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11110B1 -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110B1
KR100811110B1 KR1020070017272A KR20070017272A KR100811110B1 KR 100811110 B1 KR100811110 B1 KR 100811110B1 KR 1020070017272 A KR1020070017272 A KR 1020070017272A KR 20070017272 A KR20070017272 A KR 20070017272A KR 100811110 B1 KR100811110 B1 KR 100811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lipoic acid
water
feed
immun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준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Priority to KR102007001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1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상기의 사료첨가제를 사용하여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아미노산 및 잔량으로서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캡슐화 된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상기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어류에 투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수분산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어류의 사료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 일정구역 내의 수많은 어류에 골고루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물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어류의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매우 크며, 특히 이리도 바이러스 및 원인 모를 질병발생에 대한 예방 효과가 매우 탁월하여 바이러스에 의해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는 양식 어민들에게 큰 도움를 줄 수 있다.
α-리포산, 수분산성, 어류, 면역력, 이리도바이러스

Description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Feed additive containing alpha-lipoic acid capsule composition stabilized in water phase for increasing immunity of fish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상기의 사료첨가제를 사용하여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아미노산 및 잔량으로서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캡슐화 된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상기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어류에 투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α-리포산은 티옥트산(thioctic acid), 6,8-디티옥탄산, 또는 1,2-디에틸렌-3 펜타노산등의 다양한 이름을 갖는 것으로 1951년에 L. J 리드(L.J. Reed) 등이 미량 성분을 간에서 결정 분리하여 알파-리포산으로 명명한 이후 합성에 의해 구조가 확립되었다.
α-리포산은 식물 및 동물세포에서 R 에난시오머 형태로 저농도의 천연 생성물로 생성된다. 원래 생장 인자로 발견된 α-리포산의 친수성 및 친지성매질에서의 생리학적 작용은 예를 들어 피루베이트와 같이α-케토 카복실산의 산화성 탈카복실화에서 코엔자임으로서 및 산화방지제로서이다. α-리포산은 비타민C, 비타민E, 글루타티온 및 코엔자임Q10 을 재생시키는 역할을 하고, 동물의 사료로 사용되는 경우 동물의 노화방지(PCT국제출원번호 PCT/US01/02713) 및 내추럴 킬러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기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PCT국제출원번호 PCT/US05/42805).
또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주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장품의 조성물뿐만 아니라 의약 조성물, 생활용품 등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그러나, α-리포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 및 분산성이 매우 낮아서 제제화에 어려움이 있고, 황 성분에 의한 고유취 및 일광에서의 티올(Thiol)로의 결합분리로 인한 변취 및 변색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 성능이 매우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의약, 식품, 화장품 등에서 충분한 양의 α-리포산을 활성물질(active ingredient)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제한되어있었다. 특히, α-리포산을 어류에 대한 활성물질로 사용하는 경우 α-리포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 및 분산성이 매우 낮아서, 일반적으로 사료 1톤당 100ppm 가량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을 감안할 때, α-리포산 결정 그 자체를 일정구역 내의 수많은 물고기에게 골고루 투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α-리포산의 낮은 안정성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활성이 감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어류의 인공종묘 생산기술 개발과 더불어 해산 어류의 양식산업이 급속히 발달 됨으로써 넙치, 조피볼락, 돌돔, 농어, 복어 등의 고급 어종이 주된 양식 대상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양식업의 급속한 신장으로 말미암아 우리나라의 연안해수를 포함한 주위환경은 어류질병의 주요한 병인성 바이러스인 헤르퍼스바이러(Herpersvirus), 버나바이러스(Birnavirus), 이리도바이러스(Iridovirus) 등에 의해 오염되어 있을 개연성 때문에 항상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발생의 위험을 안고 있으며, 이러한 병원체의 감염에 의해 어류 양식업은 심각한 피해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해마다 이리도바이러스(Iridovirus) 감염으로 인한 바이러스성 질병의 발생으로 수천만 마리의 돔류가 폐사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은 한 번 발생하면 치료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이 커서, 어촌 지역의 양식 어가에 막대한 경제적 타격을 주며 어족 자원 확보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돔류, 농어, 넙치 및 방어 등의 신장, 비장, 신경세포 또는 어류 면역 관련 세포에 감염하여 이들 감염 어류의 대량 폐사를 유발하는 이리도바이러스는 1997년 까지는 한국에서는 발생하지 않던 질병이었으나, 1998년 하절기에 남해안의 가두리 양식장의 돌돔의 대량 폐사가 발생하기 시작하여(Sohn et al. J. Fish Path, 13(2): 121 - 127, 2000), 현재까지 양식 어민들에게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명된 수분산성 α-리포산(PCT국제출원번호 PCT/KR2006/001574) 캡슐 조성물이 수분산된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용매를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캡슐화시킴으로써 물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분산성이 매우 높은 특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어류의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수분산성 α-리포산을 물에 희석하여 사료에 골고루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일정구역 내의 수많은 어류에 골고루 투여될 수 있고, 상기 사료첨가제를 어류에 투여한 결과, 상기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이 어류의 면역증강 효과 및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아미노산 및 잔량으로서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캡슐화 된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상기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어류에 투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α-리포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 및 분산성이 매우 낮아서 일정 구역의 물에 사는 어류에 골고루 공급하기가 매우 어렵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활성이 감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료첨가제로 사용되는 α-리포산 캡 슐 조성물은 수분산된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용매를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캡슐화시킴으로써 물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분산성이 매우 높은 특성이 있다.
본 발명은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상기의 사료첨가제를 사용하여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아미노산 및 잔량으로서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캡슐화 된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아미노산 및 잔량으로서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α-리포산 0.5~20.0중량%,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0.5~25.0중량%, 1종 이상의 아미노산 0.1~ 12.0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α-리포산은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20.0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α-리포산이 안정화될 수 있는 α-리포산의 양이 너무 적고, 20.0중량%을 초과할 경우 캡슐화되지 않은 α-리포산이 과량 수상에 잔존하게 되어 안정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온에서 친수성 용매, α-리포산, 자체 유화특성이 있는 수불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혼합물에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캡슐을 제조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상온에서 친수성 용매, α-리포산 및 자체 유화특성이 있는 수불용성 고분자, 양친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가하여 용해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의 혼합물에 아미노산을 혼합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수분산된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용매를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캡슐화시킴으로써, α-리포산이 물, 온도, 광선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효과적으 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 식품, 의약품에 적용할 때 함께 첨가되는 다른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부터 α-리포산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알파리포산을 자체 유화특성이 있는 수불용성 고분자에 캡슐화하고, 이를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는 수상에 분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한 알파리포산의 안정화 캡슐은 알파리포산이 고상에서 자체 유화특성이 있는 수불용성 고분자에 의하여 캡슐화되어 산소, 물, 빛 등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고, 고상에 포함된 일부의 알파리포산이 물에 용출되는 경우에 수상에서 이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어류의 면역 증강용 사료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α-리포산은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20.0 중량 %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α-리포산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료에 첨가하는 과정에서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희석하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이 너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어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잉어, 메기, 미꾸라지, 또는 역돔(틸라피아)을 포함하는 민물어종 또는 돌돔, 양만(뱀장어), 우럭(조피볼락), 전어, 숭어, 농어, 참돔, 감성돔, 황복, 새우, 민어, 다금바리, 능성어, 또는 꽃게를 포함하는 해수어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어류의 면역력은 어류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인 것이 바람직하고, 어류의 이리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료첨가제와 상기 사료의 혼합물을 어류에 투여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에 첨가되는 상기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사료 1톤 대비 150~2000mL의 양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료에 첨가되는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양을 사료을 기준으로 하여 ppm으로 환산하면 150 ~ 2000ppm 의 양이 된다(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밀도는 거의 1g/mL 에 가깝다).
일반적으로 물고기에게 투여되는 사료량을 고려해 볼 때,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양이 150ppm 미만인 경우 물고기당 투여되는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양이 너무 부족하고, 2000ppm 을 초과하는 경우 물고기당 투여되는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양이 너무 많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어류에 투여함에 있어서,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투여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한 가두리(한 가두리는 물고기 10,000 미를 의미한다.)에 대하여 50~20,000mg/일 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 가두리에 대하여 750~10,000mg/일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투여량이 한 가두리에 대하여 750~10,0000mg/일 인 경우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에 의한 어류의 면역증강 및 바이러스 예방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는 방법은,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킨 후 분무기나 혼합기(통돌이)를 이용하여 사료에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α-리포산은 물에 대한 용해도 및 분산성이 매우 낮아서 일정 구역의 물에 사는 어류에 골고루 공급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서 사료첨가제로 사용되는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수분산된 α-리포산,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용매를 혼합하여 α-리포산을 캡슐화시킴으로써 물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고 분산성이 매우 높은 특성이 있다. 상기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킨 후 분무기나 혼합기(통돌이)를 이용하여 사료에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방법으로 사료를 조성하고 상기의 사료를 물에 사는 어류에 공급함으로써, α-리포산을 어류에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이용한 현장 시험(Field Test)
실시예 1
1.5 중량% α-리포산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 10ml를 물 100ml에 희석하고 분무기를 이용하여 20kg의 사료에 분무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사료에 고루 도포 되게 하였다. 60,000미의 돌돔에 하루 3회의 횟수로 사료를 공급하였으며, 하루 3회 공급 중 1회는 상기 조성물이 포함된 사료를 공급하였다(시험군). 60,000미의 돌돔에 급이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상기 조성물이 미 포함된 사료를 하루 3회 공급하였다. 여기서 한 가두리당(한 가두리는 물고기 10,000 미를 의미한다.) 사료 공급 양은 회당 5kg이었다. 투여 기간은 9월7일부터 9월21일까지 총 15일간이었다.
실시예 2
1.5 중량% α-리포산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 40ml를 물 100ml에 희석하고 분무기를 이용하여 20kg의 사료에 분무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사료에 고루 도포 되게 하였다. 나머지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3
5.0 중량% α-리포산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 3ml를 물 100ml에 희석하고 분무기를 이용하여 20kg의 사료에 분무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사료에 고루 도포 되게 하였다. 나머지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실시예 4
5.0 중량% α-리포산을 함유하는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 12ml를 물 100ml에 희석하고 분무기를 이용하여 20kg의 사료에 분무하여 상기 조성물이 상기 사료에 고루 도포 되게 하였다. 나머지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1내지 4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실시예 1내지 4의 시험군의 최종 폐사율은 20~25% 로 나타났고, 반면 대조군의 최종 폐사율은 50~60%이었다. 또한, 어체중의 경우, 실시예 1내지 4의 시험군은 115~140g/마리 이었고, 반면 대조군은 100~110g/마리이었다.
상기 실험에서의 투여 기간은 상기 돌돔에 이리도 바이러스가 발병되는 기간으로서 이미 가두리에 이리도 바이러스 발병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한 폐사율은 주로 이리도 바이러스에 의한 폐사율로 간주 될 수 있다.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의 낮은 폐사율은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에 의해 바다 어류인 돌돔의 면역력이 현저히 증강되었음을 나타내며, 특히 이리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의 마리당 어체중이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어류의 면역력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식욕을 증강시키는 효과도 가지고 있어 어류의 사료첨가제로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대조군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에서 α-리포산의 중량% 1.5 1.5 5.0 5.0 0
사료 1톤당 α-리포산 캡슐 조성물 첨가량(mL) 500 2,000 150 600 0
가두리당 하루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투여량(mg/일) 2,500 10,000 750 3,000 0
최종 폐사율(%) 20 22 21 25 50~60
어체중량(g/마리) 130~140 115~135 117~141 125~140 100~110
실시예 5
100,000마리의 우럭(치어)에 대해 8월 23일부터 사료만을 공급하였고, 나머지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사료 공급 후 하루가 지난 8월 24일부터 원인 모를 폐사가 발생하였다. 옆 가두리에서 고온수 및 연쇄구균으로 인한 대량 폐사가 발생한 것으로 보아 혼합감염으로 추정되는 상황이었다.
폐사발생 2일이 지난 8월 25일 상기 조성물이 포함된 사료를 상기 공급방법에 의해 공급하였으며, 사료를 공급한 2일 뒤 폐사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다. 이처럼 원인이 불확실하거나 복합감염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투여가 어류의 항산화력 및 면역력 강화에 효과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630,000마리의 우럭(치어)에 대해 9월 12일부터 9월 15일까지 사료를 공급하였고, 나머지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10일 경과 후 시험군의 사료 섭취량은 대조군의 사료 섭취량에 비해 30~50% 증가(생사료 15kg 15~20개에서 20~30개로 증가)하였다. 사료 섭취량의 증가는 체중증가 및 성장촉진을 의미하기 때문에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투여가 어류에 성장촉진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7
100마리의 민물 어종인 비단잉어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나머지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였다. 육안 검사 결과, 대조군에서는 수차 및 어조와의 충돌에 의한 피부손상이 많이 관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군에서는 비단잉어의  피부 손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로 볼 때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어류의 피부 세포 내부의 항산화 기능 및 비타민-E 강화 효과를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실시예 7의 실험결과에 의할 때 상기 조성물이 해수어종 뿐만 아니라 민물어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수불용성 고분자 및 친수성 용매를 혼합하여 캡슐화 된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 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상기의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어류에 투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수분산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어류의 사료첨가제로 사용되는 경우 일정구역 내의 수많은 어류에 골고루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은 물에서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어류의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매우 크며, 특히 이리도 바이러스 및 원인 모를 질병발생에 대한 예방 효과가 매우 탁월하여 바이러스에 의해 많은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는 양식 어민들에게 큰 도움를 줄 수 있다.

Claims (10)

  1. α-리포산 0.5~20.0 중량%, 자체 유화 특성을 갖는 1종 이상의 수불용성 고분자 0.5~25.0 중량%, 1종이상의 아미노산 0.1~12.0중량%, 및 잔량으로서 물,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캡슐화 된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의 면역력은 어류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이리도 바이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4.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α-리포산 함량이 0.5~5.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5.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잉어, 메기, 미꾸라지, 및 역돔(틸라피아)을 포함하는 민물어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6.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는 돌돔, 양만(뱀장어), 우럭(조피볼락), 전어, 숭어, 농어, 참돔, 감성돔, 황복, 새우, 민어, 다금바리, 능성어, 및 꽃게를 포함하는 해수어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 증강용 사료첨가제.
  7. 제 1항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료첨가제와 상기 사료의 혼합물을 어류에 투여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에 첨가되는 상기 수분산성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의 양은 사료 1톤을 기준으로 150~2000p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가 첨가된 사료를 어류에 투여함에 있어서,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구성하는 α-리포산의 투여량이 한 가두리에 대하여 750~10,000mg/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는 방법은,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물에 희석시킨 후 분무기나 혼합기를 이용하여 사료에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방법.
KR1020070017272A 2007-02-21 2007-02-21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272A KR100811110B1 (ko) 2007-02-21 2007-02-21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272A KR100811110B1 (ko) 2007-02-21 2007-02-21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110B1 true KR100811110B1 (ko) 2008-03-06

Family

ID=39397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2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1110B1 (ko) 2007-02-21 2007-02-21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568A (ko) * 2007-08-06 2009-02-11 (주)바이오제닉스 코팅된 알파리포산 입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0083277A3 (en) * 2009-01-14 2011-01-06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improving hepatic and immune function in an animal
KR101425875B1 (ko) * 2013-08-26 2014-08-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의 체중 증가를 위한 α-리포산 함유 사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97503A1 (en) * 2018-04-10 2019-10-17 Dsm Ip Assets B.V. Use of alpha lipoic acid as a feed additive for aquatic anima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698A (en) 1994-12-20 1995-12-05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mposition for enhancing lipid production in skin
WO2000011968A1 (en) * 1998-09-01 2000-03-09 Sigma-Tau Healthscience S.P.A.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ACETYL L-CARNITINE AND α-LIPOIC ACID
KR20050092625A (ko) * 2004-03-16 2005-09-22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안정화된 egcg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8916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안정화된 egcg 캡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698A (en) 1994-12-20 1995-12-05 Elizabeth Arden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mposition for enhancing lipid production in skin
WO2000011968A1 (en) * 1998-09-01 2000-03-09 Sigma-Tau Healthscience S.P.A.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ACETYL L-CARNITINE AND α-LIPOIC ACID
KR20050092625A (ko) * 2004-03-16 2005-09-22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안정화된 egcg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8916A (ko) * 2004-09-30 2006-04-04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안정화된 egcg 캡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B. and NIMNI ME, 'Transdermal delivery of amino acids and antioxidants enhance collagen synthesis: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Connect. Tissue Res. 2005, Vol. 46, No. 4-5, pp. 251-257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568A (ko) * 2007-08-06 2009-02-11 (주)바이오제닉스 코팅된 알파리포산 입자,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0083277A3 (en) * 2009-01-14 2011-01-06 Hill's Pet Nutrition, Inc. Methods for improving hepatic and immune function in an animal
JP2012515211A (ja) * 2009-01-14 2012-07-05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動物において肝および免疫機能を向上させるための方法
RU2485797C2 (ru) * 2009-01-14 2013-06-27 Хилл'С Пет Ньютришн, Инк. Способы улучшения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печени и иммунной системы у животного
KR101425875B1 (ko) * 2013-08-26 2014-08-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가축의 체중 증가를 위한 α-리포산 함유 사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97503A1 (en) * 2018-04-10 2019-10-17 Dsm Ip Assets B.V. Use of alpha lipoic acid as a feed additive for aquatic animals
CN112118743A (zh) * 2018-04-10 2020-12-22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α硫辛酸作为水生动物饲料添加剂的用途
US12357006B2 (en) 2018-04-10 2025-07-15 Dsm Ip Assets B.V. Use of alpha lipoic acid as a feed additive for aquatic anim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16058B1 (en) Animal feed compositions of abscisic acid
DK178626B1 (en) Supplemented fish feed
WO2022063295A1 (zh) 一种用于提高水产养殖动物成活率的添加剂及其应用
KR100811110B1 (ko) 수분산성 α-리포산 캡슐 조성물을 함유하는 어류의 면역력증강용 사료첨가제 및 그 사용방법.
CN108883095A (zh) 鳞介类的微孢子虫的防除用组合物、及使用了该组合物的鳞介类的微孢子虫的防除方法
JP6855157B2 (ja) 水中動物用飼料、水中動物用発育向上剤、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養殖魚の飼育方法
KR20040097999A (ko) 어류용 사료 및 그의 용도
Ashraf et al. Natural feed supplements from crustacean processing side streams for improved growth of finfishes and crustaceans: a review
KR101735691B1 (ko) 유황을 포함하는 양식어류용 사료의 제조방법
RU2285399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мясной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молодняка свиней на откорме
CN107158009B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药物组合物
JP2010090106A (ja) 鯛類の疾病予防方法
EP1477181B1 (en) Method of stimulating growth and resistance to diseases of aquatic organisms
JP6141841B2 (ja) 甲殻類用飼料
CN107375305A (zh) 一种能够减少抗生素残留的鱼用药物组合物
CN107158010B (zh) 一种鱼药
JP2020158488A (ja) 産卵雌鶏に対するカンタキサンチンの使用
KR101970175B1 (ko) 아연성분이 함유된 활성액을 이용한 가금류 사육방법
JPH10225266A (ja) 魚類の飼育方法
CN107281195A (zh) 一种降低抗生素残留的水产养殖用药物组合物
RU2329659C1 (ru)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комбикормов
CN107212155B (zh) 一种用于鲤科家鱼养殖的药物组合物
Velasquez Utilization of Different Diet Formulations in Marine Species,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and Serum Osmolality of Yellowtail Snapper, Ocyurus Chrysurus, and Determination of Methionine Requirement in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Yang et al. Zinc Oxide Nanoparticles as Next-Generation Feed Additives: Bridging Antimicrobial Efficacy, Growth Promotion, and Sustainable Strategies in Animal Nutrition
KR20080058334A (ko) 가금 폐사 감소용 나타마이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