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274B1 - Body antenna - Google Patents
Body antenn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9274B1 KR100809274B1 KR1020060091236A KR20060091236A KR100809274B1 KR 100809274 B1 KR100809274 B1 KR 100809274B1 KR 1020060091236 A KR1020060091236 A KR 1020060091236A KR 20060091236 A KR20060091236 A KR 20060091236A KR 100809274 B1 KR100809274 B1 KR 1008092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uctive wire
- antenna
- terminal
- ground
- ground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930 Pseudomyxoma Peritone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04 mono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4—Supports; Mounting means for wire or other non-rigid radia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1a 및 도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의 구조도이다.1A and 1B are structural diagrams of an antenna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ntenn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한 구조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in which an antenna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5A and 5B are structural diagrams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21 : 도전성 와이어 22 : 연결부21: conductive wire 22: connection portion
23 : 접지부 24 : 단말기 연결고리23: ground portion 24: terminal connection ring
55 : 릴55: reel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방송 수신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for broadcast reception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핸드 헬드(hand held) 제품이 다양화되면서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어 안테나의 다중화, 소형화, 및 내장화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현실적으로 방송용으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통신용 주파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As hand held products are diversified, products that converge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re on the market, and there is a continuous demand for multiplexing, miniaturization, and embedding of antennas. In reality, the frequency used for broadcasting uses a band lower than the frequency for communication.
현재 FM 라디오용 주파수는 86 ~ 108 ㎒대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86 ㎒ 대역의 낮은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의 크기를 λ/4 로 제작하여도 최소 85 ~ 90㎝의 길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안테나를 소형의 제품에 내장하기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있다.Currently, the frequency for FM radio is in the 86 ~ 108 ㎒ band. In order to receive low frequencies in the 86 ㎒ band, a minimum length of 85 to 90 cm is required even if the antenna size is λ / 4. Therefore, it is relatively difficult to embed such an antenna in a small product.
이동통신 단말기, PDA, PMP 등의 무선 기기에 라디오, DMB 등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고, 이에 따라 안테나의 소형화가 중요시되고 있다.Wireless devic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DAs, and PMPs have a function of watching broadcasts such as radios and DMBs, and accordingly, miniaturization of antennas has become important.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방송용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1A and 1B relate to a broadcasting antenna used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에는 연장이 가능한 로드(Rod) 안테나가 실장된 구조와 이어폰(ear phone)을 이용한 안테나의 구조도가 개시되어 있다. FIG. 1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n extendable rod antenna is mounted and an antenna using an ear phone.
이러한 로드 안테나는, 모노폴 형태의 방사체(11)가 방송 주파수 수신기(13) 위에 고정되어 직접 수신단(12)에 접촉되어있고, 상기 방사체는 연장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로드 안테나는 구조가 간단하고 이득은 좋으나 안테나가 소형화되면 이득이 많이 저하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장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The rod antenna has a structure in which a monopole radiator 11 is fixed on the
상기 이어폰 안테나(14)는 수신기 끝단에 매칭 회로를 넣고 이어폰 내에 와이어를 넣어 FM 수신 안테나로 사용하고 있다. The
이러한 이어폰 안테나는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는 유리한 점도 있으나, 수신시 안테나의 형상을 고정할 수 없어 사용할 때마다 수신감도가 바뀌어 청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청취시 항상 이어폰을 귀에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Such an earphone antenna has an advantage that the length can be sufficiently long, but it is difficult to listen because the reception sensitivity is changed every time the shape of the antenna cannot be fixed upon reception.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earphone should always be worn in the ear when listen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테나의 부피에 따른 휴대성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수신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enna that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of portability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antenna, and can maintain a constant reception sensitivity.
본 발명은, 주파수를 송수신하는 방사체로 작동하는 도전성 와이어와,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 와이어를 단말기의 수신부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 및 상기 도전성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도 전성 와이어를 신체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도록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접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부에 접촉된 신체를 전파 수신을 위한 방사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를 이용한 안테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wire that acts as a radiat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requency, a connect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onductive wir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ive wire to the receiver of the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ductive wire, Provided is an antenna using a body comprising a grounding portion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electrically contact the conductive wires to the body, and using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grounding portion as a radiator for receiving radio waves.
상기 안테나는 일단이 상기 접지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부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는 단말기 연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ntenna may further include a terminal connection ring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maintain a constant length between the groun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는, 상기 접지부와 접촉되는 도전성 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물질을 피복하는 직물 또는 합성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nnection ring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preferably, may further include a fabric or synthetic resin covering the conductive material.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방송파를 수신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conductive wire may have a length capable of receiving broadcast waves.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절연물질로 피복될 수 있다. The conductive wire may be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복원력을 갖는 헬릭스(helix) 형태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ductive wire may be in the form of a helix having a restoring force.
상기 연결부는, 플러그 형태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be in the form of a plug.
상기 접지부는,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환형일 수 있다. The ground portion may be annular so as to fit on the finger.
상기 접지부와 상기 와이어는 분리될 수 있다. The ground portion and the wire may be separated.
상기 접지부의 내부에,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ground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el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이다.2 is a structure of an antenna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는 도전성 와이어(21), 연결부(22), 및 접지부(2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는 방송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사체의 역할을 한다. The
FM 라디오 방송 주파수 신호의 경우, 87 ~ 108 ㎒의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방사체로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는 85 ~ 90㎝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In the case of an FM radio broadcast frequency signal, since a relatively low frequency of 87 to 108 MHz is used, the conductive wire as a radiator for receiving the frequency should have a length of 85 to 90 cm.
이러한 안테나 길이를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는 헬릭스(helix)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헬릭스 형태로 방사체를 구현할 경우, 방송 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물리적인 안테나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고, 또 한 헬릭스 구조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안테나를 연결하고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In order to have such an antenna length, the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는 절연성 물질로 그 외부가 도포 될 수 있다. 이렇게 도전성 와이어(21)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와이어(21)의 양단을 통해 급전 및 접지가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21)의 물리적인 길이를 확보하고, 안테나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The
상기 도전성 와이어(21)의 일단에는 연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단말기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연결부(22)는, 통상적인 이어폰 잭의 플러그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The
상기 연결부(22)가 이동통신 단말기(26)에 형성된 연결구에 삽입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배치된 방송신호 수신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도전성 와이어에서 수신한 신호를 단말기 내부로 전달해 준다.When the
상기 연결부(22)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6)는 핸드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라디오 방송이나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통신장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도전성 와이어(21)의 타단에는 접지부(23)가 연결되어 있다.The
상기 접지부(23)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지부(23)를 신체와 접 촉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를 신체의 일부와 접촉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접지부(23)는 신체에 접촉될 수 있는 일부 부분만을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절연성 피복물질로 도포할 수 있다.The grounding
상기 접지부(23)는 환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지부을 손가락에 끼움으로서 상기 접지부(23)와 신체와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The
상기 접지부(23)가 신체에 연결되면, 신체(human body)가 하나의 커다란 접지면이 되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를 포함하는 안테나는 급전부와 접지부를 갖는 하프 루프형(half loop type) 안테나로서 작동하게 된다. When the
낮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에 연결된 접지부가 방사체로서 작용을 하게 되므로, 신체와 연결된 안테나는 방송 주파수 수신율이 좋아지게 된다. In order to receive a signal of a low frequency band, since the ground part connected to the antenna acts as a radiator,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body improves the broadcast frequency reception rate.
상기 접지부(23)와 상기 도전성 와이어(21)가 연결되는 연결부분(23a)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분(23a)에 의해 상기 접지부(23)과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는 방송 주파수 수신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The
상기 접지부(23)에는 단말기 연결고리(24)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24)는 상기 접지부(23)를 이동통신 단말기(26)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며 외부장력에 강한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The terminal linking
이동통신 단말기(26)에 연결된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24)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접지부(23)가 이동통신 단말기(26)에서 일정 길이 이상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keeping the length of the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단말기 연결고리(24)로 상기 접지부(23)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상기 접지부(23)에 연결된 도전성 와이어(21)에 과다한 장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또한,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24)를 상기 접지부(23)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와이어(21)를 상기 접지부(23)에서 분리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환형 접지부(23)을 통해 단말기의 취급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24)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24)에 포함되는 도전성 물질이 상기 접지부(23)에 연결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도전성 와이어(21)와 연결되는 것이 되어 안테나 방사체의 길이가 연장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When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도전성 물질이 포함된 단말기 연결고리는, 도체가 내부에 포함되고 상기 도체를 둘러싸는 피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복물질은 직물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erminal connection ring containing such a conductive material may form a sheath containing the conductor inside and surrounding the conductor. The coating material may be a textile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n antenna is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도전성 와이어(31)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부(32)는 이동통신 단말기(36)에 연결되어 있으며, 도전성 와이어(31)의 타단에 연결된 접지부(33)는 손가락에 접촉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접지부(33)에는 별도의 단말기 연결고리(34)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접지부(33)를 이동 통신 단말기(36)와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다.A separate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거나, DMB 방송을 시청할 경우 한 손에 파지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안테나의 길이를 최소화하고 신체를 상기 안테나에 대한 접지부로 사용하기 위해 손가락에 연결하기 쉬운 반지 형태의 접지부가 연결된다.When listening to a radio broadcast or watching a DMB broadcast through a mobile terminal, it is often held in one hand, so the ring shape is easy to connect to a finger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antenna and to use the body as a ground for the antenna. Ground is connected.
이렇게 접지부(33)를 손가락에 접촉시킬 경우, 상기 도전성 와이어(31)를 포함하는 안테나는 일단이 급전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부에 연결되는 루프 형태의 안테나를 이루게 된다. When the ground portion 33 is in contact with a finger 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including the
상기 접지부(33)에 연결된 단말기 연결고리(34)는 도체가 내부에 포함되며 일정 길이를 유지할 수 있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34)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6)가 손에서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낙하시 상기 접지부(33)에 연결된 도전성 와이어(31)가 과도하게 늘어나 장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length of the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34)의 내부에 포함된 도체가 상기 접지부(33)에 연결 됨으로써, 상기 도전성 와이어(31), 접지부(33) 및 단말기 연결고리(34)가 모두 연결되는 결과가 되어 안테나의 물리적인 방사체 길이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The conductor included in the
상기 도체를 포함하는 단말기 연결고리(34)는 내부에 도체물질이 위치하고 상기 도체물질을 절연성 피복물질로 감싸는 동축 케이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The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도전성 와이어(41)가 절연성 물질로 피복(미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전성 와이어(41)의 일단에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41)를 단말기 내부의 수신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41)의 타단에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41)를 신체에 접촉시키기 위한 접지부(43)가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상기 도전성 와이어(41)와 상기 접지부(43)는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도전성 와이어(41)의 일단에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A hook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상기 도전성 와이어(41)는 나선구조를 갖는 헬릭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접지부를 단말기와 연결시키기 위한 단말기 연결고리(44)가 상기 헬릭스 형태의 와이어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있다.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44)는 내부에 도체가 형성되고 상기 도체를 피복하는 직물이나 플라스틱 계열의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41)는 절연물질로 피복되어 상기 피복된 단말기 연결고리(44)를 나선 형태로 감고 있는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이렇게 상기 단말기 연결고리(44)와 도전성 와이어(41)를 한가닥으로 형성함으로써 단말기에 연결되는 안테나를 별도로 소지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안테나가 단말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분실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us, by forming the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5A and 5B are structural diagrams of a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를 참조하면, 도전성 와이어(51)의 일단에는 신호의 공급을 위한 연결부(52)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와이어(51)의 타단은 접지부(53)에 연결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A, one end of the
상기 도전성 와이어(51)와 접지부(53)가 연결되는 구조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릴(55)을 더 포함하고 있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릴(55)에 의해 상기 도전성 와이어(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도전성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부(53) 내부에 감겨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성 와이어(5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따로 소지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다. Since the length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와이어(51)를 감는 릴(55)은, 상기 도전성 와이어(51)가 상기 접지부(53)의 외부에 노출되는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stopper)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도전성 와이어의 형태, 접지부의 형태 및 연결구조 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is, the form of the conductive wire, the form of the ground portion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altera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Will be self-explanatory.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주파수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신체에 직접 접촉시켜, 신체를 그라운드(GND)로 사용함으로써 방송 주파수 신호에 대한 수신감도를 증대시키고 주변환경 변화에 의한 수신감도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안테나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for receiving a broadcast frequency is directly contacted to a bod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ody is used as a ground (GND) to increase reception sensitivity to a broadcast frequency signal and to reduce reception sensitivity due to a change in surrounding environment. An antenna that can be minimized can be obtaine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1236A KR100809274B1 (en) | 2006-09-20 | 2006-09-20 | Body antenn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1236A KR100809274B1 (en) | 2006-09-20 | 2006-09-20 | Body antenn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9274B1 true KR100809274B1 (en) | 2008-03-03 |
Family
ID=3939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1236A KR100809274B1 (en) | 2006-09-20 | 2006-09-20 | Body antenn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9274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36134A1 (en) | 1995-05-08 | 1996-11-14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System for non-contact sensing and signalling using human body as signal transmission medium |
KR19990037736A (en) * | 1999-01-09 | 1999-05-25 | 조성재 | Method to inform user of cellular phone call by toll carried within the wrist |
KR200205607Y1 (en) | 2000-07-20 | 2000-12-01 | 조호용 | Hands-free apparatus |
JP2002158519A (en) * | 2000-09-11 | 2002-05-31 | Nippon Soken Inc | Antenna for portable radio equipment |
JP2007008525A (en) * | 2005-06-30 | 2007-01-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Ventilation fan packaging device |
-
2006
- 2006-09-20 KR KR1020060091236A patent/KR10080927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6036134A1 (en) | 1995-05-08 | 1996-11-14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System for non-contact sensing and signalling using human body as signal transmission medium |
KR19990037736A (en) * | 1999-01-09 | 1999-05-25 | 조성재 | Method to inform user of cellular phone call by toll carried within the wrist |
KR200205607Y1 (en) | 2000-07-20 | 2000-12-01 | 조호용 | Hands-free apparatus |
JP2002158519A (en) * | 2000-09-11 | 2002-05-31 | Nippon Soken Inc | Antenna for portable radio equipment |
JP2007008525A (en) * | 2005-06-30 | 2007-01-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Ventilation fan packag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40242B2 (en) | Earphone antenna | |
CN108352614B (en) | Omnidirectional television antenna with WIFI receiving capability | |
US20060028383A1 (en) | Earphone antenna | |
JPH03245603A (en) | Antenna | |
JP2006025392A (en) | Earphone cable antenna device, connection cabl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 |
US20090169044A1 (en) | Earphone Antenna | |
CN103262567A (en) | Multi-wired antenna for mobile apparatus | |
TW201218510A (en) | Earphone antenna, earphone devcie and broadcasting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 |
US9853354B2 (en) | Sleeve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000053667A (en) | Wireless antenna be capabl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 |
KR100809274B1 (en) | Body antenna | |
CN102377006A (en) | Antenna feeder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JP4715603B2 (en) | Antenna device | |
EP1601050A2 (en) | Quadrifilar helical antenna | |
US20130234906A1 (en) | Sleeve Dipole Antenna Microphone Boom | |
CN106688142B (en) | Antenna with a shield | |
GB2382722A (en) | Portable radio device with antenna contained in headphone lead | |
CN102237572A (en) | High frequency receiving-transmitting cable and receiving device | |
KR100793614B1 (en) | Portable dipole antenna | |
KR200323260Y1 (en) | A antenna with type of necklace for the small portable receiver | |
EP1833116B1 (en) | Quadrifilar helical antenna | |
JP2008177731A (en) | Human-mounted antenna device, earphone antenna, and portable terminal | |
KR100486515B1 (en) | Radio earphone-microphone | |
CN112670709B (en) | Finger ring | |
JP5007806B2 (en) | Earphone antenna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