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9176B1 -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176B1
KR100809176B1 KR1020037005526A KR20037005526A KR100809176B1 KR 100809176 B1 KR100809176 B1 KR 100809176B1 KR 1020037005526 A KR1020037005526 A KR 1020037005526A KR 20037005526 A KR20037005526 A KR 20037005526A KR 100809176 B1 KR100809176 B1 KR 10080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lutch
pulley
retainer
roller clu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813A (ko
Inventor
아이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 세이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17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Abstract

우수한 내구성 및 신뢰성이 제공되며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롤러 클러치(10a)의 클러치 리테이너(28a)가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일부가 종동 풀리(7a)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과 마찰하는 것이 방지되어, 오버런 동안 열 발생이 방지된다. 따라서, 그리스 열화가 방지되고,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롤러 클러치(10a)의 클러치용 내륜(21)과 롤러에는 그들의 축방향 단부에서 외주연부를 따라 모따기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롤러(26)가 원주방향으로 적절히 위치설정되는 반면, 클러치용 내륜(21)이 롤러(26)의 내경측상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PULLEY APPARATUS WITH BUILT-IN ROLLER CLUTCH AND ASSEMBL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 발전기내의 교류 발전기의 회전 샤프트의 일단부에 체결된 종동 풀리로서, 또는 자동차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의 일단부에 체결된 구동 풀리로서 사용되는 엔진의 보조 장치 구동용 내장형 롤러 클러치(built-in roller clutch)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그의 조립 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필요한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교류 발전기의 구조 및 자동차 엔진용 구동 소스로서의 기능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5-139550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5-139550 호에 개시된 교류 발전기(1)를 도시한다. 한쌍의 롤링 베어링(4)은 회전 샤프트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우징(2) 내측에서 회전 샤프트(3)를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 샤프트(3)의 중간부에는 로터(5)와 정류기(6)가 있다. 또한, 종동 풀리(7)는 하우징(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회전 샤프트(3)의 일단부(도 1의 우측 단부)상의 부분에 체결된다. 엔진에 설치될 때, 엔진이 크랭크 샤프트에 의해 회전 샤프트(3)를 자유롭게 구동하도록 종동 풀리(7) 둘레로 연장하는 엔드리스 벨트가 있다.
일반적으로, 종동 풀리(7)로서는 간단하게 회전 샤프트(3)에 체결되는 것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내장형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풀리 장치가 제안되었고 몇몇 적용에서 사용되었으며, 이에 의해 엔드리스 벨트의 작동 속도가 일정하거나 또는 가속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힘은 엔드리스 벨트로부터 회전 샤프트로 자유롭게 전달되고, 엔드리스 벨트의 작동 속도가 감속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종동 풀리 및 회전 샤프트는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종류의 기능을 갖는 내장형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8-213207 호, 제 1998-285873 호, 제 1999-22753 호, 제 1999-63026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방향 클러치로서의 롤러 클러치의 사용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전술된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종래의 풀리 장치를 도시한다.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이러한 풀리 장치는 슬리브(8)를 가지며, 이 슬리브는 교류 발전기(1)(도 1 참조)의 회전 샤프트(3)상에 끼워맞춤 및 체결될 수 있는 샤프트 부재(회전 샤프트 부재)이다. 또한, 풀리 부재인 종동 풀리(7a)는 슬리브(8)와 동심이 되도록 슬리브(8) 둘레에 위치된다. 또한, 한쌍의 볼 베어링(9) 및 롤러 클러치(10)는 슬리브(8)의 외주면과 종동 풀리(7a)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된다.
슬리브(8)는 대체로 반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회전 샤프트(3)와 함께 회전하도록 교류 발전기(1)의 회전 샤프트(3)의 단부상에 끼워맞춤되고 이 단부 둘레에 체결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나사 구멍부(11)는 슬리브(8)의 내주면상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이 나사 구멍부(11)가 회전 샤프트(3)의 선단부상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함께 나사체결될 수 있다. 또한, 6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체결 구멍부(12)는 슬리브(8)의 내주면상의 선단부(도 2에서 좌측 단부)상에 형성되어, 6각 렌치(wrench)와 같은 공구의 선단부가 체결 구멍부(12)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8)의 내주면상의 기단부(도 2에서 우측 단부)는 원형 구멍부(13)이며, 이 원형 구멍부내로 회전 샤프트(3)의 선단부의 중간부가 그들 사이에 틈새 없이 끼워맞춤될 수 있다. 스플라인 조인트, 원형이 아닌 조인트, 키 조인트 또는 따른 구조체가 슬리브(8)와 회전 샤프트(3) 사이에 조합해서 상대적인 회전이 없는 것을 보장하는 구조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8)의 외주면의 중앙 섹션은 다른 섹션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14)이다.
반면에, 종동 풀리(7)의 외주면의 선단부의 절반부는 폭 방향으로 파형 단면을 가지며, 그 둘레에 폴리 V-벨트(poly V-belt)라 불리우는 엔드리스 벨트의 부분이 연장된다. 또한, 롤러 클러치(10)는 슬리브(8)의 외주면과 종동 풀리(7a)의 내주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축방향 중간부내에 위치되며, 볼 베어링이 롤러 클러치(10)의 축방향 양측상에 위치되도록 볼 베어링(9)은 이 공간의 축방향 양 단부 근처에 위치된다.
이러한 부품들중 볼 베어링(9)은 종동 풀리(7a)에 가해진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 양자를 지지하며, 이 종동 풀리(7a)가 슬리브(8)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다. 볼 베어링(9) 각각은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깊은 홈 형태의 외륜 궤도(15)를 갖는 외륜(16)과,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깊은 홈 형태의 내륜 궤도(17)를 갖는 내륜(18)과, 전술된 외륜 궤도(15)와 내륜 궤도(17) 사이에 위치되어 자유롭게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볼(19)을 포함한다. 외륜(16)은 종동 풀리(7a)의 양 단부 근처의 내주면 둘레에 끼워맞춤되고, 내륜(18)은 슬리브(8)의 양 단부 근처의 외주면 둘레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각각의 내륜(18)의 축방향의 면중 하나는 각기 대직경부(14)의 축방향의 양 단부면(단차면)중 하나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볼(19)이 위치되는 공간의 양 단부상의 개구는 외륜(16)의 양 단부상의 내주면과 내륜(18)의 양 단부상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된 시일 링(20)에 의해 덮여진다.
또한, 종동 풀리(7a)가 슬리브(8)에 대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을 때만, 롤러 클러치(10)는 종동 풀리(7a)와 슬리브(8)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종류의 롤러 클러치(10)를 구성하기 위해서, 클러치용 내륜(21)은 억지 끼워맞춤을 통해 슬리브(8)의 대직경부(14) 상에 끼워맞춤되고 이 대직경부 둘레에 단단히 체결된다. 클러치용 내륜(21)은 침탄강판(carburized steel plate) 등으로 제조되고 프레싱과 같은 소성 가공에 의해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캠면(22)은 그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부(ramp section)라 불리우는 다수의 오목부(23)를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외주면은 캠면(22)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퍼진 오목한 모따기부(24)가 클러치용 내륜(21)의 내주면상의 일단부(도 2에서 우측 단부)상에 형성되고, 클러치용 내륜(21)을 대직경부(14)의 외주면상에 끼워맞춤할 때, 이 모따기부(24)는 가이드면으로써 기능한다.
반면에, 클러치용 외륜(25)은 종동 풀리(7a)의 내주면의 중간부내에 끼워맞춤되고 이 중간부 둘레에 단단히 체결되며, 롤러(26)(후술됨)와 접촉하는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의 축방향의 적어도 중간부는 간단한 원통면이다. 또한 클러치용 외륜(25)은 침탄강판 등에 의해 제조되고 프레싱과 같은 소성 가공에 의해 원통형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클러치용 외륜(25)의 축방향 양 단부상에는 플랜지 형상의 내측으로 향하는 림부(27a, 27b)를 형성하는 링부가 제공된다. 이들 림부(27a, 27b)들중 림부(27a)(도 2에서 좌측 림부)는 클러치용 외륜(25)을 제조하기 전에 형성되며, 따라서 클러치용 외륜(25)의 원통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반면에, 림부(27b)(도 2에서 우측 림부)는 롤러(26)(후술됨) 및 클러치 리테이너(28)가 클러치용 외륜(25)의 반경방향 내측에 조립된 후에 형성되며, 따라서 림부(27b)는 얇다.
또한, 클러치용 내륜(21) 및 클러치용 외륜(25)과 함께 롤러 클러치(10)를 형성하는 다수의 롤러(26)는 클러치 리테이너(28)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며, 이 클러치 리테이너는 클러치용 내륜(21)상에 끼워맞춤되어 클러치용 내륜(21)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롤러(26)가 원주방향으로 약간 구름 운동하고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클러치 리테이너(28)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46, 유리 섬유가 약 20% 정도 가량 혼합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와 같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도 4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링 형상 림부(29)와, 이들 림부(29) 양자를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칼럼부(30)를 포함한다.
또한, 림부(29)의 내주면 및 칼럼부(30)의 원주방향의 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은 롤러(26)가 원주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조금 변위할 수 있도록 이 롤러(26)를 지지하기 위한 포켓(31)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돌출부(32)는 림부(29)의 내주면상의 다수의 위치에 형성되고,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오목부(23)와 맞물리며, 클러치 리테이너(28)는 이 클러치 리테이너가 클러치용 내륜(21)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클러치용 내륜(21)에 장착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3)은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칼럼부(30)의 원주방향의 측면중 하나상에 장착된다. 롤러는 포켓(31)내에 유지되고, 스프링(33)은 각각의 칼럼부(30)상에 장착되고 롤러(26)를 클러치 리테이너(28)의 동일 원주방향(도 5에서 우측 또는 시계방향)으로 캠면(22)의 외주면과 클러치용 외륜(25)의 중간부의 내주면(원통면) 사이에 형성된 실질적인 원통형 갭내로 반경방향의 폭이 보다 좁은 갭의 부분을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강판을 절곡함으로써 실질적인 삼각 후크 형상으로 제조된 판 스프링이 스프링(33)으로서 사용되지만, 클러치 리테이너(28)와 일체로 된 플라스틱 또는 합성 수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리테이너(28)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클러치 리테이너(28)의 축방향 양 단부면은 클러치용 외륜(25)의 양 림부(27a, 27b)의 내측면에 근접하고 이 내측면을 향한다. 이러한 구조에 부가하여, 클러치 리테이너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슬리브와 같은 샤프트 부재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가 클러치 리테이너의 일부와 결합하는 구조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22753 호 및 제 2001-165201 호에 상술되어 있다.
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사용했을 때 종동 풀리(7a) 및 슬리브(8)가 소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 또는 바꾸어 말하면 종동 풀리(7a)가 슬리브(8)에 대해 스프링(33)이 롤러(26)를 가압하는 방향(도 5에서 우측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 롤러(26)는 폭이 반경방향으로 좁아지는 원통형 갭의 부분내로 파고든다. 종동 풀리(7a)는 슬리브(8)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잠금 상태). 반면에, 종동 풀리(7a)가 슬리브(8)에 대해 소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바꾸어 말하면 종동 풀리(7a)가 슬리브(8)에 대해 스프링(33)이 롤러(26)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도 5에서 좌측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는 경우, 롤러(26)는 스프링(33)의 힘에 저항하여 폭이 반경방향으로 넓어지는 원통형 갭의 섹션으로 복귀하며, 풀리(7a)는 슬리브(8)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오버런(overrun) 상태].
전술된 구조를 갖는 교류 발전기용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사용하는 이유는 2가지가 있다. 첫번째 이유는 엔드리스 벨트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구동 엔진으로서 디젤 엔진 또는 직접 분사식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각속도의 변화는 아이들링동안과 같은 저속에서 커진다. 결과적으로, 구동 풀리 둘레에서 연장하는 엔드리스 벨트의 작동 속도에 있어서 작은 변화가 있다. 반면에, 종동 풀리를 통해 엔드리스 벨트에 의해 회전 및 구동되는 교류 발전기의 회전 샤프트(3)는 이 회전 샤프트(3) 및 이 회전 샤프트에 체결된 로터의 관성 질량에 의해 아주 급격하게 변하지는 않는다. 또한, 종동 풀리가 회전 샤프트에 간단히 체결되는 경우,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각속도에서의 변화에 기인하여 엔드리스 벨트와 종동 풀리 양자 사이에 마찰(rubbing)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이한 방향의 응력이 종동 풀리와 함께 마찰하는 엔드리스 벨트에 신속하게 가해져, 엔드리스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쉽도록 하거나, 또는 엔드리스 벨트의 수명이 짧아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된 종동 풀리와 같은 교류 발전기용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엔드리스 벨트의 작동 속도가 일정하거나 또는 가속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회전력은 종동 풀리로부터 회전 샤프트(3)로 자유롭게 전달되며, 반대로 엔드리스 벨트의 작동 속도가 감속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종동 풀리 와 회전 샤프트(3)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엔드리스 벨트의 작동 속도가 감속되는 경향이 있는 경우, 종동 풀리의 회전 각속도는 회전 샤프트의 회전 각속도보다 작으며, 따라서 엔드리스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의 접촉 영역에서의 강한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종동 풀리와 엔드리스 벨트 사이의 마찰 영역에 작용하는 응력 방향은 일정하게 되며, 따라서 엔드리스 벨트와 종동 풀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엔드리스 벨트의 수명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두번째 이유는 교류 발전기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교류 발전기 로터가 체결되는 회전 샤프트(3)는 엔드리스 벨트 및 종동 풀리를 통해 자동차의 구동 엔진에 의해 회전 및 구동된다. 고정형 종동 풀리가 사용되고 구동 엔진의 회전 속도가 갑작스럽게 줄어드는 경우, 로터의 회전 속도도 갑작스럽게 줄어들고, 따라서 교류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류의 양도 갑작스럽게 줄어든다. 반면에, 교류 발전기용 종동 풀리로서 교류 발전기용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구동 엔진의 회전 속도가 갑작스럽게 감소되는 경우에도 관성력에 의해 로터의 회전 속도는 점차로 감소되며, 발전은 그 주기동안 계속된다. 결과적으로, 고정형 종동 풀리의 사용과 비교하여, 회전 샤프트 및 로터의 운동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교류 발전기에 의해 발전되는 전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위의 설명은 종동 풀리의 측면상에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 이루어졌지만, 유사한 기능 및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구조체를 갖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가 구동측상의 크랭크 샤프트의 단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얻어진다.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용 종래의 구조체가 개시된 각종 문헌에 있어서,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유지시키는 구조, 및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효과적으로 조립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다.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했을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제공하고,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쉽게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는 풀리, 샤프트 부재인 회전 샤프트, 롤러 클러치, 제 1 볼 베어링 및 제 2 볼 베어링을 포함한다.
이들중, 풀리는 엔드리스 벨트가 외주면 둘레를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회전 샤프트는 이 회전 샤프트가 풀리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풀리의 내경측상에 위치된다.
또한, 롤러 클러치는 풀리의 축방향 중간부의 내주부와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 중간부의 외주부 사이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풀리와 회전 샤프트 사이에서 일방향으로만 전달하며, 또는 바꾸어 말하면, 회전방향으로는 로크되고 다른 방향으로는 언로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롤러 클러치는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에 대응하는 외경부,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에 대응하는 내경부, 리테이너, 다수의 롤러, 다수의 스프링, 탈락 방지 수단(fall-out-prevention means), 제 2 맞물림부 및 제 1 맞물림부를 포함하며, 제 2 및 제 1 맞물림부는 각각 결합부(fitting section) 및 피결합부(fitted section)에 대응한다.
이들중,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이 풀리의 축방향 중간부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이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 중간부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고, 이 외주면은 원주방향으로 요철이 있어 캠부에 대응하는 캠면을 형성한다.
또한, 리테이너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과,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되고, 다수의 포켓을 구비한다.
또한, 롤러는 이 롤러가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도록 리테이너의 포켓 내측에 유지된다.
스프링은 롤러와 리테이너 사이에 위치되거나, 또는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은 롤러를 동일 방향으로 또는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리테이너와 맞물린다.
탈락 방지 수단은 리테이너의 일부에 위치되고, 포켓 내측의 롤러가 포켓을 벗어나 리테이너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부 및 피결합부에 대해, 결합부는 리테이너의 내주면상에 형성되고, 이 결합부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상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맞물려서, 리테이너가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볼 베어링은 풀리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의 내주부와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의 외주부 사이에 위치되고, 풀리와 회전 샤프트 사이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이 제 1 볼 베어링의 외경부는 풀리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의 내주부상에 위치되어 외경부의 내주면상에 제 1 외륜 궤도를 갖는다. 또한, 제 1 볼 베어링의 내경부는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의 외주부상에 위치되어 내경부의 외주면상에 제 1 내륜 궤도를 갖는다. 또한, 제 1 내륜 궤도와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자유롭게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제 1 볼이 있다.
제 2 볼 베어링은 풀리의 축방향의 타단부상의 내주면과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타단부상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되고, 풀리와 회전 샤프트 사이에 가해지는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이 제 2 볼 베어링은 풀리의 축방향의 타단부의 내주면내로 끼워맞춤되는 베어링용 외륜의 내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 2 외륜 궤도와,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타단부의 외주면상에 끼워맞춤되는 베어링용 내륜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제 2 내륜 궤도와, 제 2 내륜 궤도와 제 2 외륜 궤도 사이에 자유롭게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제 2 볼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 샤프트 및 베어링용 내륜은 샤프트 유닛 또는 회전-샤프트 유닛을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회전 샤프트 유닛은 그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를 구비한다. 2개의 이들 단차부는 리테이너의 일부와 맞물리며, 따라서 리테이너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모따기부는 롤러 클러치용 롤러의 축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축방향의 일단부면상의 외주연부상에 형성된다. 모따기부는 롤러가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 둘레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 및 롤러를 함께 축방향으로 가져가고, 그와 동시에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캠면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롤러를 이동시킬 때 가이드면이 된다. 또한, 모따기부가 캠면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에 형성되는 경우, "캠면"은 이 모따기부를 포함한다.
모따기부(반경방향의 폭)의 전체 모따기 양은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롤러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중첩 치수보다 크다. 바꾸어 말하면, 롤러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리테이너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은 이들이 동심원이 되도록 배치되고, 소정 위상(phase)이 원주방향으로 제공되며(리테이너내에 유지되는 롤러의 롤링 접촉면의 일부는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롤러는 스프링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압됨), 롤러의 축방향의 단부중 적어도 하나상에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축방향의 일단부면상의 외주연부상에 형성되는 모따기부상의 전체 모따기 양은 롤러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 사이의 중첩 치수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방법에 있어서, 전술된 바와 같은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 첫째로 롤러는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내에 형성된 포켓 내측에 유지되고 스프링에 의해 포켓의 원주방향의 일 측면으로 가압되며, 롤러 및 리테이너는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경측상에 형성되어 조립체를 형성한다.
그 후, 리테이너의 결합부는 리테이너의 축방향의 일단부측과 롤러 클러치의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축방향의 일단부측 사이의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피결합부와 맞물리며,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과 리테이너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
그 후, 스프링의 내경측상의 롤러 클러치의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 및 리테이너내에 유지되는 롤러를 조립하기 위해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단부는 가이드로서 사용하는 롤러의 내경측을 향해 가압되고, 모따기부는 롤러의 축방향의 단부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축방향의 일단부면상의 외주연부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바꾸어 말하면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되는 롤러 아래, 또는 롤러의 내경측쪽으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가압하기 위해 모따기부를 사용하는 동안, 롤러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캠면에 의해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고, 롤러는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주면과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 사이에서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전술된 롤러 클러치가 형성된다.
롤러 클러치가 풀리의 축방향 중간부의 내주면과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 중간부의 외주면 사이에 조립된 후, 제 2 볼 베어링은 풀리의 축방향의 타단부상의 내주면과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타단부상의 외주면 사이에 조립된다.
제 2 볼 베어링을 조립하기 전에, 제 1 볼 베어링은 풀리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의 내주부와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의 외주부 사이에 조립된다. 제 1 볼 베어링의 조립이 롤러 클러치의 조립 전에 이루어지는가 또는 후에 이루어지는가는 중요하지 않다.
풀리의 축방향의 타단부상의 내주면과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타단부상의 외주면 사이에 조립되는 제 2 볼 베어링을 고정하는 작업은 압입(press-in), 크림핑(crimping), 용접 또는 접착 등의 방법중 하나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다른 조립 방법에 있어서, 모든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는 동안, 외형이 클러치용 내륜의 것 상당부분의 외형과 거의 동일하고 롤러의 내경측 내측에 삽입되는 지그의 측면상에 모따기부를 갖는 지그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은 적절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
적절한 내구성 및 신뢰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능과 효과는 리테이너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리테이너의 일부를 갖는 회전 샤프트 유닛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얻어진다. 즉, 리테이너는 리테이너의 일부를 갖는 단차부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축방향 운동이 방지되어, 리테이너의 축방향의 단부면은 클러치용 외륜의 일부와 같은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다. 리테이너는 이 리테이너가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풀리 및 리테이너는 롤러 클러치가 오버런(overrun)할 때(접속이 해제되었을 때) 서로에 대해 회전한다. 따라서, 리테이너의 축방향의 단부면이 클러치용 외륜의 일부와 같은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과 접촉할 때, 롤러 클러치의 온도는 오버런동안 접촉 영역에서의 마찰에 의해 야기된 마찰 열에 의해 상승한다. 또한, 이러한 온도 상승이 과도하게 될 때, 롤러 클러치 내측의 윤할유는 열화되고 내 눌러붙음성(anti-seizure capability)이 상실되어, 적절한 내구성을 얻기 어렵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오버런동안에도 회전 샤프트 유닛에 대한 리테이너의 상대적인 회전이 없으며, 리테이너의 축방향의 운동은 리테이너와 회전 샤프트 유닛 사이에서 억제되어, 오버런동안 리테이너와 대향면 사이의 강한 마찰이 방지되고, 따라서 오버런동안 발생하는 마찰 열을 억제하여 윤할유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확보된다. 또한, 리테이너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축방향 운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된 롤러의 롤링 접촉면이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캠면과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지 하중이 캠면의 축방향의 단부 에지와 접촉하는 롤러의 롤링 접촉면의 일부로서 롤링 접촉면의 일부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 롤링 접촉면의 피로 수명의 감소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작업의 간략화는 탈락 방지 수단 및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첫째로, 이들중 탈락 방지 수단은 리테이너의 포켓내에 고정된 롤러가 리테이너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캠면을 구비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에 앞서 조립되는 롤러 및 리테이너의 내경측내로의 삽입 작업의 수행을 쉽게 한다. 바꾸어 말하면, 탈락 방지 수단이 없는 경우, 포켓내에 고정된 롤러의 전부 또는 일부는 리테이너의 내경측내로 돌출 또는 빠지며,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리테이너의 내경측내로 가압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가압할 때 롤러가 리테이너의 내경측상에 돌출 또는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가압 작업의 수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탈락 방지 수단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롤러 클러치용 리테이너는 하나의 리테이너에 2개의 위치 제어 기능을 갖는다. 즉, 조립동안 롤러가 리테이너의 내경측내로 너무 많이 돌출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동안 리테이너 자체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2개의 기능으로부터 조립 작업을 간략화하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가압하는 작업은 롤러의 축방향의 단부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상에 및 클러치용 내륜의 축방향의 일단부면의 외주연부상에 모따기부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쉽게 실시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롤러를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둘레에 위치시키기 위해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축방향의 롤러에 근접하게 가져갈 때 이 모따기부는 가이드면이 되어,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단부 섹션을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하는 작업은 쉽게 실시될 수 있다. 즉, 위상을 리테이너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원주방향으로 제한하기 위해서 및 그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테이너상에 형성된 결합부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상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맞물리며, 그 후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은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모따기부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이 롤러의 내경측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이러한 방법으로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할 때,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는 캠면은 롤러가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롤러는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주면과 클러치용 내륜의 외주면 사이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캠면의 오목부의 외경부와 근접한 부분으로서, 이 부분은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주면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과 동시에 접촉함)로 이동되어, 롤러 클러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롤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은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하는 작업에 의해 모든 롤러에 대해 동시에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롤러 클러치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캠면에 의해 롤러를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롤러를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주면과 내측 클리치 링 상당부분의 외주면 사이의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롤러를 이들 양면 사이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회전력을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과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전달시킬 수 있다. 부수적으로, 캠면의 축방향 단부상에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캠면"은 모따기부를 포함한다.
간단히,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롤러가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경측상에 조립될 때 탈락 방지 수단에 의해 롤러의 내접원의 직경이 너무 작아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롤러가 너무 멀리 돌출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리테이너의 내경측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이 롤러의 내경부내로 가압될 때 캠면의 다수의 오목부의 경사면이 롤러를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원주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롤러가 그들의 소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롤러 및 스프링을 조립할 때 각각의 개별 스프링을 개별적으로 압축하는 것과 같은 귀찮은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반복하면,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상에 형성된 탈락 방지 수단에 의해 리테이너의 내경측쪽으로의 롤러의 이동이 억제되고,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리테이너의 내경부내로 삽입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롤러의 내경측내로 삽입하기 위해 모따기부를 사용함으로써, 스프링은 동시에 압축되고, 롤러는 그들의 소정 위치로 동시에 이동된다. 따라서, 롤러를 스프링의 힘에 저항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은 용이해지며, 이는 다수의 롤러 및 스프링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달리 표현하면, 리테이너, 롤러, 스프링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조립과 관련하여,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은 롤러와 쉽게 접촉할 수 있으며, 롤러가 접촉한 후 동시에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롤러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류 발전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구조체의 실시예의 반부 단면도,
도 3은 클러치용 내륜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클러치 리테이너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다른 부품을 생략하고 클러치용 내륜 및 클러치 리테이너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6은 클러치 리테이너에 장착된 스프링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실시예중 제 1 실시예의 반부 단면도,
도 8은 롤러가 클러치 리테이너내의 포켓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클러치용 내륜의 일단부에서의 외주연부상의 모따기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클러치용 내륜 및 롤러의 일단부에서의 외주연부상의 모따기부의 맞물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클러치용 내륜이 롤러의 내경측상에 가압되기 전에 클러치용 내륜과 롤러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 7의 측면에서 본 도면,
도 12는 실시예중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조립 공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실시예중 제 2 실시예의 반부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예중 제 2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조립 공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실시예중 제 3 실시예의 반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실시예중 제 4 실시예의 반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실시예중 제 5 실시예의 반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의 실시예중 제 6 실시예의 반부 단면도,
도 19는 클러치 리테이너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부분의 구조체의 다른 12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0은 다른 13개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1은 다른 6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2는 다른 2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3은 롤러가 클러치 리테이너의 포켓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 방지 수단의 제 2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4는 탈락 방지 수단의 제 3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5는 탈락 방지 수단의 제 4 실시예로서, 도 25a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5b는 롤러가 생략된 도 25a의 하측면에서 본 도면,
도 26은 탈락 방지 수단의 제 5 실시예로서, 도 26a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6b는 도 26a의 E-E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7은 탈락 방지 수단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8은 탈락 방지 수단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9는 탈락 방지 수단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작동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지그(jig)의 개략 적인 단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중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오버런(overrun) 동안 종동 풀리(7a)와 함께 회전하는 부분과 클러치 리테이너(28a) 사이의 마찰을 방지함으로써, 마찰열에 의한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종동 풀리(7a)의 내경측상에 롤러 클러치(10a)를 조립하는 작업을 간략화한다. 다른 부분의 구조 및 기능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구조체의 구조 및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품에 대해 사용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 및 종래의 구조와 상이한 부분에 중점을 둔다.
우선,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으로의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가 상술된다. 이러한 클러치 리테이너(28a)는 충분한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항상 원주방향 둘레에 또는 간헐적으로 원주방향 둘레에 형성되는 내측으로 배향된 플랜지형 체결 림부(34)가 축방향 일단부(도 7에서 우측 단부)상에 있도록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타단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원주방향 둘레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1개 내지 여러개의 체결 돌출부(35)가 있다. 이러한 체결 돌출부(35)의 내주면은 선단부를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고, 경사진 가이드면(36)으로서 작용한다. 반면에, 롤러 클러치(10a)의 클러치용 내륜(21)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회전 부재 또는 슬리브(8)의 중간부의 외주면 둘레에 단단히 체결되고, 다수의 단차부는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양 단부면상에 형성된다. 또한,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양 단부면은 체결 림부(34)와 체결 돌출부(35)의 정합면과 맞물려,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이동이 억제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이용하여, 롤러(26)가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형성된 포켓(31)을 벗어나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수단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6)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형성된 포켓(31)내에 유지되어, 이 롤러가 자유롭게 구름 운동하고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포켓(31)의 개구에 대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상의 개구의 원주방향의 폭(W31)은 롤러(26)의 직경(D26)보다 작다(W31〈D26). 그에 따라, 롤러(26)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상의 개구를 통과할 수 없으며, 따라서 롤러(26)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내로 빠지지 않는다.
다음에, 도 9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일단부상의 외주연부 및 롤러의 축방향의 단부상에 형성되고 따라서 클러치용 내륜(21)이 롤러(26)의 내경측내로 삽입될 수 있는 모따기부를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부(38)는, 클러치용 내륜(21)이 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캠면(22)을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단부면(37)에 접속시키도록,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 일단부면의 외주연부 둘레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모따기부(38)는 캠면(22)으로부터 단부면(37)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다.
반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모따기부(39)는 1/4 아치형 또는 부분 원추형 단면을 가지며, 롤러(26)의 축방향 단부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모따기부(38, 39)는 롤러(26)를 클러치용 내륜(21) 둘레에 위치시키기 위해, 달리 표현하면 클러치용 내륜(21)을 롤러(26)의 내경측상에 위치시켜, 롤러(26)가 캠면(22)에 의해 스프링(33)의 힘에 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클러치용 내륜(21)을 롤러(26)와 함께 축방향으로 서로 근접시킬 때 가이드면으로서 작용한다. 달리 표현하면, 클러치용 내륜(21)을 롤러(26)의 내경측상에 위치시키기 위해 클러치용 내륜(21)을 롤러(26)의 내경측내로 가압할 때, 모따기부(38, 39) 사이의 맞물림으로 인해, 롤러(26)의 축방향 단부상의 외주연부와 내측 롤러 클러치 링(21)의 축방향 단부상의 외주연부 사이의 간섭없이 내측 롤러 클러치 링(21)을 롤러(26)의 내경측내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모따기부(38, 39)의 모따기 양, 즉 이들 모따기부(38, 39)의 반경방향으로의 전체 폭(W38, W39)은 하기에 상술된 바와 같이 롤러(26)와 클러치용 내륜(21)의 관계에 의해 조절된다. 달리 표현하면, 클러치용 내륜(21)을 가압하는 초기 단계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상의 캠면(22)의 오목부(23)가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끼워맞춤 돌출부(32)와 맞물리도록,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 단부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단부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러치용 내륜(21)과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원주방향 위상은 조절된다[이들 부품(21, 28a)의 상대 회전은 가능하지 않음]. 그러나, 이러한 초기 단계에 있어서, 롤러(26)와 클러치용 내륜(21)은 여전히 축방향으로 분리된다. 또한, 이들 롤러(26)는 원주방향 위상에 대해 오목부(23)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하는 부분[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과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 사이의 갭이 좁아지는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스프링(33)에 의해 가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6)를 가압하는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힘 성분을 가져서 롤러(26)가 클러치용 내륜(25)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이들 롤러(26)의 일부는 원주방향 위상에서 롤러(26)와 결합하는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상의 일부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클러치용 내륜(21)의 일부는 축방향의 롤러(26)의 일부를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들 부품(26, 21)의 중첩량을 δ라 하면, 모따기부(38, 39)의 반경방향의 전체 폭(W38, W39)은 중첩량(δ)보다 크다(W38 + W39〉δ). 이러한 관계(W38 + W39〉δ)가 만족되는 한, 이들 폭(W38, W39)중 어느 하나는 '0(제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모따기부(38, 39)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클러치용 내륜(21)은 클러치용 외륜(26)의 내주면상에 사전에 위치된 클러치 리테이너(28a) 및 롤러(26)의 내경측내로 가압된다.
전술된 구성요소로 구성된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하는 풀리 장치의 조립 작업은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된다. 우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33)(도 6 및 도 11 참조)은 클러치 리테이너(28a)내에 장착되고, 롤러(26)는 클러치 리테이너(28a)내에 형성된 포켓(31)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롤러(26)는 스프링(33)에 의해 포켓(31)의 원주방향 일단부로 가압된다. 그 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6), 스프링(33) 및 클러치 리테이너(28a)는 클러치용 외륜(25)의 내경측상에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6)가 탈락 방지 수단에 의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내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용 내륜(21)은 롤러(26)의 내경측내로 조립된다. 이러한 클러치용 내륜(21)을 조립할 때,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 또는 끼워맞춤 돌출부(32)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일단부와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 일단부 사이의 피결합부 또는 캠면(22)상의 오목부(23)와 맞물려, 클러치용 내륜(21)이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달리 표현하면, 이들 부품(21, 28a)의 원주방향의 위상은 일반 상태(조립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일단부는 여전히 롤러(26)의 단부의 내경측내로 삽입되지 않았다.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의 일단부가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일단부내로 삽입되고 이들 양 부품(28a, 21)의 원주방향의 위상이 이러한 방법으로 조절되는 경우, 클러치용 내륜(21)을 롤러(26)의 내경측내에 조립하기 위해 클러치용 내륜(21)이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의해 유지된 롤러(26) 및 스프링(33)의 내경측내로 가압된다. 클러치용 내륜(21)이 가압될 때, 클러치용 내륜(21) 및 롤러(26)의 축방향 단부상에 형성된 모따기부(38, 39)는 가이드면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클러치용 내륜(21)을 롤러(26)의 내경측내로 가압하는 작업은 특별히 번거롭지는 않고 매끄럽게 실시될 수 있다.
클러치용 내륜(21)내로 가압하는 작업이 실시되는 순간에, 클러치용 내륜(21) 및 롤러(26)의 원주방향 위상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러치용 내륜(21)의 원주방향에서의 롤러(26)의 위상이 그와 같으므로, 클러치용 내륜(21)내로 가압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는 클러치용 내륜(21)의 원주방향의 위상에 관하여 롤러(26)와 일치하는 부분에서,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캠면(22)과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 사이의 거리(L)는 롤러(26)의 직경(D26)보다 작다(L〈D26). 그러나, 클러치용 내륜(21)이 롤러(26)의 내경측내로 더욱 가압될 때,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캠면(22)은 롤러(26)를 스프링(33)의 힘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캠면(22)은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단부상에 형성된 모따기부(38)를 포함한다.
달리 표현하면, 모따기부(38, 39)의 맞물림으로 인해 클러치용 내륜(21)의 축방향의 단부가 롤러(26)의 내경측내로 가압됨과 동시에, 캠면(22)의 오목부(23)의 경사면은 롤러(26)를 이들 경사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이 수직한 방향의 힘에 대해, 클러치용 내륜(21)의 원주방향으로의 힘 성분은, 도 1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33)의 힘에 대항하여 롤러(26)를 클러치용 외륜(25)의 내주면과 클러치용 내륜(21)의 외주면 사이의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 즉 이들 양 주면 사이의 거리가 롤러(26)의 직경(D26)과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롤러 클러치(10a) 자체의 조립은 완료된다. 클러치용 내륜(21)을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내로 가압하는 작업은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의 타단부상에 형성된 체결 돌출부(35)(도 7 참조)측으로부터 실시된다. 클러치용 내륜(21)을 내측으로 가압할 때, 이 체결 돌출부(35)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된 롤러 클러치(10a)는 강제 끼워맞춤을 통해 클러치용 외륜(25)을 종동 풀리(7a)내에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종동 풀리(7a)의 축방향 중간부의 내주면상에 조립된다. 그 후,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 끼워맞춤을 통해 클러치용 내륜(21)을 슬리브(8)상에 부착시킴으로써, 롤러 클러치(10a)는 슬리브(8)의 축방향 중간부의 외주면상에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롤러 클러치(10a)는 종동 풀리(7a)의 중간부의 내주면과 슬리브(8)의 중간부의 외주면 사이에 조립된다.
마지막으로,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볼 베어링(9)은 종동 풀리(7a)의 내주면과 슬리브(8)의 외주면 사이의 롤러 클러치의 축방향 대향 단부에 있는 롤러 클러치(10a)의 축방향의 양측상에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갖는 풀리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조립 방법의 특징은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상에 클러치용 내륜(21)을 조립하는 공정으로서, 롤러 클러치(10a)를 조립하기 위해 롤러(26)와 스프링(33)이 클러치용 외륜(25)의 내경측상에 미리 조립된다. 다른 공정은 적절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러치 리테이너(28a), 롤러(26), 스프링(33) 및 클러치용 내륜(21)이 종동 풀리(7a)의 축방향 중간부의 내주면내에 미리 끼워맞춤 부착된 클러치용 외륜(25)의 내경측상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볼 베어링(9)에 대해, 이 볼 베어링(9) 중 하나는 롤러 클러치(10a)를 조립하기 전에 종동 풀리(7a)의 내주면과 슬리브(8)의 외주면 사이에 조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중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클러치(10a)의 클러치용 외륜(40) 상당부분은 종동 풀리(7a)와 일체로 제공되고, 클러치용 내륜(41) 상당부분은 슬리브(8)와 일체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조립할 때, 롤러(26) 및 스프링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조립되고, 그 후 이들 부품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용 외륜(40) 상당부분의 내경측상에 조립된다. 다음에,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용 내륜(41) 상당부분은 롤러(26)의 내경측상에 조립되어 롤러 클러치(10a)를 형성하고, 그 후 한쌍의 볼 베어링(9)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클러치(10a)의 양측상에 조립된다.
다른 부품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된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중복적인 도면 또는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에,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중 제 3 내지 제 6 실시예를 도시한다.
우선, 도 15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클러치용 외륜(25)은 종동 풀리(7a)의 축방향 중간부의 내주면상에 부착되고, 클러치용 내륜(41) 상당부분은 슬리브(8)의 축방향 중간부의 외주면과 일체로 그리고 그 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도 16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클러치용 내륜(21)은 슬리브(8)의 축방향 중간부의 외주면에 끼워맞춤되어 그 상에 부착되고, 클러치용 외륜(40) 상당부분은 종동 풀리(7a)의 축방향 중간부의 내주면과 일체로 그리고 그 둘레에 형성된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제 1 볼 베어링에 대응하는 볼 베어링(9a)의 내륜 상당부분은 슬리브(8)와 일체로 제공되고, 마찬가지로, 외륜 상당부분은 종동 풀리(7a)와 일체로 제공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제 6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롤러 클러치(10a)의 클러치용 외륜(40) 상당부분은 종동 풀리(7a)와 일체식이고, 클러치용 내륜(41) 상당부분은 슬리브(8)와 일체식이며, 제 1 볼 베어링에 대응하는 볼 베어링(9a)의 내륜 상당부분은 슬리브(8)와 일체식이고, 마찬가지로 외륜 상당부분은 종동 풀리(7a)와 일체식이다.
제 3 내지 제 6 실시예의 다른 부품의 구조 및 기능은 전술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중복적인 도면 또는 설명은 생략된다.
다음에, 도 19 내지 도 21을 사용하여,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부분을 회전 샤프트 유닛(52)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단차부(53)와 맞물림으로써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변위를 억제하는 부분의 구조체의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회전 샤프트 유닛(52)의 볼 베어링[9(9a)]중 적어도 하나의 내륜(18)이 회전 샤프트 부재(8)상에 끼워맞춤되거나 그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회전 샤프트 유닛(52)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단차부(53)는 회전 샤프트 유닛(5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체식 단차부(53)(예를 들면, 도 19a에 도시됨)와, 회전 샤프트 부재(8)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오목한 홈(55)의 측면(53)(예를 들면, 도 19c에 도시됨) 뿐만 아니라, 회전 샤프트 부재(8)상에 끼워맞춤되고 그에 체결되는 클러치용 내륜(21)[참조부호(41)인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 및 볼 베어링[9(9a)]의 베어링용 내륜(18)의 축방향 단부면(53)(예를 들면, 도 19b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단차부(53)를 사용해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운동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체에 대해, 도 19a 내지 도 19l은 한쌍의 단차부(53) 사이에 위치되도록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일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굽어진 체결부(54)를 도시하고; 도 20a 내지 도 20m은 한쌍의 단차부(53) 사이에 위치되도록 된 클러치 리테이너(28a)[축방향 양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굽어진 체결부(54)를 포함함]의 축방향의 양 단부를 도시하며; 도 21a 내지 도 21f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양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굽어진 한쌍의 체결부(54) 사이에 유지되는 한쌍의 단차부(53)를 도시하고; 도 22a 및 도 22b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고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 일단부상에 형성된 한쌍의 체결부(54) 사이에 유지되는 단차부(53)를 도시한다.
다음에, 도 23 내지 도 29를 이용하여,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포켓(31)에 유지되는 롤러(26)가 이 포켓(31)으로부터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내로 빠지는 것을 것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수단의 상이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23은 포켓(31) 내면의 경사면(42)에 대해 롤러(26)를 가압하고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롤러(26)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33)을 도시한다.
또한, 도 24는 포켓(31)의 내경측의 개구상에 형성된 돌출 태브(43)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 태브(43)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롤러(26)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도 25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내경측 근처에서 축방향으로 포켓(31)을 가로지르는 필라멘트형 와이어 재료(44)를 도시하며, 이 와이어 재료(44)와 포켓(31)의 정합면 사이의 거리는 롤러(26)의 직경보다 작다.
도 26은 와이어 링(45)을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양 단부의 내주면상에 장착하는 단계와, 돌출부(46)를 롤러(26)의 양 단부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하며,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반경방향의 롤러(26)의 변위는 와이어 링(45)과 돌출부(46) 사이의 맞물림에 의해 억제된다.
도 27은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축방향의 단부내로 필라멘트형 와이어 재료(47)를 매립시킨 것을 도시하며, 이 필라멘트형 와이어 재료는 롤러(26)의 반경방향 단부상에 형성된 돌출부(46)와 맞물린다.
도 28은 롤러(26)상에 클러치 리테이너(28a)의 반경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예로서 도 26에 도시된 와이어 링(45)과 돌출부(46)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48)을 도시한다.
도 29는 클러치 리테이너(28a)에 형성된 포켓(31) 내측의 축방향 양 단부상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오목부(49)를 도시하며, 롤러(26)의 뾰족한 축방향 양 단부는 이들 오목부(49)내로 끼워맞춤된다.
본 발명의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을 실시할 때,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을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하기 전에, 롤러는 스프링에 저항하여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50)를 사용하여 동시에 이동될 수 있고,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의 소정 위치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사용되는 지그(50)는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캠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철면을 가지고, 클러치 리테이너의 결합부과 맞물리는 피결합부(예를 들면, 캠면과 동일한 요철면중 오목부)를 가지며, 이 지그는 축방향 단부상의 외주연부 둘레에 형성된 모따기부(51)를 갖는다. 또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이 가압되기 전에 지그(50)가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되며, 동시에 롤러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롤러를 클러치용 외륜 상당부분의 내주면과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외주면 사이의 원주방향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지그(50)가 롤러를 상기 소정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이 롤러의 내경측내로 삽입되고, 그 후 지그(50)는 롤러의 내경측으로부터 제거된다. 지그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이 이들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되는 방향이 반대 방향(축방향 반대측으로부터 가압되는 방향) 또는 동일 방향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이 롤러의 내경측내로 가압됨에 따라 지그는 롤러의 내경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종류의 지그를 사용해 조립을 수행할 때, 롤러의 축방향 단부상에 및 클러치용 내륜 상당부분의 축방향 일단부상의 외주연부상에 모따기부를 반듯이 형성할 필요는 없다(모따기부는 필요하지 않지만 여전히 형성될 수 있음).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능하며,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한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반면, 그와 동시에 내구성 및 신뢰성을 적절히 유지시킨다.

Claims (7)

  1. 엔진 보조 장치의 벨트 전동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풀리와, 상기 풀리의 내경측상에 위치된 샤프트 부재와,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 제공된 롤러 클러치와,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서 그들의 축방향 한쪽에 제공되는 제 1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서 그들의 축방향 다른쪽에 제공되는 제 2 볼 베어링을 구비하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롤러 클러치는 상기 풀리의 내주부상에 제공되는 외경부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부상에 제공되고 캠부가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와 상기 내경부 사이에 제공되고 다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각 포켓의 내측에 유지되는 롤러와, 상기 리테이너와 맞물려서 상기 롤러를 가압하는 다수의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클러치는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로크되고 다른 회전 방향으로 언로크되며,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외경부와, 내경부와, 다수의 제 1 볼을 포함하며, 상기 외경부는 상기 풀리의 내주부에 위치되고 제 1 외륜 궤도가 형성된 내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경부는 상기 회전 샤프트의 외주부에 위치되고 제 1 내륜 궤도가 형성된 외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볼은 상기 제 1 내륜 궤도와 상기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볼 베어링은 외륜과, 내륜과, 다수의 제 2 볼을 포함하며, 상기 외륜은 상기 풀리의 내주면에 끼워맞춤되고 제 2 외륜 궤도가 형성된 내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내륜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면상에 끼워맞춤되고 제 2 내륜 궤도가 형성된 외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볼은 상기 제 2 내륜 궤도와 상기 제 2 외륜 궤도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내륜과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샤프트 부재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는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와 맞물리는 제 1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는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의 제 1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제 2 맞물림부와, 상기 롤러용 탈락 방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 부재 유닛은 다수의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중 2개는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의 축방향의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롤러 클러치는 상기 롤러의 단부와 상기 내경부의 외주연부중 적어도 하나상에 형성된 모따기부를 구비하는, 상기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에 형성된 상기 포켓 내측에 상기 롤러를 유지하고, 상기 리테이너와 맞물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롤러를 가압하고,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의 내경측상에 상기 리테이너를 설치하여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립체내의 상기 리테이너의 제 2 맞물림부를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의 제 1 맞물림부와 맞물림시켜, 상기 내경부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단계와,
    상기 모따기부를 이용하여 상기 조립체의 롤러 아래로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를 삽입하면서 상기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볼 베어링을 상기 풀리의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리테이너가 상기 내경부와 동축으로 제공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제 2 맞물림부가 상기 내경부의 제 1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단부에서의 모따기 양(chamfering amount)과 상기 캠부의 외주연부에서의 모따기 양의 합은 상기 내경부의 캠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경부의 내경측내로의 상기 롤러의 돌출량보다 큰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3. 엔진 보조 장치의 벨트 전동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풀리와, 상기 풀리의 내경측상에 제공된 샤프트 부재와,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 제공된 롤러 클러치와,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서 그들의 축방향 한쪽에 제공되는 제 1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서 그들의 축방향 다른쪽에 제공되는 제 2 볼 베어링을 구비하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롤러 클러치는 상기 풀리의 내주부에 제공되는 외경부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부에 제공되고 캠부가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와 상기 내경부 사이에 제공되고 다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포켓의 내측에 유지되는 롤러와, 상기 리테이너와 맞물려서 상기 롤러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클러치는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로크되고 다른 회전 방향으로 언로크되며,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의 내주부에 제공되고 제 1 외륜 궤도가 형성된 내주면을 갖는 외경부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연부에 제공되고 제 1 내륜 궤도가 형성된 외주면을 구비하는 내경부와, 상기 제 1 내륜 궤도와 상기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제공되는 다수의 제 1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고 제 2 외륜 궤도가 형성된 내주면을 구비하는 외륜과,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부상에 끼워맞춤되고 제 2 내륜 궤도가 형성된 외주면을 구비하는 내륜과, 상기 제 2 내륜 궤도와 상기 제 2 외륜 궤도 사이에 제공되는 다수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와 상기 내륜은 샤프트 부재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는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와 맞물리는 제 1 맞물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는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의 제 1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제 2 맞물림부와, 상기 롤러용 탈락 방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 부재 유닛은 다수의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중 2개에 의해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의 축방향 변위가 조절되는, 상기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의 포켓내에 상기 롤러를 유지하고, 상기 리테이너와 맞물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롤러를 가압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 클러치의 외경부의 내경측상에 상기 리테이너를 설치하여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형을 갖고, 상기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시키기 위해 상기 조립체내로의 삽입측상에 모따기부를 갖는 지그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모따기부를 사용하여 상기 조립체내의 롤러 아래로 상기 지그를 임시 삽입하면서 상기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하는, 상기 지그 제공 단계와,
    상기 조립체의 리테이너의 제 2 맞물림부를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의 제 1 맞물림부와 맞물림시키는 단계와,
    상기 롤러 클러치의 내경부를 상기 조립체의 내경측상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볼 베어링을 상기 풀리의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 베어링을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는 압입(pressing-in), 크림핑(crimping), 용접 및 접착의 그룹에서 선택된 임의의 수단을 의해 이루어지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5. 엔진 보조 장치의 벨트 전동에 사용하기 위한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에 있어서,
    풀리와, 상기 풀리의 내경측상에 제공된 샤프트 부재와,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 제공된 롤러 클러치와,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서 그들의 축방향 한쪽에 제공되는 제 1 볼 베어링과,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서 그들의 축방향 다른쪽에 제공되는 제 2 볼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클러치는 상기 풀리의 내주부상에 제공되는 외경부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부상에 제공되고 캠부가 형성된 외주면을 갖는 내경부와, 상기 외경부와 상기 내경부 사이에 제공되고 다수의 포켓을 구비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포켓의 내측에 유지되는 롤러와, 상기 리테이너와 맞물려서 상기 롤러를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클러치는 하나의 회전 방향으로 로크되고 다른 회전 방향으로 언로크되며,
    상기 제 1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의 내주부에 제공되고 제 1 외륜 궤도가 형성된 내주면을 구비하는 외경부와,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부에 제공되고 제 1 내륜 궤도가 형성된 외주면을 구비하는 내경부와, 상기 제 1 내륜 궤도와 상기 제 1 외륜 궤도 사이에 제공되는 다수의 볼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볼 베어링은 상기 풀리의 내주면내로 끼워맞춤되고 제 2 외륜 궤도가 형성된 내주면을 구비하는 외륜과, 상기 샤프트 부재의 외주면상에 끼워맞춤되고 제 2 내륜 궤도가 형성된 외주면을 구비하는 내륜과, 상기 제 2 내륜 궤도와 상기 제 2 외륜 궤도 사이에 제공되는 다수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부재와 상기 내륜은 샤프트 부재 유닛을 형성하며,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는 상기 롤러용 탈락 방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 부재 유닛은 다수의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중 2개에 의해 상기 롤러 클러치의 리테이너의 축방향 변위가 조절되며, 상기 롤러 클러치는 상기 스프링을 동시에 압축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 클러치의 롤러의 단부와 상기 내경부의 외주연부중 적어도 하나상에 형성된 모따기부를 갖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의 리테이너가 상기 내경부와 동축으로 제공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제 2 맞물림부가 상기 내경부의 제 1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단부에서의 모따기 양과 상기 캠부의 외주연부에서의 모따기 양의 합은 상기 내경부의 캠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경부의 내경측내로의 상기 롤러의 돌출량보다 큰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 베어링을 상기 풀리와 상기 샤프트 부재 사이에, 압입, 크림핑, 용접 및 접착의 그룹에서 선택된 임의의 수단을 의해 설치하는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KR1020037005526A 2001-09-11 2002-02-28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09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74591A JP2003083426A (ja) 2001-09-11 2001-09-11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とその組立方法
JPJP-P-2001-00274591 2001-09-11
PCT/JP2002/001880 WO2003025433A1 (en) 2001-09-11 2002-02-28 Pulley apparatus with built-in roller clutch and assembly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813A KR20040032813A (ko) 2004-04-17
KR100809176B1 true KR100809176B1 (ko) 2008-02-29

Family

ID=1909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5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9176B1 (ko) 2001-09-11 2002-02-28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80689B2 (ko)
EP (1) EP1430240A1 (ko)
JP (1) JP2003083426A (ko)
KR (1) KR100809176B1 (ko)
CN (1) CN1307378C (ko)
WO (1) WO2003025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674A (ja) * 2001-09-21 2003-04-03 Nsk Ltd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の組立方法
TWI473949B (zh) * 2009-09-04 2015-02-21 Victory Ind Corp Improvement of Unidirectional Pulley Structure of Vehicle Alternator
CN101968075A (zh) * 2010-09-27 2011-02-09 徐州丰禾回转支承制造有限公司 一种双排球式回转支承
JP5772144B2 (ja) * 2011-03-29 2015-09-0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伝達装置
WO2014046635A1 (en) * 2012-09-21 2014-03-27 Sari Mustafa Locking mechanism on alternator pulley
JP2017110723A (ja) * 2015-12-16 2017-06-2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一方向クラッチ
WO2020189090A1 (ja) * 2019-03-20 2020-09-24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両方向クラッチ
CN111609053A (zh) * 2020-06-08 2020-09-01 重庆擎筑科技有限公司 一种高扭矩无磨损车用变速器离合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521A (en) * 1995-06-01 1998-03-03 Nsk-Warner K.K. Roller type one-way clutc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7002A (en) * 1957-07-05 1962-01-16 Marland One Way Clutch Co One-way clutch
JPH01122753A (ja) 1987-11-05 1989-05-16 Sekisui Chem Co Ltd エアバッグ収納ケース
US4821856A (en) * 1987-11-16 1989-04-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Overrunning roller clutch with roller control cars
JPH01163026A (ja) 1987-11-27 1989-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
JP2992731B2 (ja) 1993-11-16 1999-12-20 光洋精工株式会社 自動車用オルタネータ
DE19531745A1 (de) 1994-08-30 1996-03-07 Ntn Toyo Bearing Co Ltd Riemenscheiben-Baueinheit
JPH10213207A (ja) 1996-11-29 1998-08-11 Nippon Seiko Kk 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
JP3556800B2 (ja) 1997-04-09 2004-08-25 光洋精工株式会社 オルタネータプーリ
JP3640771B2 (ja) 1997-07-01 2005-04-20 光洋精工株式会社 プーリユニット
JPH1163026A (ja) 1997-08-25 1999-03-05 Koyo Seiko Co Ltd 一方向クラッチ
JP2000234638A (ja) * 1999-02-17 2000-08-29 Koyo Seiko Co Ltd 一方向クラッチ
JP2000240687A (ja) * 1999-02-24 2000-09-05 Nsk Ltd ローラクラッチ及び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4306032B2 (ja) * 1999-07-12 2009-07-29 日本精工株式会社 オルタネータ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US6588560B1 (en) 1999-11-19 2003-07-08 Koyo Seiko Co., Ltd. Pulley unit
JP3652207B2 (ja) * 2000-03-28 2005-05-25 日本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
DE20009895U1 (de) 2000-06-02 2000-11-23 INA Wälzlager Schaeffler oHG, 91074 Herzogenaurach Klemmrollen-Freilaufkupp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2521A (en) * 1995-06-01 1998-03-03 Nsk-Warner K.K. Roller type one-way clutch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 제5722521호(1998.3.3)
유럽특허공보 EP 1101978GH(2001.5.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7378C (zh) 2007-03-28
US20040011618A1 (en) 2004-01-22
EP1430240A1 (en) 2004-06-23
CN1509383A (zh) 2004-06-30
KR20040032813A (ko) 2004-04-17
US6880689B2 (en) 2005-04-19
WO2003025433A1 (en) 2003-03-27
JP2003083426A (ja)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2212A1 (en) Engine start roller clutch-housed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EP1067303B1 (en) Alternator pulley unit with a built-in one-way clutch
US7108113B2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US6957728B2 (en) Pulley apparatus with built-in roller clutch and the assembly method thereof
KR100809176B1 (ko) 내장형 롤러 클러치를 구비한 풀리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US20040211063A1 (en) Method for assembling pulley apparatus with built-in roller clutch
US6749050B2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pulley device
EP1403546B1 (en) One-way clutch built-in type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JP2000291785A (ja) オルタネータ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KR100760730B1 (ko) 일방향 클러치를 내장한 회전 전달 장치
JP2001165201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
JP4470910B2 (ja) オルタネータ用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3724506B2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1032911A5 (ko)
JP2006307922A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2139133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回転伝達装置とその組立方法
JP2001099272A (ja) 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1050311A (ja) オルタネータ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5256915A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1032910A (ja) オルタネータ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