国电器科学研究院有限公司 空调器房间量热计内室温湿度的自动调节系统及其方法
US9188993B2 (en) * 2012-11-02 2015-11-1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dew point in a building space
KR102057859B1 (ko) 2013-01-25 2019-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9297493B2 (en) 2014-05-13 2016-03-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with fire-resistant shielding
CN105483996A (zh) * 2014-09-18 2016-04-13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干衣机及其烘干方法
JP6683469B2 (ja) * 2015-12-16 2020-04-22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衣類乾燥機
CN107574643B (zh) * 2016-07-05 2020-12-2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根据加热器控制周期调节冷凝介质量的方法
TR202010344A2 (tr) * 2020-06-30 2022-01-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kurutma maki̇nesi̇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6499A (ja) 1989-02-06 1990-08-16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
KR100600585B1 (ko) 2005-01-18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6346A (en) * 1952-02-23 1955-04-19 Maytag Co Water spray condenser for clothes driers
US2813414A (en) * 1955-05-27 1957-11-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fabrics
US2800008A (en) * 1955-10-06 1957-07-23 Gen Electric Venting arrangement for clothes dryers and combination washerdryers
US3032887A (en) * 1958-05-02 1962-05-08 Gen Motors Corp Clothes drier
US2983129A (en) * 1960-07-25 1961-05-09 Gen Electric Combination washer dryer
US3099437A (en) * 1961-02-21 1963-07-30 Frederick S Bloom Temperature controlled forge furnace or the lik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3217788A (en) * 1962-03-27 1965-11-16 Svenska Flaektfabriken Ab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vidual adjustment of room temperature connected to a common primary air supply
US3249156A (en) * 1964-04-17 1966-05-03 Gen Electric Fin-on-tube type heat exchanger
US3612500A (en) * 1969-12-29 1971-10-12 Whirlpool Co Dryer control circuit
US4112590A (en) * 1975-07-02 1978-09-12 August Lepper, Maschinen- Und Apparatebau Gmbh Combined drum washer and drying arrangement
US4019533A (en) * 1975-07-17 1977-04-26 Digital Dynamics, Inc. Digital valve assembly
US4226026A (en) * 1979-03-16 1980-10-07 Whirlpool Corporation Dual energy input cycle for a dryer
US4546955A (en) * 1982-10-14 1985-10-15 Honeywell Inc. Two-stage solenoid valve
US4689896A (en) * 1983-12-15 1987-09-01 Narang Rajendra K Clothes dryer and laundry system
US4603489A (en) * 1984-10-05 1986-08-05 Michael Goldberg Heat pump closed loop drying
GB2175685B (en) * 1985-05-30 1989-07-05 Aisin Seiki Heat exchange arrangements.
EP0356689A1 (en) * 1988-08-10 1990-03-07 Hitachi, Ltd. Clothes dryer
EP0481442B1 (en) * 1990-10-16 1995-08-23 Sharp Kabushiki Kaisha Tumbler type washing/drying machine
JP3004455B2 (ja) * 1992-03-27 2000-01-31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JPH05277294A (ja) * 1992-03-31 1993-10-26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CA2185382C (en) * 1996-09-12 2005-06-14 Robert St. Louis Clothes dry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3346993B2 (ja) * 1996-09-13 2002-11-18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IT1321228B1 (it) * 2000-06-06 2003-12-31 Donini Internat S P A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i sicurezza del ciclo di asciugamentoin macchine lavasecco a idrocarburi e apparecchiatura relativa
KR100662768B1 (ko) * 2001-01-20 2007-01-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식 건조기의 건조정도 감지 장치 및 방법
US6484417B2 (en) * 2001-02-02 2002-11-26 Wenger Manufacturing, Inc. Dryer apparatus and dryer control system
CN2479048Y (zh) * 2001-02-23 2002-02-27 广东万家乐燃气具有限公司 一种全自动干衣机
JP3861667B2 (ja) * 2001-11-21 2006-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US6474086B1 (en) * 2002-01-03 2002-11-05 Wen-Jie Liu Air conditioner having functions of fire preventing, smoke exhausting and water spraying
DE60319472T2 (de) * 2002-01-11 2009-04-02 Lg Electronics Inc. Eine Waschmaschine und ein Trockner mit einem verbesserten Kondensationskanal
KR20040023997A (ko) * 2002-09-12 200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용 가스연소장치의 가이드펀넬과 인렛덕트와의조립구조
JP4311115B2 (ja) * 2002-09-17 2009-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JP2004116899A (ja) * 2002-09-26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US6751888B2 (en) * 2002-09-26 2004-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adaptive heater control
US7191543B2 (en) * 2003-04-02 2007-03-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y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JP2004337519A (ja) * 2003-05-19 2004-12-02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衣類乾燥機
US7005618B2 (en) * 2003-06-27 2006-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KR100935433B1 (ko) * 2003-09-29 2010-01-06 셀프 프로펠드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스페셜리스츠, 엘엘씨 히트 펌프 의류 건조 장치
DE102004020365B3 (de) * 2004-04-23 2005-12-01 Rational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Leistung eines gasbetriebenen Gargerätes in Abhängigkeit von der geodätischen Höhe
US7908766B2 (en) * 2004-12-06 2011-03-22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EP2891742B1 (en) * 2004-12-06 2017-03-08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KR100652772B1 (ko) * 2004-12-09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의류 건조기 및 건조 방법
KR101226822B1 (ko) * 2005-03-17 201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JP4783125B2 (ja) * 2005-11-17 2011-09-28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DE112008000374T5 (de) * 2007-02-08 2010-03-11 Lg Electronics Inc. Heißluft-Erzeugungsvorrichtung und Trockner mit dieser
KR100806111B1 (ko) * 2007-02-23 200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KR100894471B1 (ko) * 2007-08-06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0925734B1 (ko) * 2007-08-06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US9134067B2 (en) * 2007-09-0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100925739B1 (ko) * 2007-09-1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6499A (ja) 1989-02-06 1990-08-16 Sanyo Electric Co Ltd 衣類乾燥機
KR100600585B1 (ko) 2005-01-18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698A3 (ko) * 2008-06-27 2010-03-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건조기의 가스밸브 제어방법
CN102066648B (zh) * 2008-06-27 2012-10-03 大宇电子株式会社 烘干机的气阀控制方法
EP2325380A4 (en) * 2008-06-27 2013-05-29 Daewoo Electronics Corp METHOD FOR CONTROLLING THE GAS VALVE OF A DRYER
KR101549860B1 (ko) 2008-09-1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KR101513626B1 (ko) * 2008-09-17 201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11060226B2 (en) 2019-01-10 2021-07-1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15295A1 (en) 2008-08-21
US20100126032A1 (en) 2010-05-27
WO2008100079A1 (en) 2008-08-21
CN101627156A (zh) 2010-01-13
CN101627156B (zh) 2012-01-11
DE112008000412B4 (de) 2014-07-31
DE112008000412T5 (de) 2009-12-03
AU2008215295B2 (en)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1487B1 (ko) 덕트리스 건조기
KR100925734B1 (ko) 의류 건조기
KR100925738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101224053B1 (ko) 히트펌프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CN101903587B (zh) 带有湿气确定装置的洗涤物干燥设备和用于使洗涤物干燥设备运行的方法
KR100806111B1 (ko) 덕트리스 건조기
JP2011092785A (ja) ダクトレス乾燥機
JPH07178289A (ja) 衣類乾燥機
US20140137429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ot air supply devic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US8991068B2 (en) Energy efficient cycle for clothes dryer
KR100894471B1 (ko) 의류 건조기
AU2008213226B2 (en) Hot air generating apparatus and dryer having the same
KR20080074380A (ko) 열풍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KR100577248B1 (ko) 건조장치 및 건조장치의 건조행정 제어방법
KR100662478B1 (ko) 의류 건조기
KR101176087B1 (ko) 건조기
KR20080075718A (ko) 덕트리스 건조기
KR20080051878A (ko) 건조기
KR101474458B1 (ko) 덕트리스 건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