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357B1 -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9357B1 KR100809357B1 KR1020070128721A KR20070128721A KR100809357B1 KR 100809357 B1 KR100809357 B1 KR 100809357B1 KR 1020070128721 A KR1020070128721 A KR 1020070128721A KR 20070128721 A KR20070128721 A KR 20070128721A KR 100809357 B1 KR100809357 B1 KR 1008093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cam
- latch
- moved
- sl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래치의 인입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측면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일정한 경사각에 당접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접점스틱과, 상기 접점스틱의 타측은 1차 점접단부에 당접되어 1차 접점을 도통시키고 전기신호의 입력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캠과 상기 이동캠의 측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2차 접점단부를 도통시키는 돌출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for locking and releasing a door of a home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a slide moved from side to side by retracting a latch, and a protruding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protruding from the slide. The contact stick is moved up and down in contact with a certain inclination angl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stick is in contact with the primary contact point to conduct the primary contact and operate the solenoid op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It is composed of a moving cam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a protrusion and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side end of the mobile cam to conduct the secondary contact end.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의 삽입에 의해 슬라이드가 이동되면서 접점스틱이 이동되어 1차 접점이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접점으로 도어의 닫힘 여부를 알 수 있고, 솔레노이드의 동작으로 이동캠이 이동하여 2차 접점이 이루어져 가전제품이 동작하는 것으로, 내부의 구성이 간단하면서 확실한 접점에 의하여 가전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lide is moved by the insertion of the latch, the contact stick is moved to make the primary contact, and the primary contac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oor is closed, and the movement cam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The home contact is made of a car contact,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lfunction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revented by a reliable contact.
그리고, 이동캠의 연장축에 의해 슬라이드를 단속하여 래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이동캠을 강제적으로 복귀시켜 래치를 이탈시킬 수 있다.Then, the slide can be prevented by the extension shaft of the mobile cam to prevent the latch from being released, there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and the mobile cam can be forcibly returned in the emergency to release the latch.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전제품의 도어를 잠그고 해제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래치의 인입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측면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일정한 경사각에 당접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접점스틱과 상기 접점스틱의 타측은 1차 점접단부에 당접되어 1차 접점을 도통시키고 전기신호의 입력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캠과, 상기 이동캠의 측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2차 접점단부를 도통시키는 돌출부로 구성되며, 비상시에 이동캠을 강제적으로 복귀시키는 비상레버가 더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for locking and releasing a door of a home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a slide moved from side to side by retracting a latch,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lide and having a side surface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The contact stick which moves up and down in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of the protruding piec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stick are in contact with the primary contact point to conduct the primary contact and operate a solenoid oper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an electrical signal. It is composed of a mobile cam moved up and down by a projecting portion, and a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to the side end of the mobile cam to conduct a secondary contact end portion, an emergency lever forcibly returning the mobile cam in case of an emergency.
가전제품에서 도어의 닫힘에 의해 상기 가전제품을 동작시키도록 하는 접점 방법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다.Contact methods for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by closing the door in the home appliance is a well-known technique.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또는 닫힌 도어가 강제적인 열림을 방지하거나 가전제품이 동작중에 비정상적인 외압에 의해 도어가 열릴 경우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을 중지하는 장치도 많이 공지되어 있으며, 개발되어지고 있다.A device for detecting a closed state of a door or a device for preventing a door from being forcibly opened 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when the door is opened due to abnormal external pressure while the home appliance is in operation is well known and developed. .
가전제품 중에서, 특히 물을 사용하는 장치로 세탁기, 식기 세척기, 건조기 등이 있으며, 상기의 가전제품 등은 가전제품이 동작중일 때에는 도어가 개방되어서는 안되고, 만약 동작중일 경우 도어가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었다면 가전제품은 동작을 중지해야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Among household appliances, especially water-using devices, such as a washing machine, a dishwasher, a dryer, and the like, the above-mentioned appliances do not open when the appliance is in operation. Home appliances must be stopped to ensure user safety.
따라서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1차 접점을 도통하여 가전제품이 대기 상태로 전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전제품을 동작시키는 신호가 감지되면 도어는 개방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외부 압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도어가 개방되면 가전제품은 즉시 동작을 중지해야 한다.Therefore, if the door is closed and the home appliance is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by detecting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if the signal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is detect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door should not be opened. If the door is opened, the appliance should stop working immediately.
일반적인 가전제품의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가전제품을 대기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동작 신호에 의해 도어를 폐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door lock device of a general household appliance is configured to detect a closed state of the door to switch the household appliance to a standby state and close the door by an operation signal of the household appliance.
상기의 이러한 가전제품들은 많은 진동을 동반하기에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나, 가전제품이 동작중일 때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는 잔고장이 자주 발생한다. These home appliances are accompanied by a lot of vibration, the device that detect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or the devic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opening when the home appliance is in operation frequently occurs.
또한 이러한 장치는 내부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이 어려워 이상이 발견되면 수리가 난해한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uch a device has a complicated internal configuration and difficult to assemble, the problem is difficult to repair if an abnormality is foun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래치의 인입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슬라이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돌출되어 설치되고 측면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는 돌출편을 이용하여 상기 돌출편의 일정한 경사각을 따라 이동하는 접점스틱을 구성하고, 상기 접점스틱의 타측은 1차 접점단부와 당접되도록 하여 도어에 고정된 래치의 삽입에 따라 가전제품의 동작대기 상태를 설정하고,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캠과 상기 이동캠의 측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2차 접점단부를 도통시키는 돌출부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캠의 연장된 축을 구성하여 상기 연장된 축이 상기 슬라이드의 절곡된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e sticking to the left and right by a retracting of the latch and is installed to protrude on the slide and the side of the contact stick moving along the constant inclination angle of the protruding piece using a protruding piece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stick is in contact with the primary contact end to set the operation standby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latch fixed to the door, and the mobile cam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It is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side end of the mobile cam to conduct the secondary contact end to constitute a prolonged axis of the mobile cam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bent inside of the slide to secure the slide.
따라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에 의해 상기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Therefore, if the above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b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어락 잠금장치에 있어서,In the door lock lock,
동작 접점부(500)와 솔레노이드(300) 및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인가되는 솔레노이드 접점부(310)가 설치되며, 래치(20)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소정의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래치(20)가 인입되는 개구부와 연통되어 래치 인입구(120)가 구비되고 일면에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돌출 설치된 돌출편(110)을 구비한 슬라이드(300);와 상기 돌출편(110)의 일정한 경사각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되 상기 돌출편(110)의 일정한 경사각에 항상 당접되도록 탄성스프링(21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1차 접점단자(502)접촉되어 좌우의 이동에 의해 상기 1차 접점단자(502)와 1차 고정단자(501)가 단락되는 접점스틱(200);과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인입과 인출하는 플랜저(320)와 결합되어 상기 플랜저(320)의 동작의 의해 이동되는 이동캠(400);과 상기 이동캠(400)의 일측부에는 2차 접점단자(504)와 걸치도록 돌출된 걸림부(430)가 마련되어, 상기 래치(2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100)가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드(100)의 이동으로 돌출편(110)의 일정한 경사각에 당접되어 있는 접점스틱(200)이 탄성스프링(210)에 의해 밀려나 1차 접점단자(502)와 1차 고정단자(501)가 접속되고, 솔레노이드 접점부(310)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플랜저(320)가 작동하여 이동캠(400)의 이동으로 2차 접점단자(504)가 2차 고정단자(503)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contact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캠(400)의 후방에는 돌기(401)가 형성되고, 상기 돌 기(401)를 외접하는 홈이 마련되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캠(40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위치 고정캠(410);과 상기 위치 고정캠(410)의 일면과 하우징(10)의 일면은 토션 스프링(411)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410)은 일정한 힘 이하에서 회전을 방지해야 한다.Preferably, the
또한 상기 래치(20)의 삽입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드(100)의 소정으로 절곡된 내측으로 상기 이동캠(400)의 연장축(420)이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100)의 유동을 단속해야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가전제품의 동작중에 정전이 되거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동캠(400)을 강제적으로 복귀시켜 래치(20)를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캠(400)의 측 단부에 형성된 요홈(440)에 몸체가 끼워지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601)과 결합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끝단부는 손잡이(610)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610)는 가전제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비상레버(600)가 더 설치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or abnormality during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의 삽입에 의해 슬라이드가 이동되면서 접점스틱이 이동되어 1차 접점이 이루어지며, 상기 1차 접점으로 도어의 닫힘 여부를 알 수 있고, 솔레노이드의 동작으로 이동캠이 이동하여 2차 접점이 이루어져 가전제품이 동작하는 것으로, 내부의 구성이 간단하면서 확실한 접점에 의하여 가전제품의 오작 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lide is moved by the insertion of the latch, the contact stick is moved to make the primary contact, and the primary contac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oor is closed, and the movement cam moves by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The home contact is made by the car contact,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lfunction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revented by the reliable contact.
그리고, 이동캠의 연장축에 의해 슬라이드를 단속하여 래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상시에 이동캠을 강제적으로 복귀시켜 래치를 이탈시킬 수 있다.Then, the slide can be prevented by the extension shaft of the mobile cam to prevent the latch from being released, there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and the mobile cam can be forcibly returned in the emergency to release the latch.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나 동작되어 이동되는 각각의 장치는 도면의 좌,우, 상, 하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용이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함으로 이동되는 방향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어서는 아니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ach device that is operated and moved has been described as left, right, up, and d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movement for ease of explanation and easy understand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reduced.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and 2 respectively show a plan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동작 접점부(500)와 솔레노이드(300) 및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인가되는 솔레노이드 접점부(310)가 설치되며, 래치(20)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구비된 하우징(10)과A
소정의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래치(20)가 인입되는 개구부와 연통되어 래치 인입구(120)가 구비되고 일면에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돌출 설치된 돌출편(110) 을 구비한 슬라이드(300)와A
상기 돌출편(110)의 일정한 경사각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되 상기 돌출편(110)의 일정한 경사각에 항상 당접되도록 탄성스프링(210)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1차 접점단자(502)접촉되어 상하의 이동에 의해 상기 1차 접점단자(502)와 1차 고정단자(501)가 단락되는 접점스틱(200)과It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inclined angle of the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인입과 인출하는 플랜저(320)와 결합되어 상기 플랜저(320)의 동작의 의해 이동되는 이동캠(400)과The
상기 이동캠(400)의 일측부에는 2차 접점단자(504)와 걸치도록 돌출된 걸림부(430)가 마련된다.One side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이동캠(400)의 측 단부에 형성된 요홈(440)에 몸체가 끼워지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601)과 결합설치되되 상기 몸체의 끝단부는 손잡이(610)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610)는 가전제품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비상레버(600)를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body is fitted into the
래치(20)의 삽입에 의한 동작도를 살펴보면, 상기 래치(2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100)는 우측방향(도 1 참조)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드(100)의 상부에 돌출 설치된 돌출편(110)도 우측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110)의 일면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경사각에는 탄성 스프링(21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접점스틱(200)이 상기 일정한 경사각을 따라 이 동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diagram by the insertion of the
상기 접점스틱(200)의 타측은 동작 접점부(500)의 1차 접점단자(502)에 당접되어 있고, 상기 접점스틱(200)이 돌출편(110)의 경사각을 따라 상부측으로 밀리면 상기의 1차 접점단자(502)는 1차 고정단자(501)와 접촉하여 상기 1차 접점단자(502)와 1차 고정단자(501)는 도통한 상태가 된다.The other side of the
상기의 1차 접점단자(502)와 1차 고정단자(501)가 도통된 상태는 가전제품에서는 동작 대기 상태로 활용된다.The state where the
상기의 동작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동작신호를 솔레노이드 접점부(310)에 인가되고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기를 인가하여 플랜저(320)는 인출된다.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user's operation in the operation standby state, the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상기 플랜저(320)는 끝단부는 이동캠(40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랜저(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캠(400)은 상부측으로 밀려나게 된다.The end of the
상기 이동캠(400)의 측단면에는 걸림부(430)가 마련되며, 상기의 걸림부(430)는 2차 접점단자(504)와 당접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캠(400)의 상부측 이동으로 2차 접점단자(504)와 2차 고정단자(503)은 도통한 상태가 된다.A
상기에서 이동된 이동캠(400)은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The
따라서, 상기 이동캠(400)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Therefore, a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상기 이동캠(400)의 후방에는 돌기(401)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401)를 외접하는 홈이 마련되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캠(40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위치 고정캠(410)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 고정캠(410)의 일면과 하우징(10)의 일면은 토션 스프링(411)이 설치된다.A
이에 상기 고정캠(410)은 일정한 힘 이하 즉,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 이하에서는 상기 위치 고정캠(410)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첨부된 분해 사시도 및 작동도를 통하여 본 발명은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accompanying exploded perspective and operation views.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래치가 삽입되었을 경우의 작동도, 도 5는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었을 경우의 작동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operation when the latch is inserted, Figure 5 shows the operation when the solenoid is operated.
하우징(10)에는 동작 접점부(500)와 솔레노이드(300) 및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인가되는 솔레노이드 접점부(310)가 안착되는 구간이 설치되며, 래치(20)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마련된다.The
슬라이드(100)는 래치 인입부(120)로 래치(20)가 인입되면서 이동된다.The
상기 슬라이드(100)에는 소정의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래치(20)가 인입되는 개구부와 연통되어 래치 인입구(120)가 구비되고 일면에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며 돌출 설치된 돌출편(110)이 구비된다.The
상기 돌출편(110)의 일정한 경사각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되 상기 돌출편(110)의 일정한 경사각에 당접되는 접점스틱(200)이 탄성스프링(2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접점스틱(200)의 타측단부는 1차 접점단자(502)접촉되어 좌우의 이동에 의해 상기 1차 접점단자(502)와 1차 고정단자(501)가 단락된다.A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인입과 인출하는 플랜저(320)는 이동캠(400)과 결합되어 상기 플랜저(320)의 동작의 의해 상기 이동캠(400)은 작동한다.The
상기 이동캠(400)의 일측부에는 2차 접점단자(504)와 걸치도록 돌출된 걸림부(430)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430)는 2차 접점단자(504)와 당접되어 있어서 이동캠(4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2차 접점단자(504)는 2차 고정단자(503)와 접촉하거나 단락된다.One side portion of the
그리고, 가전제품의 동작중에 정전이 되거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동캠(400)을 강제적으로 복귀시켜 래치(20)를 이탈시키는 구성으로 비상레버에 대해서 설명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lever will be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ower failure or abnormality occur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reby forcibly returning the
상기 이동캠(400)의 측 단부에 형성된 요홈(440)을 구비하여 비상레버(600)의 몸체가 끼워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위치한 비상레버(600)의 끝단은 상기 요홈(440)에서 빠지지 않도록 일정한 턱을 구비하고 상기 턱은 하우징(10)의 측벽과 인장스프링(601)으로 결합된다.The body of the
상기 비상레버(600)의 타측 끝단은 상기 가전제품의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610)가 구성되나, 상기의 비상레버(600)는 자주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손잡이(610)는 되도록 숨겨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other end of the
상기 슬라이드(100)의 하부측에는 래치의 이탈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탄성 스프링(101)이 설치되나, 상기 탄성 스프링(101)은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 4는 래치(20)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래치(20)의 삽입에 의한 동작도를 살펴보면, 상기 래치(2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100)는 우측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드(100)의 상부에 돌출 설치된 돌출편(110)도 우측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110)의 일면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경사각에는 탄성 스프링(21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접점스틱(200)이 상기 일정한 경사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상기 접점스틱(200)의 타측은 동작 접점부(500)의 1차 접점단자(502)에 당접되어 있고, 상기 접점스틱(200)이 돌출편(110)의 경사각을 따라 상측으로 밀리면 상기의 1차 접점단자(502)는 1차 고정단자(501)와 접촉하여 상기 1차 접점단자(502)와 1차 고정단자(501)는 도통한 상태가 된다.The other side of the
도 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전제품이 동작된 상태에 따른 솔레노이드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동작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동작신호를 솔레노이드 접점부(310)에 인가되고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솔레노이드 코일에 전기를 인가하여 플랜저(320)는 인출된다.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olenoid according to a state in which a home appliance is operated by a user's operation is operated. When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a user's operation in a standby state, the
상기 플랜저(320)는 끝단부는 이동캠(400)과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랜저(3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이동캠(400)은 상측으로 밀려나게 된다.The end of the
상기 이동캠(400)의 측단면에는 걸림부(430)가 마련되며, 상기의 걸림부(430)는 2차 접점단자(504)와 당접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캠(400)의 상측 이동으로 2차 접점단자(504)와 2차 고정단자(503)은 도통한 상태가 된다.A locking
상기의 과정 이후에 가전제품은 사용자의 입력된 신호에 의해 작동을 하게 되는데, 정전 또는 가전제품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After the above process, the home appliance is operated by the user's input signal, which may be a power failure or an abnormality of the home appliance.
상기의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가전제품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인출 할 필요가 있으나 전원이 차단되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300)를 작동시킬 수 없다.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cut off the power and withdraw the contents inside the home appliance, but the
따라서 강제적으로 이동캠(400)을 복귀시켜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비상레버(600)의 당김동작으로 이루어진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cibly return the
상기의 비상레버(600)를 하부로 당기면 비상레버(600)의 턱에 의해 상기 이동캠(400)이 강제적으로 하부로 이동되고, 슬라이드(100)는 유동 가능상태가 되며, 비상레버(600)는 인장스프링(601)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When the
본 발명의 목적에 부응하기 위해 이동캠(400)의 동작으로 슬라이드(100)를 단속하는 구성을 살펴본다.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the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도 6과 도 7은 각각 이동캠의 연장축이 슬라이드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드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6 and 7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axis of the mobile cam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slide fixed respectively.
슬라이드(100)에는 일정한 절곡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의 이동으로 절곡에 따른 홈이 생성된다.The
상기의 홈에 이동캠(400)의 연장부(420)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100)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 7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An
상기의 내용을 역으로 설명하면, 래치(20)가 삽입되지 않아서 슬라이드(100)가 이동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전제품을 동작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더라도 이동캠(400)의 연장부(420)에 의해서 이동될 수 있는 홈이 발생하지 않아 2차 접점단자(504)와 2차 고정단자(503)은 단락된 상태로 유지되어 가전제품은 동작하지 않는다.When the above description is reversed, when the
따라서, 래치(20)의 삽입된 상태에서만 이동캠(400)이 이동될 수 있는 홈이 생성되어 더욱 안전하게 가전제품을 운용할 수 있다.Therefore, a groove in which the
본 발명에서 이동캠(400)을 고정시키는 위치 고정캠(410)의 구성은 당업자의 실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한정되거나 축소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다른 도어락 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래치가 삽입되었을 경우의 작동도.4 is an operation diagram when a latch is inserted.
도 5는 솔레노이드가 동작되었을 경우의 작동도.5 is an operation diagram when the solenoid is operated.
도 6은 이동캠의 연장축이 슬라이드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nded axis of the moving cam moved to the inside of the slide.
도 7은 이동캠의 연장축이 슬라이드의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the extended axis of the moving cam moved to the inside of the slid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하우징 20...래치
100...슬라이드 110...돌출편100.Slide 110.Extrude
120...래치 인입부120 ... latch inlet
200...접점스틱 210...탄성 스프링200 ...
300...솔레노이드 310...솔레노이드 접점부
320...플랜저320 ... flange
400...이동캠 410...위치 고정캠400 ... Moving
420...연장축 430...걸림부420 ...
440...요홈 500...동작 접점부440
600...비상레버 610...손잡이600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721A KR100809357B1 (en) | 2007-12-12 | 2007-12-12 |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8721A KR100809357B1 (en) | 2007-12-12 | 2007-12-12 |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9357B1 true KR100809357B1 (en) | 2008-03-05 |
Family
ID=3939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8721A Active KR100809357B1 (en) | 2007-12-12 | 2007-12-12 |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935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622Y1 (en) | 2013-05-03 | 2014-10-06 | 주식회사 삼코 | Door locking apparatus of washer |
CN112806937A (en) * | 2019-11-15 | 2021-05-18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Door lock structure and cleaning machine with same |
WO2024090635A1 (en) * | 2022-10-24 | 2024-05-02 | 두얼파워전자(주) | Electronic appliance door-lock apparatus comprising switching devic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3309U (en) * | 1996-06-27 | 1998-03-30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ntrol part for home appliances | |
KR20020001084A (en) * | 2000-06-24 | 2002-01-09 | 윤종용 | Door lock of drum washing machine |
KR200340573Y1 (en) | 2003-10-23 | 2004-02-05 | 주식회사 박전자 | Door switch |
KR200400024Y1 (en) | 2005-08-08 | 2005-11-04 |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 Rotative locking system of drum washer |
KR100748457B1 (en) | 2007-04-25 | 2007-08-10 |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
-
2007
- 2007-12-12 KR KR1020070128721A patent/KR1008093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3309U (en) * | 1996-06-27 | 1998-03-30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ntrol part for home appliances | |
KR20020001084A (en) * | 2000-06-24 | 2002-01-09 | 윤종용 | Door lock of drum washing machine |
KR200340573Y1 (en) | 2003-10-23 | 2004-02-05 | 주식회사 박전자 | Door switch |
KR200400024Y1 (en) | 2005-08-08 | 2005-11-04 |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 Rotative locking system of drum washer |
KR100748457B1 (en) | 2007-04-25 | 2007-08-10 |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4622Y1 (en) | 2013-05-03 | 2014-10-06 | 주식회사 삼코 | Door locking apparatus of washer |
CN112806937A (en) * | 2019-11-15 | 2021-05-18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Door lock structure and cleaning machine with same |
CN112806937B (en) * | 2019-11-15 | 2022-01-25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Door lock structure and cleaning machine with same |
WO2024090635A1 (en) * | 2022-10-24 | 2024-05-02 | 두얼파워전자(주) | Electronic appliance door-lock apparatus comprising switch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0617B1 (en) | Door lock with safety system | |
US10920362B2 (en) | Latch lock and home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 |
US10914026B2 (en) | Door lock for home appliance with hook sensing mechanism | |
US11859337B2 (en) | Tamper resistant appliance latch | |
WO2014013687A1 (en) | Clothing processing device | |
WO2015053855A2 (en) | Locking and unlocking mechanism for a door lock | |
CN108699757B (en) | Door lock with door sensing | |
KR100809357B1 (en) | Door lock device of home appliance | |
US20030197387A1 (en) | Door lock | |
EP3037579B1 (en) | Interlock device for the closing door of household appliances | |
CN106235984B (en) | Automatic door lock system of dish washing machine and dish washing machine | |
CN107386817B (en) | An electrical door lock switch | |
JP6594244B2 (en) | Door lock device for home appliances | |
KR101007232B1 (en) | Door Locking Device for Automatic Drum Washing Machine | |
US9217217B2 (en) | Door-locking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arrangement comprising a door-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 |
KR102429320B1 (en) | A door-lock equipment of an electric household | |
KR100856683B1 (en) | Double safety of door lock | |
KR960002302B1 (en) | Household appliance fasten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washing machine | |
CN220815267U (en) | Door lock device with door opening induction | |
KR102767616B1 (en) | A push door-lock equipment | |
EP3440254B1 (en) | A household appliance with improved safety | |
KR20160009721A (en) | Door lock actuator of washing machime | |
CN118441952A (en) | Door lock device with door opening induction | |
CN117100190A (en) | Locking device | |
KR20200078660A (en) | Vehicle latch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1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