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8660B1 -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660B1
KR100808660B1 KR1020060043928A KR20060043928A KR100808660B1 KR 100808660 B1 KR100808660 B1 KR 100808660B1 KR 1020060043928 A KR1020060043928 A KR 1020060043928A KR 20060043928 A KR20060043928 A KR 20060043928A KR 100808660 B1 KR100808660 B1 KR 100808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indow
input device
fram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068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66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38Casings transpa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일부의 버튼부에 해당되는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판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함께 처리하기 위한 제어칩이 실장되는 제2기판과,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나머지 버튼부와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프레임에 모두 장착할 수 있어 외관을 구성하는 전면판에 입력장치의 구성을 별도로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높아지고, 슬라이드기판과 푸시기판의 구동을 위한 제어칩을 하나로 통합하면서 슬라이드기판과 푸시기판을 케이블로 연결하였으므로 고가의 제어칩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가 낮아지며, 제어칩이 프레임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판 상의 위치에 실장되므로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하다.
전자제품, 입력, 터치, 정전기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입력장치{Input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전자제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프레임 32: 기판안착부
33: 중앙통공 34: 커넥터압입부
36: 가이드설치공 38: 체결보스
40: 전면판 42: 윈도우
44: 슬라이드접촉버튼부 46: 푸시버튼부
50: 슬라이드기판 51: 관통공
52: 제1커넥터 54: 복합기판
56: 제어칩 58: 발광소자
60: 신호가이드 62: 광통로
64: 신축체 66: 도전층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전자제품을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제품은 반도체 등의 발달로 다양한 것이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경박단소화된 것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제품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것이 입력장치이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의 종래의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외관을 케이스(1)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는 골격의 역할을 하는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전면과 배면을 각각 형성하는 전면판(5)과 배면판(7)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5)과 배면판(7)은 각각 상기 프레임(3)의 전면과 배면에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5)에는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표시하거나 전자제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9)가 구비되고, 또한 전자제품의 조작을 위한 입력장치(10)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장치(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면판(5)의 원형의 영역에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의 가장자리를 둘 러서 사방에 누름버튼부(14)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여 조작하는 부분이고, 상기 누름버튼부(14)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함에 의해 조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는 슬라이드기판(16)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16)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전면판(5)에 접촉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16)에는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의 구동을 위한 제1제어칩(18)이 실장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16)은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는 또한 상기 누름버튼부(14)를 구성하기 위한 푸시기판(20)이 설치된다. 상기 푸시기판(20)은 상기 누름버튼부(14)가 구비되는 영역을 따라 설치되도록 도우넛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푸시기판(20)은 상기 슬라이드기판(16)의 가장자리를 둘러 싸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시기판(20)에는 상기 누름버튼부(14)의 구동을 위한 제2제어칩(22)이 실장된다. 상기 푸시기판(20)도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양면테이프로 부착된다.
한편, 상기 전면판(5)에 장착되는 상기 프레임(3)의 반대쪽 면에는 광기판(24)이 구비된다. 상기 광기판(24)은 적어도 발광소자(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소자에서 나온 광은 상기 각각의 누름버튼부(14)를 조명하고,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12)의 가장자리가 상기 누름버튼부(14)와 구획되도록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슬라이드기판(16)과 푸시기판(20)이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는 상기 기판(16,20)을 상기 프레임(3)측에 먼저 고정하고 상기 전면판(5)을 상기 프레임(3)과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기판(16,20)의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상기 기판(16,20)이 상기 전면판(5)의 배면에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으로, 상기 기판(16,20)을 상기 프레임(3)에 나사 등으로 체결하면 상기 나사가 기판(16,20)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전면판(5)의 배면과 기판(16,20)의 표면이 밀착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기판(16,20)에 각각 고가의 제어칩(18,22)이 사용되기 때문에, 입력장치(10)의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기판이 슬라이드기판(16)과 푸시기판(20) 및 광기판(24)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주변 부품을 이중사출해야 하는 등 부품의 제조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기판(16,20)상에 각각 실장된 제어칩(18,22)이 전체 제품의 사이즈를 상대적으로 크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각의 제어칩(18,22)을 실장함에 의해 상기 프레임(3)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3)의 설계가 달라져야 하므로, 이에 의해 전체 제품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기판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어칩의 사용을 최소화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칩의 크기가 전체 제품의 사이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장치의 구성이 다른 모델에도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일부의 버튼부에 해당되는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판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함께 처리하기 위한 제어칩이 실장되는 제2기판과,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나머지 버튼부와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윈도우는 전자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전면판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윈도우에 형성되는 버튼부는 사용자의 터치상태와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슬라이드접촉버튼부와 사용자의 터치상태를 감지하는 푸시버튼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은 전자제품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양면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은 각각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기판은 일측 표면에 실장된 상기 커넥터가 상기 프레임에 압입됨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신호가이드는 그 중앙을 관통하여 광통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광통로는 상기 윈도우의 특정 영역을 조명하는 광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도전성을 가진다.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표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위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일부의 버튼부에 해당되는 배면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판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함께 처리하기 위한 제어칩이 실장되며 상기 제1기판이 설치된 반대쪽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기판과,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나머지 버튼부와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에는 각각 커넥터가 실장되고, 이들 커넥터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1기판과 제2기판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넥터가 압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신호가이드의 중앙을 관통해서는 광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광통로를 통 해서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발광소자의 광이 상기 윈도우로 전달되어 버튼부를 표시한다.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과 도전성을 구비한다.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신축체의 표면에 도전성을 가지는 도전층이 형성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 의하면,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을 프레임에 모두 장착할 수 있어 외관을 구성하는 전면판에 입력장치의 구성을 별도로 부착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높아지고, 슬라이드기판과 푸시기판의 구동을 위한 제어칩을 하나로 통합하면서 슬라이드기판과 푸시기판을 케이블로 연결하였으므로 고가의 제어칩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가 낮아지며, 제어칩이 프레임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판 상의 위치에 실장되므로 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하며, 구조적인 설계 변경없이 부품의 크기만을 달리하면 다양한 모델에 입력장치를 적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단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30)은 전자제품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자제품의 외관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전자제품의 외관이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전면과 배면을 제외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상하면과 양측면을 프레임(30)이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는 기판안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안착부(32)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기판(5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판안착부(32)의 중앙에는 중앙통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통공(33)은 아래에서 설명될 복합기판(54)의 발광소자(58)가 내는 광을 안내하는 부분이다. 상기 기판안착부(32)에는 상기 프레임(30)을 관통하도록 커넥터압입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압입부(34)는 슬라이드기판(50)에 실장되는 제1커넥터(52)가 압입되어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30)에는 또한 상기 기판안착부(32)를 벗어난 영역에 가이드설치공(3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설치공(36)은 상기 프레임(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신호가이드(6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30)에는 또한 슬라이드기판(5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보스(38)가 다수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보스(38)는 상기 기판안착부(32)가 형성된 반대면에 구비된다.
전면판(40)은 전자제품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40)의 일부 영역은 윈도우(42)로 된다. 상기 윈도우(42)는 입력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아 움직이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터치가 이루어지면 정전기를 감지하여 신호를 입력받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 기 윈도우(42)가 반드시 전면판(40)에 일체로 구비되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전면판(40)과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42)를 마치 터치패드의 표면층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윈도우(42)의 내부에 격자모양으로 전극봉이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윈도우(4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는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기판(50)과 대응되는 영역이다. 상기 슬라이드접촉부(44)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대고 이동하면 이를 슬라이드기판(50)에서 감지하게 된다.
상기 윈도우(42)에는 또한 푸시버튼부(46)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버튼부(46)는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의 가장자리 둘레의 사방에 형성된다. 상기 푸시버튼부(46)는 사용자가 그 영역에 손가락을 대면 역시 같은 방식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복합기판(54)측에서 이를 감지하여 신호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슬라이드기판(50)은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의 영역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상으로 슬라이드기판(50)이 만들어진다. 상기 슬라이드기판(50)의 중앙에는 관통공(51)이 천공된다. 상기 관통공(51)을 통해서는 상기 중앙통공(33)을 통해 전달된 광이 상기 윈도우(42)의 특정 위치에 조사되게 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50)에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에 제공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 서, 상기 슬라이드기판(50)은 일종의 터치패드모듈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기판(50)에는 제1커넥터(52)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52)는 아래에서 설명될 복합기판(54)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커넥터(52)는 또한 상기 커넥터압입부(34)에 압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커넥터(52)가 상기 슬라이드기판(50)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압입부(34)에 압입되어 설치되면 상기 슬라이드기판(50)이 상기 프레임(30)에 장착되는 것이다.
복합기판(54)은 상기 프레임(30)에 나사(38')로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푸시버튼부(46)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감지하여 처리하는 역할과 상기 윈도우(42)의 필요부분에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합기판(54)은 상기 프레임(30)중 상기 슬라이드기판(50)이 장착된 반대쪽 면에 장착된다.
상기 복합기판(54)에는 제어칩(56)이 실장된다. 상기 제어칩(56)은 상기 복합기판(54)과 상기 슬라이드기판(50)의 기능 수행을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드기판(50)으로 들어온 신호와 복합기판(54)으로 들어온 신호를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칩(56)은 상기 복합기판(54)중 상기 프레임(30)과 마주보는 반대면에 실장된다. 이는 상기 제어칩(56)이 상기 프레임(30)의 설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합기판(54)에는 발광소자(58)가 실장된다. 상기 발광소자(58)는 상기 프레임(30)과 마주보는 면에 실장되어 상기 윈도우(42)쪽으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발광소자(58)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소자(58)에서 나온 광을 상기 윈도우(42)의 특정 위치로 전달하고, 상기 푸시버튼부(46)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복합기판(54)으로 전달하기 위해 신호가이드(60)가 구비된다. 상기 신호가이드(60)는 상기 프레임(30)의 가이드설치공(36)에 설치된다. 상기 신호가이드(60)는 일단이 상기 윈도우(42)의 배면에 밀착되고 타면이 상기 복합기판(54)상의 접점에 밀착된다.
상기 신호가이드(60)는 그 중앙을 관통하여 광통로(62)가 형성된다. 상기 광통로(62)는 상기 복합기판(54)의 발광소자(58)에서 나온 광을 상기 윈도우(42)의 특정 영역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신호가이드(6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진 신축체(64)와 상기 신축체(64)의 표면에 형성된 도전층(66)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전층(66)은 상기 윈도우(42)의 푸시버튼부(46)와 상기 복합기판(54)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신축체(64) 자체가 도전성을 가진다면 별도로 표면에 도전층(66)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신축체(64)는 발포성 재질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복합기판(54)상에는 제2커넥터(68)가 실장된다. 상기 제2커넥터(68)는 상기 제1커넥터(52)와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기판(50)과 복합기판(54)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기판(50)으로 전달된 입력신호를 상기 복합기판(54)의 제어칩(56)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입력장치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복합기판(54)이 나사(38')로 체결된다. 상기 프레임(30)의 가이드설치공(36)에는 상기 신호가이드(60)가 각각 삽입된다. 이때, 상기 신호가이드(60)는 상기 복합기판(54)상에 일단이 밀착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기판안착부(32)에는 슬라이드기판(50)이 안착된다. 상기 슬라이드기판(50)은 그 일측 표면에 실장된 제1커넥터(52)가 상기 프레임(30)의 커넥터압입부(34)에 압입됨에 의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제1커넥터(52)와 제2커넥터(68)는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30)에 상기 복합기판(54)과 슬라이드기판(5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42)가 상기 프레임(30)의 일면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윈도우(42)는 상기 전면판(42)과 함께 상기 프레임(3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42)가 상기 프레임(30)에 결합되면,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된 슬라이드기판(50)의 표면은 상기 윈도우(42)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윈도우(42)의 배면에는 상기 신호가이드(60)의 일면이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가이드(60)의 광통로(62)는 상기 복합기판(54)의 발광소자(58)에서 나온 광이 상기 윈도우(42)의 특정 영역, 예를 들면, 상기 푸시버튼부(46) 등에 비춰지도록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된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전자제품이 사용될 경우에 상기 복합기판(54)의 발광소자(58)에서 나온 광이 상기 광통로(62)와 중앙통공(33)을 통해 상기 윈도우(42)의 특정 영역을 조명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와 푸시버튼부(46) 등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윈도우(42)에 표시된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와 푸시버튼부(46)에 손가락을 접촉하거나 접촉하여 이동시키면 정전기의 변화를 상기 슬라이드기판(50)이나 복합기판(54)이 검출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에 손가락을 대고 이동시키면 그에 따라 신호가 상기 슬라이드기판(50)에 주어지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부(46)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면 이는 상기 윈도우(42)와 상기 신호가이드(60)를 통해 상기 복합기판(54)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이와 같이 되면, 해당되는 푸시버튼부(46)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신호가 입력되면서 전자제품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복합기판(54)에 실장된 발광소자(58)에서는 필요한 경우에 광이 조사된다. 상기 발광소자(58)에서 나온 광은 상기 신호가이드(60)의 광통로(62)와 중앙통공(33)을 통해 윈도우(42)의 정해진 위치에 조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사되는 광에 의해 상기 윈도우(42) 상의 슬라이드접촉버튼부(44)와 푸시버튼부(46)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입력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기판들이 모두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입력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에는 기판을 미리 부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기판을 미리 윈도우에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입력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제어칩만을 사용하여 슬라이드기판과 복합기판으로 들어오는 구동신호를 처리한다. 즉, 슬라이드기판과 복합기판을 케이블로 연결하고 하나의 제어칩을 복합기판에 실장하였다. 따라서,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제어칩의 갯수가 최소화되면서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복합기판에 제어칩이 실장되는데, 상기 제어칩이 실장된 복합기판의 표면은 복합기판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마주보는 반대면에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칩이 프레임의 설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복합기판의 표면에 돌출된 다른 요소보다 제어칩이 더 돌출되지 않으므로 전자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복합기판과 윈도우 사이의 신호연결을 위해 도전성을 가지는 신호가이드를 사용한다. 이때, 예를 들어 제품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이즈 등이 달리 설계되는 경우에도 상기 신호가이드의 크기만을 달리 설계하면 입력장치의 전체 구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입력장치를 다른 모델에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4)

  1.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일부의 버튼부에 해당되는 배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판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함께 처리하기 위한 제어칩이 실장되는 제2기판과,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나머지 버튼부와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전자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전면판의 일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형성되는 버튼부는 사용자의 터치상태와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슬라이드접촉버튼부와 사용자의 터치상태를 감지하는 푸시버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은 전자제품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양면에 각각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은 각각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일측 표면에 실장된 상기 커넥터가 상기 프레임에 압입됨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이드는 그 중앙을 관통하여 광통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광통로는 상기 윈도우의 특정 영역을 조명하는 광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도전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표면에 도전층이 형성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10. 신호의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버튼부가 형성되고 외관을 구성하는 윈도우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위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일부의 버튼부에 해당되는 배면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과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기판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함께 처리하기 위한 제어칩이 실장되며 상기 제1기판이 설치된 반대쪽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기판과,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의 버튼부중 나머지 버튼부와 상기 제2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에는 각각 커넥터가 실장되고, 이들 커넥터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1기판과 제2기판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기판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커넥터가 압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이드의 중앙을 관통해서는 광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광통로를 통해서는 상기 제2기판에 실장된 발광소자의 광이 상기 윈도우로 전달되어 버튼부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과 도전성을 구비함을 특징으 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가이드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신축체의 표면에 도전성을 가지는 도전층이 형성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KR1020060043928A 2006-05-16 2006-05-16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KR10080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28A KR100808660B1 (ko) 2006-05-16 2006-05-16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928A KR100808660B1 (ko) 2006-05-16 2006-05-16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068A KR20070111068A (ko) 2007-11-21
KR100808660B1 true KR100808660B1 (ko) 2008-02-29

Family

ID=3909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928A KR100808660B1 (ko) 2006-05-16 2006-05-16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6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77A (ko) * 2002-04-30 200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드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05019987A2 (en) 2003-08-18 2005-03-03 Apple Comuter,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KR20050075561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70028697A (ko) * 2005-08-30 2007-03-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필름커버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버튼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77A (ko) * 2002-04-30 2003-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드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05019987A2 (en) 2003-08-18 2005-03-03 Apple Comuter,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KR20050075561A (ko) * 2004-01-15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20070028697A (ko) * 2005-08-30 2007-03-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필름커버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중앙버튼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068A (ko)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8211B2 (en) Illuminated low-travel key mechanism for a keyboard
TWI554913B (zh) 用於鍵盤組合之堆疊按鍵結構及鍵盤組合裝置
CN100377033C (zh) 便携式电脑的触控板装置
US7295190B2 (en) Touch sensitive control panel
CN100555868C (zh) 符合于弧形表面的柔性触摸板传感器网格
EP2048779B1 (en) Capacitive touch switch and domestic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switch
US8456437B2 (en) Touch pad module assembly structure
GB2464584A (en) A touch module connected to a housing and disposed above a swich module
KR100745786B1 (ko) 휴대용 컴퓨터의 터치패드장치
US20060244721A1 (en) Flat panel display with function button
US8692146B2 (en) Touchpad of a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162203B2 (en) Appliance control module with in-molded electronics
TWM625711U (zh) 電子裝置及其輸入裝置
KR100808660B1 (ko)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US20230354531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JP2002040969A (ja) 発光表示装置
US11079859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point stick in a keyboard
CN109104178A (zh) 电容式触摸组件以及控制面板
KR101233552B1 (ko) 전자제품의 입력장치
US20140152905A1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on Set
US10903027B2 (en)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520364B1 (ko) 집적 모듈 및 디스플레이 기기
TWI733126B (zh) 電子裝置與電子裝置的組裝方法
KR101583454B1 (ko) 메인기판에 터치감지부가 형성된 전자기기
JP2019029616A (ja) 回路体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04